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조금 늦게 아내를 이해하게된 남편 XIII
- 온 가족이 전과자 인천 50년 무허가 횟집...JPG 포애
- 오늘자 중랑구 존속살인사건 ㅇㅇ
- 싱글벙글 좆소 외노자들과 소고기 회식 다시는게임얘기
- "욱일기 게양 일본 자위대 호위함, 부산항 입항" ㅇㅇ
(곤충주의) 물방개를 키워보자
물방개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수서곤충이며 노린재목에 속하는 수서노린재들(물장군, 물자라, 장구애비, 게아재비, 소금쟁이, 송장헤엄치게 등)과는 다르게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수서딱정벌레임 현재 우리나라에서 물방개는 보호종이라고 하지만 사실 보호종으로 지정된 물방개는 종명 자체가 "물방개"(몸길이 약 40mm정도)인 개체만 보호종이며 다른 물방개 종류들은 합법적으로 사육가능 그리고 보호종 물방개도 나라에서 허가받은 샵에선 전시용으로 구매가 가능함 참고로 첫번째 사진은 보호종 물방개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크기도 다르고 배부분이 오렌지색이라는 특징이 있는 "동쪽애물방개"(몸길이 약 25mm정도)라는 합법적으로 키울수 있는 개체임 물방개 성충들은 키우기 간단함 체급이 비슷한 놈들은 합사가 가능하며 수조에다 물넣고 바닥재 깔고 일광욕을 할수있게 유목같은 잡고 올라갈수 있는 구조물을 넣어주면 끝임 물론 날수있으니 뚜껑은 필수 참고로 고인물에 서식하는 정수성 곤충이라 여과기를 달아줄거라면 수류가 거의 없다싶은걸로 달아주는게 좋음 강한 수류는 스트레스가 될수있음 물속의 청소부라고 불리는놈답게 뭐든 잘먹음 냉짱 물고기 오징어 새우 밀웜 다슬기 등 어지간한건 다 먹음 살아있는것보단 시체뜯는걸 선호하지만 굶으면 살아있는 개체도 공격하고 동족포식도 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는게 좋음 그리고 마른오징어나 마른멸치같은 소금기가 있는건 물에 1시간 이상 불려서 소금기 빼고 주는게 좋음 시간이 지나 적응을 하면 수컷들은 지나가는 암컷을 앞다리에 있는 빨판으로 붙잡고 짝짓기를 시작함 산란용 수초로 부레옥잠을 넣어두면 부레옥잠을 파고 산란을 함 부레옥잠 말고도 물수세미, 벗풀, 앵무새깃 등의 수초에서도 산란이 가능하다고 함 근데 바닥재에 대충 알을 낳는 경우도 있긴하더라 알은 저렇게 하얗고 길쭉하게 생김 짝짓기 후 한달쯤 지나면 부레옥잠에서 부화한 유충들을 볼수있음 씹어먹는 턱을 가진 성충과는 다르게 유충들은 수서노린재들처럼 체액을 빨아먹음 유충은 성충보다 공격성이 강해서 동족포식을 할수있으니 무조건 개별사육을 해줘야함 물도 매일 갈아줘야되고 1령때는 냉짱을 해동시켜서 핀셋으로 붙잡고 흔들어서 먹이는게 좋음 먹이를 충분히 먹다보면 어느 순간부터 먹이를 안먹고 턱부분이 까맣게 변하고 턱을 벌리지도 오므리지도 않는 상태가 되는데 이런 행동은 탈피가 가까워졌다는 신호임 탈피를 하면 바로 먹이를 먹지 않으니 하루정도 지나고 주면됨 2령부턴 크기가 좀 커져서 냉짱보다 큰 먹이를 제공하면됨 생이새우나 송사리같은걸 추천함 2령에서 탈피하여 3령이 되면 크기가 상당히 커짐 성장하면 약 60mm쯤 될정도로 거대해지며 커진만큼 먹는양도 많아짐 개인적으론 이때가 젤 멋있다고 생각하는데 유충기간이 짧아서 아쉽더라 물방개는 유충시절엔 물속에서 살다가 번데기가 될때쯤에는 물밖으로 나와 번데기가 되는데 이걸 육지오르기라고 함 야생에선 지가 알아서 올라가면 되지만 사육할때는 사육자가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면 익사하게됨 물에서 살던놈이 물에서 익사라니 참 아이러니해 사실 육지오르기 타이밍은 초보자가 알기 힘들기 때문에 스스로 올라가게 환경을 만들어주는게 좋음 개인적인 경험으로 팁을 주자면 3령 유충한테 먹이를 줬는데 먹지않고 계속 물러나는듯한 행동이 며칠 이상씩 지속되면 육지오르기의 때가 온거임 이런식으로 바닥과 경사면을 휴지로 만든다음 번데기방을 만들곳인 발효톱밥을 집어넣어주고 물을 살짝 부어서 유충을 넣어줌 이렇게 세팅을 해주면......? 스스로 육지오르기를 하는 유충을 볼수있음 이러면 큰 고비는 넘긴거임 2주정도가 지나고 톱밥을 파보면 번데기방과 번데기를 확인할수 있음 물방개는 장수풍뎅이나 사슴벌레처럼 번데기방이 엄청 중요하지는 않아서 튼튼하지도 않은편이고 혹시 방을 부쉈다면 물에 적신 촉촉한 휴지로 인공 번데기방을 만들어주면 됨 주변이 촉촉하지 않고 말랐다면 우화부전이 생길수 있으니 주의하고 무사히 우화하게 되면 처음엔 하얀색이었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원래 색깔로 변하게됨 이때 색이 돌아왔다고 몸이 완전히 마른게 아니니까 만지지말고 혼자 돌아다닐때까지 놔둬야함 빠져나갈려고 막 움직이기 시작하면 몸이 다 마른것이니 수영 적응을 할수있는 통을 만들어주고 루바망같은 붙잡을수 있는 구조물을 넣어주면됨 처음엔 수영이 미숙하고 잠수도 못함 개체에 따라 다르긴 한데 보통 3일안에 적응하더라 잠수가 가능해지면 그때부터 먹이를 먹음 먹이를 먹게되면 다른 개체들이랑 합사가 가능해짐 다들 키우기 재밌고 매력적인 물방개를 키워보자
작성자 : ㅇㅇ고정닉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