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기타 미국드라마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기타 미국드라마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드라마 촬영이 벼슬이냐… 주민은 벽돌을 집어들었다 김세희
- 트랜스포머 개봉기념 캐릭터들 그림 푸른젖꼭지
- 흉기차 시트변색 결함 존나웃기네 ㅋㅋㅋ ㅇㅇ
- 싱글벙글 화장실에 진심인단체 양민욱
- 은평구 카페 프린트 남...jpg ㅇㅇ
- 딜도팔던 김어준, 돈되는 것 다 팔아 수익창출 집나간재매이
- KTX 선로에 '돌덩이' 올려놓은 10대 ㅇㅇ
- 이탈리아의 저주받은 케이블카의 무덤 참사 제니제니해
- 불끈불끈 111kg 과 117kg 몸매 체감 ㅇㅇ
- 딴건 모르겠고 백인 우월주의 미감에 쩌들었단건 ㄹㅇ 억울하다 ㅇㅇ
- 한 때 핫했던 한일 커플 부부 근황 이즈리얼ε
- 충격..폭발.. 한동훈 미친 센스 ㄷㄷ.jpg ㅇㅇ
- 여시)남친이 친구들과 노래방갔는데 도우미?+썸남 영화관사진 구라지? 실시간기자
- 싱글벙글 그시절 K-해적판.jpg 블로
- '한명씩 끌어내' 노동단체 문화제 강제 해산 ㄴㄴ
오싹오싹... 내부고발자의 최후
미국에서 현기차 과징금 30%를 내부고발자 포상금으로 줬는데그거 절반을 다시 세금으로 가져갈 예정 ㄷㄷ- 현대차 내부고발해서 포상금받은사람 근황뉴스요약 현대차 부장이던 김광호씨는 엔진에 결함이 있는걸 회사가 숨기고 있다고 폭로해서 미국정부에게 280억원을 포상금으로 받음 변호사 비용을 제외하면 받은 금액이 190억 이후 국세청에 세금 내야되냐고 물어봤는데 (소득세법 시행령에는 외국 정부, 국제기관으로부터 받은 상금이나 공익 신고 등으로 국가나 지자체로부터 받는 포상금은 비과세 대상이라고 명시)하지만 1년이 넘도록 대답은 오지않고 여러번 독촉까지 했으나 묵묵부답 결국 납부 기한이 지난 이제서야 과세를 통보하고 190억원의 절반인 95억 정도를 내라고 함김광호씨는 국세청의 결정에 불복해 경정 청구를 할 예정이고 국세청은 해외 포상금은 선례가 없어 결정에 시간이 걸렸다면서, 과세 이유 등 개별 정보에 대해서는 답할 수 없다고 밝힘- 내부고발 포상금도 세금을 무는구나https://youtu.be/QNMhoJQLrJU 해외포상금 50% 과세? 현대차 내부고발자에 과세 통보 (2023.06.09/뉴스데스크/MBC)지난 2016년, 현대자동차의 한 직원이 회사가 엔진 결함 사실을 숨겼다는 사실을 세상에 알렸습니다.미국 정부는 이 내부 고발자에게 수천만 달러의 포상금을 지급했는데요.우리 국세청이 포상금에 과세를 할지 말지에 대해서 1년 넘게 답을 미뤄오다가 오늘에서야 세금을 내라고 통보해 왔습...youtu.be현대차 결함 내부고발하고 미국 정부로부터 포상금 280억 변호사비 빼면 약 190억 받았는데 국세청에 세금 내야하냐고 물었지만 1년 넘게 답변 미루다가 납부 기한 지나서야 세금 내야 한다고 고지함 미국에서야 과징금에 비례해서 두둑히 챙겨준다지만 이러면 국내에선 누가 내부고발을 해 엄밀히 말하면 소득도 아니지 않나
작성자 : ㅇㅇ고정닉
스압)이동진이 보는 한국영화 위기론
(해당 영상 촬영은 범도3 개봉 하루전 시점임을 참고)올해 한국 영화들 성적이 매우 좋지 못했다가장 흥행한게 교섭인데교섭조차 200만을 넘지 못했다하지만 아직 여름 성수기때 개봉할 텐트폴 영화들이 남아있다.한국영화가 정말 망했냐를 보려면 8월까지는 기다려야한다고 본다Q. 범도3가 대박이 난다면 한국 영화 위기론 잠재울 수 있지 않을까?그렇지 않다고 본다작년에 범도2가 천만이 넘었는데도 한국 영화는 상황이 좋지 않았다그냥 범도 시리즈가 잘 되는거지 한국 영화가 잘 된게 아니다극장 티켓 가격이 한국 영화를 죽였는가에 대해서는 반반이라고 생각한다국제적으로 봤을때 한국 영화 티켓은 비싼편은 아니고공급자 입장에선 코로나로 인해서 가격 인상은 불가피했을것이다하지만 그건 공급자들의 입장이지 소비자는 아니다애당초 영화는 삶의 필수가 아니기에 소비자 입장에선 가격 변동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Q. 미국처럼 가격을 이원화하면 어떨까? 블록버스터는 비싸게 독립영화는 싸게 티켓값을 정하는 방식으로 얼핏 생각하면 좋은 생각같지만 단지 제작비 차이로 인해 티켓값을 차등하는 것은 영화의 가치가 제작비로 결정될 수도 있다어떤 영화는 만이천원, 어떤 영화는 8천원짜리 영화가 될 것이다Q. 작은 영화들은 굳이 극장에서 보지않아도 되기에 한국 영화가 힘든 것인가?오히려 작은 영화들을 극장에서 봐야한다고 생각한다블록버스터 영화같은 경우 잠시 멈췄다 다시 틀어도 내용이 거의 비슷비슷하지만작은 영화들의 경우 중간에 끊어 보거나 몰입하기 힘든 환경일 수록 집중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건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것이다Q. OTT로 인해 한국 극장 영화가 위기인것인가?현재 많은 영화인들이 다양한 플랫폼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내고있다극장 영화만이 잘 되야 한다는건 공급자들의 입장이지 소비자에겐 아니다영화를 즐기는 형태도 달라질 수도 있다미디어 관람 환경에 따라 영화의 형태나 제작 기술이 변화하는 것이 영화 예술의 퇴보라고 말할 순 없다창고 영화가 100편 정도 쌓여있기에 현재 제작되는 영화들은 10편도 안되는 정도이다이런 상황에서 '직업'으로 본다면 OTT로 가는건 당연한 일이다오히려 일자리 창출 효과를 볼 수 있다Q. 한국 영화들이 개봉이 늦춰지면서 트렌드를 놓쳐 흥행이 부진한건가?트렌드의 문제라기 보단 퀄리티의 문제다지금 한국 영화의 위기인가? 아니면 극장 영화의 위기인가?지금 상반기에 흥행한 영화들을 보면 1위가 스즈메고 2위가 슬덩이다둘이 합치면 천만이 넘는다 덕후 관객이 있다고 해도 굉장히 한정적인 사람들이다덕후만으로는 천만을 뚫긴 힘든 수치다그럼 일본 애니만 흥행했는가?그렇지도 않다가오갤3과 존윅4는 한국에서 시리즈 최고 흥행을 했다코시국 이전과 비교했때 올해는 코시국 대비 약 93%정도 였다거진 큰 차이가 없다 그럼 외국 영화는 어느정도 회복했는데 한국 영화만 점유율이 떨어지는 사태가 벌어졌는가?Q. 최근엔 흥행 공식에만 입각해서 영화를 만들다 보니 관객들이 신선하지 않게 느끼는 건가?동의한다한국영화가 20년간 질적이든 양적이든 굉장히 가파르게 성장해왔다그 과정에서 한국영화는 많은 위기를 겪었다예를들어 해외 영화들의 직배사, 일본 영화 개방, 스크린쿼터제 등등이 있다 즉, 구조적/정책적 측면의 위기였다하지만 지금의 위기는 근본적으로 다르다소비자들이 한국 영화를 선택하지 않는 '수요자' 중심의 위기이다관객들이 한국 영화 제작 공식에 싫증을 느낀 것이다기존의 수동적인 태도에서 주도적으로 바뀌었다과거의 위기는 투쟁으로 잘못된 정책을 고치거나 영화사에서 자본을 투자하면 되는 문제였다하지만 지금의 위기는 한국 영화 창의성의 문제라고 생각한다지금 영화판은 창의적인 사람들이 출현하기 힘든 환경이다한국 영화는 스타 의존성이 약하다고 생각한다올해 상반기에 개봉한 드림이 그 예시이다Iu, 박서준에 천만 관객을 돌파했던 극한직업 감독이 뭉쳤지만완벽에 가깝도록 외면받았다관객들의 태도가 가장 많이 바뀌었다과거와 같은 국민 예능, 국민 드라마가 더이상 나오지 않는 미디어 환경이 되었다사람들의 취향이 획일화에서 다양화로 바뀌고 있다앞으로는 천만영화가 나오기 힘든 상황이 되었기에 헌트나 올빼미 같은 중소규모의 웰메이드 영화들이 필요한 시대라고 본다또한 영화외의 문화 활동 선택지가 넓어진 것도 한국 영화 위기에 한몫했다고 본다한국 영화 시장은 대부분의 매출이 극장에서만 나올정도로 기형적으로 몰려있다다른 나라들은 IPTV나 VOD 시장에서 부수적인 수입을 얻지만한국의 경우에는 아무리 잘나간 영화라 할지라도 2차 시장이 매우 열악한 환경이다지금까지 한국은 극장을 단순 영화만 보러간게 아닌타인과의 교류, 여가를 보내러 가는곳이 었다과거 영화비가 저렴했을땐 극장이 최고의 가성비 데이트 코스였다하지만 이제는 영화라는 선택지 외에도 다른 문화활동의 선택지가 많이 생긴 상황이기에한국 영화가 위기를 맞이했다라고도 본다하지만 한국 영화의 미래가 없는 것은 아니다여전히 우수한 영화인들은 많고 양질의 프로덕션 능력을 가진 한국이라면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날아오를 수 있을 것이다
작성자 : 조나우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