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지난 자막은 블로그에서만 다운 가능합니다.
해당 자막파일이 있는 블로그로 가세요. ^^
http://seunghunjjang.tistory.com/entry/criminalmindss06e09
입원해서 좀 쉬고 나오나 했더니 ^^;
한밤중에 넘어져서 깁스하고 나옴.
이건 병 고치러 갔다가 병 얻어온 꼴이 되어부렀어. ㅋㅋㅋㅋ
띨띨하게 화장실에서 넘어져서 얼마나 아팠던지.. ㅠ.ㅠ
눈물 한움큼 뽑아냈음.
덕분에 3주는 꼼짝 못하고 바깥 구경도 못하지만..
뭐 또 쉬는 셈 치자고.
이번 자막은 \'이매\'횽이 번역한 걸 넘겨받아서..
새로 싱크한 자막에 붙여넣기하고..
말투 0.00001g 다듬은 것 밖에 한 일이 없음.
(그래도 시간 꽤 걸렸다. -.-+)
그러니 번역하느라 수고한 \'이매\'횽에게 감사의 공을 돌리겠어.
자막 펑크 예고를 했더니
정말로 능력자횽이 번개같이 자막을 올렸네. ^^;
이제 난 자막을 계속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해야할 지경.
정성돋게 한답시고 늘 오래 붙잡고 있다 토해내는 거 아닌가 미안해졌음.
암튼.. 소장하려고 내 자막 기다린 횽들이나..
기다렸다 보겠다고 해준 횽들을 위해 늦었지만 자막 올려.
나도 다른 횽이 올려준 자막으로도 크마 한번 더 봐야겠다. ㅎㅎㅎ
★ 읽으면크마 감상이 더욱 재미있는 주석
이번 주석은 특별히 모두 \'이매\'횽이 작성했습니다 ^O^ ★+
* 애팔래치아 트레일 / Appalachian Trail
애팔래치아트레일이라고도 부른다.
미국 조지아주(州) 스프링어산(Springer Mt.)에서 메인주 카타딘산(Mt. Katahdin)까지
미국 동부에 자리 잡은 긴 트레일이다.
1968년 국립경관트레일로 지정되었으며 길이는 3498km이다.
최고점은 클링먼스돔(영어명이 금지어라 안 올라감^^;), 최저점은 허드슨강(Hudson R.)이다.
트레일 대부분이 황무지이므로 다양한 야생 동식물과 지형을 볼 수 있으며
4월부터 가을까지 하이킹하기에 알맞다.
* 우발적 (아동) 성범죄자 / opportunistic (child sex) offender
남녀를 가리지 않고 아이와 성행위를 하는 사람으로 설명된다.
물론 이들의 95% 이상은 남성이다.
이들은 정신적 혹은 유전적으로 어린이를 성적 대상으로 선호하는 사람이 아니다.
어떤 경우에는 성장 과정에서 받은 성적 학대의 경험이
우발적인 어린이 성추행범을 만들기도 한다.
우발적 어린이 성추행범은 자기애가 낮고 도덕적 기준을 가지고 있지 못하며
어린이와의 성행위를 폭력의 연장선상으로 생각한다.
혹은 성인의 대안으로 아이들을 생각하기도 한다.
그들은 어린이에게서만 성적인 매력을 느끼는 것이 아니다.
단지 성적 욕구를 해소하는 것만 생각할 뿐이다.
* 선호형 아동 성범죄자 / preferential (child sex) offender
어린이를 성적 대상으로 삼아 자신의 욕구를 채우려고 한다.
이런 부류의 범죄에는 많은 수의 알려지지 않은 희생자가 존재한다.
1995년 텍사스의 한 성추행범은 여섯 살 어린이를 강간한 혐의로 체포된 후
2백40명의 어린이에게 성범죄를 저지른 죄가 추가로 밝혀졌다.
수백명의 선호형 어린이 성추행범을 조사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평균 1백50명의 어린이에게 2백81번의 성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형 어린이 성추행범은 우선 아이들에게 매우 친절하다.
그들은 아이들에게 선물을 사주거나 아이들의 감정의 빈틈을 노려 유혹한다.
아이들과의 우정을 돈독히 하며 그 우정을 이용한다.
미국 법무부의 조사에 따르면
12세 이하의 피해자 중 90% 이상은 가해자와 아는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간단하게 말하면 선호형 어린이 성추행범은
성적인 환상을 현실에서 실행하는 소아 성애자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에서는 다른 범죄자들보다 좀더 가학적이고 잔인한 경우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 랠프 엘리슨 / Ralph Ellison, 1914.3.11~1994.4.16
미국 흑인문학을 대표하는 흑인작가.
대표작인 장편소설 \'보이지 않는 사람\'은
인간성을 박탈당한 보이지 않는 존재가 되어 살아가야 하는
미국 흑인의 복잡한 괴로움을,
소외된 현대인 일반에게도 공통되는 고뇌로서 상징적으로 묘사한 수작(秀作)이다.
*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 geographic profile
프로파일링 기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행동분석적 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이고,
다른 하나는 지리학적 프로파일링(geographic profiling)이다.
행동분석적 프로파일링은 범죄자 지향적인 것(범인은 누구일까?)으로,
범죄현장에 유류된 증거들을
범죄자의 성격 유형에 관한 단서로 인식,해석하여
범행동기를 파악하여 범인상을 추정하는 기법이다.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은 장소 지향적인 것(범인은 어디에 살까?)으로,
범행장소들을 분석하여
용의자의 생활근거지, 활동무대 및 향후 범행지역 등을 추정하는 기법이다.
범죄자가 있을 법한 장소를 예측하여 찾아내고,
일련의 관련된 범죄장소를 분석해내는 수사방법.
연쇄살인, 연쇄강간, 연쇄방화, 연쇄폭파사건들을 수사하는 데 있어서
수사관들의 수사에 결정적 단서를 주기 위해 고안된
전략적인 정보관리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 M.E. = medical examiner 검시관, 부검의
* Mr. Binky
미국에서는 아이들의 봉제인형이나 장난감을 미스터 빙키라고 함
* 악마의 발톱 / devil\'s claw
악마의 발톱은 관절 및 염증이 있는 환부의 수분을 제거하여
염증에서 유발된 통증의 고통과 불편함을 감소시켜
병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성질이 있다.
특히 관절염, 류마티즘, 신경통 치료에 사용된다.
하지만 실제 의약품으로 등록된 것이 아니라
한약에 가까운 대표적인 대체의학품으로,
관절염 등에 특효약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남아공 월드컵 당시 국내에 무분별하게 밀반입되는 일이 있기도 했다.
* 동종요법 / homeopathy
동종요법은 간단히 \'독은 독으로 다스린다\'로 표현할 수 있다.
히포크라테스는 건강한 사람도 질병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질병 원인과 같은 물질을 소량 사용하면
그 증상을 낫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하였다.
이것을 1790년대에 독일의 의사 사무엘 하네만(Samuel Hahnemann)이
발전시켜 개발한 것이다.
동종의 물질을 써서 치료한다는
유사성의 법칙(Law of Similar)에 근본을 두고 있어
유사요법이라고도 한다.
이에 비해 환자의 증상 또는 원인을 억제하거나
증상과 반대되는 작용을 유발시켜 치료하는 것을
이종요법(異種療法, allopathy)이라고 한다.
이종요법은 역종요법과 함께 현대 서양의학의 주된 치료방법이다.
질병의 증상은 질병을 없애려는 인체의 자구노력을 반영하므로
증상을 질병의 일부가 아니라 치유과정의 일부로 파악한다.
증상을 억누르거나 부족한 것을 보충하는 현대 서양 의학의 치료법과 달리,
환자의 병적 상태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시키는 자연약품을 복용케 함으로써
자가면역능력을 깨우쳐 스스로 치유되도록 한다.
* 방조범, 종범 / accessory
공범의 일종으로서, 범죄의 실행행위를 하는 정범(正犯)과 대립된다.
방조라 함은 정범을 도와서
그 실행행위를 용이하게 하는 일체의 행위를 말한다.
예컨대 범죄자금이나 기구(器具)를 대어 주는 일, 격려(激勵)하는 일, 망을 보는 일 등이다.
* 엘리제 캐벗 / Elise Pumpelly Cabot
Arizona And Other Poems (1919) 중에서.
완전 번역본이 없어서 본인 재량으로 해석.
인물에 대한 상세한 정보도 찾을 수 없음.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