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200609~201302 디시애갤러스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200609~201302 디시애갤러스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출생아 감소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알아보자 ㅇㅇ
- 싱글벙글 6천6백만 년 후 미래 진화한 동물 수다팝
- 자 마취 안하고 사랑니 뽑을게요 레드썬 ㅇㅇ
- 생후 5일 영아, 뇌손상.. 법원 “17억 배상하라” 기사에 의톡방 댓글 테러 ㅇㅇ
- 컴퓨터로 삼겹살을 궈먹어보자 ㅇㅇ
- 분명 복어라고 경고를 했건만 ㅇㅇ
- 처음으로 아들 공개한 심형탁 ㄷㄷ ㅇㅇ
- 계엄피해 손배소 첫판결" 윤석열 1인당 10만원 지급해라 ㅇㅇ
- 침착맨 잘될때마다 배아파 디질거 같았다는 기안84.jpg ㅇㅇ
- 술이 식기 전에 날아오겠소 ㅇㅇ
- 싱글벙글 존댓말캐릭터가 컨셉질하기 힘든 이유 사피엔스
- 박주민 “복귀 의대생 학사조정, 특혜 맞다. 공식 사과” ㅇㅇ
- ㅅㄱㅂㄱ 의외로 장사의 신인 사람.manhwa 복슬복슬Teemo
- [단독] 자신의 아내를…국힘 당직자 성착취 의혹 (D리포트) 세티르
- ㅅㄱㅂㄱ 요즘 성공팔이 근황 강지훈
한국 문화를 집어삼키려는 중국 근황
카카오 (중국 자본 5.93%) 네이버와 함께 국내 IT산업의 양대산맥임과 동시에 국내 최대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카카오. 2018년, 중국기업 텐센트는 카카오 그룹의 지분 5.93%를 인수하여 3대주주가 되었다. 크래프톤 (중국 자본 13.68%) 한국을 대표하는 게임회사중 하나인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테라, 이터널 리턴 등을 개발한 회사다. 전체 매출의 95%이상을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외화벌이 기업이지만 중국기업 텐센트가 지배지분을 인수하여 현재 2대주주다. 넷마블 (중국 자본 17.52%) 한국사람이라면 모르는사람이 없을 게임사 넷마블이다. 리니지, 세븐나이츠, 모두의마블, 나혼렙, 신의 탑, 블레이드소울 등 수많은 히트작을 보유하고있지만 2018년 텐센트가 넷마블 지배지분을 인수하였다. 시프트업 (중국 자본 39.85%) 승리의 여신 니케, 스텔라 블레이드 등 히트작을 출시하여 새롭게 떠오르고있는 신흥 게임사지만 2022년 텐센트가 20%지분을 인수했고, 이후 지분을 계속 인수하여 현재 거의 40%에 육박하는 지분을 소유하게되었다. 텐센트, 국내 최대 연예기획사 SM엔터테인먼트 인수 2025년 5월, 텐센트는 한국 3대 연예기획사중 하나인 SM을 하이브로부터 지배지분을 인수했다. 현재 2대주주지만, 사실상 최대주주인 카카오도 중국기업이라 1대, 2대주주가 모두 중국자본에 잠식되었다. 올것이 왔다 2025년 6월, 올것이 왔다. 텐센트가 무려 "넥슨"을 인수하려고 창업자 가족과 접촉하고있다는 소식이 보도되고있어 매우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메이플스토리, 서든어택, 던전앤파이터, 카트라이더 등의 히트작을 보유하고있는 넥슨까지 중국자본에 팔리면 한국 게임산업은 완전히 멸종하는것이기 때문. 당연히 한국 게임의 상징 그 자체이자 최대 기업인 넥슨이 넘어가려고하니 여론은 매우 부정적이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이런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한국의 너무나 높은 상속세때문이라고 한탄중이기도... 참고로 텐센트의 최대주주는 유럽과 유대인들 한국 게임, 문화산업을 집어삼키려는 중국기업 텐센트. 그 텐센트의 지분을 48%가까이 가지고있는곳은 유럽의 투자운용사 프로수스다. 프로수스는 시가총액이 현재 400조원에 육박하는 거대기업이며 이 프로수스를 운영하는 주체는 남아공계 유대인 재벌이다. 어떻게보면 더 큰 세력이 중국기업을 이용하여 K팝과 K게임을 집어삼키려 하고있는것.. 한국기업들의 몸값이 너무 저렴한것이 문제 미디어기업을 포함한 수백조원 이상 규모의 거대기업들이 미국, 중국, 유럽 등에 죄다 몰려있으니 이들입장에선 시가총액이 저렴한 국내기업을 손쉽게 사들이거나, 지배지분을 획득할수있는것이 문제시 되고있다. 현재 한국에서 시가총액 100조이상의 기업은 삼성, 하이닉스 단 2곳뿐이며, 이는 인구 800만명 수준의 스위스(11개)보다도 훨씬 적은수준이다. 2010년대부터 시작된 서구권 주식시장의 호황세로 그만큼 글로벌기업들의 규모가 너무 커져버린것.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실베추) 갤럭시 폴드7 두께 언플의 진실...jpg
국내 언론들이 한국소비자중심기업협회(KCEA = 구 OCAP)가 발표한 측정치를 근거로 들면서"타사 폴더블폰들은 공식 발표치보다 실제론 훨씬 두껍다. 갤럭시 폴드7은 오히려 공식 발표치보다 실제론 더 얇다. 삼성이 제일 솔직하고 갤럭시 폴드7이 제일 얇다!!" 이런 식의 기사를 도배함그런데 여기서 드는 의문점 하나. '한국소비자중심기업협회(KCEA)'가 대체 뭐지?원랜 언론에서 거의 언급도 안 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단체인데 대체 왜 갑자기 뜬금없이 해외 폴더블폰과 갤럭시 폴드를 비교한 측정치를 올리고 갑자기 모든 언론들이 그걸 근거로 도배하지?이름에 소비자란 단어를 넣어서 착각하게 만들지만실제로는 소비자 단체가 아니라 '소비자 부문 기업' 협회임. 즉 그냥 소비자 상대로 장사하는 기업들이 모인 협회라는 거고 심지어 삼성이 주요 회원사임그럼 이 단체는 과연 어떤 활동을 해왔을까?1. 소비자 클레임 대응 법률 자문 서비스 (공지사항 최상단에 계속 띄워져 있는 제일 주요한 활동)2. 클레임연구회 설치, 문제행동소비자 관련 대응 사례 공유3. 문제행동소비자 법적대응과정 등 소비자 대응법 강의...??? 보다시피 이 단체는 제품 분석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고 (이번 폴더블 두께 발표를 제외하면 이전엔 그런 활동 자체를 한 적이 없음)그냥 기업들이 소비자 상대로 법적 대응하는 거나 도와주는 말 그대로 기업협회일 뿐이다그런데 그런 단체가 왜 갑자기 국내 출시도 안 된 해외 제품들을 가져와서 비교하고 갤럭시가 유리하게 나온 측정치를 발표했을까?그리고 왜 국내 언론들은 갑자기 그런 생소한 단체의 엉뚱한 발표를 대거 보도했을까?그리고 왜 하필 삼성은 그 단체에 주요 회원사로 있는 걸까?이쯤 되면 삼성 물린 주주와 삼성알바 말고는 모두가 답을 알 것이다게다가 그 얇다는 걸 강조하고 싸움 거는 홍보 자체도 내막을 알고 보면 굉장히 어이가 없고 소비자 기만적인 행위다주요 비교 대상으로 언급되는 (삼성이 대놓고 저격하며 어그로 끈) 아너 매직 V5와 갤럭시 폴드7을 보자아너 매직 V5)두께: 8.8mm배터리: 6100mAh거대한 방열필름과 티타늄 방열판 탑재, 그 외에도 자잘한 방열대책갤럭시 폴드7)두께: 8.9mm배터리: 4400mAh방열판: 없음 (전작에 있던 베이퍼챔버를 완전히 빼버림)즉 폴드7은 그냥 다 빼버리고 원가절감해서 두께를 얇게 한 건데 그 사실은 감추고는 제조공정상의 오차보다도 작은 종이 한 장 차이로 내가 얇니 니가 얇니 하면서 싸움을 거는 것하나도 의미 없는 진흙탕 싸움으로 물타기해서 실제로 소비자에게 중요한 성능, 배터리 문제로부터 눈을 돌리려는 속셈임그저 하나같이 더러운 언플밖에 못하는 언플전자 삼성답다
작성자 : 약병들고휘청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