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나쓰메 소세끼▶문학사상사 유유정
-(밮통)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는 문학사상사 마음은 웅진껄로 읽었는데 좋았어요 2010.01.25 17:04
-(ㅇㅇ) 유유정 역 추천. 문체가 옛스러워서 좋음 근데 사전 좀 찾아가면서 봐야되더라|121.181.***.*** 2012.01.22 09:07
*나귀가죽 루이 랑베르,문학동네
*노자
-(목마른사슴)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_최진석_소나무
-(3호선나비) 모든 번역본을 보진 않아서 가장 낫다고 하긴 어렵지만 오강남이 번역한 도덕경 괜찮아
*니코마코스 윤리학
-(달마냥) 이제이북스꺼로 많이들 보더라 2011.11.29 00:16
-(빨간 N) ㄴ요거가 길 출판사에서 다시 나옴
-(..) 서광사에서 나온게 있는게 구하기 어려울거다. 이제이북스에서 이번에 새로 나온게 있는데 그거 괜찮을 것 같다. 근데 번역 깔끔하다고 이해하기 쉬운 건 아냐.|211.104.***.*** 2007.01.07 14:05
§니체
-(맑간맑스) 강두식이 번역한 게 좋다던 말을 들어본 적 있다 물론 난 안읽었지만 2011.12.22 14:47
-(쿠쿠) 니체 전집은 책세상이 가장 나음. 도덕의 계보학 구매하려고 연암서가랑 책세상이랑 알아보니까......니체전공자들이 모여서 번역한거이니 아무래도 책세상이 더 나은듯 2011.12.22 15:13
-(ㅁㄹㅇ) 급하게 전집으로 발간하느라 번역이 들쭉날쭉하다곤 하는데 그렇다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나온것중엔 제일 낫다더라|1.235.***.***
*노인과바다
-(프롬) 난 하서 출판사. 노인과 바다 슈발 어릴 때 읽을 때랑 느낌이 다르더라. 최고! 산티아고 할아버지|119.200.***.*** 2012.01.26 23:55
-(cisa) 민음밖에 안 나왔는데 어떻게 비교해서 추천하냐?ㅋㅋㅋ 김욱동 님-민음사- 번역은 칼 같을 거니 사도 후회는 없을 듯. 워낙 오래된 명작이고 길지도 않으니 오역 같은 건 거의 없을 거야. 앞부분 읽어봤는데 자연스럽더라.
-(ㅇㅇ) 이번에 나온 민음사 김욱동역이 가장 무난해 보이는데 표지에 마티스 그림을 넣어놓은게 좀 노인과바다는 문동이 좋아보인다 표지도 멋있고 17일까지 예약주문하면 영문판 추가로 줌
-※참고 문학동네 노인과 바다 출간(2012년 01월 20일)
-(-(smoker) 민음사 헤밍웨이 작품 읽어보니 괜춘하던데 문동은 어떻습니꽈?
-(ㅁㄴㅇㄹ) 민음사꺼 살걸...ㅡㅡ 문동꺼 삿는데 별로 만족스럽지가 않다 너무 번역체 말투가 물씬 느껴짐..|121.135.***.*** 2012.01.21 21:13
-(앙칼진여자) 문동 비추!!!!|39.115.***.*** 2012.01.21 21:33
*니콜라이 고골
☞(번치탑)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book&no=191218 펭귄 클래식 고골은 실패인 것 같다.. 읽을 때 약간씩 느껴지는 위화감 빼곤 그래도 그럭저럭 잘 읽었는데 우리 교양 러시아문학 교수님이 주신 텍스트랑 비교해 보니까 차이가 꽤 커서 조금 충격을....(중략) 펭귄 번역이 좀더 길고 번잡한 느낌이....원문에는 더 가까우려나? 개인차야 있겠다. 근데 부인이 뚱보인건지 존경할 만한 건지;ㅋㅋㅋ 말투도 완전 다르고 러시아어가 어렵긴 진짜 어려운가봄ㅜㅜ 2011-11-27 22:41:31
-(설리♡) ㅋㅋ난민음사삿음 2011.11.27 22:42
-(시날) 민음사가 더 자연스럽네 2011.11.27 23:18
-(공병군상) ( 뻬쩨르부르그 이야기) 민음으로 봤는데 괜찮았음. 이상한거 없고|119.198.***.*** 2011.10.28 00:06
-(♡설리♡) 민음은 검찰관따로 뻬제르따론데 펭귄은한번에다잇다.펭귄ㄱㄱㄱ 근데 민음번역이 더 좋은거같아. 번역가 스펙이 좋다는 선입관인지. 주석도 잘달아놨고 2011.10.28 00:11
-(popcorn) 펭귄도 괜춘함. 술술 흥미진진하게 읽힘. 근데 해설은 민음사 것이 더 자세함. ㅇㅇ 2011.10.28 00:15
-(체스) 펭귄클래식에서 나온 '코.외투.광인일기.감찰관' 읽어봤는데 재미있게 읽었어요. 삽화는 없고, 서문이 길어서 좋아요.|124.136.***.*** 2011.07.26 22:23
-(갤러거) 고골 강추! 민음사에서 나온 뻬쩨르불기 이야기 읽어보아 . 도스토예프스키가 '러시아의 작가는 모두 고골의 외투에서 나왔다'라고 하는게 빈말이 아님. 뻬쩨르부-(르그) 이야기임 위에 실수로 달았네 ㅎㅎ 죽은혼은 아직 안읽어봤는데 아까 추천해준 책 재밌으면 읽어볼만 할듯|121.140.***.*** 2010.12.17 09:11
*나사의 회전
-(고라니라니) 나사의 회전 시공사 정상준
*논어
-(공자) 나는 슬기바다 논어있는데 이 책의 불편한 점은 한글 부분이랑 한문 부분이랑 따로 떨어져있고 한문 부분에는 따로 음이 달려있지 않아서 한문을 잘모르는 사람들은 뒷부분이 필요가 없다는 점 그래도 처음 읽기에는 좋은듯 ㅋㅋ 성대에서 나온 책들은 일단 두께에서 부터 남다름. 교양이라기보다는 전공서적 느낌 ㅋㅋ 아 그리고 신정근 교수님 책은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수업 듣고 교수님 책으로 공부한 경험에 의하면 쉽게 읽힐듯? 걍 쉽게쉽게 풀어서 설명하는 스타일인데 교수님이 쓴 동양철학입문인가?암튼 그거는 그래서인지 다소 산만한 느낌이었음. 그리고 논어를 읽을 때는 논어 텍스트 만큼 당시에 상황을 아는게 중요할듯 거기에 주나라 은나라 계씨 손씨 뭐 이런 내용이 태반인데 이런거 다 빼고 읽으면 재미가 없음... 당시 상황이나 공자의 삶 이런거 알고 싶으면 요새 나온 강신주-관중과 공자나 공자 최후의 20년 이런거 추천 2012.01.20 10:50
-(풀레로마) 학과생들은 성백효 읽는다던데? 2012.01.20 10:42
※(주1) 논어집주 : 현토완역 성백효 역주,전통문화연구회,2010년 03월 22,000원
-(음) 金學主 譯註, 《논어》(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漢子를 자주 읽거나 써 보지 않은 탓에 낯설고 語塞하면, 最小限 3番 融通性 없이 固執 세게 筆寫 後 10番 朗讀. 漢子를 자주 보거나 겪은 德分에 親熟하면, 最小限 10番 아주 세차게 朗讀 後 3番 筆寫.
[參照] 미야자키 이치사다 解釋, 박영철 譯, 《논어》(이산, 2001). 김용옥 譯註, 《논어 한글 역주》(전 3권)(통나무, 2009). 성백효 譯註, 《논어집주》(전통문화연구회, 2010).
[ㄷ]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 / 유리 동물원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펭귄(추천)
-(윤심) 펭귄 많이들 보시던데.. 2011.09.19 23:27
-(5O5O) 펭귄 역자가 조이스협회 어쩌구 하던데. 나도 펭귄샀음 2011.09.19 23:30
-(JHALOFF) (펭귄) 나쁘진 않음 2011.03.07 23:48
-(qewqew) (펭귄) 괜찮음
-(그때그놈)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좋죠. 개인적으로 페이지 수가 점점 줄어드는걸 아까워하면서 읽은 책임. 예담에서 나온걸로 봤는데 괜찮았어요. 2010.12.13 22:30
-(qewqew) 펭귄껄로 읽었는데 괜찮았습니다.가격도 쌀 듯.. 2010.12.13 22:32
-(-0-)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번역이 왜 이래? 종이나라꺼 읽고있는데..진짜 삽화도 거지같고 -0-번역도 매끄럽지가 못하게 막 문장의 구조가 불명확해
예전에 읽은 두껍고 큰 빨간색 표지는 안그랬는데..그게 어느출판사였는지 모르겠네 ㅠㅠ 211.178.***.*** 2007-07-04 22:25:23
-(..) ㄴ그정도면 번역 괜찮았던것 같은데요; 다른 데꺼 읽었을땐 진짜 아니었는데..|221.150.***.*** 2007.07.04 23:09
-(오스까) 황금가지에서 나온거 좋아요. 삽화는 없지만; 2007.08.24 23:38
§도스토예프스키▶열린책들강추(추천역자,김학수 이철 박형규)
-(JHALOFF) 열린책들. 까라마는 민음사도 추천함 2011.04.29 23:59
-(하동훈) 민음사는 카라마조프 열린책들은 까라마조프|222.100.***.*** 2011.04.29 23:59
-(Nymphet) 열린책들 2011.04.30 00:00
-(흠) 전집 모을 생각 아니면 열린책들 굳이 안 봐도 됨. 누멘이나 범우사 추천상대적으로 열린책, 민음사 번역자 보다 누멘, 범우사 역자가 러시아번역계에서 더 유명하신 분들|218.39.***.*** 2011.04.30 00:31
-(전태일) 김연경이 민음산지 열린책인지 기억이 안나는데 비추다 30대라 그런지 신세대식으로 이상하게 번역해놨음 도끼는 박형규랑 이철 김학수 이사람들이 30년 넘게 연구해온분들 2011.04.30 01:37
-(이리로(.EE)) 죄와벌 하서도 질 읽히고 번약 안 니쁘다고 읽은 횽들이 그래써// 근데 도끼 다른거 까지 읽을라믄 열린이낫지 않을까.. [ㅇ0ㅇ!] 2011.02.05 03:50
-(홀라) 죄와벌, 제가 하서 출판사 완역본 사서 봤는데 괜찮아요.......열린책들꺼도 읽어보고 싶네요 저는|112.158.***.*** 2011.02.05 15:23
-(Scrubb) 까라마조프의 형제들(범우사) 이거 읽었는데 범우사도 번역 좋았음 ㅋ 2010-08-09 19:26:02
-(뉴파일) 도스토예프스키꺼는 닥치고 열린책들 2009.04.05 17:27
-(멧) 스켈톤 열린책들 강츄, 2009.04.12 01:35
-(이동만) (까라마조프) 민음사판 괜찮음. 아니, 아주 재밌음 히히 2009.01.22 22:10
-(㉿기린) 난 열린책들 판으로 읽었는데, 읽고 있고(전권을 다 읽은 건 아니고, 절반 조금 넘게 읽었음. 어떤 건 몇 번씩 읽기도 했고, 어떤 건 아예 안 읽어봤고.) 일단 읽는 데에는 크게 거슬리는 부분없이 잘 읽히더라고. 내가 알기로는 초판이 여러군데에서 문제가 지적되어서 2판부터는 수정된 개정판으로 나온 것으로 알고 있음. 지금 나온 게 몇 판인지는 모르겠는데, 두툼한 보급판이 가격도 저렴하고. 표지도 이쁘장해서 사기에도 크게 부담없는 편인 것 같아. 열린책들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러시아일 정도니. 다른 건 몰라도 러시아 문학은 열린책들을 일단 믿어보자고. 2008.10.28 22:19
-(래민) 범우사.. 2008.10.29 02:44
-(이시메) 범우사로 봤는데 대화체가 너무 딱딱하고 작위적이랄까..하지만 왠지 그게 더 느낌이 잘 사는것같기도 하고..|61.99.***.*** 2008.10.29 05:56
-(ㅁ) 다른 출판사꺼는 안봐서 모르겠는데 열린책들 도스토예~번역 좋아 ^^|211.215.***.*** 2008.09.27 23:46
-(유아인) 저도 도갤에서 죄와벌 추천 받고 읽었었는데 재밌었음 출판사는 열린책들꺼엿는데 괜찮더라구요.. 2008.09.16 23:32
-(하하) 아직도 이런거 걱정하나여 아직은 무조건 열린책들이지|123.109.***.*** 2008.09.17 22:10
-죄와벌 열린책들/홍대화(강추)
-까라마조프가 형제들 민음사/열린책들/범우사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민음사나 열린책들 판으로 추천.
-(간간범) 도끼는 열린책들이 가장 괜찮고.. 전쟁과 평화는 문학동네가 괜찮던데. 그리고 백경은 출판ㅅ ㅏ까먹었는데 요번에 그림포함한 버전으로 나왔떤데 괜찮아 보이더라. 폭풍의언덕은 민음사가 괜찮을듯. 2012.01.09
*동물농장 조지 오웰 ▶민음사,도정일역
-(나보코브) 민음사 추천^^*|203.227.***.*** 2012.01.10 17:02
-(ㅇㅇ) 둘다(1984,동물농장) 민음사 추천|121.181.***.*** 2012.01.10 17:07
-(ㄹ) 동물농장은 새로 나온 비채 김욱동역 추천. 민음사 동물농장 뒤에 에세이 하나 실려 있는데 그냥 <나는 왜 쓰는가> 책 따로 사라, 민음도 괜찮고 문동 1984도 괜찮음 동물농장은 파리와런던의따라지인생 붙어 있고|119.64.***.*** 2012.01.10 21:01
-(ㅁㄴㅇ) 1984는 일단 문예는 피해라. 빅브라더 대형으로 번역되어있다.|118.37.***.***
-(ㅇ) 민음사 괜찮아. 해설쪽에 상징과 해석이 비교적 상세하게 나와있거든. 다른 출판사도 그런줄은 모르겠지만.|121.162.***.*** 2011.04.13 12:13
-(꼴리랑수) 너들은 동물농장 어디 출판사로 읽엇냐 ㅋㅋㅋ 아 믿음사꺼 번역 씨1발같네 진짜;;;;;;;;;;내가 병1ㅅ6ㅣㄴ인건?가ㅣ?? 59.16.***.*** 2010-11-25 18:26:32
-(노힛) 펭귄꺼 좋아 2010.11.25 19:03
-(11) 민음사 꺼가 가장 평가 좋음|211.110.***.*** 2010.11.25 20:05
-(픠융픠융) ㄴ 민음사가 번역으로 가장 논란이 많은데 ??? 2011.01.06 16:10
-(정말로?) 민음사 동물농장을 산 사람으로써 ... 좋음 매우 .. 읽다가 거슬릴부분은 없을꺼임 2010.04.24 22:10
-(아는노래) 도정일(민음사) 잘한다 2010.04.25 10:04
-(ㅎㅎ) 동물농장을 민음사로 뛰었는데 쓸만했음... 1984는 아직 안읽어서 패쓰,~~~ 정 궁금하면 대형서점에 가서 10.20페이지 비교해서 읽어.... 뭐... 양이 많지 않아서 둘다 읽을수도 잇을듯 ㅋ|211.186.***.*** 2008.08.30 13:06
-(동물) 농장 민음사괜찬던데..1|210.105.***.*** 2008.08.30 13:38
-(푸라당) 1984 민음사로 봤었는데 괜찮았던것 같음 2008.08.30 17:20
-(ㅋㅋ) 음... 민음사 본이 읽기 편하죠.. 동물농장이나 1984나 다 좋아요..|116.41.***.*** 2008.08.30 22:22
-(오후) 1984와 동물농장은 민음사본이 번역상도 받고 평판이 좋은걸로 알고있습니다. ^^|211.212.***.*** 2008.09.01 12:36
-(Kin사이다) 동물농장은 민음사, 1984는 민음사만 봐서 잘 모르겠는데 민음사도 괜찮았음. 2008.07.11 18:50
-(mayhem) 동물농장은 원서로 읽어도 좋음 얇고 그리 어렵지 않아서 2008.07.11 19:04
-(멍멍멍야옹) 민음사... 2008.06.28 09:57
-(한울) 동물농장은 펭귄클래식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211.251.***.*** 2008.06.28 09:59
-(앵) 민음사2 2008.06.28 10:54
-(때때) 민음사 2008.06.28 10:58
-(GIG) (열린책들)1984는 괜찮았습니다. 읽으면서 딱히 걸리는 부분은 없더라는 기억이 나네요. 다른책과는 비교안해봐서 상대적으로 좋은 번역인지는 잘 모르겠음 2008.02.02 13:43
-(차라투스투라) 민음사판도 좋다고 하니 그것과 비교해보시면 좋을듯........|211.202.***.*** 2008.02.02 14:51
-(오드리토투) 동물농장은 민음사 2007.10.06 18:36
*더버빌가의 테스
-(유동임) 둘중에 하나 고르라면 난 문동, 그 영미번역뭐시기에선 김보원역 <더버빌가의 테스> 제일 추천했는데 민음사 문동 다 평가 이후에 나온 책이라 도갤평은 우짠지 모르겠다(참고로 김보원역 올해 개정판나옴) / 원제대로 <더버빌가의 테스>로 가고 원문처럼 사투리 쓰는 사람들로 보고 단권으로 읽고프면 문동으로 가고 <테스>제목에 걍 표준어쓰는 사람들로 보려면 민음가라
*대지 펄 S.벅▶소담출판사
-(ⅱ리로) 소담은 대지3부작 다 있고. 번역도 괜찮다고 했고.. 근데 대지만 볼꺼면 안정효 역도 있으니 참고행 /대지는 한권짜린 안정효 역 있구요.. 3부작 다 보실려면 소담출판사 밖에 없으요 2011.03.26 20:01
-(제임스 개츠) 장왕록 선생님(소담) 번역상 받으셨던 분이고, 장왕록, 장영희 부녀가 번역해서 나름 기념비적인 번역서.|211.203.***.*** 2011.03.20 19:51
-(ㅇㅇㅇㅇ) 소담출판사꺼. 가격이 싸서 별로 기대안했는데. 괜찮더라.|59.150.***.*** 2008.01.12 23:54
-(스테파네트) 저는 소담판으로 읽었지만, 다시 읽는다면 안정효역으로 읽고 싶습니다.
-(개랏) 대지 필 벅 소담출판사 장왕록, 장영희 공역
§다자이 오사무
-(ㅇ) 다자이 오사무 책을 읽고 싶다면 사양이랑 만년이란 책을 추천 하겠뜸..근데 중요한 점은 유숙자님이 번역한 책이여야함.. 아놔.. 다른 출판사에서 번역된 책 읽고 깜짝 놀랐뜸.. ㅡㅡ;; 이래서 번역은 개나 소나 아무나 해서는 안되는 거임..ㅡㅡ;;; 2008.12.05 03:26
*달과 6펜스▶민음사송무역
-(수정사막) 민음갑 아님? 2012.02.22 01:01
-(용감한녀석) 난 소담이 좋았어. 왠일인지 민음사는 두장 넘기기 힘들었어 그렇게 반납일자 되어서 걍 도서관행이 었지.. 나중에 소담으로 다시 잡았는데 앉은자리서 훌쩍 읽었어. 생각해보니 가장 큰 이유는 그때 민음사의 본문 레이아웃이 정말 별로였어 가독성은 전혀 고려안한것 같았지. 사실 민음사 특유의 기다란 모양이 횽에게 거부감이 없으면 상관은 없을거같아. 아무튼 나에게 소담은 너무나 편안했어. 번역의 질은 비교할수없을정도로 기억이 안나는데(진짜 민음사 두장어떻게 넘겼는지 모르겠다) 암튼 막히는 구석없이 레알 술술 잘 읽었다. 2012.02.22 01:17
-(ㅁ) 민음사 읽었음 좋았음|211.179.***.*** 2011.12.12 21:43
-(chopa) 민음사 달괴6펜스 2011.12.11 16:16
-(박제된천재) 다들 욕하지만 난 문예로 읽어도 문제 없었지요. 2011.07.04 14:24
-(제임스 개츠) 민음사 /이유는 번역자 '송무' 선생님이 서머싯 몸 작품 번역을 많이해서/출판사 문제가 아니라 역자의 문제. 그리고 완역이냐 축약이냐도 있구요.|211.203.***.*** 2011.02.21 15:00
-(책느님) ㅋㅋㅋㅋㅋ도갤러들은 민음사 빠들.. 그치만 민음사|211.189.***.*** 2011.02.21 15:01
-(하라다이스) 난 둘 다(데미안, 달과6펜스) 사서 읽었는데, 불만 없음. 2011.01.04 09:40
-(아따~줌마) 달과 6펜스 민음사판 읽었음... 원전을 읽어보진 않아서 번역 잘 된 여부를 모르겠음 2011.01.04 09:53
-(ㅁㄴㅇㄹ) 달과6펜스 경우는 무난. 데미안 경우는 타 번역을 읽지 않아서 본래 그런 책(헤세 다른 책을 보아 아닐 듯 하지만)인진 모르겠으나, 가독성이 상당히 떨어지더라는.|59.8.***.*** 2011.01.04 10:16
-(민음사꺼로) 데미안하고 달과 6펜스 둘 다 읽었는데, 둘 다 괜찮아요. 특히 데미안같은경우 정말.. 어려운 책인데도 전 꽤 번역이 잘 되었다고 생각합니다.|218.237.***.*** 2011.01.04 12:40
-(맛있는사과) 다른 덴 모르겠고....나는 소담출판사꺼 봣느데 재밌게 잘봣음 ^^* 2010.09.29 11:48
-(픠융픠융) 문예도 잘읽었음 2010.09.29 12:04
-(ㅁ) 민음사 송무 번역이 좋음. 인간의 굴레도 송무 번역이었는데 참 좋았음.|120.50.***.*** 2010.09.29 12:34
-(픠융픠융) 민음사 오타 쩐다 절대 읽지마 2010.09.29 14:20
-(ㅂㄴ) 그냥 무난하게 민음사로 읽어|211.253.***.*** 2010.09.29 14:30
-(크로닌) 뭘 절대 읽지마야. 민음사 읽어. 좋기만 하더만. 번역이 매끄러움. 2010.09.29 18:50
-(와잉) 달과 6펜스, 인생의 굴레에서 같은 번역가인데... 민음사꺼 둘다 송무씨인데 내가 간결한 문체를 좋아하는데 달과 6펜스는 별 문제 없이 잘 봤는데
인생의 굴레에서는 보는데 거슬리는 표현들이 꽤 나옴.. 영어 직역투 진짜 짜증남.. '하지 않을 수 없었다' <--- 거의 뭐 10페이지 에 한번꼴로 보는듯
222.235.***.*** 2010-01-28 21:12:14
-(개념인) 달과6펜스를 빌렸는데 민음사가 아니네..세계문학은 민음사가
최고인걸로 알고있는 1人이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혜원출판사? 괜찮을까? 211.37.***.*** 2008-07-09 06:40:09
-(골든보이) 와! 민음사 달과6펜스 번역 잘했다 번역에 따라 책이 이리달라보이는구나 아! 원작을 직접읽으면 그감동이 어떨까생각한다 우리나라사람들이 책을 안읽는건 어쩌면 번역하는자들이 허접이어서 그럴수있다 2008-01-08 15:30:24
-(눈이와랏) 민음사에서 나오는 책들이 인기가 많더라. 번역이 그렇게나 상대적으로 잘했을까?라고 의심이 들긴해. 2008.01.08 15:31
-(흠) 민음사 호불호가 확 갈리는 듯...네이버에 있는 책까페에선 민음사 발번역이라고 완전 까이던데.|116.122.***.*** 2008.01.08 15:35
-(알럽북) 달과 6펜스는 한장만 읽어봐다 번역문체가 아주 좋더라. 근데 민음사 세계문학 번역문체가 후진게 훨씬 더 많은거 같애. 이것도 개인취향인진 모르지만 2008.01.08 15:37
-(골든보이) 달과 6펜스는 믿음사 잘했음 2008.01.08 15:38
-(...) 송무씨가 서머셋 몸 소설을 잘 번역 하시나봐요. 달과 6펜스 뿐만 아니라 인간의 굴레에서도 번역 잘했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윗분들 말씀처럼 민음사 세계문학 시리즈 중에서 번역 나쁜 것도 많은 듯.. 카프카의 변신.시골의사.로드짐 등등 악평이 자자한게 많죠..;;|59.25.***.*** 2008.01.08 15:41
-(liberte) 민음사만 믿고 가나? 이성과 감성 번역은 썩었더만 2007.12.28 14:24
-(헤이왜이) 나 방금 민음사걸로 읽었음... 민음사 고전시리즈 괜찮음 2007.12.28 14:27
-(fluke) 저는 민음사 전집으로 읽었습니다. 괜찮은것 같습니다.|218.50.***.*** 2006.01.09 00:07
-(종히) 민음사죠.|211.199.***.*** 2006.01.09 01:52
-(나도) 민음사 추천 송무씨가 몸 번역 잘해 놨다. 기왕 <면도날>까지 해주지.|221.148.***.*** 2006.01.09 09:13
-(gggg) 달과 6펜스, 예전에 소담출판사껄로 읽었는데 그냥 무난하게 읽었던 기억이 있네요. 추천이라기보다, 소담출판사번역을 그리 나쁘지않게 읽었다는 뜻이에요:)|211.190.***.*** 2005.12.01 10:43
-(호이) 달과 6펜스는 일신서적출판 추천해요. 역자는 강명길..|222.110.***.*** 2005.12.01 12:47
*데미안
-(풀레로마) 내년에 사ㅋ 내년에 헤세 저작권 풀려서 유명 출판사들 다들 낼걸? 지금은 민음사가 헤세 저작권 갖고 있음ㅋ 2012.02.18 14:11
-(적,¸¸,ø¤º°★..) 범우사 2012.02.18 16:25
-(던힐) 데미안은 그냥 민음사 2011.09.01 00:48
-(ㅇㅇ) 난 범우사꺼 읽었는데 괜찮|58.142.***.*** 2011.09.01 10:36
-(하라다이스) 난 둘(데미안,달과6펜스) 다 사서(민음) 읽었는데, 불만 없음. 2011.01.04 09:40
-(ㅁㄴㅇㄹ) 달과6펜스 경우는 무난. 데미안 경우는 타 번역을 읽지 않아서 본래 그런 책(헤세 다른 책을 보아 아닐 듯 하지만)인진 모르겠으나, 가독성이 상당히 떨어지더라는.|59.8.***.*** 2011.01.04 10:16
-(민음사꺼로) 데미안하고 달과 6펜스 둘 다 읽었는데, 둘 다 괜찮아요. 특히 데미안같은경우 정말.. 어려운 책인데도 전 꽤 번역이 잘 되었다고 생각합니다.|218.237.***.***
-(ㅁㄴㅇㄹ) 데미안은 민음사가 개까이는 번역이에요..|59.8.***.*** 2010.12.21 16:15
-(픠융픠융) 소담출판사 읽었는데 평이 괜찮더군요 2010.12.21 17:28
-(11) 민음사 번역본은 한자어가 많이 쓰여서 글 읽는 맛이 좀 떨어진다는 게 도갤의 중론임. 민음사 세계 문학 전집에 포함된 카프카의 단편선도 같은 이유로 비추 받고 있음. 참고로 둘 다 같은 번역자가 한 거.|211.110.***.*** 2010.06.18 16:41
-(ㄹ) 범우|118.38.***.*** 2010.06.18 18:27
-(Cynar) 민음사가 무난하지 않겠냐. 2010.06.06 20:43
-(대변파이터) 나는 문예출판사꺼를 읽었는데, 그냥 읽은 만 하더라. 번역에 관해서는 자세히 모르기 때문에 조언은 못해주겠네.|118.217.***.*** 2010.06.06 22:23
-(쫘릿) 데미안은 민음사, 죄와벌은 열린책으로 봤는데 그닥 번역때문에 막히고 그런건 없었어. 그러고보니 젊은 베르테르는 아직도 못읽어봤네... 2010.01.25 11:46
-(용우신) 난 죄와벌은 열린책들로.. 데미안이랑 베르테르는 민음사로 읽었는데 그냥 그럭저럭 괜찮았다는 느낌ㅇㅇ 2010.01.25 12:13
-(쫘릿) 데미안은 민음사, 죄와벌은 열린책으로 봤는데 그닥 번역때문에 막히고 그런건 없었어. 그러고보니 젊은 베르테르는 아직도 못읽어봤네... 2010.01.25 11:46
*더블린 사람들
-(음...) James Joyce 著, 김정환ㆍ성은해 譯, 《더블린 사람들》(창비).|114.201.***.*** 2011.01.11 23:20
-(............) 범우 꺼 사라 김종권|110.35.***.*** 2011.01.12 00:02
-(-_-;) 문예출판사 좋음.|211.172.***.*** 2011.01.12 02:36
-(Nymphet) 문학동네 번역가가 뭐 제임스조이스로 박사학위받고그랬대 나도 문동으로읽엇지만 별 문제없엇음 다만 간지는 펭귄 2011.04.10 12:44
-(ⅱ리로) 난 그냥 펭귄샀으;; 2011.04.10 13:01
-(정호빗) 아 이거살걸! 저 한달전에 문예출판사로 봤는데 절대 보지마세요. 번역중에 아일랜드 하프를 거문고로 번역함ㅋㅋ 완전 미친거아님? 금발의 아이리쉬들이 다소곳이 앉아서 띵~띵~ 거문고 뜯고 있다고 생각해봐요. 2010.09.01 20:50
-(쿤타킨테) 영미번역연구회는 민음사 김종길판이 오역이 적다더군요... 가독성도 나쁘지 않던데...|121.129.***.*** 2010.09.01 22:42
-(메이구루) 범우사판이 평판 좋지 않은가? 2010.08.20 14:58
-(당연히) 범우사|123.109.***.*** 2009.01.17 23:24
*데카메론
-(111) 범우사 한형곤 판이 이탈리아 직역이라고 했다.|211.37.***.*** 2010.02.18 00:03
☞(황기욱)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book&no=66104 2008-04-28 00:33:54
*돈키호테▶창비(강추),민용태/시공사도 괜잖한데 1부밖에 없음
-주석달린 전집으로 보는게 최선 but 몇 년 걸린다고 함
-(O5O5) (시공사)번역 좋슴 다만 2권 번역이 없을 뿐.. 2권은 2015년이나 되야 나올듯 2011.09.25 20:53
-(카르페디엠ㅋ).. 창비꺼 읽는 중인데 맛깔나게 번역 잘함 2011.09.25 21:24
-(123 일이삼얍) 난 동서문학사인가 거기꺼 읽엇는데 삽화도 마음에 들고 딱 내 취향이엿는데 2011.03.05 12:20
-(Ⅱ리로) 박철(시공사역자) 한외대 총장님 검색해봐라잉.. 세르반테스 학회 회원이시고 스페인어 전문이심 번역은 믿고 사도 되곸.. 아직 나도 읽지 않아서...... 2011.03.04 23:21
-(컴퓨터) 범우사... 교수들이 꼽은 최고의 번역본이라고해서 그걸로 읽었음. 2011.02.05 10:21
-(음...) ●Miguel de Cervantes Saavedra 著, 민용태 譯, 『돈 끼호떼 I, II』(창비, 2005). 2011.02.05 11:09
-(이리로(.EE)) ㄴ 음... 횽이 창비 권하니까 왠지 이거 읽어야 될꺼같은 기분이...-_-; [ㅇ0ㅇ!] 2011.02.05 12:34
-(개려) ㅇㅇ 창비 스페인어 완역본 2권짜리 돈 끼호떼가 좋다. 2011.01.17 17:38
-(ㅇㅇㅇ) 범우사가 가장 잘 번역되었다고 하더라.|112.163.***.*** 2010.10.08 22:43
-(inhelsinki) 창비랑 고민하다가 시공사걸로 읽었는데 그림이 있으니까 맛깔남. 근데 창비는 2권까지 있으니까 좋고 사투리로 더 맛깔나게 번역했을 것 같기도함. 2010.10.09 11:22
-(ㅇㅇ) 시공사|125.143.***.*** 2010.07.27 21:18
-(대변파이터) 시공사 완역본~~~|118.217.***.*** 2010.06.14 22:09
-(s) 고전소설중에 돈키호테 데카메론같은건 작정하고 볼 필요 없이 그냥 재미로 보면 됨. 재밌음.|87.174.***.*** 2010.06.14 23:59
-(언니네한민관) 시공사|121.129.***.*** 2010.06.15 02:10
-(베나타와) 창작과비평 민용태|58.149.***.*** 2010.06.15 13:39
-(ㅇ) 번역은 시공사가 마음에 드는데 2권이 안 나와서 찜찜 ㅠㅠ|58.140.***.*** 2009.09.03 00:20
-(조칠복) 시공사가 스페인 원본 완역 최초발간! 이라고 광고 떠는데 원본 완역이면 다 좋은걸까? 아무거나 읽어도 지장없다|58.235.***.*** 2009.09.03 00:31
-(오억) 횽, 난 시공사껄 추천해.. 읽어보면 알꺼야..글구 돈키호테는 1권만 봐도 괜찮아.. 2009.09.03 09:56
-(..) 예전에 도갤에서 돈키호테는 시공사꺼 새로 나와서 추천하는게 대세였었는데.. 창비껀 안봐서 모르겠고. 돈키호테 2부는 원래 없던건데 시리즈 영화 찍는 것 처럼, 돈키호테가 인기가 생기자 작가가 2부를 추가로 더 쓴것뿐이기 때문에 그냥 시공사꺼 1권만 읽어도 크게 문제 없을듯.. 일반적으로 말하는 돈키호테는 1부만을 얘기하는게 대부분임|121.188.***.*** 2009.01.25 12:20
-(지리산) 두 곳 모두 완역본입니다. 번역도 모두 좋구요. 전 시공사로 갖고 있지만 창비를 더 갖고 싶습니다.|61.85.***.*** 2008.12.21 22:29
GoldmanSachs 시공,창비 모두 역자는 갠춘한거 같다... 근데 시공껀 제2권이 아직도 안 나왔다... 나는 제2권이 나오면 시공껄로 볼꺼다... 옛날에 허접한걸로 보긴 했음 2008.08.02 23:18
-(횬다이) 창비판이 나을듯 시공사 있는데 영;; 2008.06.22 22:21
-(지리산) 지극히 개인적으론 창비 추천. 제건 범우사와 선물받은 시공사 2가지 있는데요. 창비판이 더 탐난다는..^^|220.74.***.*** 2008.03.30 19:03
-(,모래) 저는 창비판 가지고 있지만, 도갤의 어느 분이 시공사를 적극추천하기에 직접 서점까지 달려가서 비교 확인을 했습니다. 객관적으로 둘의 장점을 설명하자면, 시공사는 도레의 판화그림이 있어 상황을 이해하기 쉽고. 창비는 주석이 풍부하게 달려있고 중요 구문에 대해 원문과 비교 설명이 들어 있어서, 좀 더 원판의 이해를 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글의 번역은 창비는 좀 고어적인 느낌의 서술이고, 시공사는 현대적이라기보다 글 자체가 스무스하게 서술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취향대로 사세요.|124.216.***.*** 2007.10.26 23:35
줄리어스 시공사는 외대 총장이 번역한 것으로 1권밖에 나오지 않았습니다. 창비는 민용태(고려대 교수)가 번역하였고 완권입니다. 둘 다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뛰어난 번역 수준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2007.10.26 18:05
-(골든보이) 시공사의 돈키호테 강추!!! 시공사의 돈키호테 문맥도 매끄럽게 번역했고 삽화도 적절하고 책도 양장이라서 괜찮음, 혹자는 1부만 나와서 좀 그렇다고 하는데 돈키호테는 1부,2부로 나뉘어져있다기보다 세르반테스가 돈키호테를 발간후 유럽전국에 엄청난 히트를 계속해,,아류작들도 많이 나왔는데 아류작들도 히트를 했음.
세월이흘러 노년에 세르반테스가 속 돈키호테를 발간했는데 그게 우리가 아는 돈키호테 2부임.고로 1부,2부는 명확한차이가 있다고 봄 1부가 명작중의 명작인 돈키호테임. 소장몽록 1순위중 하나라고 봄 2007-10-26 17:37:50
-(골든보이) 1부만 나와서 좀그렇지만 번역 제일잘한거 같다.삽화도 적절한때에 잘들어있고 모출판사는 1부,2부나왔지만 한글로 번역이 좀,,
수박것할기식정도로 알던 내용 찬찬히 읽으니깐 매우 재미있다.
돈키호테 질러야지
-(모래) 삽화는 없지만 번역은 창비가 최고일 수 밖에 없음. 역자인 민용태 규수는 40년에 걸친 돈 끼호떼 연구가 임.|124.216.***.*** 2007.10.07 20:11
-(dp) 창비판 돈끼호떼 번역자는 민용태 교수님으로, 스페인 문학 분야에서는 이미 여러권의 저서를 내신 전문가 중의 전문가입니다. 물론 시공사판 박철 교수님 번역도 좋은 번역이기는 하나, 저로서는 민용태 교수 쪽에 더 신뢰가 가는군요.(단적인 예로, 제목부터 민용태 교수는 원어 발음대로 '돈끼호떼'라고 표기한 반면, 박철 교수는 영어식인 '돈키호테'라고 쓰는 차이로 봐서도, 번역의 충실도 면에서는 민용태 교수편에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참고로, 범우 세계문학전집에 있는 김현창 교수님 번역의 '돈끼호떼'도 매우 좋은 번역입니다. 시공사판도 그렇지만 특히 창비판은 가격의 압박이 좀 큰 편이니, 경제적으로 생각하실 경우 김현창 교수의 범우사판으로 구입하셔도 괜찮은 선택이 될 겁니다.(물론 '뽀대' 면에서는 좀 떨어집니다.... -_-)|211.178.***.*** 2006.01.14 14:04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