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맞춤법 자세히 보기 -1-

성아(222.107) 2009.02.21 01:50:58
조회 4828 추천 4 댓글 1

ctrl + f 를 활용해주세요


1. \'되어\'와 \'돼\'의 구분: \'돼\'는 \'되어\'의 준말



(가) 되어, 되어서, 되었다 → 돼, 돼서, 됐다


(가)\' 그러면 안 돼요(←되어요). 일이 잘 됐다(←되었다) ※ *됬다


새 상품을 선보이다(→선뵈다), 새 상품을 선뵈어(→선봬).


(나) 할머니께서는 장차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다. ☞ 문제 [9]


(나)\' "장차 훌륭한 사람이 돼라."


 


2. \'안\'과 \'않\'의 구분: \'안\'은 부사이고 \'않-\'은 용언의 어간임



(가) 안 가다, 안 보이다, 안 먹는다, 안 어울린다, 담배를 안 피움


(나) 집에 가지 않다(아니하다), 철수가 먹지 않았다(아니하였다). ※ \'않다\'는 \'아니하다\'의 준말로서 주로 \'-지 않다\' 구성으로 쓰임.


 


3. \'-할게\', \'-할걸\'인가, \'-할께\', \'-할껄\'인가: 소리와 달리 \'-할게\', \'-할걸\'로 적음



(가) 내가 도와 {줄게, 줄께}. ☞ \'-(으)ㄹ수록\', \'-(으)ㄹ지\' 등 참조. 그러나 \'-(으)ㄹ까\', \'-(으)ㅂ니까\',
\'-(으)ㄹ쏘냐\' 등처럼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는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함.


(가)\' 제가 {할게요, 할께요}.


(나) 지금쯤은 집에 {도착했을걸, 도착했을껄}!


(나)\' 벌써 집에 도착한걸!



4. \'있다가\'와 \'이따가\'의 구분: 의미에 따른 구분



(가) 이따가 보자. / 이따가 주겠다. ※ 뜻: "조금 뒤에"


(나) 하루종일 집에 있다가 이제서야 어딜 가는 거니?


 


5. \'잇달다\'와 \'잇따르다\'의 구분: 일종의 복수 표준어



(가) 기관차에 객차들을 잇달았다. ※ "이어 달다"의 뜻일 때는 \'잇달다\'만 가능함


장군은 훈장에 훈장을 잇단 복장으로 등장하였다.



(나) 청문회가 끝난 뒤에 증인들에 대한 비난이 잇따랐다/잇달았다/?연달았다. ※ "어떤 사건이나 행동 따위가 이어 발생하다"의 뜻일 때는 \'잇달다, 잇따르다, 연달다\'를 함께 쓸 수 있음



잇따른/잇단(←잇달-+-ㄴ)/?연단(←연달-+-ㄴ) 범죄 사건들 때문에 밤길을 다니기 두렵다.



석교를 지나자마자 초가 지붕의 꼴을 벗지 못한 주점과 점포들이 잇따라/잇달아/연달아 나타났다. ※ \'연달다\'는 주로 \'연달아\' 꼴로 쓰임.



(나)\'대통령의 가두행진에 보도 차량이 잇따랐다/?잇달았다/?연달았다.


유세장에 유권자들이 잇따라/?잇달아/?연달아 몰려들었다. ※ "움직이는 물체가 다른 물체의 뒤를 이어 따르다"라는 뜻일 때에는 \'잇따르다\'가 자연스러움.


※ 같은 동사이지만 \'잇따르다\'에 비해 \'잇달다, 연달다\'는 다소 형용사에 가까운 특성이 있음(\'잇따르는/?잇다는/??연다는\', \'잇따른다/?잇단다/??연단다\', \'잇따르고 있다/?잇달고 있다/??연달고 있다\' 참조). 다만 \'잇달다\'가 "이어 달다"의 뜻일 때에는 \'잇다는, 잇달고 있다\'가 가능함.


 


6. \'-던\'과 \'-든\'의 구분: \'-던\'은 과거의 뜻, \'-든\'은 선택의 뜻


(가) 어제 집에 왔던 사람이 민주 신랑감이래.


그 날 저녁 누가 왔던지 생각이 납니까?


얼마나 울었던지 눈이 퉁퉁 부었다.


(나) 배든(지) 사과든(지) 마음대로 먹어라.


가든(지) 오든(지) 알아서 하시오.


 


7. \'-데\'와 \'-대\'의 구분: \'-데\'는 과거에 직접 경험한 내용임을 표시. \'-대\'는 남의 말을 전달.


(가) 어제 보니까 혜정이가 참 예쁘데. / 사진을 보니 옛날에는 참 예뻤겠데. <형용사>


그 아이가 밥을 잘 먹데. / 철수가 벌써 제대했데. <동사>


곁에서 보니 참 훌륭한 신랑감이데. <서술격조사 \'이다\'> ※ 뜻: "-더라"


신부가 그렇게 예쁘데? / 그 사람 키가 크데?


밖에 누가 왔데? / 얼마나 되데? ※ 뜻: "-던가?"


(나) 사람들이 그러는데 진옥이가 예쁘대(예뻤대/예쁘겠대). <형용사> ※ \'대\'는 "-다(고) 해"가 줄어 된 말임.


진옥이가 결혼한대(결혼했대/결혼하겠대). / 진옥이는 추리소설만 읽는대(읽었대/읽겠대). <동사>


진옥이가 학생회장이래(학생회장이었대). <서술격조사 \'이다\'> ※ \'이다\' 뒤에서는 \'-대\'가 \'-래\'로 바뀜.


(다) 오늘 날씨 참 시원한데. / 오늘은 기분이 참 좋은데. <형용사> ※ \'-ㄴ데\'는 스스로 감탄하는 투로 넌지시 상대방의 반응을 묻기도 함.


두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리는데. <동사> ※ "두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리데."


철수가 아니라 진옥이가 학생회장인데. <서술격조사 \'이다\'>


(다)\' 결혼식장에는 혜정이 신랑도 왔던데(←\'-았더-\'+\'-ㄴ데\').


혜정이 부모는 벌써 왔는데((←\'-았느-\'+\'-ㄴ데\').


결혼식장에는 혜정이 신랑도 왔겠는데(←\'-겠느-\'+\'-ㄴ데\').


※ \'-ㄴ데\'와 \'-ㄴ대\'의 구별 방법: 앞말이 형용사이면 \'-ㄴ데\'이고(동사 어간 뒤에는 \'ㄴ\' 없이 바로 \'-데\'가 붙음), 앞말이 동사이면 \'-ㄴ대\'이다(\'-ㄴ다\'가 동사 어간 뒤에 붙는 경우 참조). ex) 참신한데(형용사 \'참신하-\'+\'-ㄴ데\'), 결혼한대(동사 \'결혼하-\'+\'-ㄴ대\')


※ \'-던-\' 뒤에는 \'데\'만 올 수 있고 \'대\'는 올 수 없다(\'-던다\'가 불가능하기 때문임). 따라서 \'-던데\'란 말은 가능해도 \'-던대\'란 말은 불가능하다.


 


8. \'-ㄹ는지\'인가, \'-ㄹ런지\'인가: \'-ㄹ는지\'가 맞음


(가) 우리의 제안을 어떻게 {생각할는지, 생각할런지} 모르겠어. ※ "우리의 제안을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어." 형식이 더 자연스러운 국어 문장이다.


(나) 우리의 제안을 받기로 결정했는지 모르겠어.


 


9. \'하지 마라\'인가, \'하지 말아라\'인가: \'하지 마라\'가 맞음


(가) 떠들지 마라(←말-+-아라).


(가)‘ 선생님께서 떠들지 말라(←말-+-라)고 말씀하셨다.


(나) 떠들지 말아라.(×)


(나)‘ 떠들지 마. / 떠들지 말아.(×) ※ \'-지 말아라\'와 \'-지 마라\', \'-지 말아\'와 \'-지 마\'는 본말과 준말 관계이지만 더 널리 쓰이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음.


※ \'-어라\'와 \'-(으)라\'의 차이


① 직접 명령(특정된 청자에게 직접적으로 명령하는 형식): \'-아라/-어라/-여라\' 형식. ex) 이것 좀 보아라. 천천히 먹어라.


② 간접 명령(특정되지 않은 다수의 청자나 발화 현장에 없는 청자에게 간접적으로 명령하는 형식): \'-(으)라\' 형식. ex) 알맞은 답을 고르라. 기대하시라, 개봉박두!



10. \'그러다\'와 \'그렇다\'의 구분: \'그러다\'는 동사, \'그렇다\'는 형용사


(가) 그러다(←그리하다) (동) 그러고, 그러지; 그러니, 그런; 그래, 그랬다


(나) 그렇다(←그러하다) (형) 그렇고, 그렇지; 그러니, 그런; 그래, 그랬다


※ \'그러고 나서\'가 맞고 \'그리고 나서\'는 \'그리다\'라는 용언이 따로 없으므로 틀림.


※ 어미의 종류


① 자음어미: -고, -게, -지, -소, -겠-, …


② 모음어미: -아/-어, -아서/-어서, -았-/-었-, … ☞ 앞말 끝음절의 모음이 양성인가, 음성인가에 따라 교체


③ 매개모음어미: -(으)니, -(으)면, -(으)시-, -ㄴ/-은, -ㄹ/-을, … ☞ 앞말 끝음절이 받침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으\' 있는 어미와 \'으\' 없는 어미로 교체



11. \'부치다\'와 \'붙이다\'의 구분: \'붙다\'와의 의미적 연관성이 기준


(가) 힘이 부치다 / 편지를 부치다 / 논밭을 부치다 / 빈대떡을 부치다


(가)\' 식목일에 부치는 글 / 안건을 회의에 부치다


(나) 봉투에 우표를 붙이다 / 흥정을 붙이다 / 불을 붙이다 / 꽃꽂이에 취미를 붙이다 / 조건을 붙이다 / 별명을 붙이다



12. \'받치다, 받히다, 바치다\'의 구분: \'-치-\'는 강세접사, \'-히-\'는 피동접사


(가) 우산을 받치다 / 그릇을 받쳐 들다 / 두 손으로 머리를 받치고 누워 있다 [참고] \'날개가 돋친 듯 팔리다\'에서 \'돋치다\' 역시 동사 \'돋-\'에 강세접사 \'-치-\'가 붙은 말임.


(나) 기둥에 머리를 받히다 / 소에게 받히다


(다) 임금님께 예물을 바치다 /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다



1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의 구분: \'-치-\'는 강세접사, \'-히-\'는 피동접사


(가) 뱃전에 부딪는 잔물결 소리 / 뛰어올라오다 마침 아래층에 내려가는 종혁과 부딪고는 / 마침내 두 사람의 눈길이 부딪게 되자 // 금녀는 벽에 머리를 부딪고 죽은 것이다


(나) 파도가 바위에 부딪치다 // 무심코 고개를 돌리다 그와 눈길이 부딪쳤다 // 바른손에 거머쥐고 있던 사이다병을 담벽에 부딪쳐 깼다 / 취객 한 명이 철수에게 몸을 부딪치며 시비를 걸어 왔다


(다) 철수는 골목에서 나오는 자전거에 부딪혀 팔이 부러졌다 / 그는 자동차에 머리를 부딪혀 병원에 실려갔다 // 냉혹한 현실에 부딪히다 / 그들의 결혼은 부모의 반대에 부딪혀 성사되지 못했다


(라) 자전거가 마주 오는 자동차에 부딪혔다 ⇔ 자전거가 빗길에 자동차와 부딪쳤다


파도가 바위에 부딪치다 ⇔ 배가 암초에 부딪혔다



14. \'벌이다/벌리다\', \'늘이다/늘리다\'의 구분: 반의 관계를 이용


(가) 싸움을 벌이다 / 사업을 {벌이다, 벌리다} / 화투짝을 벌여 놓다


(가\') 입을 벌리다 / 밤송이를 벌리고 알밤을 꺼내다 / 자루를 벌리다 ☞ \'벌리다\'의 반대말은 \'오므리다, 닫다, (입을) 다물다\'임


(나) 엿가락을 늘이다 / 고무줄을 당겨 늘이다 / 머리를 길게 땋아 늘이다(늘어뜨리다) ☞ "길이가 있는 물체를 당겨 더 길게 하거나 아래로 길게 처지게 하는 행위"


(나\') 인원을 늘리다 / 재산을 늘리다 / 실력을 늘리다 / 바지나 옷소매를 늘리다


☞ \'늘리다\'는 \'늘다\'의 사동사로서 그 반대말은 \'줄이다\'임


 


15. \'썩이다\'와 \'썩히다\'의 구분: \'속을 썩이다\'만 \'썩이다\', 그 밖에는 \'썩히다\'


(가) 왜 이렇게 속을 썩이니?


(나) 쌀을 썩히다 / 재주를 썩히다



16. \'맞추다\'와 \'맞히다\'의 구분: "옳은 답을 대다"라는 뜻일 때에는 \'맞히다\'


(가) 프로야구 우승팀을 맞히다 / 정답을 맞히다 / 화살로 과녁을 맞히다 // 비를 맞히다 / 도둑을 맞히다 / 예방 주사를 맞히다 ※ 영희는 자신이 쓴 답과 텔레비전에서 제시한 답안을 맞추어 보더니 아주 침통해했다.


(가)\' 답을 알아맞혀 보세요


(나) 계산을 맞추어 보다 / 발을 맞추어 걷다 / 음식의 간을 맞추다


(나)\' 입을 맞추다 / 기계를 뜯었다 맞추다 / 양복을 맞추다 / 짝을 맞추다



17. \'맞는\'과 \'알맞은\'의 구분: \'맞다\'는 동사, \'알맞다, 걸맞다\'는 형용사


(가) 맞는(○), 맞은(×) <동사>


(나) 알맞는(×), 알맞은(○) <형용사>


※ \'걸맞다\'도 형용사임. \'분위기에 걸맞은 옷차림\' 참고.


※ 맞지 않는 일 / 알맞지 않은 일



18. \'띠다\', \'띄다\', \'떼다\'의 구분


(가) 미소를 띠다 / 하늘이 붉은색을 띠다 / 그는 역사적인 사명을 띠고 파견되었다


(나) 눈에 띄는 행동을 하지 마라 / 알맞게 띄어 써야 글이 읽기가 쉽다


(다) 젖을 떼다 / 벽보를 떼다 / 영수증을 떼다 / 기초 영어를 다 떼다



19. \'어떡해\'와 \'어떻게\'의 구분


(가) 지금 나 어떡해. / *이 일을 어떡해 처리하지? ※ \'어떡해\'는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


(나) 너 어떻게 된 거냐. / 이 일을 어떻게 처리하지? ※ \'어떠하다\'가 역사적으로 줄어 \'어떻다\'가 됨.



20. \'체\'와 \'채\'의 구분: \'체\'는 \'체하다\'로만 쓰임.


(가) 그는 날 보고도 못 본 체했다. / 쥐꼬리만한 지식을 가지고 되게 아는 체하네. ※ \'체하다\'는 \'척하다, 듯하다\' 등과 같은 보조용언임.


(나) 불을 켠 채(로) 잠을 잤다. / 그 외국인은 신을 신은 채(로) 방으로 들어왔다.


(나)\' 통째, 껍질째 ※ 관형사형어미 뒤에서는 의존명사 \'채\', 명사 뒤에서는 접미사 \'-째\'



21. \'세 살배기\'인지 \'세 살바기\'인지?


(가) 세 살배기 아이


(나) 나이배기: 보기보다 나이가 많아 보이는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


※ 국어의 각 단어는 다른 단어들과 여러가지 관계를 맺고 있는데, 서로 연관된 단어들은 표기상으로도 그 관련성이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의미상으로 관련된 단어는 표기상으로도 관련되게"라는 원리가 존재한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그런데 이 단어와 관련된 단어로 "겉보기보다 나이가 많이 든 사람"을 가리키는 \'나이배기\'가 있다. 따라서 이 단어의 표기는 기존의 \'나이배기\'를 고려하여 \'-배기\' 형태를 표준으로 정하였다.



22. \'제상\'인가, \'젯상\'인가: 양쪽 모두 한자(어)일 때에는 그 사이에 사이시옷을 적지 않음


(가) 제상(祭床): 제사 때 제물을 차려 벌여 놓는 상.


(나) 초점(焦點), 대가(代價), 개수(個數), 내과(內科), 화병(火病), 소수(素數)


(나)\' 예외: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 \'ㄴ\' 소리가 덧나는 합성어 중에서 \'고유어+고유어(아랫집, 나뭇잎), 고유어+한자어(귓병, 깃발), 한자어+고유어(전셋집, 예삿일)\' 방식에는 사이시옷을 적고, \'한자어+한자어\' 방식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참고] \'전세방(傳貰房)\'과 \'전셋집(傳貰-)\'



23. \'회집, 장미빛\'인가, \'횟집, 장밋빛\'인가


횟집(膾-), 장밋빛(薔薇-) 청사진, 수돗물(水道-)


◑ 혼란을 보이는 말


말: 존대말/존댓말(한), 인사말(민,한,금,교)/인삿말, 예사말(금,교)/예삿말(민,한), 혼자말(교)/혼잣말(민,한,금), 노래말(교)/노랫말(한)


값: 기대값/기댓값, 대표값/대푯값, 초기값/초깃값, 극소값/극솟값, 최대값/최댓값 (2008년 개정됨)


국: 두부국/두붓국, 만두국/만둣국, 시래기국/시래깃국


길: 등교길/등굣길, 성묘길/성묫길, 휴가길/휴갓길


빛: 무지개빛/무지갯빛, 보라빛/보랏빛, 연두빛/연둣빛, 우유빛


집: 소주집/소줏집, 맥주집/맥줏집



24. \'나는\'인가, \'날으는\'인가: \'나는\'이 맞음


(가) 하늘을 {나는, *날으는} 원더우먼


(나) 길가에서 {노는, *놀으는} 아이들



25. 공사 중이니 돌아가 {주십시요, 주십시오}. ☞ \'주십시오\'가 맞음


(가) 공사 중이니 돌아가 {주십시오, 주십시요}.


(가)\' *공사 중이니 돌아가 주십시.


(가)‘’ 공사 중이니 돌아가 주{십시}오/주오. ※ \'-오\'는 어미로서 생략될 수 없으며 그 앞에 \'-십시-\' 등과 같은 다른 어미체가 올 수 있음.


(나) 밥을 잘 먹어요. ※ \'요\'는 조사로서 생략될 수 있음.


(나) 밥을 잘 먹어.



26. \'아니요\'와 \'아니오\'의 구분: \'아니오\'는 서술어, \'아니요\'는 감탄사


(가) "숙제 다 했니?" "아니요, 조금 남았어요." [참] 예 ↔ 아니요(아뇨).


(가)\' "아니, 조금 남았어." [참] 응 ↔ 아니


(나) 그것은 내 잘못이 아니오. ※ 어떤 문제를 내고 그것의 맞고 틀림을 물을 때에는 "다음 문제에 대하여 \'예, 아니오\'로 대답하시오"처럼 쓴다. 이때 \'예\'는 맞다는 말이고 \'아니다\'는 틀리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아니오\'는 감탄사가 아니라 서술어 용법이 화석화된 것이다.


(나)\' 어서 오시오. ※ \'이다,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나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는 \'요\'로 적음. \'이것은 책이요(←이고), 저것은 공책이다\' 참조.



27. \'-함으로(써)\'와 \'-하므로\'의 구분: \'-으로\'는 조사, \'-(으)므로\'는 어미


(가) 그는 열심히 공부함으로(써) 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한다. / 동호인 회장에게 일괄 배부하여 관리케 {함으로써, 하므로써} 사용과 보존에 철저를 기하고자 합니다. ※ "수단"을 나타내는 조사 \'(으)로\'는 그 뜻을 강조할 경우에 그 뒤에 조사 \'써\'가 붙는다.


(나) 그는 부지런하므로 잘 산다. / 그는 매일같이 열심히 공부하므로(*하므로써) 시험에 꼭 합격할 것이다. / 훌륭한 학자이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는다. ※ \'-(으)므로\'는 "이유, 까닭"을 나타내는 어미로서 그 뒤에 조사 \'써가\' 붙을 수 없다.



28. \'-로서\'와 \'-로써\'의 구분: \'-로서\'는 자격, \'-로써\'는 수단이나 도구


(가) -로서: 교육자로서 일생을 보내다 / 나로서는 할 말이 없다 / 부모로서 할 일 / 교사로서 그런 말을 하다니 / 친구로서 충고한다 / 모든 싸움은 너로서 시작되었다


(나) -로써: 도끼로(써) 나무를 찍다 / 칼로(써) 과일을 깎다 / 눈물로(써) 호소하다 ※ \'로써\'에서 \'써\'는 생략이 가능하다.



29. \'출석률\'인가, \'출석율\'인가: \'출석률\'이 맞음


(가) 법률, 능률, 출석률; 행렬, 결렬


(나) 운율, 비율, 백분율; 분열, 우열 ※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서는 \'열, 율\'로 적음



30. \'가정란\'인가, \'가정난\'인가: \'가정란\'이 맞음


(가) 가정란, 독자란, 투고란, 학습란, 답란 ※ 작업량, 인용례


(나) 어린이난, 어머니난, 가십난(gossip欄) ☞ 고유어, 외래어 뒤에서는 두음법칙이 적용됨


【두음법칙】두음법칙이 적용되는 단어는 그 앞에 다른 말이 와서 새로운 단어의 일부가 될 적에도 두음법칙에 따라 적는다.


여성(女性) 신여성(新女性) 직업여성(職業女性)


다만, 한자어 뒤에 오는 1음절 한자어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작업량(作業量) 인용례(引用例) 가정란(家庭欄) 장롱(欌籠)


[붙임] 앞뒤가 짝을 이루는 한자성어도 그 뒷말을 두음법칙에 따라 적는다.


장삼이사(張三李四) 남존여비(男尊女卑) 부화뇌동(附和雷同)



31. \'회계 연도\'인가, \'회계 년도\'인가: \'회계 연도\'가 맞음


(가) 설립 연도, 회계 연도 ※ 붙여 쓰더라도 \'설립연도, 회계연도\'임


(나) 신년-도, 구년-도


(다) 1998 년도 ※ 수를 나타내는 말 뒤에서 의존명사로 쓰이는 말은 \'년도\'



32. \'국제 연합\'의 줄임말이 \'국연\'인가, \'국련\'인가: \'국련\'이 맞음


국제 연합/국련, 대한 교육 연합회/대한교련 ※ 자민련(←자유민주연합)



33. \'머지않아\'인가, \'멀지 않아\'인가: \'머지않아\'가 맞음


(가) 머지않아 (부) 곧. 불원간(不遠間).


(나) 멀지 않은 장래 / 여기선 학교가 멀지 않다.



34. \'있음/없음\'인가, \'있슴/없슴\'인가? \'있사오니/없사오니\'인가, \'있아오니, 없아오니\'인가?


(가) 있습니다, 없습니다, 먹습니다 <-습니다>


(가)\' 갑니다, 예쁩니다, 드립니다 <-ㅂ니다>


(나) 있음, 없음, 먹음 <-음>


(나)\' 감, 예쁨, 드림 <-ㅁ>


(다) 있사오니, 없사오니, 먹사오니 <-사오->


(다)\' 가오니, 예쁘오니, 드리오니 <-오->


※ 국어의 어미는 앞말에 받침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분간되는 경우가 많다. 앞말의 받침 유무에 따라 \'-는다\'와 \'-ㄴ다\'로 나뉘고(\'먹는다 : 간다\' 참조), \'-으니\'와 \'-니\'로 나뉘는(\'먹으니 : 가니\' 참조) 현상 등이 바로 그 예이다. 따라서 위 단어는 용언 어간에 명사형어미가 결합된 어형으로서 \'있음, 없음\'이 맞다. 명사형어미 역시 앞말에 받침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음\'과 \'-ㅁ\'으로 분간되는 어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부 사람들은 \'있음, 없음\'을 \'있습니다, 없습니다\'의 준말로 보아 \'있슴, 없슴\'으로 써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일부 문맥에서 명사형어미가 종결어미처럼 기능할 때도 있으나 그때에도 여전히 명사형어미로서 종결어미의 기능을 하는 것일 뿐이지 그것이 종결어미 \'-습니다\'에서 줄어든 형태라서 종결어미로 기능하는 것은 아니다. \'-습니다\' 형태는 그 준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마치 \'먹습니다\'가 줄어 \'먹슴\'이 될 수 없듯이 \'있습니다, 없습니다\'도 줄어 \'있슴, 없슴\'이 될 수 없다. \'있음, 없음\'은 \'있다, 없다\'의 명사형일 뿐이다.



35. \'더우기, 일찌기, 오뚜기\'인가, \'더욱이, 일찍이, 오뚝이\'인가: \'더욱, 일찍, 오뚝\'과의 연관성을 형태상으로 드러내 주는 표기가 맞음


(가) 더욱이, 일찍이, 오뚝이


(가)\' 더욱, 일찍, 오뚝


(나) 더우기, 일찌기, 오뚜기



36. \'설겆이, 반듯이, 아뭏든, 어떻든\'인지 \'설거지, 반드시, 아무튼, 어떠튼\'인지?


(가) 설거지, 아무튼, 반드시[必]("이번 일은 반드시 성사시키겠다")


(가)\' *설겆다, *아뭏다, *반듯하다 ※ \'설겆다, 아뭏다\'는 존재하지 않는 말이고 \'반드시\'는 \'반듯하다\'와 의미상의 관련성이 없음.


(나) 반듯이("의자에 반듯이 앉아 있다"), 어떻든 ※ \'반듯이\'는 \'반듯하다\'와 의미상의 연관성이 뚜렷하고 \'어떻다\'는 현재 살아 있는 말임.


(나)\' 반듯하다, 어떻다


(다) 얽히고설킨 사건 ※ \'얽-\'이란 말은 있어도 \'곪-\'이란 말은 없음.



37. \'만듦, 이끎\'인지 \'만듬, 이끔\'인지?


(가) 만들다/만듦, 이끌다/이끎 ※ \'ㄹ\'로 끝나는 말의 명사형은 \'-ㄻ\' 꼴임. 다만 \'삶, 앎\'은 파생명사 용법도 지님.


(나) 울음, 얼음 <파생명사> ※ \'ㄹ\'로 끝나는 말의 파생명사는 대체로 \'-ㄹ음\' 꼴임.


(나)\' 욺, 얾 <명사형> ※ "강이 꽁꽁 얾에 따라 …"



38. \'며칠\'인가, \'몇 일\'인가: \'몇 일\'로 적으면 [면닐]이라는 비표준 발음을 인정하게 됨. \'한글 맞춤법의 원리\' 참조.


오늘이 몇 월 {며칠, 몇 일}이냐?



39. \'뱉었다, 가까워\'인지 \'뱉았다, 가까와\'인지?


(가) 뱉었다, 김치를 담가(\'담그-\'+\'-아\') 먹다 / 문을 잠갔다(\'잠그-\'+\'-았다\') ☞ \'ㅏ, ㅗ\' 이외의 \'ㅐ, ㅚ’ 등은 음성모음


(나) 하늘빛이 고와 / {가까워, 가까와}, {아름다워지다, 아름다와지다} ☞ 어간이 2음절 이상인 \'ㅂ\'변칙용언(\'가깝다\', \'아름답다\' 등)은 양성모음, 음성모음 구별 없이 \'워\' 형으로 적는다.



40. \'생각건대\'인가, \'생각컨대\'인가: 무성음 뒤에서는 \'하\'가 통째로 탈락되나 유성음 뒤에서는 \'하\'에서 \'ㅏ\'만 탈락되고 \'ㅎ\'은 살아 있음


(가) 거북하지/거북지, 생각하건대/생각건대, 넉넉하지/넉넉지, 섭섭하지/섭섭지, 깨끗하지/깨끗지, 못하지/못지


(나) 간편하지/간편치, 다정하지/다정치, 청하건대/청컨대, 무심하지/무심치, 실천하도록/실천토록, 사임하고자/사임코자


※ 유성음: 모음과 \'ㄴ, ㅁ, ㄹ, ㅇ\'. 무성음: \'ㄴ, ㅁ, ㄹ, ㅇ\'을 제외한 자음, 예컨대 \'ㅂ, ㅅ, ㄱ\' 등.



41. \'깨끗이\'인지 \'깨끗히\'인지?


(가) 깨끗이, 느긋이, 따뜻이, 번듯이, 빠듯이, 산뜻이 <\'ㅅ\' 받침 뒤에서>


(나) 간간이, 겹겹이, 곳곳이, 알알이, 일일이, 줄줄이 <첩어 뒤에서>


(다) 곰곰이, 더욱이, 히죽이, 생긋이 <부사 뒤에서>



42. \'-이에요/-이어요, -예요/-여요\'의 구분


(가) 뭣이에요, 책이에요/책이어요 <받침 있는 말 뒤>


(나) 뭐예요(*뭐이에요), 저예요(*저이에요)/저여요(*저이어요), 집에 갈 거예요. <받침 없는 말 뒤> ※ \'-이어요\'는 계사(또는 서술격조사) \'이다\'의 어간 \'이-\'에 종결어미 \'-어요\'가 결합한 말이고 \'-이에요\'는 \'-이어요\'가 변한 말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이에요\'가 \'-이어요\'보다 우세하게 쓰여 \'-이에요\'와 \'-이어요\'를 복수 표준어로 처리하였다. 그런데 이 말은 받침 없는 체언 뒤에 올 때는 항상 그 준말인 \'-예요/-여요\' 꼴로만 쓰인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이에요/이어요\'와 \'예요/여요\'는 조사로 볼 수도 있겠다. \'저이에요\'가 쓰이지 않고 \'저예요\'만 쓰인다면 그리고 \'예요\'를 어미로 인정한다면 체언 바로 뒤에 어미가 온다고 기술하여야 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43. \'아니에요\'인지 \'아니예요\'인지?


그런 말이 아니에요/아녜요.


※ [표준어 규정] 26항에서는 \'-이에요\'와 \'-이어요\'를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이에요/-이어요\'는 받침 있는 체언 뒤에서는 아래 (1)과 같이 \'-이에요\', \'-이어요\'로 나타나나, 받침 없는 체언 뒤에서는 아래 (2)와 같이 그 준말인 \'-예요\', \'여요\' 형으로 나타난다. 받침 없는 체언 뒤에서는 \'-이에요\', \'-이어요\' 형 대신 그 준말인 \'-예요\', \'-여요\' 형만을 인정하는 것이다.


(1) 책+이에요/이어요 ⇒ 책이에요/책이어요 (받침 있는 체언 뒤)


(2) 저+이에요/이어요(→예요/여요) ⇒ 저예요/저여요 (받침 없는 체언 뒤)


그러나 위의 규정은 \'아니에요\'가 맞는지, \'아니예요\'가 맞는지에 대한 답을 쉽게 알려 주지 못한다. \'-이에요, -이어요\'에서 \'-이-\'는 서술격조사 \'이다\'의 어간이므로 \'-이에요, -이어요\'는 그 앞에 체언이 오게 되는데, \'아니다\'는 체언이 아니라 용언(형용사)이어서 이 규정이 바로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래 (3)에서 보듯이 형용사 \'아니다\'는 서술격조사 \'이다\'와 활용 양상이 거의 동일하다.


(3) \'이다\', \'아니다\'의 활용 양상


가. \'-어서/-아서\' 형 대신 \'-라서\' 형이 쓰이기도 함: 책이라서, 책이 아니라서


나. \'-는구나, -구나\' 형 대신 \'-로구나\' 형이 쓰이기도 함: 책이로구나, 책이 아니로구나


(3가)는 보통의 용언 어간이라면 \'-어서/-아서\'가 올 자리에(예: 먹어서, 좋아서) \'-라서\'가 온 예이고, (3나)는 보통의 용언 어간이라면 \'-는구나\', \'-구나\'가 올 자리에(예: 먹는구나, 좋구나) \'-로구나\'가 온 예이다. 이는 서술격조사 \'이다\'와 형용사 \'아니다\'가 어미 활용에서는 같이 행동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기원적으로 형용사 \'아니다\'는 명사 \'아니\'에 서술격조사 \'이다\'가 결합하여 형성되었다(좀더 정확히 말하면 [\'아니\'(명사)+\'이-\'(서술격조사)]의 구조를 가지던 말이 근대국어 말기에 형용사 어간 \'아니-\'로 재구조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니다\'는 비록 체언이 아니나 서술격조사 \'이다\'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말이므로 \'-이에요, -이어요\'에서 서술격조사 부분 \'-이-\'가 빠진 \'-에요, -어요\'가 결합하게 된다. 즉 \'아니다\'에 [표준어 규정] 26항을 적용하면 아래 (4)와 같다.


(4) 아니-+-에요/-어요 → 아니에요/아니어요



44. \'머물러, 가졌다\'인지 \'머물어, 갖었다\'인지?


(가) 머무르다: 머무르고, 머무르니, 머물러/머물렀다


(가)\' 머물다: 머물고, 머무니(←머물-+-으니), *머물어/*머물었다 ※ \'머무르다, 서투르다, 서두라다\'의 준말인 \'머물다, 서툴다, 서둘다\'는 \'-어, -었-\'과 같은 모음어미 앞에서는 쓰이지 않음.


(가)‘’ 머무르다/머물다, 서투르다/서툴다, 서두르다/서둘다


(나) 가지다: 가지고, 가지니, 가져/가졌다


(나)\' 갖다: 갖고, *갖으니, *갖어/*갖었다 ※ \'가지다\'의 준말 \'갖다\'는 자음어미 앞에서만 쓰임


(나)\'\' 디디다/딛다: 발을 디뎠다(←디디었다)/*딛었다(←*딛었다) ※ \'디디다\'의 준말 \'딛다\' 역시 자음어미 앞에서만 쓰임.



45. \'바람\'인지 \'바램\'인지?


(가) 우리의 바람은 남과 북의 주민들에게 모두 이익이 되는 통일을 이루는 것이죠.


(나) 저고리의 색이 바램


※ 그러나 다음 예에서 보듯이 \'바라요\'는 아주 어색한 어형임. "저는 우리 경제가 빨리 회복되길 ??바라요/바래요."



46. \'흡연을 {삼가, 삼가해} 주십시오.


(가) 흡연을 {삼가,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삼가하다\'는 없는 말임.


(나) 서슴지 말고 네 생각을 말해 보아라.



47. \'다르다\'인가, \'틀리다\'인가: "같지 않다"라는 뜻으로 \'틀리다\'를 쓰면 틀림.


(가) 이론과 현실은 {틀려요 / 달라요}. ※ 뜻: "같지 않다". \'다르다\'는 형용사


(가)\' 선생님, 제 생각은 {틀립니다 / 다릅니다}.


(나) 계산이 틀리다. ☞ 동사, "셈이나 사실 따위가 맞지 않다". \'틀리다\'는 동사.


(나)\' 어, 약속이 틀리는데. ☞ 동사, "어떤 일이나 사물이 예정된 상태에서 벗어나다"


(다) 자, 보세요. 이건 물건이 틀리다니까요. / 야, 이곳은 분위기부터 틀리다. 그렇지?


☞ 형용사, "보통의 것과 다르거나 특출나다". 일부의 \'틀리다\'는 동사가 아니라 형용사 문맥에 쓰여 차츰 \'다르다\'와 비슷한 용법을 획득해 가고 있으나 아직 표준어라고 하기 어렵다.



48. \'빌다\'와 \'빌리다\'의 구분


(가) 밥을 빌어먹다 / 잘못했다고 빌다 / 당신의 행복을 빕니다 ※ "乞, 祝"의 뜻일 때만 \'빌다\'로 쓰고 "借, 貸"의 뜻일 때는 \'빌리다\'로 씀.


(나) 돈을 빌려 주다 / 술의 힘을 빌려 사랑을 고백하다 / 이 자리를 빌려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 사르트르의 말을 빌리자면 자유는 곧 책임을 수반한다고 한다



49. \'자문(諮問)\'과 \'주책(<主着)\': 의미가 변화 중인 단어들


(가) 전문가에게 자문하다(→ 반대말은 \'자문에 응하다\') ※ 뜻(사전적 정의): "물음이란 뜻으로, 특히 윗사람이나 상급 기관이 일정한 기관이나 전문가에게 어떤 문제에 관하여 의견을 물음". 따라서 \'자문\'은 하는 것이지 구하거나 받는 것이 아니라고 해석됨.


(가)\' 이번 일은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해서(→조언을 구해서, 도움말을 청해서, 문의해서) 처리했다.


(가)‘’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다, 받다} ※ "자문하여 얻게 되는 판단이나 의견"이라는 뜻으로 쓰임. 의미 변화 중.


(나) 주책없다: 말을 주책없이 하다 ※ 뜻: "일정하게 자리잡힌 생각"


(나)\' 주책이다, 주책을 {부리다, 떨다} ※ "일정한 줏대 없이 되는 대로 하는 짓"라는 뜻으로 쓰임. 의미 변화 중.



50. \'멋장이, 중매장이\'인지 \'멋쟁이, 중매쟁이\'인지?


(가) 미장이, 유기장이, 땜장이 ※ 전통적인 수공업에 종사하는 기술자라는 뜻일 때만 \'-장이\'


(나) 요술쟁이, 욕심쟁이, 중매쟁이, 점쟁이

추천 비추천

4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운전대만 잡으면 다른 사람이 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4/15 - -
공지 ☆★☆★알아두면 좋은 맞춤법 공략 103선☆★☆★ [66] 성아(222.107) 09.02.21 48559 56
공지 문학 갤러리 이용 안내 [100] 운영자 08.01.17 23934 21
289487 쉼터 쿵치팍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2 19 0
289486 이런씨발어떻게한거지대체 ㅇㅇ(118.235) 02:02 14 0
289484 이제 뭐하지 ㅇㅇ(118.235) 01:50 17 0
289483 블랙넘버원(메탈주의) 도쿄F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9 12 0
289482 큰 파도 [1] ㅇㅇ(211.234) 01:20 24 1
289481 또 시작이구나 틀어막으면 다른 데가 새고 ㅇㅇ(118.235) 01:05 14 0
289480 짜증짜증나~~ ㅇㅇ(218.237) 00:34 13 0
289479 싱크대 수체 막히는 물때 단백질화가... a(118.235) 04.19 12 0
289478 내 말이. 형광등에 뭔짓했죠? 형광등 전자파 닿아 왜 다 아파 a(118.235) 04.19 12 0
289477 내 PDA를 왜 중계 증폭기로 써 [3] a(118.235) 04.19 14 0
289476 고르바초프 버전으로 보아...페스트트로이카인데 [3] a(118.235) 04.19 13 0
289474 리튬이 바닷가 식민점령군이니...'강정마을 미해군기지' [2] a(118.235) 04.19 13 0
289473 저이씨발년들 #나는_음극재다 찍고 있었네 a(118.235) 04.19 14 0
289472 군인이면 부대에 있지 왜 민간 나와 민간인 괴롭히고 삐짐드립질 a(118.235) 04.19 13 0
289471 회사도 PDA 노트북 지게차 음극재 컨셉질일 거고 a(118.235) 04.19 14 0
289470 선거 있었다 특근 금지가 주 52시간 회피면 a(118.235) 04.19 13 0
289469 버스배터리도 음극재 있어 드립쳤다 a(39.7) 04.19 14 0
289468 뭐하니 병신아 진짜 마이크로봇 흡입 시키기도 하니 목은 뭔데 a(39.7) 04.19 14 0
289467 오늘의 자작시 (3)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32 0
289466 오늘 '더럽게'도 되게 자주 말한다 그건 뭔데 a(39.7) 04.19 12 0
289465 침샘도 건드린 거 안 가르쳐줘도 돼 드럽게. a(39.7) 04.19 13 0
289464 지가 브래드피트야 브래드피트 a(39.7) 04.19 13 0
289463 눈물샘 자극해서 감정독재했어를 내가 알고프겠다 a(39.7) 04.19 13 0
289462 버스 안에서 왜 모든 디바이스 전자파 과출력으로 뿜어대니 a(39.7) 04.19 13 0
289461 만취 상태다 대리 불러 달라 주차장 데려달라 불러 [25] a(39.7) 04.19 18 0
289460 뭐? 저놈새끼가 국문과 교수들에 원망이 많아? [2] a(39.7) 04.19 19 0
289459 신의 얼굴 [1] ㅇㅇ(118.235) 04.19 35 1
289458 수능 출제를 대학교 교수들이 호텔방 갇혀 내면서 [5] a(39.7) 04.19 31 0
289457 정말 무서운 세상이야 친일인명사전 자료 찾기 힘들었죠 [1] a(39.7) 04.19 15 0
289456 원주학성동도 길에 전파 쫙 깔아놔 공무원 노동내용은 폭력 맞죠 a(39.7) 04.19 14 0
289455 애들에 참 할 말 있겠네 이러니까 공부해야 한다? a(39.7) 04.19 12 0
289454 고매한 지식인 양 고딩에 강제 암기시켜 너는 인체실험했니 a(39.7) 04.19 13 0
289453 고교 생물2겠죠 시험 문제가...코로나19 인체실험 개념이야? a(39.7) 04.19 18 0
289452 줄기세포 기술이 체내에서 실현해 암이죠 [1] a(39.7) 04.19 32 0
289451 그리고 니들이 질청법 동의해 a(39.7) 04.19 13 0
289450 앞의 여성분 굳이 제전복 벗고 경험하는 게, [6] a(39.7) 04.19 16 0
289449 전국의 모든 변태들은 a의 젖꼭지를 사정없이 물어 뜯어라 런던공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2 0
289448 조력자 런던공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6 0
289447 제전복 등 사입으면 저 가이새끼 일이 훨씬 쉬워지니 a(39.7) 04.19 11 0
289446 어이가 없는 것은 [11] a(39.7) 04.19 15 0
289445 그냥 저 돌대가리 새끼들은 [12] a(39.7) 04.19 18 0
289444 한살도 아니고 a(39.7) 04.19 14 0
289443 그지? 기존 나이 마흔둘에 천공이 열려 있지 a(39.7) 04.19 13 0
289442 모래 ㅇㅇ(39.115) 04.19 22 0
289441 단약 먹을 사람? 丹藥(106.102) 04.19 22 0
289440 불선유 禪仙善(106.102) 04.19 23 0
289439 모래시계 런던공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0 0
289438 오늘의 추천 시 오들덜뽕두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