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덜 알려진 2차대전사 : 1941 ~ # 1

기우(121.130) 2007.05.21 16:47:44
조회 2068 추천 0 댓글 13

 

마다가스카르    MADAGASCAR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

동부 아프리카 해안에서 떨어져 있는 마다가스카르섬은 프랑스의 식민지로 1941년까지 비시정권에 충성을 다했다. 추축군이 이 섬을 기지로 사용해서 보급선을 끊을 것을 두려워한 연합군은 영국군과 2개의 동 아프리카 여단을 동원 1941년 5월 5일 마다가스카르를 침공했다. (Iron Clad 작전) 비시 프랑스군에 대한 첫 번째 공격이었던 이 작전으로 영국군은 109명이 전사했고 284명이 부상당했다. 프랑스군의 사상자는 약 200명이 전사하고 500명이 부상당했다. 하지만, 전체 사상자보다 더 많은 사상자를 안겨준 말라리아 피해자의 수는 발표되지 않았다. 섬 침공이후에 항복한 대부분의 프랑스군은 자원해서 드 골의 자유프랑스군에 입대 독일군을 향해 총을 겨누게 되었다.

 

465144485caed&filename=madagascar%20map.jpg

연합국의 진격루트

 

  <o:p></o:p>

런던 탑 최후의 처형    THE LAST EXECUTION IN THE TOWER OF LONDON

  <o:p></o:p>

이 역사적인 사건은 1941년 8월 14일에 일어났다. 독일 스파이 조세프 야콥스(Josef Jakobs)는 의자에 묶인 채 로 여덟명의 스코틀랜드 근위병들에 의해 총살당했다. 하얀 린트천으로 만든 타겟이 그의 심장부에 부착되었으며 집행 후에 8발의 탄환 중 5발이 그의 심장을 관통한 것이 확인되었다.

야콥스는 1941년 1월 31일 영국으로 강하 착지중 다리가 부러지고 말았다. 그는 그 밤내내 그 자리 누워있었으며 다음 날 아침에야 그의 비명을 듣고 달려온 이들에게 구조받을 수 있었다. 야콥스는 런던 켄잘 그린의 세인트 매리 로마 캐톨릭 공동묘지에 아무 표식없이 안장되었다. (야콥스가 사형집행 당시 앉았던 의자는 현재 리즈의 왕실 병기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4651450b40e9e&filename=plan_england_london_tower_chair_in_which_josef_jakobs_was_executed_1941_c_the_royal_armoury_110.jpg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야콥스는 의자도...

 

<o:p></o:p> 

소방대의 대참사    FIRE BRIGADE TRAGEDY

  <o:p></o:p>

1941년 4월 20일 히틀러의 생일선물로 루프트바페는 런던에 1,000톤의 폭탄을 안겨줬다. 당시 도시 내의 많은 학교들은 소개되었고, 학생들은 이미 교외로 피난 가 있었다. 세인트 레오나르드 가의 올드 팰리스 학교는 현재 소방서의 훈련장으로 쓰이고 있었다. 특히 운동장은 훈련과 소방장비들을 벌려두는 데 이상적인 장소였다.

4월 20일 밤, 소방대원들은 런던에 떨어질 대공습을 예상하며 대기 중 이었다. 정확히 am 1시 53분 독일군은 학교를 직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사건으로 32명의 남성대원들과 2명의 여성대원이 사망했다. 2명의 여성대원, 세 아이의 엄마인 위니프레드 피터스와 21살의 힝다 두프리는 경보 업무를 수행중이었으며 그녀들의 시체는 끝내 발견되지 않았다. 이 사건은 영국의 소방사에서 최악의 참사로 기록되었다.

 

4651457de3ace&filename=image055.jpg

런던은 하루하루가 최일선이었다

 

  <o:p></o:p>

뭐야! 제네들!    SURPRISE! SURPRISE!

  <o:p></o:p>

1941년 12월 16일 호주가 포르투갈령 동 티모르를 침공한 것은 호주 역사상 처음으로 중립국을 침공한 사건이었다. 호주군(Sparrow Force)은 네델란드령 서 티모르를 침공하고 동 티모르의 수도인 딜 해안에 상륙했다. 일본군이 오기 전에 이 지역을 선취하려는 의도였다. 침공군은 즉시 공항을 포위하고 포르투갈군과의 교전을 예측하면서 행정청으로 진격하였다. 일촉즉발의 순간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중앙 현관문이 열리고 민간인 포르투갈 관리가 나왔다. 그는 그의 모자를 벗고 완벽한 영어 한마디를 던졌다.

 

“Good afternoon.”

 

이 한 마디는 호주군을 어쩔줄 모르게 만들었다. 단 한 발의 탄환도 발사되지 않았다. 호주군은 모르고 있었지만 이전에 호주와 포르투갈 정부는 이 섬에 대한 평화로운 침공에 합의해 있었다. 닥쳐올 일본의 침공으로부터 동 티모르의 거주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 2달 후인 1942년 2월 20일, 진짜 침략군들이 몰려오게 된다.

 

4651463dba240&filename=timor-sparrow-force.jpg

어쨌건 제비부대는 원주민들과 일본군에 대한 저항에 나섭니다

 

  <o:p></o:p>

원치 않는 창씨개명?    NAME CHANGE?

 

뉴저지 포트 딕스의 제 101헌병대대의 P.히틀러 상사가 이름을 바꿀 것을 요구받자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넵, 그건 제 이름입니다. 고 녀석의 이름이나 바꾸시죠.”

 

46514d3439df1&filename=rghjde_29610584.jpg

당당하게 섹시한 그녀가 좋다.^-^ 진숙아~~! 

 

  <o:p></o:p>

바그너, 히틀러와 잠들다    WAGNER\'S SCORES

  <o:p></o:p>

히틀러의 50번째 생일을 맞아 경제계의 유력한 인사들이 히틀러에서 리차드 바그너의 오리지널 악보가 담긴 케이스를 선물했다. 그들은 이 콜렉션을 위해 백만 마르크를 투자했다. 패전이 다가오면서, 바그너의 후손인 프라우 윈프레드 바그너는 이 악보의 사본을 바이로이트(Bayreuth : 독일 남동부의 도시로 매년 여름 Wagner 음악제가 열린다.)로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히틀러는 이 요청을 거부하면서 자신이 훨씬 더 안전한 장소에 이 악보들을 보관주이라고 말했다. 바그너가 요청한 사본들은 \'Die Feen\', \'Die Liebesverbot\', \'Reinzi\', \'Das Reingold\', \'Die Valkure\'와 오케스트라 소묘곡인 \'Der Fliegende Hollander\'로 이 곡들을 어디에 보관했는지는 아직까지도 히틀러만이 알고 있다.

 

46514788604d0&filename=wagner.gif

바그너는 아직도 히틀러의 품안에 (좋을까?)

 

 

홀로코스트의 씨앗?    HOLOCAUST FIGURES?

  <o:p></o:p>

프레드릭 빌리암 폰 호헨촐레른 (Frederick William von Hohenzollern : 1620 ~ 1688)이 브란덴부르그의 선제후로 선출되었을 때, 그는 자신의 통치지역에 영국적인 유태인 거주자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1650년 프레데릭은 몇 명의 폴란드 유태인을 초대해 베를린에서 교역에 종사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하였으며 1671년에는 비엔나에서 브란덴부르그로 이주하는 50명의 부유한 유태인들을 기꺼이 받아들였다. 그렇게 베를린의 유태인 사회가 형성되었다. 1933년 독일의 유태인수는 503,000명에 달했으며 베를린에 거주하는 17만명의 유태인들 중 25%는 자선에 의지하며 살았다. 전쟁이 끝날 때, 독일엔 단 2,3000의 유태인만이 남아있었다.

 

4651488ee02d2&filename=fwHugs.jpg

Give me the Money! Show me the Money! Welcome, Riches

 

  <o:p></o:p>

도 살 자    MASS MURDERER

  <o:p></o:p>

SS여단의 오딜로 글로복니크(Odilo Globocnik) 4개의 절멸 수용소 - 트레블린카(Treblinka), 벨젝(Belzec), 마이다넥(Maidanek), 소비도(Sobido) - 의 책임자로서 백만명 이상을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 수용소에서 죽어간 이들은 대부분 유태인이었으며 오딜로는 또한 동방 계획(Plan Ost (East))의 핵심 인물이기도 했다. 동방 계획은 붉은 군대를 패퇴시키고 그 지역에 살고 있던 8백만에 이르는 유태인, 폴란드인, 러시아인, 체코인등을 서부 시베리아로 이주시키며 그들이 떠나간 자리엔 독일인들이 들어와 순수한 나찌의 유토피아를 건설한다는 히틀러의 천년제국 건설 구상이었다.

나찌 시대 가장 악명높은 인종 청소자인 오딜로는 오스트리아에서 영국요원에 의해 체포된 후 시아나이드 캡슐을 깨물어 자살했다.

 

4651491fc9da7&filename=getto51.jpg

인상은 순박해 보이지만...왼쪽이 글로복니크

 

  <o:p></o:p>

 2차대전의 구지가(龜旨歌)    SAVED

  <o:p></o:p>

수많은 유태인들이 체코의 비뇨기과 의사인 조세프 야스키(Josef Jaksy)박사의 포경 위장 (? : Anti-circumcision) 수술 덕분에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그는 환자의 성기에 약간의 절개를 행하고 최근 순수한 치료 목적으로 고래를 잡았다는 진단서를 발급했다. 폴란드 외과의사인 펠릭스 카나부스 (Feliks Kanabus)박사는 다른 두 명의 의사와 공동으로 140건 이상의 수술을 집도했는데, 그들이 행한 수술은 거북이 머리에 신체 타 부위의 피부를 이식함으로써 포경을 숨기기 위한 시술이었다. 

(* 우리가 아는 우리의 구지가와는 정반대의 상황입니다.-_-;;)

 

465149f6bbd3c&filename=89113.jpg

거북이 머리를 은폐, 엄폐시키는 시술로 25명의 유태인을 구한 야스키 박사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보고 싶은 분은 제 블로그로 강림하시던가 http://blog.daum.net/_blog/blog.do?blogid=08cPM#home

아니면 이 링크를 클릭~
https://gall.dcinside.com/list.php?page=2&id=worldwar2&search_pos=-17228&k_type=1000&keyword=%EA%B8%B0%EC%9A%B0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탈모 걱정 없어 보이는 머리숱 금수저 스타는? 운영자 25/07/14 - -
111287 이젠 미군보고서에서도 위안부는 고액수령이네.. 오기우에 치카(210.107) 13.09.12 288 0
111286 왜자꾸 박정희를 일본군 장교라고 하는거지. 오노 카나코(210.107) 13.09.12 270 1
111285 미군의 위안부 보고서 내용 中 코사카 마코토(210.107) 13.09.12 277 0
111284 뭐? 공출거부를 해서 순사들이 아버지를 끌고가? 사사하라 칸지 -(210.107) 13.09.12 400 0
111283 이 미친놈들은 증언불일치를 대니 피해자의 정신적 충격 운운하네 ㅋㅋㅋ 쿠가야마 미츠노리(210.107) 13.09.12 194 0
111282 박정희가 왜 일본육사출신이야.. [1] 타나카 소이치로(210.107) 13.09.12 393 0
111281 재탕. 윤치호평전 마다라메 하루노부(210.107) 13.09.12 186 0
111280 청산리전투 당시 광복군 기록에 대한 검토 카스카베 사키(210.107) 13.09.12 231 0
111267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vs 윈스턴 처칠 [2] 맥스4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9.11 571 0
111266 아 시발 [1] 잉간(1.251) 13.09.11 289 0
111263 이거 소녀이야기 전제부터가 다뻥이잖아? 고이가사키 유즈(210.107) 13.09.11 246 0
111262 일제시대 강제 지원병 착출의 현황.jpg 카시와다 아카리(210.107) 13.09.11 290 0
111261 태평양전쟁이 벌어지고 산림이 황폐화됐데.. 고이가사키 모모(210.107) 13.09.11 182 1
111260 자 이제 결론이 나온다. 소녀이야기의 진실. 카시와다 나오키(210.107) 13.09.11 208 0
111259 ■일제시대 조선의 비참함을 그린 애니메이션 /강추■■ [1] 사쿠라이 아즈키(210.107) 13.09.11 419 0
111258 조선인들 일제말뚝괴담 퍼트린것도 존나어이없지. 하세가와 미도리(210.107) 13.09.11 2751 1
111257 러일전쟁에서 일본징들이 졌어야됬었는데.. 사가와 유카리(210.107) 13.09.11 273 0
111256 그러고 보니 한국전쟁때 한국군이 한 학살이 난징보다 크지 않냐? 사쿠라아즈키(210.107) 13.09.11 402 0
111255 한국이 도쿄올림픽 지지한거는 한국 국익에도 좋다. 오타리얼(210.107) 13.09.11 167 0
111254 역갤러 추천으로 로비스트 봤다. 스즈키 미츠키(210.107) 13.09.11 157 0
111253 이번 도쿄 올림픽 선정 보니까 좀 이상한게 스즈키 소타(210.107) 13.09.11 306 0
111252 친일재산환수법이 합헌결정받고, 또 그걸 .. 하토 켄지로(210.107) 13.09.11 126 0
111243 형들아 1차대전이 참호전 개돌양상이 된게 지휘관들 대갈빡이 후달려서임? [7] 궁금해(117.111) 13.09.10 453 0
111239 일본 진주만공격할때도 이긴다고 생각하고 친거임 ㅁㄴㅇㄹ(223.33) 13.09.10 272 0
111236 야 근데 히틀러 나가리시킨 미대 교수 누구냐 [1] (223.33) 13.09.09 275 0
111235 나치 독일 재무장 질문 좀 GGG(211.227) 13.09.09 253 0
111226 일본녀도 해외 원정 가는디유? 스펀지송(119.75) 13.09.08 847 1
111225 북송된 일본 여성들 스펀지송(119.75) 13.09.08 887 0
111213 환삐 환단고기가 뭐냐? 으으(220.233) 13.09.07 185 0
111209 2차 대전이 만든 열도의 성문화 [4] 스펀지송(119.75) 13.09.07 5422 0
111207 중일 전쟁에서 일본군 사상자 수 [1] 스펀지송(119.75) 13.09.07 3265 3
111202 《軍歌》大東亜戦争海軍の歌 야스쿠니(118.45) 13.09.07 122 0
111197 근데 일본은 왜 미국을 쳤냐??? [1] 대동아공영권부활(121.55) 13.09.06 513 0
111155 안네 프랑키아!우라! [3] 우라 안네 프랑키아!(175.208) 13.09.04 252 0
111148 오토 카리우스의 티거전투단 승무원 이름은 못구하나? 0707(175.119) 13.09.03 361 0
111144 1차 대전에 대해 갑자기 진짜 엄청 궁금한 게 생겼는데 [1] 부와왘(222.232) 13.09.03 265 0
111138 일본 천황인 히로히토는 절대 권력자라면서 왜 군부를 막지 못했나?? [4] 덴노헤이카(218.37) 13.09.03 442 0
111137 1차 세계대전의 전개 과정 [1] ㅁㅁㅁ(1.235) 13.09.03 347 0
111133 미느님이 경제적으로 1위국이 된 시점. ㅁㄴㅇㄹ(174.7) 13.09.03 332 0
111118 죽산 조봉암의 친일행위 하세과미도리(210.107) 13.09.02 197 0
111109 진짜 위인은 김춘추,김유신,김법민이다. 청림책사풍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9.01 275 0
111099 연합국이 정한 폴란드의 영토.jpg ㅇㅇ(175.214) 13.08.31 727 0
111096 야 여기도 역갤이 점령함?? [1] ㅇㅇ(110.70) 13.08.31 299 0
111094 한국전때 미군기병사단 (117.111) 13.08.31 312 0
111089 근데 왜 괴링이 공군사령관임? [5] 맥스4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8.31 584 0
111086 만슈타인이 힌덴부르크보다도 나은 군인임?? [2] 맥스4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8.30 616 0
111025 맥아더vs패튼vs주코프vs몽고메리vs드골vs만슈타인vs롬멜vs룬트슈테드v [8] 3423(110.47) 13.08.29 1574 1
111024 일본 장군들 가운데 뛰어난 장군은 없음? [15] 맥스4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8.29 1159 0
111022 아 학교에서 디시질하기 힘드네 닉값한다꼽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8.29 79 0
111001 컨츄리꼬꼬♪게임 연승 위해서다(14.206) 13.08.28 66 0
뉴스 윤민수X이예준, 오늘(17일) 듀엣곡 ‘결혼하지 못하는 이유’ 발매! 믿고 듣는 이별송 탄생! 디시트렌드 07.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