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드(데?) 하빌랜드 모스키토

발터소위 2006.01.09 13:34:12
조회 1824 추천 0 댓글 14


<img src="http://brd3.chosun.com/brd/files/BEMIL091/upload/2005/06/De%20Havilland%20DH98%20Mosquito%BB%EF%B8%E9%B5%B5.gif"> de Havilland DH98 Mosquito 제2차 세계대전에서 가장 큰 활약을 한 연합국의 전투기중 하나이고, 전쟁 후에는 영화의 주역(?)이 되기도 한 「Mosquito」이지만, 그 탄생은 결코 환영받은 것은 아니었다.  다른 명작 전투기들 상당수는 군이 요구하는 시방서에 근거해 설계 제작되었지만, 이 「Mosquito」는 공군의 심한 반대 속에서 제조되어 「Dunkerque 철수」 후에 3번이나 생산 계획이 중단되었을 정도였다. 동체가 전부 목제로 된 비무장의 폭격기가 결코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관료들의 반대도 있었지만, 정찰기로서 제조가 승인된 것은 1940년 3월이었다.  설계상 최고속도가 「Spitfire」보다 30km/h나 빠른 것 등을 공군 관계자의 어느 누구도 믿지 않았지만, 1941년 2월에 시험 비행을 한 원형기가 630km/h라고 하는 최고속도를 내면서, 당시의 「영국」 최고속전투기의 기록을 30km/h이상 웃돌았을 때의 공군성의 놀라움은 대단했다.  정식 채용 후의 「Mosquito」는 각종의 파생형태·개량형태가 제조되어 폭격기·정찰기·뇌격기·고고도 전투기·야간 전투기·전투 폭격기·전자전기 등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었다.  전쟁 후도「Mosquito」의 제조는 계속되어 마지막 「Mosquito」는 1950년 11월에 인도되고, 영연방 이외로도 「벨기에」, 「지나」, 「체코슬로바키아」, 「덴마크」, 「도미니카」, 「프랑스」, 「이스라엘」 등의 다수의 나라에서 사용되었다. ▣제원 ( Mosquito FB. MkVI【전투 폭격기형태】) 길이×높이×폭/날개넓이:12.47m×4.65m×16.51m/42.18㎡ 무게(자중/전비): 6486 kg /10115kg 최고속도: 583㎞/h(고도 1675m) 상승 한도10060m 항속 거리: 2655㎞ 순항속도: 523㎞/h(고도 4570m) 엔진: 롤스 로이스 「마린 XXV」수냉 V형태 12기통 1620마력×2기 승무원:  2명 무장 7.7㎜기관총×4, 20㎜기관포×4, 폭탄 최대 907kg ◈VARIANTS DH98:원형기. 마린 RM-3 SM엔진 탑재 Mosquito PR.I:비무장 정찰기형. 마린 XXI 엔진 탑재 Mosquito F.II:기상 레이다, 20㎜기관포×4 장비의 야간 전투기형태. Mosquito T.III:보조 조종 장치 탑재형의 연습기형. 마린 21, 22, 23 엔진 탑재 Mosquito B.IV(i):PR. I를 개조한 폭격기형태. 폭탄 907kg을 탑재 Mosquito B.IV(ii):최초의 생산형 폭격기. 일부 기체에는 1,800 kg폭탄용 폭탄창을 장비 Mosquito PR.IV:B.IV(ii)를 개조한 정찰기형 Mosquito B.V:날개 밑에게 무장 탑재점을 장비 한 B.IV 개량형. 생산안됨 Mosquito FB.VI:전투 폭격기형태. F.II와 같은 무장+폭탄 907kg 탑재 Mosquito B.VII:캐나다에서 제작된 기체. 장비는 B.IV(ii)에 준한다 Mosquito PR.VIII:PR.IV에 마린 61 엔진을 탑재한 정찰기형 Mosquito B.IX:고고도 폭격기형태. 폭탄 1,800kg탑재. 일부 기체는 레이다 장비 Mosquito PR.IX:B.IX와 같은 엔진을 탑재한 정찰기형 Mosquito NF.X:고고도 야간 전투기의 제안형태. 제작은 안됨 Mosquito FB.XI:고고도 전투 폭격기의 제안형태. 제작은 안됨 Mosquito NF.XII:AI Mk. 8 레이다 장비의 야간 전투기형태. F/NF.II를 개조 Mosquito NF.XIII:NF.XII와 같은 장비를 가지는 야간 전투기형 기체 Mosquito NF.XIV:NF.XIII에 과급기(過給器) 엔진을 탑재한 고고도형제안. 제작은 안됨 Mosquito NF.XV:주날개폭 연장, 여압조종석장비의 고고도 야간 전투기. B.IV 개조 Mosquito B.XVI:여압 조종석을 갖춘 B.IX 발전형 기체. 폭탄 1,800 kg탑재 Mosquito PR.XVI:B.XVI와 같은 엔진을 탑재한 정찰기형. 여압조종석 Mosquito NF.XVII:NF.II에 미국제 AI Mk. 10 레이다를 탑재한 야간 전투기. NF.II 개조 Mosquito FB.XVIII:FB.VI에 57 ㎜기관포와 로켓탄을 장비 한 대전차·대함공격기 Mosquito NF.XIX:NF.XIII를 베이스로 레이다의 교환이 가능한 기수를 장비 한 형태 Mosquito B.XX:캐나다에서 제작된 기체. 장비는 B.IV(ii)에 준한다 Mosquito FB. 21:캐나다에서 제작된 기체. 장비는 FB.VI에 준한다 Mosquito T. 22:캐나다에서 제작된 기체. 장비는 T.III에 준한다 Mosquito B. 23:캐나다에서 제작 예정이었던 기체. 장비는 B.IX에 준한다. 제작은 안됨 Mosquito FB. 24:캐나다에서 제작 예정이었던 기체. 고고도형. 제작은 안됨 Mosquito B. 25:캐나다에서 제작된 기체. 장비는 B.XX에 준한다 Mosquito FB. 26:캐나다에서 제작된 기체. 팩커드제 엔진 장비. FB. 21 준한다 Mosquito T. 27:캐나다에서 제작된 기체. 팩커드제 엔진 장비. T. 22 준한다 Mosquito T. 29:FB. 26을 개조해 제작된 연습기형 Mosquito NF. 30:고고도 야간 전투기형태. 초기의 전자 방해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Mosquito NF. 31:NF. 30으로 팩커드제 엔진을 장비 하는 제안형태. 제작은 안됨 Mosquito PR. 32:NF.XV와 같은 엔진을 탑재한 고고도 정찰기형 Mosquito TR. 33:해군용 뇌격기형태. 항공 모함 운용 장비 탑재. 무장은 FB.VI 준거 Mosquito PR. 34:추가 연료 탱크를 탑재한 장거리 정찰기형. 전쟁 후의 주력 정찰기 Mosquito B. 35:B.XVI에 여압승무원실을 장비한 발전형 고고도 폭격기형태. 취역은 전쟁 후 Mosquito NF. 36:NF. 30을 닮았지만, 보다 고고도 비행을 위한 엔진을 장비 Mosquito TR. 37:TR. 33으로 영국제 ASV. 13 레이다를 장비 한 기체 Mosquito NF. 38:NF. 30으로 영국제 AI. 9 레이다를 장비 한 기체 Mosquito TT. 39:B.XVI를 표적 예인용 기체로 개조한 후의 호칭. 영국 해군전용 Mosquito FB. 40: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제작된 기체. 장비는 FB.VI에 준한다 Mosquito PR. 40: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제작된 기체. 정찰기형. FB. 40 개조 Mosquito FB. 41:과급기 엔진을 탑재한 고고도 야간 전투기 원형. FB. 40 베이스 Mosquito PR. 41:과급기 엔진을 탑재한 고고도 정찰기원형. PR. 40 베이스 Mosquito FB. 42:FB. 40으로 마린 69 엔진을 탑재한 개조기 Mosquito T. 43: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제작된 기체. 장비는 T.III에 준한다 ⓒcopyleft 2005, 德馨堂. Copy free but source must notation. 여기서 영화의 주역이란건 633비행대대라는 영화를 말하는 겁니다. 레지스탕스의 유도를 따라 모스키토 폭격기로 독일비밀공장을 파괴한다는 내용이죠. 하빌랜드사는 45년쯤에 전금속제 기체인 호넷을 만들었는데 모스키토와 디자인상 차이점은 거의 없습니다. 갈란트는 괴링의 삽질을 비꼬기 위해 우리에게 스핏파이어를 달라고 말한적이 있는데... 괴링은 "우리는 왜 모스키토 같은 항공기를 만들지를 못하는가"라고 말했답니다. 실제로 독일공군은 모스키토에 눈독을 들이고 이 기체를 노획하거나 설계도를 입수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군요. 모스키토는 야간 전투기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여기에 대항 할 수 있는 기체는 오직 하인켈의 우후 뿐이였습니다. 우후는 2차대전 최고 성능의 야간전투기로 이 기체에 관해 언급하는 자료마다 대량생산이 되었다면 연합군의 야간폭격을 완전히 끝장 내었을 거라는 이야기가 빠지지 않더군요. 물론 하인켈은 나찌와 사이가 않좋아서 이런저런 이유로 대량생산은 안되었지만 독일공군의 비공식적인 요청으로 한달에 십몇대 정도 만들어 납품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조종사들은 우후가 착륙시 불안정한 결함이 있다고 하더군요. 어쨌든 목제를 사용하여 무게를 감량한 모스키토는 실용 주력전투기보다 더 속도가 빠른우수한 성능에 매우 다양한 임무에 사용 할 수 있는 걸작기체였습니다. 독일군이 탐낼정도로 말이죠.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80543 밑에 2차대전 프랑스 인물에 보니까 드골이 짬이 매우 안되는거 같은데 [5] 근데(119.64) 11.01.25 280 0
80542 독일군이 마켓가든 작전서 받았을때 레알 어리둥절? [6] 요하임 파이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388 0
80541 제3제국의 흥망 이거 세게적으로듀 유명한가??? 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71 0
80540 2차대전 당시 프랑스의 Char 계열 전차들. [7] M46 패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406 0
80539 정말 우리 외조부도 전쟁때 대단하긴 했나보다 [2] ㅇㄹㅇ(211.200) 11.01.25 171 0
80538 제 2차 세계대전 주요 중국 인물 목록 (육군) [4] 카이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465 0
80537 제 2차 세계대전 주요 중국 인물 목록 (정치/공군/해군) 카이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494 0
80536 종결자시리즈 [1] 항상우울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157 0
80535 스탈린, 레닌, 칼리닌 [9] M46 패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355 0
80532 궁금한게 있는게 갑자기 징기스칸이 왜나오는거지? [1] 존슨네가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82 0
80531 근데 칭기즈칸도 위대한 지도자는 맞음? [2] ㅁㅁㅁ(113.130) 11.01.25 197 0
80530 세계 5대 지도자 [13] ㅇㅇㅇ(113.130) 11.01.25 317 0
80528 hoi2 보면 중국 국가원수가 lin sen이던데 장개석이 총통아님? [12] (58.121) 11.01.25 344 0
80527 잡으면_인생역전.JPEG [7] Michael wittman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514 0
80526 제 2차 세계대전 주요 프랑스 인물 목록 (육군/해군) 카이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408 0
80525 제 2차 세계대전 주요 프랑스 인물 목록 (정치/공군) 카이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394 0
80523 나폴레옹말년에 개굴욕 당햇구나... [6] ...(112.154) 11.01.25 753 0
80522 머스탱도 날개에 연료탑재 [2] ㅋㅌㅊㅍ(121.151) 11.01.25 227 0
80521 루프트바페 행진곡이라는게 실제로 있었나? [1] Erich von Manste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332 0
80520 읭? [3] Michael wittman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5 176 0
80519 명치 유신 전에도 이미 일본에는 난학자들이 많았고 서양문물은 거침없이 받 우에스기신겐(43.244) 11.01.24 94 0
80518 일제 말기 강제징용과 강제공출은 전쟁위기상황때문에 그런거 아닌가? 다케다 겐신(43.244) 11.01.24 66 0
80517 나의투쟁 읽고난후 소감 [2] 판터(58.234) 11.01.24 259 0
80516 하루빨리 일본경제권에 귀속되서 일한연방을 다케다 겐신(43.244) 11.01.24 80 0
80515 일본은 이미 1500년대에 서양과 통상을 했다 [1] 우에스기신겐(43.244) 11.01.24 84 0
80513 아이누가 코카소이드와 무관함은 이미 알려진 사실임 [5] 다케다 겐신(43.244) 11.01.24 128 0
80512 사람들이 나보고 밀덕이라고 말하는건 좋아 .. [4] ㅂㅂ(113.59) 11.01.24 175 0
80511 동부전선에 투입돼서 처음부터 끝까지 산사람있을까? [7] ㅋㅌㅊ(124.28) 11.01.24 404 0
80510 여름옷 입고 스탈린그라드에서 겨울보낸 독일군들이 젤불쌍한거 같다 [2] ㅁㅁ(222.102) 11.01.24 304 0
80509 독일어로 된 2차 세계대전사 [3] 트랄팔마도어(122.37) 11.01.24 232 0
80508 소비에트의 위엄 [6] Michael wittman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569 0
80507 헐 미친 [1] 요사리안(122.44) 11.01.24 143 0
80506 습식 탄약고라는 물건 [1] 박 유동(125.180) 11.01.24 397 0
80505 자연보호자 김괴링.. [4] 길블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448 0
80504 미국도 소련과 냉전시기에 소련도와준걸 존나 후회하지 않았냐???????? [17] ㅇㅀㄴㅇㅎㄴ(110.12) 11.01.24 497 0
80503 근데 흥선대원군이 안까이는이유가뭐임?? [1] 항상우울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155 0
80499 아자꾸 나괌팔이나 국빠인지뭔지하는놈들이말이야 [1] 항상우울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71 0
80497 후쿠자와는 현명했다 우에스기신겐(43.244) 11.01.24 66 0
80493 유대인 600만학살설은 구라 [5] 유대인(222.239) 11.01.24 248 0
80491 제 2차 세계대전 주요 소련 인물 목록 (육군/해군) [3] 카이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1390 0
80490 제 2차 세계대전 주요 소련 인물 목록 (정치/공군) [2] 카이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774 0
80488 근데 지금 독일이 차라리 제3제국 시절보다 강대하지 않나? [1] 사라천존(218.37) 11.01.24 120 0
80486 너님들 각 전선 헬게이트 뽑으라면 어디를 [9] 탈영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288 0
80485 근데 일본은 육군이랑 해군이랑 왜 맨날 싸움? [5] 탈영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258 0
80483 그냥 궁금해서 묻는데. 탈영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33 0
80481 독일의 프랑스침공 당시 기갑군 편제보다가 궁금한 것 질문드립니다. [1] 첫새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283 0
80480 간단한 독일어 한마디 소개해준다 [9] 국빠왕(115.21) 11.01.24 490 0
80479 2대전 당시 소련에 개런드 같은 반자동소총은 없엇슴까 [5] 잉여11(119.194) 11.01.24 223 0
80478 SS 제복,,,,, [1] ㅇㅅ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123 0
80476 제 2차 세계대전 주요 영국 인물 목록 (공군/해군/해병대) 카이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4 400 0
뉴스 방시혁도 웃었다! 의정부고 졸업사진, LA 화제의 투샷 100% 재현 디시트렌드 07.2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