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밟는 순간 대참사’.. 포트홀 사고, 100% 보상받는 ‘이 방법’ 뭐길래?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14 11:42:47
조회 262 추천 0 댓글 0
														

급증하고 있는 포트홀
사고 예방법 알아보자
사고 시 보상 받는 방법은

사진 출처 = ‘Safe Paw’

겨울의 매서운 한파가 지나갈 때쯤 되면 도로 위에 달갑지 않은 손님이 찾아온다. 포트홀이다. 포트홀, 이는 도로의 틈에 내린 눈과, 그 눈을 녹이기 위해 도포하는 염화칼슘에 의해 발생한다.

포트홀은 자동차를 운전하는 입장에서 상당히 성가신 존재이다. 자칫 잘못했다간 자동차가 일부 파손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고까지 일으키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포트홀로 인한 사고, 예방과 대처까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사진 출처 = ‘The Staits Times’

사진 출처 = ‘CO-Horts’

최상책은 예방
전방 주시와 서행


한국도로교통공단이 한파가 끝나가는 시점에 항상 운전자들에게 당부하는 것이 있다. 포트홀로 인한 자동차의 파손 혹은 교통사고 유발을 피하기 위한 ‘전방 주시’와 ‘서행’이다. 포트홀을 밟아도 서행 상태인 경우, 자동차가 크게 파손되는 일은 잘 없기 때문이다.

포트홀을 밟았을 때 최악의 경우, 자동차가 제어를 잃고 휘청거릴 수 있다. 운전자가 당황해 급격한 제동 혹은 조향을 시도한다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때문에 한국도로교통공단은 매년 전방주시와 서행을 강조하는 것이다.

사진 출처 = ‘The Personal Insurance Company’

사진 출처 = Wolf & Pravato’

포트홀을 밟았을 때
서류부터 챙겨야 한다


하지만 모든 포트홀을 피하거나 서행해 지나갈 수는 없다. 포트홀을 발견하지 못하고 빠른 속도로 이를 밟았다면 자동차가 파손될 수 있다. 이때 당황하지 않고 행동한다면 절차를 거쳐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해당 파손이 노면으로 인해 발생했음을 입증해야 한다.

피해를 증빙할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다. 블랙박스 영상, 현장 채증사진, 피해 차량 사진 등이다. 사진을 찍을 때는 위치 정보가 사진에 포함되도록 설정을 바꾸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주행이 불가능한 정도로 파손이 일어났을 때는 보험사나 경찰을 부르면 된다. 보험사에는 ‘보험사 비상출동 확인서’를, 경찰에는 ‘경찰 출동 확인서’를 발급받는다면 증빙에 활용할 수 있다. 수리를 받은 뒤라면 ‘수리 영수증’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사진 출처 = ‘한국도로공사’

사진 출처 = ‘국민신문고’

조정 회의 거쳐 보상
고의만 아니라면 괜찮아


사고 위치에 따라 보상을 신청할 기관이 달라진다. 고속도로라면 ‘한국도로공사’. 국도나 시도라면 관할 지자체, 관할 주체를 모르는 경우에는 한국도로공사에서 민원을 통해 관할처를 문의하면 된다. 보상 신청을 완료했다면 조정 회의를 거치는데, 고의로 파손한 경우가 아니라면 보상에 지장은 없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가장 상책은 예방이지만, 절차만 따른다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후,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후속 사고가 없게끔 조치한다면 금상첨화다. 매년 찾아오는 포트홀 사고, 현명하게 대처하여 안전 운전하도록 하자.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gmail.com


 

뉴오토포스트 주요뉴스



▶ ‘제네시스 잡으러 왔다’.. 압도적 존재감 신차 등장에 아빠들 ‘환호’▶ ‘돈 없으면 그냥 이거 사세요’.. 사회 초년생 신차 고민, 이걸로 ‘종결’▶ 상남자 DNA ‘제대로 폭발’.. 포드 머스탱, 무려 이 모델 만든다 선언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팬덤 때문에 오히려 여론이 나빠진 스타는? 운영자 25/03/17 - -
5994 돈 좀 있는 아빠들 “최고의 선택”.. 카니발 잡을 미니밴, 결국 떴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365 0
5993 “연금만 받아도 탈 수 있다”.. 유지비, 역대급으로 저렴한 자동차 5종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197 0
5992 “믿고 탈 차가 없네” 지난 5년간 터진 국산차 역대급 결함 모음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940 4
5991 “무서워 수입차 탄다” 현대기아 ICCU 결함, 네티즌 반응 이렇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106 1
5990 “이건 세금 낭비잖아요” 1억짜리 G80 전기차, 여전히 논란인 이유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894 1
5989 세금 “10억” 썼는데 단속 무용지물.. 정부 도입했다 난리 난 ‘이것’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126 0
5988 “여기서 더 비싸져요?” 신형 G80, 제네시스가 공개한 정보 ‘충격적’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92 0
5987 아반떼 N 뺨 치는데 ‘아무도 몰라’.. BMW 숨겨진 미친 가성비 모델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161 0
5986 롤스로이스 男에 “나라 꼴 개판”.. 정부, 결국 법안 뜯어 고친다 선언 [2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1489 5
5985 “목숨 내놓고 탈 판”.. 신형 팰리세이드, 차주들 경악한 역대급 결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100 0
5984 “배달 업계만 신났네”.. 정부 오토바이 세금 ‘160억’ 쓴다 선언, 왜?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104 0
5983 디자이너 밥 굶겼냐.. 벤츠 전기차 신차, 충격 비주얼에 모두 ‘깜짝’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579 1
5982 현대차 미니밴 ‘1천만 원’.. 대체 왜 출시 안 하냐는 국산차, 대박 근황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128 0
5981 정부 덕에 “업계가 날벼락”.. 국산 하이브리드, 결국 비상 걸렸다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6395 3
5980 제발 재출시 좀 해줘.. 그 시절 카니발 ‘가볍게 압도’한 국산 미니밴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183 0
5979 3월 놓치면 “세금 폭탄”.. 운전자들 비상 터진 정부 정책, 뭐길래?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107 0
5978 “이 결말 실화야?” 강릉 티볼리 급발진 의심 사고.. 충격의 근황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1254 3
5977 주행거리 뻥튀기 “싹 잡는다”.. 칼 빼든 정부 선언에 전기차들 ‘비상’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93 0
5976 엔지니어가 까발린 중국 BYD 전기차 ‘마감 수준’.. 와 대박이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175 2
5975 “드디어 한국 온다”.. 싹 바뀐 신형 모델 Y, 전해진 근황에 ‘이럴 수가’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858 1
5974 아이오닉 5 N ‘괜히 샀습니다’.. 괴물 성능 국산 전기차, 곧 나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104 0
5973 보조금 받으면 ‘1천만 원대’.. 기아, EV2에 이어 이런 신차 출시한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83 0
5972 믿었던 아빠들 ‘발등 찍힌 상황’.. 수입차 결함, 심각한 수준 들통났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73 0
5971 대체 뭔 車길래 이 난리.. 현대기아, 초긴장 중이라는 ‘이 모델’ 정체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4 7720 0
5970 유지비 차이 ‘진짜 실화?’.. 토레스 하이브리드 VS 가솔린, 충격 결과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4 815 1
5969 주행거리 ‘700km’ 등극.. 벤츠 차주들, 복통 호소할 BMW 역대급 SUV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4 711 0
5968 카니발 “명함도 못 내민다”.. 프리미엄 미니밴, 끝판왕 모델 등장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652 0
5967 하이브리드 차주들도 ‘초비상’.. 현대기아 ICCU 결함, 충격적 상황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148 1
5966 “벤츠 차주들까지 홀렸다”.. 한국 아빠들 저격한 BMW 신차, 뭐길래?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80 0
5965 1,000만 원 ‘벌금 폭탄’.. 양심 버린 화물차 차주들, 참교육 시작됐다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003 7
5964 패밀리카 원픽 카니발.. 마침내 ‘이 모델’까지 출시 확정된 상황!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45 0
5963 가격 ‘135만 원’ 내렸다.. 포터 전기차, 화물 업계 난리 날 대박 소식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35 0
5962 스포티지 왜 사냐.. 단돈 ‘1천만 원’ SUV 신차 등장, 가성비 대박이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240 0
5961 기아, KGM “억장이 와르르”.. 픽업트럭 끝판왕, 아빠들 저격 나선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866 0
5959 ‘3천만 원대’ 가성비로 난리더니.. 결국 대박 터진 타스만, 깜짝 근황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81 0
5958 결국 ‘1억 원 돌파했다’.. 제네시스 가격표 본 아빠들 모두 ‘화들짝’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036 3
5957 ‘2천만 원’ 가격으로 사전 계약 1만 대 돌파.. 역대급 흥행 쓴 SUV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276 1
5956 ‘무쓸모 옵션’ 너무 많다.. 무쏘 EV, 이렇게만 나오면 다들 산다 난리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65 0
5955 결국 한국 출시를.. 국내 포착 샤오미 전기차, 놀라운 소식 전해졌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55 0
5954 가진 돈은 “3,500만 원”.. 아빠들 신차 고민, 절대 후회 없다는 3종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246 0
5953 “팰리세이드 취소할까”.. 압도적 존재감으로 돌아온 대형 SUV 정체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68 0
5952 폭망 직전까지 갔다는 일본 브랜드.. 결국 ‘전설의 이 車’ 부활 선언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240 0
5951 무려 “20년 만에 부활”.. 아반떼 N 씹어먹는 일본 신차, 드디어 출시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956 2
5950 카니발 “뒷통수 조심”.. 현대차 스타리아, 결국 이 모델까지 나온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664 0
5949 요즘 테슬라 “누가 사냐”.. 인기 폭발했던 전기차, 찬밥 신세 된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209 0
5948 테슬라 향해 “정면 도전한다”.. 현대차, 대박 사업 손 대겠다 선언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191 0
5947 다들 눈이 어떻게 됐나요? 기아 EV4, 디자인 논란이 터져버린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193 0
5946 “재벌들이 타는 차 아닌가” 궁금했던 이 車, 알고 보니 가격 이 정도?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179 0
5945 그냥 냅두다간 “대참사”.. 중고차 썬팅, 반드시 확인하라는 ‘이것’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271 0
5944 벤츠 저격하는 ‘이 車’에 열광.. 올해 출시 확정이라는 역대급 세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172 0
뉴스 밥상머리 교육, 전쟁터 방불케 해…한가인, ‘대치맘’ 논란 잠재울 ‘현실 육아’ 공개 디시트렌드 18: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