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타카하시 유키히로 (메인보컬, 드럼) 사카모토 류이치 (키보드) 호소노 하루오미 (베이스, 키보드)
호소노 하루오미 - 일본음악의 역사에서 단 한 명을 뽑으라면 이 사람을 뽑습니다.
일본어 락의 바람을 불어왔던 핫피 엔도, 전자음악의 선구자 YMO를 결성한 용병술의 마왕인데요.
전설적인 작곡가 오타키 에이이치와 사카모토 류이치를 일본음악의 메인스트림으로 끌어올린 그는
매번 음악적 견해 차이로 대판 싸우고 슬그머니 해체해버린다는 점에서 베이스 잡은 리더 특유의 독재적인 성격이 돋보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인품은 훌륭해요.
사카모토 류이치 - 전공투 출신 극렬좌파, 아시아 음악가로서 아카데미 + 그래미 수상의 유일무이한 업적
젊은 날의 류이치는 성격이 아주 개차반인지라, 택시 노쇼에 기사폭행은 기본. 라이브 도중 신경 거슬리는 관중에게 "입닫아라 이 자식아" 시전, 스튜디오에서 호소노 하루오미 마주치면 기분 나빠져서 빈 의자 발로 까고 갑분싸 메이킹... 화려한데요.
우여곡절 끝에 해체한 뒤 완전히 혼자가 되어 음악생활을 해나가며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인격을 바로 잡고, 영화음악의 거장도 되었다가 솔로 앨범도 다작하고 어느새 지금의 사카모토 류이치가 되었습니다.
타카하시 유키히로 - 범재
그가 말하길 "사카모토 류이치는 귀재, 호소노 하루오미는 저렇게 생겼지만(笑) 천재, 반면 나는 범재였기 때문에 두 사람의 관계를 이어나가는 역할을 맡았다."
저 두 사람만큼 명망 자자한 거장 취급까지는 아니지만... 이분도 음악 잘하고, 대인관계 원만한지라 사이 험악한 호소노와 류이치를 어찌어찌 붙잡아줬던 YMO의 링고 스타입니다.
0집 호소노 하루오미의 Paraiso
1집 Yellow Magic Orchestra
2집 Solid State Survivor
3집 X∞MULTIPLIES
4집 BGM
5집 Technodelic
6집 Naughy Boys
7집 Service
저는 제 맘대로 4집부터 시작할게요.
2집 Solid State Survivor의 대흥행으로 하루아침에 국민 밴드가 된 YMO
핫피 엔도의 베이시스트로 유명했던 호소노 하루오미, 사디스틱 미카 밴드의 드러머로 나름 이름있었던 타카하시 유키히로와 달리
무명의 음악가 사카모토 류이치는 몇몇 음악가들의 키보드 세션을 맡을 뿐이였습니다.
극도로 내향적인 음악가였던 류이치는 아르바이트로 생각했던 YMO 활동이 졸지에 일본 전국을 휩쓸자
그 유명세 때문에 대인기피증 걸리는 듯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자신을 이 상황으로 내몰은 호소노 하루오미와 YMO에게 큰 반감을 가지고 두 번째 솔로 앨범 만들면서 잠적하기도 합니다.
본인의 세 번째 앨범 <왼손잡이의 꿈>을 만들 무렵에는 증세가 한결 나아져서 YMO의 4집 BGM에 다시 참여하게 되는데요.
그러나 이 시기에도 호소노 하루오미에 대한 반감은 여전했답니다.
멤버 소개에서 얘기했듯 의자킥에 능숙했던 류이치와 반목 끝에, 호소노와 류이치는 스튜디오 작업시간을 찢어놓고 눈 마주칠 일 없게 되었고요. 언제나 화해는 유키히로의 몫이였습니다.
범재 타카하시 유키히로는 이 기간에 터져나왔던 사리를 악상으로 승화하여... 호소노 하루오미와 손잡고 명곡 하나 만들게 되죠.
BGM 앨범을 대표하는 명곡, Cue입니다. 들어보세요.
저명한 음악 평론지 피치포크는, 제가 알기로 아시아 대중음악의 최고 평점인 9.2점을 선물합니다. 맘에 들었나봐요.
Cue의 작업과정에서 호소노 하루오미는 Ultravox의 파격적인 신곡을 본받자는 제안을 해서
유키히로는 열심히 열심히 따라만들고
사카모토 류이치는 옆에서 보다가 "이거 파쿠리잖아 미친 놈들아" 일갈하며 사보타주에 들어갑니다.
훗날 호소노 하루오미는 류이치 옆에서 회상하기를... "쟤가 권위의식을 워낙 싫어하는 반골이고, 나는 쟤보다 5살 많은 리더였으니까 뭐 하는 것마다 맘에 안 들었나봐."
아주 단단히 화가 난 사카모토 류이치, 데뷔 앨범의 타이틀 트랙 'Thousand Knives' 느낌으로 한 곡 만들어달라는 호소노의 요청에
"천 개의 칼날이 그렇게 좋으시면 그대로 실어드리지" 이런 속내를 담아 조금의 각색 끝에 그대로 집어넣고 발매하게 됩니다.
음... 결론은 위대한 예술가들이 대판 싸울 때 좋은 음악이 나오게 된다는 생각이네요.
다음 이야기로 갑시다.
듣다보면 밴드가 유지되는 게 신기하잖아요. 그 내막에는 소속사 Alfa Records에서 "솔로 앨범 만들게 돈 줄테니까 YMO 계속 이어나가주세요."
그런 속사정이 있었습니다. 악상이 차고넘치는 류이치는 알겠다고 그랬던거죠.
하지만 그것도 정도껏이지, 5집 Technodelic을 낸 뒤 YMO는 슬슬 해체각을 잡습니다.
적지 않은 앨범의 발매, 분쟁의 지속 등으로 피로감을 느낄 때쯤?
YMO는 반바퀴 전향을 시도합니다.
6집 Naughty Boys 발매. 바람둥이 우리들.
?

??
타이틀 트랙, 너에게 심쿵. ???
그들의 막판 승부수는 '귀염둥이 아저씨들'
팝스타 아이돌 YMO였습니다.
결과적으로 또 다시 대흥행.
반골 류이치.

이번에도 뿔났지만,

영혼없지만...

뮤비 촬영 끝나갈 무렵에는 저 두 명에게 동화되어
춤사위를 즐기는 모습, 보여주셨습니다.
YMO는 6집으로 사실상 끝을 보게 되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호소노 하루오미는 역사에서 전설이 되었고
사카모토 류이치는 길었던 만남 끝에 어른이 되었고
타카하시 유키히로는

링고 스타랑 사진 한 장 찍었습니다.
공통점으로는 천재 둘 사이에 껴서 수고 많았던 두 사람이죠. 그저 친목질 GOAT.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