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고균을 끈질기게 쫒아온 천적: 고균바이러스앱에서 작성

ㅇㅇ(1.226) 2024.12.03 00:55:01
조회 22924 추천 121 댓글 67

28b9d932da836ff53def82e74f867369a407b623da57d59c76111b713a3e5f0d5c

28b9d932da836ff53def83e74483776d6e38a527bf9a70ddd057ebe7a323e43a57



​고균(고세균, Archaea)​은 박테리아와 비슷하게 생겨 동일하거나 친척으로 혼동하는 경우가 잦다

실제로 연구 초기에는 박테리아로 오해되기도 했지만 1977년 칼 후스가 생물 분류의 가장 큰 단위인 역 단위에서부터 갈라지는 전혀 다른 생물군이란 것을 밝혀냈다

둘은 형태를 제외하면 세포 구조와 대사 방식 등 모든 것이 다르며, 오히려 유전적으로는 고균과 인간 쪽이 더 가까운 편이다




3fb8c32fffd711ab6fb8d38a43dc2525ff3d5d35ae9b8bfb029600fcc104b32adf31d8fb63fd0d47c8



일부 고균은 인간의 장과 같은 상대적으로 평범한 환경에서 발견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펄펄 끓는 온천이나 산성 호수 등 극한의 환경에서 발견된다

그 이유는 실온 환경에서 펼쳐진 박테리아와의 경쟁에서 밀려났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가혹한 환경으로 밀려날 당시에는 수많은 고균들이 죽어 나갔겠지만, 적응을 완료한 지금은 오히려 그 환경이 자연 방벽이 되어 다른 생명체와 경쟁할 필요한 적은 안정적인 서식지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곳까지 질리도록 따라온 천적이 있었으니 바로 ​고균바이러스Archael virus​




3fb8c32fffd711ab6fb8d38a44e310654ed2a9b6946f1136ebb241f4ea4898693c489e5ba7f262

-산성 온천에서 고균을 감염시키는 고균바이러스


최초로 고균바이러스를 발견한 것은 1974년으로,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같이 파지Phage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둘의 차이가 알려진 후로는 고균바이러스에 있어 파지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지양되고 있다 [1]

※고세균 또한 이전 명칭인 Archaebacteria를 직역한 것으로, Archaea의 번역명으로 고균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됨

하술할 연구의 난점 때문에 고균바이러스에 대해 알려진 것은 매우 적지만, 그럼에도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성이 알려졌다




3fb8c32fffd711ab6fb8d38a42857c6c9082cbc4a564919f6e074b18c001765da21cfe370c3b50955fbf96a91bcf3598159d62e1

-고균바이러스의 여러 형태


우선적으로 돋보이는 건 형태적 특징이다

고균과 박테리아가 외형이 매우 유사한 것과 대조적으로, 그 바이러스들은 상당한 외양 차이를 보인다

파지는 대부분 머리-꼬리 구조를 가지지만 고균바이러스는 막대, 병, 레몬(방추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그 중 레몬(spindle-shaped virus)형태는 파지나 진핵생물 바이러스에서 발견되지 않는 고균바이러스만의 특징으로, 바이러스의 조상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2]




3fb8c32fffd711ab6fb8d38a43f32d3eed1efa9fe0b77aa811d33b2ec6989f9328cdd0e7f90b856bcb5c1afd074d5a

3fb8c32fffd711ab6fb8d38a4080736ec2a3107ac32806c900db6f2f0177a7914272ce037c27d057cc

-비카우다바이러스의 형태와 숙주 부착 방식. 숙주를 감지하면 두 꼬리를 이용해 표면을 감싸안듯이 부착한다



고균바이러스 중 일부 ​비카우다바이러스Bicaudavirus​는 양 옆으로 돌출된 꼬리를 가진 것이 특징인데, 이것으로 숙주세포 감지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그 외형만으로 이미 눈길을 끌지만, 더 특이한 점은 저 꼬리가 ​’숙주세포 외부’​ 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3fb8c32fffd711ab6fb8d38a40fe00194664b87dcd6092ecf9561aae99e02dd9895a3b36901b80131b82312c33370f511596253f8145e8247b724566569357503cfd81

-비카우다바이러스의 생활 주기. a-c: 감염 및 방출, d-h: 세포 외에서 꼬리 발달


갓 숙주세포에서 방출된 상태의 비카우다바이러스는 꼬리가 없이 레몬형의 몸통만 존재한다

그러나 주위 온도가 75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독자적으로 꼬리를 만들어 낸다

이는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외에서 활동을 하는 유일한 사례이며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해 일어나는 작용은 아니며, 세포에서 방출될 때 가져온 일부 ATP를 이용해 꼬리를 만든다는 추측이 존재한다 [3]




3fb8c32fffd711ab6fb8d38a4180736e57e4ecedd341efab6f8d1674195d11a4f6ca4055208f0bc2c1f3

-숙주 박테리아를 터뜨리고 탈출하는 박테리오파지


다른 특징으로는 숙주세포를 죽이지 않고 증식하는 ​지속감염Persistent infection​의 형태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4]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복제를 마치고 세포용해를 통한 탈출로 숙주를 죽이는 경우가 많다




24b0d719b08a3cf63eb9d4e74382226d9b7f7802b1454c7425ec8e487a0ca5f5

-진핵생물 바이러스의 출아 모델

28b9d932da836ff53def82ec4283706aa26d80b37890d32f482b3c95aa7ba6e0c1

-숙주 고균을 죽이지 않고 빠져나가는 고균바이러스


그러나 고균바이러스는 숙주를 살려 둔 채 출아budding​의 형태로 탈출하며 바이러스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게 만드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극히 드물게 숙주 고균에게 환경 저항성을 올려주는 등 공생에 가까운 형태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숙주를 개조해 죽지 않을 정도로만 살려둔다

지속감염은 진핵생물 바이러스에서 종종 보이는 감염 형태지만 원핵생물에 있어서는 굉장히 드물었는데, 오히려 고균바이러스는 대부분이 이 감염방식을 취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상태에서 숙주의 성장은 비감염시보다 느려지지만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바이러스의 방출량도 폭발적이진 않으나 장기적으로 보면 숙주를 용해시키는 것보다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다




28b9d932da836ff53def82ec42857165f597c355f4aafc9f07e46b0ddfa897d7c5e4

-고균의 세포막과 박테리아진핵생물의 세포막 차이


이런 방식을 택한 이유로는 우선 박테리아와 고균의 세포막 성분과 구조가 달라 숙주 탈출을 위해 별개의 기작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있다

또 다른 이유로는 극한환경의 특성상 주변 세포 밀도가 낮아 섣불리 세포를 죽이고 나갔다간 다른 숙주를 찾기 어렵다는 점 때문으로 추측한다 [4,5]




28b9d932da836ff53def82ec428874641c5f6547cdaab85b71a1dbeb644f327210

-고균바이러스 연구사


2022년 기준 식별된 고균바이러스는 135종에 불과하다

박테리오파지가 8천여 종, 진핵생물 바이러스가 4천여 종 이상 식별된 것에 비하면 새발의 피 수준인 셈이다

심지어 진핵생물 중 극히 일부에 해당하는 인간 감염 바이러스가 270종인데 그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비교적 늦은 1974년에 발견된 것을 감안하고도 매우 적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그에 대해 몇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28b9d932da836ff53def82ec43897c6b3fe39b6e465ee56f5e0f9c2a0304e6d017



우선 고균바이러스 유전자는 75-85%가 다른 바이러스나 생명체와 전혀 관련 없는 고유한 단백질을 인코딩한다

그 때문에 기존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서열을 이용한 비교 연구가 어려워 일일이 기초부터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6]




28b9d932da836ff53def82ec438575643516e61b79a83dcf561121a6719cf1f6c0


고균바이러스는 극한의 환경에서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전공학적 연구 가치가 있지만, 연구가 더딘 이유가 바로 그 극한환경 때문이기도 하다




28b9d932da836ff53def83e54f807c64077b348612fbfadca358f590f9d1c0da9d

-박테리오파지 분리 실험의 일부. 첫 단계에서 숙주에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원활한 바이러스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배양을 해야 되는데,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할 수 없으니 숙주 세포를 먼저 배양한 후 바이러스에 감염시키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문제는 실험실 환경에서 숙주인 고균 배양을 위한 극한환경 조성이 기술적으로 쉽지 않아 첫 단추부터 난관인 상황이다

어떻게든 고균을 배양하고 감염시키는 것까지는 성공했다고 쳐도, 전술했듯 바이러스가 스스로 터져 나오는 것이 아니고 세포 내에 계속 존재하기 때문에 둘을 따로 분리해 내는 번거로운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4]




28b9d932da836ff53def82ec4183766443d0bbf789419645cb097a6831e106190f


외적으로는 연구비 지급 순위도 중요한 이유로 꼽을 수 있다

고균바이러스 연구는 고균 연구와 상호작용해야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고균이 너무 온순하기 때문에 그 단계부터 연구의 우선순위에서 밀린다는 것이다

고균은 인간을 포함한 동식물뿐 아니라 다른 어떤 생물에게도 병원성을 가지지 않는다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의 경우는 당장 인간에게 눈에 보이는 피해를 주니 예산 분배에 있어서도 최우선에 위치하지만 고균 분야는 그렇지 않다




3fb8c32fffd711ab6fb8d38a4785293c8c93090c66031e2f3485dac4a8f6e04d9f1ea50275fcf360c1ec3aa594


요크대 생물학과에서 고균을 연구하는 미생물학자인 제임스 총 교수는 2017년 투고한 사설에서

“고균이 비병원성이란 점은 자금 지원 신청서를 작성할 때 항상 큰 단점이 된다. 누가 아무것도 죽이지 않는 미생물에 대한 연구에 자금을 지원하려고 할까?”

라며 농담 섞인 한탄을 한 적도 있을 정도다




3dbcc027e2dd07f739ec85e54381746577778b0b2aba684c8c2c0a57667b6138711186cf

-진화학, 병리학, 환경학 등 다양한 고균바이러스 연구 분야

a65614aa1f06b367923425495e806d733611703c3679d6b0707889c4044d58

-충북대의 질소순환 관련 고균바이러스 연구


여러 어려움으로 인해 고균바이러스 연구는 연구자들조차 걸음마 단계임을 인정하며 실제 산업적 이용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여겨진다 [7]

다만 충분한 토양만 다져진다면 다방면의 연구 거리가 산재해 있기에 기후변화, 유전공학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1. Abedon, Stephen T, and Kelly L Murray. “Archaeal viruses, not archaeal phages: an archaeological dig.” Archaea (Vancouver, B.C.) vol. 2013 (2013): 251245. 

2. Wang, Fengbin et al. “Spindle-shaped archaeal viruses evolved from rod-shaped ancestors to package a larger genome.” Cell vol. 185,8 (2022): 1297-1307.e11

3. Uldahl, Kristine B et al. “Life Cycle Characterization of Sulfolobus Monocaudavirus 1, an Extremophilic Spindle-Shaped Virus with Extracellular Tail Development.” Journal of virology vol. 90,12 5693-5699. 27 May. 2016,

4. Kuiper, Bastiaan P et al. “Archaeal virus entry and egress.” microLife vol. 5 uqad048. 3 Jan. 2024,

5. Quemin, Emmanuelle R J et al. “Eukaryotic-Like Virus Budding in Archaea.” mBio vol. 7,5 e01439-16. 13 Sep. 2016

6.Krupovic, Mart et al. “Viruses of archaea: Structural, functional, environmental and evolutionary genomics.” Virus research vol. 244 (2018): 181-193

7. Wirth, Jennifer, and Mark Young. “The intriguing world of archaeal viruses.” PLoS pathogens vol. 16,8 e1008574. 13 Aug. 2020,









출처: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21

고정닉 39

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말고 매니저 했어도 잘했을 것 같은 계획형 스타는? 운영자 25/01/13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2645/2] 운영자 21.11.18 9866290 503
297934
썸네일
[아갤] 애플페이 확대되자 수수료 협박하는 삼성전자
[6]
ㅇㅇ(118.235) 13:05 187 2
297932
썸네일
[싱갤] 코인으로 빚이 생긴 사람들
[44]
또또장금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0 3673 10
297931
썸네일
[카연] [함자] BTS 무시하다 땅을 치고 후회하는 만화 (4)
[40]
헬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5 2866 70
297929
썸네일
[야갤] MBC 오분순삭 고소하려했던 박명수
[69]
야갤러(211.234) 12:50 3085 36
297926
썸네일
[만갤] 닌텐도 스워치2.....드디어 정식공개.......jpg
[127]
pond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0 4985 21
297925
썸네일
[싱갤] 푸하하하 미국 LGBT VS 페미 내전 시작
[142]
댕댕이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5 9264 106
297923
썸네일
[대갤] 日, 70대 노인들의 기묘한 삼각관계... 폭행에 출혈까지?!
[4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4422 70
297922
썸네일
[의갤] 세계 최고 수준이라던 의주빈들 수술실력
[16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5 6999 121
297920
썸네일
[싱갤] 부산 골목길에서 공포를 느꼈다는 UFC 선수
[128]
허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0 17354 177
297917
썸네일
[국갤] 이재명 현재 상황...gif
[3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0 24953 781
29791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스타쉽 추락
[204]
흑두루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5 13683 40
297914
썸네일
[던갤] 유튜브 골드버튼을 갖게 된 대한민국 최초의 게임 회사...
[261]
산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28085 283
297913
썸네일
[싱갤] 고구려 사극 레전드.JPG
[183]
ㅇㅇ (39.112) 11:55 10604 102
297910
썸네일
[누갤] 콜롬비아 픽처스 오프닝 여성은 누굴까
[4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5895 30
297908
썸네일
[대갤] 日, 권총부터 대전차포까지 불법 제작하던 남성 체포... 상상초월 무기고
[131]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0 7362 144
29790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오늘자 FPS 대회 남녀대결 명장면.gif
[1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5 15002 74
297905
썸네일
[카연] 내가 4년간 히키코모리로 살았던 이유
[188]
동현이졸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12223 166
297904
썸네일
[미갤] 서울구치소 대통령 경호 사실상 무방비 ㅆㅂ
[381]
ㅁㄴ(175.213) 11:25 14488 316
297902
썸네일
[새갤] JTBC) 홍콩 기자한테도 쌍욕 박는 내란견들
[362]
업무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10459 125
29790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동파육 논란
[193]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5 16599 4
297900
썸네일
[미갤] 1월 17일 시황
[50]
우졍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5064 19
297898
썸네일
[국갤] 김용현 장관 입장문
[177]
코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8532 448
29789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기안84가 아내에게 아침밥을 원하는 이유.jpg
[339]
최강한화이글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27702 220
297896
썸네일
[K갤] 전타갤에 대한 이범호의 대답
[33]
명장이버모(211.234) 10:55 6329 127
29789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남성이 런던에서 감동받은 이유
[147]
퓨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13668 22
297892
썸네일
[야갤] 윤카측 "공수처, 조폭처럼 도장 뺏아... 관저진입 공문위조 분명"
[385]
야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23758 971
297890
썸네일
[잡갤] 동덕여대, 학생에 두 차례 내용증명…"억울한 일 없도록 진술하라"
[179]
츄모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5 13662 197
29788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전라도 미용실
[27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24753 320
297888
썸네일
[치갤] 반려견 '파양'하고 SNS에 전시한 인플루언서. JPG
[162]
슈마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5 12497 43
297886
썸네일
[대갤] 연이은 지진에 후지산 폭발 대비하는 日... 일본 멸망 시나리오?!
[226]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9644 183
297885
썸네일
[기갤] 윤석열 서울중앙지법 체포적부심 기각과 어제 서부지법 시위
[349]
ㅇㅇ(59.21) 10:15 11296 144
297884
썸네일
[해갤] 경호처 60주년 행사서 윤버지 헌정곡 합창
[290]
도긩찬호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9922 142
297882
썸네일
[싱갤] 기생수는 마음만 먹는다면 평생 돈 받고 살수 있을까?
[1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5 16836 65
297881
썸네일
[더갤] 전광훈 "기회 줄 테니 기다려서 효과 있는 죽음을…"
[2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10682 84
297879
썸네일
[기갤] 김민희, 임신 6개월 포착…홍상수, 64살 아빠 된다.jpg
[33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0 18949 101
297876
썸네일
[두갤] [역대 베어스 주전] 1루수 정리편 (장문)
[45]
랄라베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5535 67
297874
썸네일
[일갤] 일붕이 오사카행 아시아나 비즈니스 탑승 및 라운지 여행기
[88]
샛별이반짝이는새벽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8913 32
29787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녀식 우정.png
[336]
ㅇㅇ(218.233) 09:10 27163 324
297870
썸네일
[나갤] 온라인 광고는 사실상 경제적 해자다
[128]
거시팀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0 15741 86
297868
썸네일
[일갤] 첨 일본가는자의 도쿄 3박4일 여행기
[47]
설환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0 7675 42
297866
썸네일
[모갤] 대교공 선로 무단침임 VOC 결과
[14]
대경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0 10862 48
297864
썸네일
[싱갤] 억울억울 갑자기 집이 없어진 할머니
[4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19935 143
297862
썸네일
[J갤] 100만원 짜리 조커 피규어 노답 퀄리티 모먼트모음
[109]
J갤러(121.172) 08:20 17239 79
297860
썸네일
[비갤] 유럽도 지금 우리나라처럼 전쟁중이다............txt
[270]
ㅇㅇ(112.150) 08:10 25386 606
297858
썸네일
[인갤] 상점 공개 2일차, 위시 1000 달성
[27]
에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0 9282 50
297854
썸네일
[카연] 숲속의 여인과 최강의 검 (p 5화
[22]
일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6972 57
297852
썸네일
[유갤] 뉴비받아라! 백패킹 첫 1박 후기
[65]
엄살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6789 24
297850
썸네일
[배갤] 북유럽의 펍
[37]
박기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0 8397 21
297848
썸네일
[미갤] 거식증 금쪽이 근황
[255]
ㅇㅇ(146.70) 07:10 24714 28
뉴스 이세영, 나인우와 포상 휴가 원해…손흥민 직관보다 소중한 이유는? 디시트렌드 01.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