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먹고살기 너무 힘든데… 가구 빚, 사상 처음 줄어들었다?...jpg

예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2.10 13:45:01
조회 17953 추천 25 댓글 138

a16711aa372a68f63ff1c6bb11f11a393e65753be84e80a61c70

a16711aa372a68f63cf1c6bb11f11a39ec405d33bce48a93efc1

a16711aa372a68f63df1c6bb11f11a398d07dfbc36345d2436bd

a16711aa372a68f63af1c6bb11f11a394b37fd04efa01c13a221

a16711aa372a68f63bf1c6bb11f11a3950cb988645e5251536f8

a16711aa372a68f638f1c6bb11f11a395a70814ebf9468120cdf

a16711aa372a68f639f1c6bb11f11a3947702c7ad3944c1c7dd5

a16711aa372a68f636f1c6bb11f11a3977e2de190a8e3e6f63cd

a16711aa372a68f637f1c6bb11f11a39ccfae5681eb6af48ad32

a16711aa372a68f73ef1c6bb11f11a39a8c1dc0c4b0ef35e2ed0

a16711aa372a68f73ff1c6bb11f11a390e4a55e7b5c51fbf5ece

a16711aa372a68f73cf1c6bb11f11a39643f01c19e25b5badf6a

a16711aa372a68f73df1c6bb11f11a3989e32d305693ef0eaba7

a16711aa372a68f73af1c6bb11f11a39e941b53647d9272928d2

a16711aa372a68f73bf1c6bb11f11a398a2d48772e09c1b75bfd

a16711aa372a68f738f1c6bb11f11a39bf4cdbb7404d6fa6aef2

a16711aa372a68f739f1c6bb11f11a39ddf40f8820d3452db2e2

a16711aa372a68f736f1c6bb11f11a390774c7c281933a59ee1b

a16711aa372a68f737f1c6bb11f11a39f2c883be22fe42c389a6

a16711aa372a68f43ef1c6bb11f11a39c19e6018696b8e283496

a16711aa372a68f43ff1c6bb11f11a39747ee5781b0649662a1f

a16711aa372a68f43cf1c6bb11f11a39c041c7544d96030897fb

a16711aa372a68f43df1c6bb11f11a394f2a92ad61201f919d01

올해 우리나라 사람들의 살림살이를 살펴본 통계가 새로 나왔죠. 가구 빚이 사상 처음으로 줄어든 걸로 나왔는데, 그 이유가 좀 의외라고요.

3월 초를 기준으로 하는 조사이기 때문에, 사실 시차는 좀 있지만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통계라서 아주 실시간으로 보기는 힘듭니다.

그래도 정부 정책 같은 걸 세울 때 가장 기본으로 참고하는 공식 자료이기 때문에 한 번 살펴보는 게 의미가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가구당 빚 평균 부채가, 가구당 9천 128만 원인 걸로 나와서요.

지난해보다 0.6%가 줄었습니다.

가구당 평균 부채의 규모가 줄어든 건 사상 처음으로 나타난 모습입니다.

기록적인 가계부채가 내수 부진의 큰 이유 중 하나로 꼽히는 상황에서 잘 납득이 가지 않는 결과죠.

평균에 함정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가계 빚이 줄었다기보다는, 그만큼 아직 빚을 많이 내지 않은 청년 1인 가구나 고령 가구가 늘어난 게 원인으로 보인다는 겁니다.

이를테면, 예전 같으면 젊어서 졌던 빚을 다 갚고 자녀와 함께 생활했을 노인이나 부모님 집을 떠나서 자취하는 대학생, 직장인 이런 사람들이 1인 가구로 분화되면서 가계부채 전체를 가구 수로 나누면 줄어들어 보이게 됐다는 겁니다.

다만 지난 1년 동안 우리나라 사람들의 자산과 소득이 불어나는 속도가 빚이 불어나는 속도보다 더 빨랐다고 볼 수는 있는게요.

평균 자산과 소득은 이렇게 늘어난 1인 가구들을 포함해서 n분의 1로 나눠봐도 확실한 증가세를 그렸습니다.

소득은 전체적으로 비교적 고르게 올랐는데요.

자산에서는 부자들이 좀 더 부자가 되는 모습이 나타나면서 평균이 증가했습니다.

이 통계를 보면 가구소득이 늘어난 폭은 꽤 큰데, 그중에서 2030 가구는 좀 예외였네요.

일단 평균 연 소득을 보면 가구당 7천 185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에 비해서 6.3%, 매달 35만 원 정도씩 늘어난 꼴이어서요.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1년 이후로는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이런 통계에서 제일 많이 물어보시는 게 세전이냐, 세후냐인데 친절한 경제뿐만 아니라 다른 기사를 보실 때도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늘 세전이 기준입니다.

하지만 평균은 흐름을 보느라 보는 숫자이지, 바로 우리 집에 대입하면 거리감이 느껴지죠.

1인 가구를 포함해서 우리나라의 집들을 쭉 한 줄로 늘어세웠을 때, 딱 가운데 오는 집의 연간 소득 딱 중간 소득은 5천681만 원이고요.

많이 궁금하시는 대로 세금 같은 거 다 빼고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보면 전체 가구의 42% 가까이가 연간 4천만 원 미만입니다.

그리고 39세 이하에서는 가구 소득이 1년 전보다 1.1% 늘어나는 데 그쳐서요.

8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이것도 2030세대에서는 아직 학생인 경우처럼 소득이 낮거나 아직 없는 1인 가구가 크게 늘고 있는 게 주된 이유라고 통계청은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전부라기에는 최근 고용 상황을 봤을 때 특히 청년층의 고용률이 낮아지고 있는 현상도 무관하게 볼 수 없을 걸로 분석됩니다.

가구당 자산은 평균이 5억 4천 22만 원이었는데요.

사실 딱 중간 수준의 집을 다시 보면 3억 645만 원 정도입니다.

다만 자산 격차는 소득과 달리 좀 더 벌어지는 모습이 뚜렷했습니다.

상위 순자산 20% 가구의 평균 자산은 16억 2천 291만 원 수준이어서요.

하위 20% 가구 순자산의 42배에 달했습니다.

1년 전엔 39배 수준이었는데, 그 격차가 더 벌어진 겁니다.

이 통계가 매년 발표되는 거죠. 이 통계가 예산도 꽤 들어갔을 거고, 여러 기관이 참고할 중요한 자료일 텐데 이게 발표 날짜가 처음으로 연기가 됐네요.

사상 초유의 일이 있었습니다.

원래는 지난 5일에 나오기로 돼 있었던 통계였는데 9일로, 어제로 미뤄졌습니다.

계산이 잘못된 데가 있었다는 건데요.

국민들의 살림살이를 워낙 광범위하게 파악하는 조사다 보니, 가구당 일일이 파악이 어려운 특정 정보들에 대해서는 정보가 있는 집의 자료를 가지고 산식을 만들어서 정보가 없는 집에 대해서도 추정하는 방법을 쓰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산식에 애초에 장기요양보험료 정보를 잘못 집어넣은 걸 뒤늦게 발견했단 겁니다.

통계청이 자료 작성의 체계를 한 번 점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일인데요.

다만 혹시 계엄 사태와 관련 있는 일이 아니냐는 의문에 대해서는 이미 한 달 전에 있었던 실수를 뒤늦게 발견한 거다, 무관한 일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출처: 미국 주식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5

고정닉 5

2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입금 전,후 관리에 따라 외모 갭이 큰 스타는? 운영자 25/01/20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2653/2] 운영자 21.11.18 9979681 504
299409
썸네일
[잡갤] 송유관 기름 절도하기 위해 26m 땅굴을 삽과 곡괭이만 써서 판 범인들
[5]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5 354 3
299407
썸네일
[기갤] ???: '제발 영화 재밌게 봐주세요' 이런 약한 말 하고 싶지 않아요
[31]
긷갤러(211.234) 21:35 1879 10
299405
썸네일
[판갤] 아니 미국에선 월300이 저소득층의 표본이야?
[128]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25 4859 28
299401
썸네일
[디갤] 미세먼지에 파묻힌날 사진
[49]
asev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 3041 17
299399
썸네일
[러갤] 중국 핵잠수함 침몰의 대반전
[96]
배터리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5 6639 88
29939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주성치식 은행강도
[77]
직무매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5 10420 121
299395
썸네일
[유갤] 한국에서 장사하는 일본인의 독도 발언
[173]
ㅇㅇ(149.36) 20:35 9314 155
299393
썸네일
[야갤] 신라인들이 해산물을 많이 먹었을거라 유추한 이유
[201]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 9987 24
299391
썸네일
[카연] [함자] BTS 무시하다 땅을 치고 후회하는 만화 (5)
[37]
헬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5 7997 81
299389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모든 질문에 대답해야하는 남자
[118]
ㅇㅇ(211.186) 20:05 13940 55
299387
썸네일
[잡갤] "대학 못 간다" 학폭 인정 대신 '맞폭'…
[197]
묘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55 15411 49
299385
썸네일
[미갤] 트럼프 "초대형 프로젝트를 싹 다 미국에서!"…초대받은 '빅테크 거장들'
[231]
빌애크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45 13141 205
299383
썸네일
[국갤] 전한길쌤 민주파출소 고발 관련 새글 떴음!!
[367]
ㅇㅇ(125.141) 19:35 21837 1751
29937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당나라군을 충격으로 빠뜨린 연개소문.JPG
[318]
ㅇㅇ(183.90) 19:15 13048 176
299377
썸네일
[오갤] 만든것도 기추로 봐줌??
[31]
Sennebog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5 6591 67
29937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에너지 개쩌는 백종원
[19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55 15594 57
299374
썸네일
[이갤] 문과생들이 높은 대학 낮은 과를 지원하는 이유
[324]
ㅇㅇ(185.44) 18:50 18189 120
299372
썸네일
[카연] 수인과 동거하는 만화 4화
[39]
카갤러(211.219) 18:45 6176 61
299370
썸네일
[대갤] 中, 욕심이 부른 아찔한 사고... 얼음 낚시의 악몽
[149]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40 11400 148
299368
썸네일
[잡갤] 일본 여행중인 덱스에게 먼저 다가온 일본 누나 ㄷㄷㄷ
[257]
후우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35 21232 45
29936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시장을 뒤집었던 고든램지
[162]
아싸아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30 24385 131
299364
썸네일
[기갤] 틈만나면 김종국 모음 ㅋㅋㅋㅋㅋㅋㅋ
[78]
ㅇㅇ(106.101) 18:25 9562 14
299362
썸네일
[이갤] 시진핑에 틱톡 미중 합작법인 청구서 들이민 트럼프
[113]
세티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0 9330 25
299358
썸네일
[싱갤] 일본 호빠에 중독된 한국 여성
[4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 38895 305
299356
썸네일
[최갤] 이대은 위상 변화 ㅋㅋㅋㅋㅋ
[25]
몬붕이(118.40) 18:05 12690 62
299354
썸네일
[이갤] 다른 사람 눈치 보지 않고 줏대 있게 사는 법
[167]
ㅇㅇ(149.88) 18:00 12491 56
299352
썸네일
[중갤] 민주당 "여론조사 관리 강화법" 발의!!!
[5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5 13498 249
299350
썸네일
[국갤] 념글 요청) 충격적인 탄핵 찬성 집회 근황
[512]
ㅇㅇ(112.163) 17:50 15564 779
299348
썸네일
[야갤] 2018년과 움직임 유사...움직이는 북한
[57]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5 10922 34
299346
썸네일
[싱갤] 명문대생들과 미용과 학생들의 희망소득 차이
[251]
ㅋ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0 17769 147
299344
썸네일
[미갤] 미세먼지는 담배보다 덜 해롭다는 주장은 사실일까?
[160]
ㅇㅇ(1.216) 17:35 11840 175
299342
썸네일
[미갤] 누적 사랑니 발치 20만개 넘은 치과.jpg
[338]
ㅇㅇ(173.205) 17:30 20442 100
299340
썸네일
[싱갤] 슈카에게 심술난 사람들..
[300]
학생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25 20559 160
299336
썸네일
[야갤] "입장 없다구요!!" 줄행랑…'법원 런' 이 사람이었다
[91]
동훈삼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5 10907 58
299334
썸네일
[부갤] 보험설계사들 “월급관리” 투자 꾀어…청년들 최고 수억 떼일 판
[99]
부갤러(211.234) 17:10 11036 33
29933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딸한테 온 신검 통지서.jpg
[304]
최강한화이글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 41162 314
299330
썸네일
[중갤] 윤석열 생일에 여경들 불러서 30만원씩 줘.jpg
[696]
맛있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0 23086 242
299328
썸네일
[한갤] 지역인재 혜택 못보는 유일 지거국 강원대
[119]
ㅇㅇ(114.202) 16:55 12352 104
299326
썸네일
[잡갤] 동덕에타 : 등록금 심의위원회에서 동문위원이 망언했다는데
[107]
휴민트솜솜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0 11730 77
299324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4억으로 300버는 방법
[185]
오너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5 29066 98
299322
썸네일
[디갤] 18일간 독일-오스트리아의 마지막, 빈(완결)
[34]
니콘3세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0 3334 13
299320
썸네일
[이갤] 현재 ㅈ됐다는 공기청정기 필터 근황
[316]
ㅇㅇ(154.47) 16:35 26034 143
299318
썸네일
[기갤] “망막에 기생충 드글드글”…커피 착각한 손님 비하 영상 만든 점주
[216]
ㅇㅇ(211.234) 16:30 21332 58
299314
썸네일
[국갤] 민주당에서 전한길선생님 구글에 정식 신고 예정이란다
[959]
ㅇㅇ(14.32) 16:20 32300 1607
299312
썸네일
[코갤] 28년부터 시가총액 500억원 미만 기업 상폐된다
[84]
ㅋ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5 14123 92
2993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서로 더 지니어스 부심 부리는 임요환 VS 홍진호
[6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0 21609 76
299309
썸네일
[코갤] 트럼프 제조업 공약이 현실성 없다는 이유...jpg
[709]
ㅇㅇ(169.150) 16:05 15796 83
299307
썸네일
[야갤] 이스라엘, 대규모 작전 개시...멈추지 않는 포성
[83]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0 9887 28
299306
썸네일
[미갤] 딥스 : " 트황이시여... 자비를 베풀어 달라..."
[323]
새벽의소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5 23398 924
뉴스 '청춘스타' TOP5 류지현, 2월 7일 조인트 콘서트 '시작' 개최…2025년 기분 좋은 '시작'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