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오세훈 토허제'가 불 지핀 대출…무섭게 치솟는데 "이제 시작"

빌애크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5.15 15:05:02
조회 10950 추천 17 댓글 94

7cf3da36e2f206a26d81f6e34387736b38

7ff3da36e2f206a26d81f6e14489726965

7ef3da36e2f206a26d81f6e04681726a6e

79f3da36e2f206a26d81f6e3458076651d

78f3da36e2f206a26d81f6e04385756a5c

7bf3da36e2f206a26d81f6e346897665ad

7af3da36e2f206a26d81f6e346877465a6

75f3da36e2f206a26d81f6e3468972642b

74f3da36e2f206a26d81f6e142847c6d61

7ced9e2cf5d518986abce8954384716b2131

7cec9e2cf5d518986abce8954384706b5d5f

7cef9e2cf5d518986abce8954083716f370c

7cee9e2cf5d518986abce8954188736d8aa9

7ce99e2cf5d518986abce8954389756d8e8a

7ce89e2cf5d518986abce89543827d6d7cda

7ceb9e2cf5d518986abce8954387726b67ff

7cea9e2cf5d518986abce89542867365d6eb

7ce59e2cf5d518986abce89543827d6daf3c

7ce49e2cf5d518986abce8954083756bc1ae


목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15일)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한 기자, 연초에 토지거래허가제가 해제되면서 이것 때문에 가계대출이 늘지는 않을까 걱정했었는데요. 그 걱정대로 결과가 나왔다고요? 


4월 말 기준으로 은행 가계대출 잔액이 1천150조 1천억 원으로 나타났는데요.


3월 말보다 4조 8천억 원 늘어났습니다.


그러면 토허제가 일시적으로 해제된 시점이 2월이었는데, 3월과 비교했을 때는 어땠는지 봤더니 3월 1조 6천억 원 늘었던 거보다 3배 불었고요.


지난해 9월 5조 6천억 원 기록했던 거 이후에 7개월 만에 가장 컸습니다.


대출 종류를 보면,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3조 7천억 원 늘었고요.


신용 대출 같은 기타 대출에서 1조 원이 불었습니다.


2, 3월 주택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4월부터 주택담보대출에 본격적으로 나타났고요.


또 1분기에 받은 상여금이 떨어질 시점이 4월 즈음이죠.


그러면서 신용대출도 늘면서 전체 가계대출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5월에도 여전히 늘 거라는 게 한국은행의 전망입니다.


3월에 주택거래가 특히 많았기 때문에 주택거래를 하고 난 뒤에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 대출에 반영이 되잖아요.


그러면 5월 가계대출에도 많이 반영이 될 거라는 계산이 나오게 됩니다.


또 대출한도가 더 줄어드는 '3단계 스트레스 DSR' 7월 도입 전에 먼저 빚을 끌어다 쓸 가능성이 있어서 가계부채는 더 늘어날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한 기자가 방금 짚어준 내용은 은행권 대출이잖아요. 같은 날에 금감원에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도 발표했는데 여기서는 대출 증가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요?


4월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을 보면 5조 3천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3월 증가 폭인 7천억 원의 7배 넘는 수준입니다.


아까 은행권은 3배 늘었다고 했죠.


금융권 가계대출 중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게 바로 은행, 4조 8천억 원으로 전체를 주도했고요.


2금융권에서는 전 달 9천억 원 줄었던 게 5천억 원 증가하면서 한 달 만에 도로 늘어났습니다.


지금 금리 인하기에 있으니까 금리가 더 인하될 거라는 기대감, 또 5월 가정의 달이라 아무래도 돈 나갈 일 더 많죠.


이래저래 이번 달 가계대출 늘어날 요인이 많아 보여서 당국의 관리 조치가 필요해 보입니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가계대출 증가에도 한몫을 했다는 이야기인데, 실상 이 대출 금리는 아주 천천히 내려가는 반면에 예금 금리는 이번에도 큰 폭으로 내렸다고요?


국내 주요 은행의 예금 금리가 빠르게 떨어지고 있는데요.


이렇게 4대 은행을 체크해서 최고 금리 순으로 봤더니 이제는 3%대 예금이 사라졌습니다.


하나은행은 이번에 수신상품 금리를 0.1에서 최대 0.3% 포인트 인하했고요.


우리은행도 첫 거래 시 1% 포인트 우대금리를 주는 상품의 경우 0.2% 포인트 내렸는데, 만기를 1년으로 봤을 때 우대금리를 받아봤자 2.8%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기에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낮추면서 5대 은행의 주요 예금상품 기본금리는 1년 만기기준 2.15%에서 2.65% 수준으로 1%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대출금리와의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더 벌어졌습니다.


5대 은행의 지난달 신규 가계대출 기준 예대금리차는 평균 1.472% 포인트로 8개월 연속 확대됐는데요.


최근 토허제 해제 재지정 영향에 가계대출이 늘면서 예대금리차는 더 벌어질 걸로 보입니다.


은행권에서는 현재 1년 만기 2% 중후반인 예금금리가 연말로 갈수록 2% 초반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고요.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한다고, 또 은행들이 "이때다" 하면서 대출금리 인하를 더디게 하면 예대금리차는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에 저축은행들은 예금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점도 참고하시면 좋은데요.


오히려 2%대에서 3%로 올라온 예금도 눈에 띄었습니다.


저축은행들이 수신잔액이 4개월 연속 감소하자 방어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잡담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7

고정닉 3

1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에게 아낌없이 돈 쓸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6/09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3618/2] 운영자 21.11.18 12744753 561
338873
썸네일
[카연] 선이 보인다! 2화
[33]
정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5 4386 54
338871
썸네일
[기갤] 믿기힘든 서양인의 머리감는 주기
[340]
긷갤러(211.36) 01:45 14445 44
338869
썸네일
[냥갤] 캣맘의 적은 캣맘 최신판
[75]
냥갤러(211.235) 01:35 7858 50
338867
썸네일
[이갤] 식인종한테 잡아먹혔을수도 아닐수도 있는 사람
[1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11768 55
338863
썸네일
[인갤] 데이터 주의)넥페 둘러본 후기-3
[12]
ㅇㅇ(1.245) 01:05 4290 16
33886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다큐 3일 동물병원의 72시간
[75]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5 6990 51
338859
썸네일
[미갤] 프로젝트솔져 채널에 올라온 미국 참전 용사분
[80]
코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5 6773 110
338857
썸네일
[철갤] 친구가 알려준 철권7.manhwa
[68]
앤님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9970 69
338855
썸네일
[유갤] 인종차별이 없어져서 행복한 전태풍
[151]
ㅇㅇ(208.78) 00:25 11588 59
338853
썸네일
[싱갤] 외국인도 인정한 천국 같은 나라 일본
[2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5 16640 101
338851
썸네일
[야갤] UDT 군생활 PTSD 있는듯한 덱스....jpg
[168]
야갤러(106.102) 00:05 15241 55
338849
썸네일
[부갤] 2만4천원에 시골로 팔려간 중국여자 ㄷㄷ
[311]
부갤러(121.135) 06.13 21952 184
338847
썸네일
[야갤] 27년만에.. 라이언일병구하기 재개봉..jpg
[298]
업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7604 237
338845
썸네일
[이갤] 박보영 연기가 극찬받는 이유
[132]
ㅇㅇ(143.244) 06.13 16508 23
338841
썸네일
[중갤] 北 김정은 생모 고용희의 미공개 사진 입수 + 김주애
[1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4002 60
338839
썸네일
[기음] 버거킹 150g 짜리 패티 신메뉴 후기.jpg
[260]
dd(183.100) 06.13 27699 128
338837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60년대.....혼혈아 모음.....JPG
[2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4896 160
338835
썸네일
[대갤] 트럼프가 애플을 이악물고 조지는 이유
[333]
대갤러(121.129) 06.13 19768 246
338833
썸네일
[이갤] 女변호사 사무실에 의외로 많은 것들
[203]
ㅇㅇ(112.220) 06.13 30855 42
338831
썸네일
[해갤] 국제 안보에 위기가 발생할 것을 사전에 예측하는 피자집 ㅋㅋ
[87]
ㅇㅇ(106.101) 06.13 13376 118
338829
썸네일
[야갤] 예스 24사태, 디시가 대단한 EU를 알아보자
[315]
ㅇㅇ(210.108) 06.13 24447 732
3388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잠수함 진짜로 만든 고물상 사장님
[2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6930 191
338825
썸네일
[이갤] 이세돌이 알파고와 대결하면서 많이 괴로워했던 점
[27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7759 175
338823
썸네일
[중갤] 전쟁 종식은커녕…'세 개의 전쟁'에 심란한 트럼프
[27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5442 55
338819
썸네일
[미갤] 애플 'Liquid Glass'의 숨겨진 과학성.txt
[437]
_케이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5636 52
338817
썸네일
[카연] 폐급이 이세계 간 manhwa 21화
[27]
BIGD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7383 62
338815
썸네일
[이갤] 김밥의 원조는 한국 vs 일본
[12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0533 55
338814
썸네일
[디갤] 호쇼마린 팝업스토어 논란도 있네 ㅋㅋㅋ
[16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6373 210
3388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개인적인 마음의소리 레전드회차 모음...
[127]
김팝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9426 127
338807
썸네일
[고갤] ‘예약 10분 지나면 환불 불가’ 야놀자 규정 제동…법원 “전액 환불하라
[175]
고붕이(121.162) 06.13 17147 161
338804
썸네일
[국갤] 김민석 11개월만에 칭화대 석사 취득 분신술 썼나
[232]
ㅇㅇ(211.195) 06.13 20597 378
338801
썸네일
[이갤] 주민들의 간곡한 요청을 곧바로 실현시킨 이재명 대통령
[347]
선관위를체포감옥에서점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8692 135
338798
썸네일
[바갤] 북해도 일주 바리 후기 1(스압)
[43]
스윙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6187 31
338795
썸네일
[싱갤] 너무나도 살벌한 이파리 성님들 반응
[16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0810 192
338789
썸네일
[군갤] IAEA : 이란 주요 핵시설은 이스라엘 공습에 영향 안받음
[1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6159 72
338786
썸네일
[중갤] 우크라戰 러 사상자 100만명 넘어…"러 경제 파국 향하는 중"
[3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4199 94
338783
썸네일
[이갤] 돼지서 키우는 인간세포 유래 '키메라 장기', 장기이식 새 희망 될까
[1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1890 42
338780
썸네일
[걸갤] "절대 안 돌아간다"는 뉴진스…어도어, 살 길 모색했다
[337]
ㅇㅇ(106.101) 06.13 24786 102
338777
썸네일
[기갤] 전세계가 선긋는 영국 설거지 방법..
[300]
긷갤러(211.36) 06.13 31235 132
338775
썸네일
[디갤] 그 팬덤에게 저작권이란...jpg
[3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32648 398
338773
썸네일
[야갤] "100㎏ 넘는 아내가 덮칠까 봐 문 잠그고 잤다"…남편 고백 술렁
[437]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34268 81
338771
썸네일
[싱갤] 세계 성평등 수준 101위 대한민국
[652]
JTB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4919 704
338769
썸네일
[이갤] ‘일본도 살인’ 피고인 2심도 무기징역 선고···법원 “영원히 격리해야”
[14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0842 50
338765
썸네일
[판갤] 이란과 이스라엘은 왜 앙숙이 되었나
[119]
판갤러(106.102) 06.13 13327 36
338763
썸네일
[해갤] 국장에 전세금박은 대황니니
[146]
해갤러(106.102) 06.13 18424 84
338761
썸네일
[중갤] ‘박정희 동상’ 불침번 선 공로에 포상한다는 대구시
[3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5695 89
338759
썸네일
[이갤] 이재명 대통령 대기업 총수들과의 만남
[330]
하이라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7439 178
338757
썸네일
[이갤] 보이스피싱 당한 유튜버가 알려주는 수법
[239]
ㅇㅇ(93.152) 06.13 19770 55
33875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예스24 복구 그리고 근황
[173]
Gumba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3499 167
뉴스 '견우와 선녀' 조이현X추영우X차강윤, ‘애틋X풋풋X심쿵’ 교실 캐릭터 포스터 공개! 디시트렌드 06.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