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호텔경제학의 속살앱에서 작성

낭만증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5.24 22:40:02
조회 42576 추천 313 댓글 562

2e8ffa1fe2df36884abef5b31aff0114a45b37f09aa049d8605fdfb3743e8c2bc9d1c722323a8e30fd1b9fe809d20a08d50ee9e40a1082b1e64561d4ff12c8a497babc5adcd312

호텔경제학 논쟁이 6월 3일 선거를 앞두고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승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MPC가 1.0 이상이라는 극단적인 가정을 통해 설명한 것이라는 DPK 측의 주장을 수용해봅시다.

이 게시글에서는 호텔경제학 논쟁에서 다루지 못 했던 문제들을 다뤄보려 합니다.

1d84f874b58069f63bed81e44282736d10ef66278bb9d8cdacd9449ce116c4da3ca31db899c5207c

Moon(2021)의 전시재정 순환론을 기억하십니까? 당시 대통령이었던 Moon은 경기가 침체된 국면에서 적극적인 재정정책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전통적인 Keynesian의 시각입니다. 물론 임금주도 성장은 Post-Keynesian이긴 합니다만.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6fe53d4b7adea5785e21940403d5a9f3db018a5f617bc4d73

이같은 주장은 2019년 r - g 논쟁으로 — 성장률보다 금리가 낮을 경우, 부채 확대의 정당화 가능성 — 거슬러올라갑니다. Blanchard (2019)의 연구는 r - g < 0인 상황에 포커싱함으로써 4가지 주장을 전개했습니다:

1. Safe Rate이 장기 성장률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현재 미국 상황은 예외적 상황이라기보다는 역사적인 추세다.

2. 재정적 비용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재정적자는 자본 축적을 감소시키지만 이같은 후생비용이 일반적인 통념보다 작을 수 있음을 보인다.

3. 평균 Risky Rate에 — 자본의 평균한계생산물 — 대해 살펴보면 한계생산물이 낮을 수록 부채의 후생비용이 낮아진다.

4. 재정적자의 궤적을 우려하는 여러 주장, 특히 Risk Premium에 대한 요구는 매우 타당하지만, 적정 부채 수준에 대한 명확한 함의는 제시하지 못 하고 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6fd56d4b7adea5785bffcc6de01b7c854cb8ed7bbfd8ee0

이어서 저자는 Safe Rate이 낮을 수록 이전을 통해 후생이 증대될 가능성이 커지고 Risky Rate이 높을 수록 낮아진다는 사실을 보여주면서 소액 이전(저축의 5%)의 경우 성장률보다 2% 낮은 Safe Rate은 Risky Rate이 성장률보다 2% 미만인 이상 후생을 증가시키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6fc51d4b7adea57856f4f145dd791c68fcc6934802b76a1cb

더 큰 이전(저축의 20%)는 덜 매력적이라면서 성장률보다 2% 낮은 Safe Rate은 Risky Rate이 성장률보다 1.5% 미만이어야 하며 성장률보다 1% 낮은 Safe Rate를 위해서는 Risky Rate이 성장률보다 0.7% 미만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였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4a0bf0499f4fc53d4b7adea5785da525479e4e0182c7be78ca2ded780b6

그러면서 일반적으로 롤오버는 실패하지 않고, 미래 코호트 역시 비교적 안전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이익을 얻는다며 r - g < 0인 상황에서 더 많은 재정적자가 가능하다고 결론지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4a0bf0499f1fc5ad4b7adea5785f4523bcec8fb1ae314868ddf448326fa

그러나 Lian et al. (2020)의 연구는 r - g의 부호에 대해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지적합니다. '50-'19년간 AE(선진국 경제) 패널 데이터셋에서 r - g 부호 역전 가능성은 5년간 약 30%로 나타났으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 분포 상위 25%에 속하는 국가의 경우 r - g 부호 역전 가능성이 75%에 이르렀습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1fe54d4b7adea57852a200ee0b1e24330d584bd582651f901

이어서 r - g 부호의 반전 가능성은 저부채국에서 고부채국으로 갈 수록 커졌습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4a0bf049ef1ff55d4b7adea5785f9acd52d8c2c29629fe2c7682f757bc3

구체적으로 파고들어가봅시다. 최소 100bp의 경기 둔화 충격에 있어서 금리는 일반적으로 75bp 상승했는데, 이러한 평균 효과는 고부채국일 수록 컸습니다.

특히 경기 둔화 충격은 외화 표시 채권 비중이 낮은 고부채국에서 금리를 72bp 상승시키지만, 외화 표시 채권 비중이 높은 고부채국에서는 금리를 155bp 상승시켰죠.

이같은 사실은 "Bad News"가 Term Premium 증가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시사하며, 더 많은 부채가 더 많은 금리 위험을 내포한다는 사실을 시사합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0f954d4b7adea578544a6d03de563b8c2a47d72fa20a9a1b9

미국의 Vix는 얼마나 중요합니까? 2일 동안 Vix가 5% 상승하면 외화 표기 부채가 많은 고부채국의 금리는 평균보다 거의 4배 더 크게 반응해 130bp 상승했으며

전통적으로 "안전한 피난처"로 여겨지는 국가들을 제외하면 Vix 충격에 대한 r의 탄력성이 GDP 대비 정부부채가 10pp 증가하면 0.06(평균 0.85) 증가한다는 사실을 시사했습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afdfd53d4b7adea578574c728c275003f347ef44268c14e4486

하지만 널리 알려진 통념 중 하나는 DPK의 Lee가 주장했듯이 "우리나라는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50% 정도인데 다른 국가는 그보다 훨씬 높다"는 사실입니다. 정말 그게 중요합니까?

Auerbach & Chun (2003)의 연구는 일찍이 세대 간 회계를 이용해 한국의 장기 재정 상황을 분석했을 때 현재의 사회보장 프로그램은 미래 세대에 현저히 불리하게 설계돼있으며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afdfc56d4b7adea5785388b1a8739c81a99acc9a8c81db4bfbe5a

이미 2000년에 생존해있는 모든 코호트는 90세 이상을 제외한다면 순조세부담이 양의 값을 나타내 현재 가치로 환산해 받는 것보다 내는 것이 더 많다는 사실을 시사했고

2001년생을 평균적으로 준거로 삼을 때 이후 코호트, 즉 "미래 세대"는 순조세부담이 115%나 높았고, 순지불액은 195%에 이르렀습니다.

간단히 말해, 미래 세대는 현재 Gen Z 세대보다 앞으로 국민부담률이 3배 가량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4a0bf059af6ff50d4b7adea57857f3f4d4aaf5c3629e07bf9cd183f26e8

하지만 그 당시에도 정치인들은 낙관적이었습니다. 앞으로 20년 뒤를 너무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게 아니냐고 냉소하며 말이죠. 물론, 상황은 훨씬 더 극적으로 달라졌습니다. 더 나쁜 쪽으로요. Chun (2024)의 연구는 세대 간 회계를 통해 재정건전성을 측정하는 데이터를 최근 데이터까지 확장했습니다.

한국의 재정불균형 지표(S2)가 높아짐에 따라 European Commission의 정의에 따르면 앞으로 고부채국으로 높아질 가능성 역시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으며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4a0bf059af6fe5ad4b7adea5785a32c937511729dadabb1b7e34414aa9d

이같은 문제는 거의 전적으로 사회보장 프로그램들로부터 설명됩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4a0bf059af6f853d4b7adea5785388e3235ad59b852e35b82f4b674f6f7

앞으로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의미있는 수준으로 감축하지 않는 이상, 2021년생을 준거로 삼는 미래 코호트의 순조세부담은 현재 코호트의 생애주기 동안 부담해야 하는 비율보다 20pp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서 Lian et al. (2020)의 연구가 지적했듯 부채 비율이 단기 부양에만 매몰돼 계속해 상승하고, 재정개혁과 구조개혁이 전무한 이상 이같은 순조세부담은 앞으로도 더 무거워져 미래 세대를 짓누를 가능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게 됩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4a0bf059bf7fc50d4b7adea5785fd581d077453f8994ba3c34762c97ccb

S&P에서 얼마 전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강등한 이후, CDS Premium은 크게 상승했고 장기 채권 매수세 유입에도 불구하고 돌아가고 있지 못 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용 시장은 이제 미국에 대한 신용을 직접 BBB 등급까지 낮춰서 판단하고 있죠.

이는 Jerome Powell도 지적했듯이, "지속가능하지 못 한 경로에 놓인 재정적자" 때문입니다. 한국은 미국에 비해 인구구조가 더 열악함에 따라 더 빠른 인구통계학적 변화와 이에 따른 잠재부양비의 급격한 상승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죠.

Fornaro & Wolf (2025)의 연구는 두가지 경로의 정상상태가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1. 재정 건전성 정상 상태라고 부르는 상태로, 기초재정수지 흑자가 낮으며 이는 재정 왜곡이 적고 생산성 증가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장률이 높기 때문에 기초 재정 흑자를 낮게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GDP 대비 부채 비율을 안정시키기에 충분합니다.

2. "재정 침체" 정상 상태라고 부르는 상태로, 기초재정수지 흑자와 재정 왜곡이 높아 투자와 생산성 증가를 저해합니다. 반대로 저성장은 정부가 GDP 대비 부채 비율의 폭발적인 증가를 막기 위해 대규모 기초 재정 흑자를 유지하도록 강요합니다. 이 두 가지 정상 상태가 공존할 수 있기 때문에, 재정적으로 건전한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재정 정책을 시행하는 것만으로는 "Fiscal Stagnation" 위험을 배제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5ff52d4b7adea5785e957b41500f9bd44a60805f05444ee

그런데 어딘가 이상하지 않습니까? 재정 침체 정상상태가 높은 기초재정수지 흑자를 특징으로 하고, 재정 건전성 정상상태가 낮은 기초재정수지 흑자를 특징으로 한다는 사실은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는 GDP 대비 정부부채가 높아진다면 생산성의 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r - g 부호 반전을 막기 위해 기초재정수지 흑자를 더욱 늘려 재정정책에 대한 신뢰를 회복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이같은 흑자는 주로 법인세와 같은 조세로 조달되기에 재정 왜곡을 심화시켜 투자와 성장을 저해함으로써 저성장-고부채 국면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5fe51d4b7adea5785502df58e4437db743ec3a1b0ac746d

이로부터 저자는 상당히 흥미로운 결론을 도출합니다. 저생산성, 고부채, 고금리로 특징지어지는 상태는 재정 침체를 정상상태로 만들 가능성을 높입니다. 이는 재정정책에 대한 신뢰가 악화될 수록 기초재정수지 흑자로 "증명"해야 하는 빈도를 늘림으로써 왜곡적 조세 부과에 따른 부채 상환을 반복해야 하게 만듭니다.

우리는 이를 Liz Truss Movement 이후 Starmar 내각의 정책을 통해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Starmar 내각은 Labour에서 출범한 내각입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5f854d4b7adea5785410acb931d051de1aad1402dc6df5f

d*에 대한 역학은 "Backward Bending"이기에, 강한 성장 효과는 미래의 GDP 대비 부채비율이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남기는 것만으로 현재 GDP 대비 부채비율 증가를 정당화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저자들은 법인세를 인상해 기초재정수지 흑자를 늘리기보다 법인세를 인하해 앞으로 저생산성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기대를 심어줌으로써 자기실현적인 재정 침체 정상상태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안합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4fd54d4b7adea57850fe0dd9cb8171b7ef278a02951905e

문제는 결국 생산성입니다. 저자들의 제안은 채권 투자자들 입장에서 상당히 도발적으로 보이지만, 우리는 재정중립적 세제개혁을 이뤄낼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법인세율을 인하하더라도, 다른 세목을 인상해 저생산성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를 제공하면서도 재정 침체에 대한 기대를 완화하는 것입니다.

또한 단기 부양에 매몰되지 않고 구조개혁에 집중함으로써 재정 침체 상태로 향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형성하는 대안도 존재합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1d625a0bf059bf4ff50d4b7adea57850f1dce78671b8cfdd5f7910b8f4a90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부채국으로 전환될 수록 더욱 강력한 재정 긴축에도 불구하고 재정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커진다는 사실은 최적의 재정정책에 대해 친성장적 정책을 약속하고 왜곡적 조세를 더 많이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을만 한" 약속을 이행하는 것이라는 함의를 내포합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호텔경제학의 논쟁은, 현실과 괴리된 MPC 가정, BOK 총재도 지적했듯 다른 EM에 비해 낮은 지출 승수와 같은 문제들을 넘어 호텔경제학 그 자체만으로 단기 부양에 매몰된 근시안적 재정정책 기조를 시사하고, 이로부터 재정 침체 정상상태로 향할 가능성을 높이게 만들기 때문에 훨씬 더 문제적이라는 것입니다.



간단히 요약해보죠. 호텔경제학 논쟁은 재정 침체 정상상태로 향할 가능성을 높일만큼 재정정책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키기에 문제입니다.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13

고정닉 84

4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에게 아낌없이 돈 쓸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6/09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3618/2] 운영자 21.11.18 12738554 561
338786
썸네일
[중갤] 우크라戰 러 사상자 100만명 넘어…"러 경제 파국 향하는 중"
[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25 400 4
338783
썸네일
[이갤] 돼지서 키우는 인간세포 유래 '키메라 장기', 장기이식 새 희망 될까
[3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5 1101 10
338780
썸네일
[걸갤] "절대 안 돌아간다"는 뉴진스…어도어, 살 길 모색했다
[101]
ㅇㅇ(106.101) 19:05 4336 33
338777
썸네일
[기갤] 전세계가 선긋는 영국 설거지 방법..
[100]
긷갤러(211.36) 18:55 6397 32
338775
썸네일
[디갤] 그 팬덤에게 저작권이란...jpg
[16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50 14215 187
338773
썸네일
[야갤] "100㎏ 넘는 아내가 덮칠까 봐 문 잠그고 잤다"…남편 고백 술렁
[214]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45 8998 30
338771
썸네일
[싱갤] 세계 성평등 수준 101위 대한민국
[365]
JTB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40 7649 246
338769
썸네일
[이갤] ‘일본도 살인’ 피고인 2심도 무기징역 선고···법원 “영원히 격리해야”
[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35 3213 32
338765
썸네일
[판갤] 이란과 이스라엘은 왜 앙숙이 되었나
[54]
판갤러(106.102) 18:25 4042 17
338763
썸네일
[해갤] 국장에 전세금박은 대황니니
[104]
해갤러(106.102) 18:20 6686 31
338761
썸네일
[중갤] ‘박정희 동상’ 불침번 선 공로에 포상한다는 대구시
[19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5 5827 40
338759
썸네일
[이갤] 이재명 대통령 대기업 총수들과의 만남
[204]
하이라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 7528 126
338757
썸네일
[이갤] 보이스피싱 당한 유튜버가 알려주는 수법
[154]
ㅇㅇ(93.152) 18:05 7833 34
33875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예스24 복구 그리고 근황
[128]
Gumba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0 10886 93
338753
썸네일
[갤갤] 과기정통부, 'USIM 해킹 사태' 위약금 면제 없었던 일로…
[1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5 25572 252
338751
썸네일
[야갤] 일본 료칸 매니져에게 입닥쳐 소리 들은 한국 부부ㄷㄷ..jpg
[382]
ㅇㅇ(106.101) 17:50 10198 177
338749
썸네일
[특갤] 네이비씰 선발 훈련썰을 푸는 이근대위.jpg
[117]
특갤러(117.111) 17:45 7187 59
338747
썸네일
[더갤] 단독] 오광수, 주택 차명 은닉한 날 대치동 아파트 매입…"거액세금탈루
[89]
헬마존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0 4843 32
338743
썸네일
[싱갤] 와들와들 한국 쌍둥이....엇갈린 운명....JPG
[20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0 21665 184
338741
썸네일
[야갤] 잘못하면 죽겠다 싶어…승강기 문 열리자 25㎝ 흉기 꺼낸 남성
[105]
야갤러(211.36) 17:25 9141 38
338739
썸네일
[이갤] 초등교사들이 특히 학부모의 민원을 어려워하는 이유
[2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20 9305 24
338737
썸네일
[미갤] 서울 은마아파트 공사장서 매몰 사고
[166]
James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5 10239 38
338735
썸네일
[야갤] 학생이 교사 손목 꺾고 "선생 자격 없네요" 해도.. 교권 침해 No
[353/1]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0 10554 59
338733
썸네일
[중갤] 이란 핵 불능화 노린 이스라엘…"무기화 1~2년 지연 그칠 수도"
[10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5 8204 42
338731
썸네일
[싱갤] 와들와들 미국이 북한을 공습하려한 사건.JPG
[2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0 9582 94
338729
썸네일
[야갤] 대구 스토킹 살인 40대男 수배 중…키 177㎝ 마른 체형, 다리에 문신
[255]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5 7893 42
338727
썸네일
[미갤] 일본 비상...US스틸 소유권 51% 미국이 갖는다(+일본반응)
[186]
ㅇㅇ(115.71) 16:50 11216 46
338723
썸네일
[야갤] 죽은 아내 유품 정리하다 찾은것들...jpg
[526]
ㅎㅎ(211.36) 16:40 26828 346
3387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이세굴 갤러리....분노 폭발.....JPG
[4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35 23370 324
338719
썸네일
[미갤] 최근 발표된 미국에 대한 글로벌 여론조사..jpg
[282]
ㅇㅇ(218.37) 16:30 18336 87
338717
썸네일
[이갤] 회충약이 없어 석유를 먹었던 시절
[9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25 9596 56
338715
썸네일
[중갤] 조선인 인육 먹고 학살…밀리환초 사건 피해자 명단 공개
[22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20 9333 53
338713
썸네일
[해갤] 바르샤 UEFA 징계....jpg
[40]
바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5 7515 26
338711
썸네일
[카연] 요정에 대한 편견.manhwa
[70]
위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0 8861 127
338709
썸네일
[싱갤] 신기신기 순혈 100% 일본인.JPG
[3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5 23007 110
338707
썸네일
[야갤] 기둥에 묶고 폭죽 쐈다…깔깔 웃고선 "생일이라 장난"
[64]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0 10642 3
338705
썸네일
[미갤] 안면인식 시대 도래중
[1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5 12847 112
338701
썸네일
[싱갤] 감동감동 의외로 실화를 모티브로 한 영화
[108]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5 11441 59
338699
썸네일
[이갤] 권위 상징에서 수집가 로망으로…대통령 시계 변천사
[6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0 8586 33
338698
썸네일
[디갤] 왁제이맥스의 수록곡은 600곡, 무단수록 커버곡은 얼마나 될까?
[45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5 20753 395
338696
썸네일
[기갤] 마술계가 시대에 따라 변하고 있는 이유.jpg
[14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0 12304 103
338695
썸네일
[야갤] `풀무원 빵` 집단식중독 계속 확산…충북 이어 세종·부안서도 확인
[158]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5 9992 40
338693
썸네일
[싱갤] 도박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강원랜드 아저씨 근황
[173]
추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0 17946 129
338692
썸네일
[중갤] '반 트럼프' 시위 확산‥ 워싱턴서 충돌 가능성
[1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5 6882 43
338690
썸네일
[스갤] 6월 16일...극단적인 카톡 검열 스타트 ㄹㅇ...jpg
[387]
어깨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 21771 278
338689
썸네일
[야갤] 목숨 여러개인 이상화 남편 강남
[171]
야갤러(106.102) 15:05 16606 64
338687
썸네일
[이갤] 이대남 "집게손은 남성혐오 나무위키 보면 알수 있어"
[658]
배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0 13325 46
338683
썸네일
[나갤] 냉장고·세탁기도 50% 철강관세 부과…韓 가전업체 비상
[213]
ㅇㅇ(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5 8028 46
338681
썸네일
[주갤] 카페서 남자종업원 흉기로 살해시도한 10대 여성 체포 여시 반응
[3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0 20288 469
뉴스 YG 신인 이벨리, '1700만 조회수 돌파' 댄스 영상 화제 디시트렌드 06.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