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싱붕이들아
우리 싱붕이들은 평소에 앞을 볼때 검은 점이 보이니?
아마 이 글을 보는 모두는 검은 점은 커녕 아무것도 안보일거야.
만약 눈앞에 검은 점이 평생 있다면 얼마나 좆같겠니?
그런데 사실 우리 모두는 검은점을 보고 살아 가고있어.

이걸 이해하기 위해서 눈에 대해 간단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우리 눈은 빛이 들어오면 위 사진에 있는 망막에 상이 맺히면서 시각정보가 생겨
그 정보를 우리 눈 뒤에있는 시신경을 통해 뇌로 보내고
뇌는 눈이 보낸 정보를 분석하고 우리가 앞을 볼 수 있게 해주지.

하지만 골때리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우리 눈이 긴 시간 진화를 거치면서
시신경이 뇌로 가려고 모여있는 통로가 망막 위에 생겼다는거야.
그걸 우리는 맹점이라고 부르는데 이런 병신같은 위치 때문에 그 통로만 아무것도 보지 못해
맹점에는 색과 명암을 감지하는 원추세포와 간상세포가 없거든;;;
만약 우리가 맹점을 포함해서 볼 수 있게 된다면 평생 앞을 이렇게 보는거야

이렇게 씹골때리는 상황이 진화를 거치면서 우리 눈에 일어났는데
왜 우리는 앞을 꽉 채워서 볼 수 있냐면
인간의 킹갓 뇌에서 저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지워버리거든
그게 어떻게 가능하냐고?

맹점 주변 환경을 참고해서 비워진 부분을 우리 뇌가 실시간으로 채워 넣는거야 ㅋㅋㅋㅋ
이렇게 보면 정말 뇌는 신기하다 못해 경이로워 그치?
맹점을 보고 싶은 싱붕이들을 위해 준비했어
위에 사진처럼 점으로 볼 수 없지만 싱붕이들의 눈 속에 맹점이 어디 있는지는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아래 사진을 보고 방법대로 하면 돼.

1. 한 눈을 감는다.
2. 오른쪽 눈을 떴으면 R에, 왼쪽 눈을 떴으면 L에 집중한다.
3. 모니터(혹은 스마트폰)에 눈을 가까이 댔다가 천천히 떨어뜨린다.
4. 어느 순간에 반대쪽 문자가 보이지 않게 되는 대신 바탕색인 밝은 회색으로 보인다.
3줄 요약
1. 인간의 눈에는 안보이는 부분이 있음
2. 뇌가 그 부분을 포토샵으로 실시간 지움
3. 테스트 해보셈 ㅋㅋ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