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尹대통령 향한 검찰·경찰·공수처 '발걸음' 빨라질 듯[탄핵안 가결]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2.14 18:05:34
조회 70 추천 0 댓글 0

직무 정지로 부담 덜게 된 수사기관
국회 탄핵안 가결로 수사의 '민주적 정당성'도 확보




[파이낸셜뉴스]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로 수사 기관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게 됐다. 윤 대통령 직무가 정지된 만큼, 대통령에게 주어지던 권한도 줄어들면서 수사기관의 부담도 덜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사태'를 촉발한 혐의(내란 등)로 검찰과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수사를 동시에 받고 있다. 이들 기관은 이미 윤 대통령을 피의자로 규정했으며, 경찰과 공수처는 체포를 검토하고 있다는 밝힌 상태다. 여기다 상설특검과 내란 일반특검도 국회를 통과하고 출범을 기다리고 있다.

이날 법조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탄핵안에는 윤 대통령이 헌법과 법률에 위배되는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국무회의 개최, 계엄사령관 임명 과정 등에서 절차적 요건을 위반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권 행사를 방해하기 위해 군·경찰 동원한 국회 봉쇄, 위법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침입, 국회의원 등의 불법 체포 시도 등 "국헌을 문란할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켰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는 현재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검찰, 군검찰)와 공조수사본부(경찰 국가수사본부, 공수처, 국방부 조사본부)가 투 트랙으로 살펴보는 윤 대통령의 형법상 내란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구성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민의의 전당인 국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됨에 따라 이런 혐의의 사실관계를 따져 실체를 밝힐 필요가 있다는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해 현직 대통령을 상대로 하는 수사의 부담을 덜 수 있게 된 것이다.

윤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됐다는 점도 수사기관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됐다고 볼 수 있다. 대통령에 대한 수사가 국정 운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최소화한 셈이기 때문이다.

앞서 법조계와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포 혹은 구속될 경우 이를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로 바뀌는 '사고'로 볼 것인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는데, 적어도 이 같은 혼란의 여지는 사라진 것이다.

2016∼2017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건 때에는 박 전 대통령의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되고 3개월 만에 헌법재판소가 파면 결정을 내려 박 전 대통령이 '자연인' 신분이 되면서 검찰과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가 급물살을 탔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은 파면된 지 11일 만에 검찰에 소환됐고, 이후 열흘 만에 구속됐다. 다만 박 전 대통령의 경우 주된 혐의가 뇌물과 직권남용 등 현직 대통령의 불소추 특권 범위 내에 있었다는 점에서 현재 윤 대통령에 대한 수사와는 차이가 있다.

당시에는 탄핵심판이 이뤄지는 동안 특검이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씨 등 관련자를 수사하며 사실관계를 다지는 작업을 했다면, 지금은 불소추 특권에 적용되지 않는 윤 대통령을 겨냥해 각 수사기관이 국회 탄핵소추 이전부터 경쟁적으로 수사에 속도를 올리는 형국이다.

검찰과 경찰, 공수처는 윤 대통령을 향한 수사망을 더욱 바짝 좁혀갈 것으로 보인다. 계엄군으로 동원된 군 관계자, 국무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들 등에 대한 소환조사를 통해 윤 대통령의 혐의 사실을 다진 뒤 소환조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이 경호 등을 이유로 소환에 불응한다면 체포영장을 발부받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세 수사기관의 수사 주도권 다툼이 계속되는 만큼 윤 대통령에 대한 직접 수사 시기는 더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경찰은 국수본 특수단이 대통령실에 대한 한차례 압수수색 불발 이후 2차 임의제출 형식으로 윤 대통령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국수본 특수단은 체포영장 신청, 통신조회 영장 등 추가 강제수사를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오동운 공수처장 역시 "상황이 되면 긴급체포 또는 체포영장에 의한 체포를 시도하겠다"고 밝혔다.

검찰은 아직 비상계엄 선포 당일 행동에 나섰던 군 관계자와 국무회의 참석자 등을 상대로 조사하며 구속하는 선이지만, 언제 윤 대통령 신병 확보에 나설지 예단할 수 없다. 경찰과 달리, 검찰은 곧바로 영장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기 때문에 절차가 보다 간소하다.

더욱이 검찰은 경찰 등과 수사 경쟁을 벌이고 있다. 내란 혐의에서 정점으로 꼽히는 윤 대통령의 신병을 어느 기관이 먼저 확보하느냐에 향후 수사 성패가 갈릴 수 있다.

아울러 상설특검과 내란 일반특검도 모두 최종 목적지는 윤 대통령이다. 일반특검이 출범하면 경찰, 검찰, 공수처 등은 특검에 자료제출을 비롯해 협조를 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각 수사 기관 입장에선 시간이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을 기점으로 김 여사 특검법이 발동될 가능성이 상당하고, 윤 대통령을 향한 수사도 속도전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jisseo@fnnews.com 서민지 최은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나경원, 의미심장한 발언 "이재명을 대통령으로..."▶ 남편 성욕 폭로한 '7번째 출산' 아내 "다른 남자를 만나도..."▶ "계엄 후 전화 돌린 김건희 여사, 한동훈을 반드시..." 뜻밖▶ '이대 출신' 모델 이현이 "삼성전자 남편 만날 때 슬쩍..."▶ 한예슬, 남편에게 반전 고백 "성욕보다 내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말고 매니저 했어도 잘했을 것 같은 계획형 스타는? 운영자 25/01/13 - -
공지 글쓰기 에디터 개선 안내 운영자 25/01/13 - -
16392 공조본 "55경비단, 체포영장 집행 위한 출입 허가 회신"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8 0
16391 檢, '부동산 PF 대출비리' 한국투자증권 전 직원 압수수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9 0
16390 '탈북어민 강제북송' 내달 19일 결론…檢, 정의용·서훈에 징역 5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4 0
16389 한음저협 홍진영 전 회장, 괴롭힘·사적 지시 혐의 1심 무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6 0
16388 공수처·경찰·경호처 3자회동 '빈손'…'강대강' 대치 지속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6 0
16387 '공공장소 추행' 최대 징역 3년…조직사기는 무기징역까지 [3]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450 2
16386 퇴직 전 수십 곳 고문계약…'억대 금품 수수' 1심 집유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8 0
16385 경찰, 체포영장 3차회의…새벽 집행 가능성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8 0
16384 尹불출석에 탄핵심판 첫 변론 4분 만에 종료…재판관 기피신청 '기각'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7 0
16383 "사법체계 무시" vs "인적구성 문제"...헌재 첫 변론기일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8 0
16382 [속보] 尹탄핵심판 첫 변론, 당사자 불출석으로 4분만에 종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7 0
16381 [속보] 헌재, 尹재판관 기피신청 '기각'...재판관 7인 일치 의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7 0
16380 '사회적 거리두기' 집회에만 기준 강화…대법 "비례 원칙 위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9 0
16379 헌재, 尹기피신청 변론 전에 결론 낼 듯..."인용 전례 없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32 0
16378 '새만금 태양광 비리' 검찰, 군산시청 압수수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30 0
16377 [속보] 헌재, "재판관 기피 신청, 인용 사례 없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31 0
16376 [속보] 헌재, 尹재판관 기피 신청..."오늘 2시 이전에 결론날 듯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9 0
16375 공수처 "3자 회동, 체포영장 집행 계획에 영향 없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34 0
16374 김신 경호처 가족부장, 경찰 불출석...재소환 방침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28 0
16373 경찰·공수처·경호처 3자 회동..."체포영장 협조 요청"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33 0
16372 또 '숙제' 던져준 尹대통령 측, 공수처 선택지는? [64]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434 0
16371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첫 변론기일...불출석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34 0
16370 경찰, 수도권 광역수사단 지휘부 2차 소집…장기전 대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66 0
16369 尹측, 재판관 기피 신청…헌재 14일 회의서 논의[종합]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68 0
16368 尹측, '진보 성향' 정계선 재판관 기피 신청…변론 절차도 문제제기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105 0
16367 [속보]尹측, 정계선 재판관 기피 신청…"공정한 심판 어려워'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101 0
16366 검찰, 마약동아리 회장 '징역 3년' 1심에 항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9 0
16365 '尹 탄핵심판' 첫 변론 방청 경쟁률 48.6대 1...2430명 신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65 0
16364 韓탄핵심판 시작…”尹보다 우선 심리” vs “尹탄핵 먼저 종결해야”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65 0
16363 대한변협회장 선거 '안병희-금태섭', 安으로 단일화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48 0
16362 [르포]"난방버스 덕분에 버텨요"...한파 속에도 집회 열기 [50]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695 9
16361 '계엄모의' 노상원 사건도 김용현·조지호·김봉식 재판부에 배당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49 0
16360 법원행정처장 "내란 특검, 수사 논란 해소 방법 중 하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48 0
16359 "압수수색 취소해달라" 우종수 국수본부장 준항고…법원서 기각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3 0
16358 '내란 중요임무 종사' 9명 기소한 檢…'尹 혐의 다지기' 집중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0 0
16357 [단독]"투자하면 매일 2% 수익"…또 고수익 보장 사기 의혹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0 0
16356 尹 체포영장 재발부 일주일째…이르면 14일 집행 전망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2 0
16355 '尹탄핵심판 D-1' 헌재, 비상계엄 수사기록 추가 확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0 0
16354 '북한 방송' 논란에 2년 전 허가한 공무원 '정직'...법원 "위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48 0
16353 [속보] 헌재 "尹 '1차 체포영장' 권한쟁의, 11일 취하서 접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7 0
16352 공수처, '尹 체포 방해' 경호처에 구상권·손배소 검토…성립 가능할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2 0
16351 尹체포영장 재집행 임박, '경호처 지휘부 압박과 직원 회유' 투 트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49 0
16350 경찰 "체포영장 방해하면 국회의원도 체포 가능"[종합]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2 0
16349 경찰 "체포영장 집행, 안전 최우선"...장기전도 고려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0 0
16348 경찰, '제주항공 참사' 악성글 2명 추가 검거...173건 수사 중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1 0
16347 공수처, 경호처·국방부에 협조공문…"영장집행 방해 시 형사처벌" [6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1707 4
16346 박종준 전 경호처장, 경찰에 3차 출석…"성실히 임하겠다"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3 0
16345 [속보] 공수처, 국방부·대통령 경호처에 체포영장 집행 협조 요청 공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48 0
16344 법원 서류에 첨부된 개인정보 제3자에게 전송했지만 '무죄'…이유는[서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51 0
16343 [속보]박종준 전 경호처장, 경찰 3차 출석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46 0
뉴스 '수상한 그녀' 진영, 스토커 등장으로 불안감 UP...맞설 수 있을까? 디시트렌드 01.1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