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공간효율성과 ‘손맛’을 동시에, 마이크로닉스 워프 WK4 텐키리스 게이밍 키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16 22:09:26
조회 1514 추천 1 댓글 9
[IT동아 김영우 기자] 키보드 우측에 위치한 숫자 패드는 사용자에 따라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요소다. 숫자나 수식을 빠르게 입력하는데 유용하다는 의견, 그다지 사용하지도 않는데 자리만 많이 차지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의견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최근에는 노트북용 키보드나 스마트폰의 가상 키보드에 익숙한 사용자가 늘어나다 보니 아무래도 예전보단 숫자패드 사용자가 줄어든 건 사실이다.


마이크로닉스 워프 WK4



특히 게이머의 경우, 왼손으로는 키보드, 오른손으로는 마우스 조작에 집중하다 보니 키보드 우측의 숫자패드에 손이 잘 가지 않는다. 때문에 최근 게이머들 중에는 숫자 패드를 없앤 텐키리스(Tenkeyless) 키보드를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책상 위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쓰는 용도로도 텐키리스 키보드는 유용하다.


마이크로닉스 워프 WK4



이번에 소개할 한미마이크로닉스(이하 마이크로닉스)의 ‘워프 WK4(Micronics WARP WK4)’는 이런 사용자들에게 최적화된 텐키리스 게이밍 키보드다. 공간활용성을 높인 텐키리스 디자인과 더불어 ‘손맛’이 좋은 3종류의 기계식 스위치, 그리고 화려한 RGB LED 기반 백라이트 및 빠른 응답속도를 기대할 수 있는 1000Hz 폴링레이트 등, 최근 시장의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아담한 크기와 다양한 단축키의 조화


워프 WK4는 폭 364.5mm, 너비 143.2mm, 두께 37.4mm 크기의 87키 텐키리스 키보드로, 일반 키보드에 비해 공간을 덜 차지한다. 그리고 다른 키보드에서는 주로 우측 상단 공간에 탑재되곤 하는 Caps Lock, Scroll Lock, Win(윈도키 잠금) 등의 상태 표시 LED를 우측면에 배치한 점도 눈에 띈다.


상태 표시 LED를 우측면에 배치했다



참고로 윈도키 잠금 기능은 FN+윈도키 조합으로 활성화/비활성화가 가능하다. 이를 활성화하면 윈도키를 눌러도 동작하지 않게 된다. 게임을 한창 플레이하다 실수로 윈도키를 눌러 바탕화면으로 나가 게임이 중단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게이밍 키보드라면 필수다. 그 외에도 음량 조절, 미디어 플레이어 제어, 계산기 실행, 웹 브라우저 실행, 이메일 실행 등의 동작을 FN 키와 조합해 원터치로 할 수 있다.


키보드 하단의 고무 받침대와 높이 조절 스탠드



키보드의 크기는 아담한 편이지만 제품 무게는 944g 정도로, 실제로 들어보면 생각보다 묵직하다. 그리고 제품 하단에 2개의 고무 받침대가 붙어있는데, 덕분에 이용 중 키보드가 흔들리거나 밀릴 우려를 덜 수 있다. 하단 위쪽에는 2개의 높이 조절 스탠드가 있어 키보드 각도의 조절도 가능하다.


케이블 표면을 직물로 마감하고 금 도금 커넥터 및 노이즈 필터를 달았다



PC와 연결하는 USB 케이블은 표면을 직물로 처리해 촉감 및 내구성을 높였다. 그리고 USB 커넥터 표면에 금도금 처리를 하고 케이블 중간에 노이즈 필터를 달아 데이터 신호 손실이나 노이즈를 억제한 것이 눈에 띈다.

다채로운 RGB LED, 나만의 키보드 꾸미는 커스터마이징 기능도 제공


디자인 측면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역시 다양한 색으로 빛나는 RGB LED 기반 백라이트를 갖췄다는 점이다. 시각적으로 화려하기도 하지만 어두운 곳에서 작업할 때도 도움이 된다. 특히 워프 WK4에 탑재된 RGB LED는 각 키의 색을 개별적으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각 구역의 조명 색이 정해져 있는 이른바 레인보우 조명과는 차별화된 점이다. 그리고 키 외에 키보드 상단에도 라인 형태의 RGB LED를 달아 시각적인 만족도를 높였다.


다양한 색으로 빛나는 RGB LED를 키보드 상단에도 달아 시각적 만족도를 높였다



여러가지 패턴으로 조명효과를 변경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FN+F9키 조합으로 키보드 백라이트의 조명 효과를, FN+INS키 조합으로 상단 LED의 조명효과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키보드 백라이트는 파도, 숨결, 무지개, 별빛 등을 연상시키는 총 14가지의 조명 효과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FN+PgUp/PgDn키로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끌 수도 있다.


FN키와 1~5키를 조합, 자신만의 5가지 조명 형태를 만들어 저장 가능



각 키마다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RGB LED의 특성을 활용해 사용자 자신만의 조명 형태를 만드는 커스터마이징 LED 모드 기능도 제공한다. 총 5가지의 패턴을 FN+1~5키에 지정해 불러올 수 있다. 이를테면 FPS 게임에서 캐릭터의 이동키로 주로 이용하는 W, A, S, D 키만 특정 색상으로 빛나게 할 수 있으며, 문자키는 빨간색, 숫자키는 파란색, 각종 기호 키는 노란색으로 빛나게 하는 등의 다양한 패턴을 마음대로 지정할 수 있다.


각 키를 원하는 색으로 빛나도록 지정해 취향대로 꾸밀 수 있다



FN+1~5키를 누른 후 FN+ESC키를 누르면 기록 모드가 되어 모든 키의 조명이 꺼지는데, 이때 원하는 키를 여러 번 누르는 것으로 총 7가지 중 하나의 색으로 특정 키의 색상을 고정하거나 아예 조명을 끄는 것이 가능하다. 원하는 패턴으로 각 키의 색상을 지정한 뒤 다시 FN+ESC키를 누르면 해당 패턴이 기록된다.

취향 따라 고르는 세 가지 스위치, 직접 수리 가능한 자재도 제공


게이밍 키보드답게 각 키에는 기계식 스위치를 적용했다. 워프 WK4에 적용된 스위치는 마이크로닉스의 독자 규격이라는 마닉 스위치의 2세대 모델이다. 타사 키보드에서 흔히 적용되는 체리 스위치처럼 누르는 특성이 각기 다른 청축과 적축, 갈축 규격 중 하나를 선택해 구매할 수 있다. 청축은 클릭감이 확실하고 경쾌한 소리가 나는 타입, 적축은 부드럽게 눌리며 소음을 최대한 억제한 타입, 갈축은 청축과 적축 중간 정도의 특성을 가진 타입이다. 이번 리뷰에선 갈축 제품을 이용했다.


청축과 적축, 갈축 버전을 선택해 구매 가능하며, 긴 키에는 체리식 스테빌라이저도 적용했다



스페이스바나 시프트와 같이 좌우로 긴 키에는 키의 어떤 부분을 누르더라도 정상 입력이 가능한 체리식 스테빌라이저를 적용했다. 그리고 각 키캡에는 이중도장 및 레이저 각인 방식으로 글자를 새겼다. 아예 2가지 색상의 플라스틱을 이용해 글자를 각인하는 이중사출 방식과 비교하자면 글자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저가형 제품에 주로 적용되는 염료 승화 방식에 비하면 훨씬 견고하므로 이용하다 키 글자가 지워질 걱정은 그다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이중사출 방식에 비해 새겨진 글꼴이 미려하고 정교한 점도 장점이다.


자가 수리가 가능하도록 여분 스위치 3개와 키캡 리무버, 스위치 리무버를 제공한다



워프 WK4는 특이하게도 교체할 수 있는 3개의 여분 스위치, 그리고 키캡을 뽑을 때 이용하는 키캡 리무버, 스위치를 뽑을 수 있는 스위치 리무버를 함께 제공한다. 덕분에 사용 중 스위치가 고장나더라도 손쉽게 자가 수리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PC방 등에서 이 제품을 운용한다면 유용할 것이다.

그리고 모든 키를 동시에 눌러도 오류 없이 인식하는 무한 동시 입력 기능을 지원한다. 그리고 1초에 1,000회씩 기기와 키보드가 신호를 빠르게 주고받는 1000Hz의 폴링레이트 사양을 갖춰 우수한 반응 속도도 기대할 수 있다.

기본기 충실한 텐키리스 게이밍 키보드 원한다면


마이크로닉스 워프 WK4는 게이밍 키보드로서의 기본기가 좋은 편이며, 공간활용성이 높은 텐키리스 디자인을 적용해 최근의 트렌드에도 부합한다. 특히 다양한 패턴으로 빛나는 RGB LED와 더불어 자유롭게 조명을 디자인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LED 모드를 제공하는 점은 소소한 차별화 포인트다.


마이크로닉스 워프 WK4



2023년 3월 온라인 판매가 기준, 마이크로닉스 워프 WK4는 7만원 후반대에서 8만원 초반대에 팔리고 있다. 텐키리스 키보드가 필요하지만 일반 제품에 비해 기본기가 부족한 제품을 만나게 될까 봐 우려하던 게이머에게 적합한 솔루션이며, 게임을 그다지 즐기지 않더라도 치는 맛이 좋으면서 공간을 덜 차지하는 키보드를 원한다면 무난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리뷰] 유/무선 5대 연결하는 게이밍 키보드, 마이크로닉스 워프 WK3▶ [리뷰] PC방에서 대환영? 완전방수 광축 키보드, 마이크로닉스 위즈맥스 W101P▶ 마이크로닉스 손정우 팀장 "게이밍 기어 제품도 디자인 혁신이 필요하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악성 팬들의 지나친 행동에도 여유롭게 대처한 스타는? 운영자 23/05/22 - -
2670 사고에 취약한 1인 가구, IoT로 극복 가능?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862 2
2669 [리뷰] 소형 TV를 위한 인테리어 스탠드, 카멜마운트 SMB32 이동형 스탠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80 0
2668 [농업이 IT(잇)다] 와일드웨이브 “우리나라만의 사워 맥주 보급”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833 1
2667 음악 감상 경험 높이는 음질·ANC 개인 맞춤형 기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35 0
2666 가짜뉴스 잡으려는 AI 업계…. 관건은 ‘정확도’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743 1
2665 ‘코로나 특수’ 맞았던 글로벌 게임시장, 왜 중국만 역성장?[K비즈니스 가이드]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715 6
2664 건설 현장 논란 ‘근로자 경력 관리’로 보완한다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922 3
2663 배달비 인상에 주목받는 ‘배달비 무료 배달앱’ [2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442 1
2662 샘 워너 IBM 부사장 “효율성, 보안성까지 잡은 IBM 스토리지, 한국 시장에서 호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56 0
2661 [IT 신상공개] 가장 작고 가벼운 EOS, 캐논 EOS R10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172 0
2660 [농업+IT=스마트팜] 6. 나만의 스마트팜 본격 구축하기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59 0
2659 콘텐츠 소비자, 몰입감 위해 지갑 연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850 0
2658 종합소득세 신고, 국세청 모두채움으로 간편하게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4122 6
2657 노스노비 “리울프 플랫폼과 친환경 종이 화병으로 화훼업계 ‘배민’ 노린다” [스타트업-ing]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55 0
2656 구글, 인공지능으로 장애인 접근성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89 0
2655 중국, 美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제재··· '기로에 선 한·미 반도체 기업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205 0
2654 서울과기대, 예비창업자 돕는 '2023년 메이커스페이스 제조창업교육' 실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72 0
2653 다른 노트북 충전 어댑터를 사용하고 싶을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6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3643 3
2652 [IT신상공개] 비행 편의와 내후성 좋아진 산업용 드론 DJI M350 RTK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890 1
2651 [주간투자동향] 콜게이트, 10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140 0
2650 가상자산 첫 거래 기념하는 ‘비트코인 피자데이’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2611 0
2649 아웃스쿨 “날 것 그대로의 영어 수업, ‘직구’하듯 골라 배운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5676 1
2648 킨스미디어, “물류센터 디지털화, 시설관리부터 시작해야” [스타트업-ing]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77 0
2647 엔비디아 RTX 4060·4060 Ti 공개··· '2년 기다렸는데 실망스러워' [2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067 3
2646 보안 업계 “챗GPT 탈 쓴 불량 앱 주의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137 4
2645 [농업이 IT(잇)다] 에이트테크 “AI·로봇 기술로 폐기물 선별 효율 개선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68 0
2644 [IT강의실] 노이즈 캔슬링이 모든 소리를 차단하지 못하는 이유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2381 12
2643 [리뷰] ‘스마트보드’로 진화한 전자칠판, 현대아이티 스마트보드 알파 3.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82 0
2642 日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삼성 내려가고 구글 올라오고 [5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5066 17
2641 구글 ‘About this image’로 인공지능 사진 악용 줄인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7 1715 5
2640 [KOBA 2023] 미디어 산업을 위한 스토리지 솔루션 '방대한 데이터에 초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7 68 0
2639 게이밍 능력에 얇은 두께까지, ‘HP 오멘 16 슬림’ 노트북 발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826 2
2638 웹3.0 시대의 필수 조직, 'DAO'가 움직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20 0
2637 황혼기 디카 시장, 전통 미디어 연이어 폐간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47 0
2636 실검 부활하나? 네이버·카카오 “실검과 다르다” [2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3183 8
2635 [스타트업人] 산업용 메타버스를 향한 도전, 디지포레 개발팀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62 0
2634 [뉴스줌인] 청축, 적축, 갈축 키보드는 들어봤는데 황축 키보드는 무엇?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15 0
2633 스마트폰을 잃어버렸을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5 1338 7
2632 [주간투자동향] 휴먼스케이프, 200억 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5 68 0
2631 발뮤다 스마트폰 사업 철수 “본업에 집중”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5 2156 4
2630 에이수스 ‘ROG 앨라이’ 가격 공개, 진짜 ‘스팀덱 저격수’ 등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42 0
2629 “초진 허용해야 생존 가능하다”… 불안에 떠는 비대면진료 업계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235 0
2628 쇼핑몰 상품 이미지의 글자를 읽어준다, 인포플라의 U See NOW [스타트업리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53 0
2627 바드 실패 만회하자 주가 4% 상승··· '구글 I/O 키노트' 톺아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64 0
2626 투자 혹한기에도 액셀러레이터 투자 지속 증가···ICT·바이오에 주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76 0
2625 [농업이 IT(잇)다] 씨위드 “바다의 보물 해조류로 배양육 시대 연다”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429 7
2624 GPU 넘어 NPU가 주목받는 이유 ··· '관건은 와트당 성능, 그리고 효율성'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2402 8
2623 ‘인도>중국’이라는 새로운 상식, 아십니까?[K비즈니스 가이드] [3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2002 19
2622 벤처기업확인제도, 업종·업력 반영 ‘벤처기업 확인 문턱 낮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74 0
2621 구글 I/O서 등장, 픽셀 폴드·픽셀 7a·픽셀 태블릿 성능은?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136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

힛(HIT)NEW

그때 그 힛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