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산업 활성화와 이용자 보호 균형 맞춘 '디지털자산기본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6.24 14:35:14
조회 5640 추천 1 댓글 2
[IT동아 한만혁 기자] 글로벌 주요국이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제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를 담은 ‘지니어스(GENIUS)’ 법안이 상원 본회의를 통과했다. 유럽연합(EU)과 일본은 이미 디지털자산 발행 및 유통 전반에 대한 규제를 시행 중이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7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을 시행했다. 하지만 이는 이용자 보호에 초점을 맞춘 법률로 관련 산업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규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민병덕 의원이 디지털자산기본법안을 대표발의했다 / 출처=민병덕TV



이에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국회의원이 현행 법률의 한계를 보완하고 규제 공백을 해소하는 ‘디지털자산기본법안’을 대표발의했다. 디지털자산기본법안은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후속 법안으로 디지털자산 산업 진흥 및 이용자 보호를 위한 종합적인 규제를 담고 있다.

민병덕 의원은 “디지털자산시장의 투명성 제고, 관련 산업 육성 및 자율성 강화, 이용자 보호 제도 개선을 통한 산업 활성화 및 이용자 보호의 균형이 목표”라며 “디지털자산 산업 성장 환경 구축, 이용자 보호 및 건전한 이용 환경 마련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 법안의 기본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민병덕 의원에 따르면 디지털자산기본법안은 국제적 정합성 확보, 다른 법률과의 조화를 위해 ▲자본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금융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금융소비자보호법), 전자금융거래법,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금융사지배구조법), 소비자기본법 등 국내 법률 ▲유럽 MiCA, 일본 지급결제법, 홍콩 가상자산사업자 운영 지침 등 주요 국가 입법례 및 규제 사례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 국제결제은행(BIS) 등 국제기구 권고 사항을 반영했다. 또한 지난 4월 초안 마련 후 3회에 걸쳐 공청회를 열고 학계, 법조계, 업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수정 및 보완했다.

법안의 주요 내용은 ▲디지털자산 및 디지털자산업의 법적 정의, 적용 범위 규정 ▲디지털자산업 분류 및 시장 진입 규제 ▲한국디지털자산업협회 설립 ▲자산연동형 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전 인가제 도입 ▲디지털자산 거래지원(상장) 및 종료(상장폐지) 규제 ▲디지털자산 시장에서의 불공정거래 행위 금지 규제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등이다 .

디지털자산 및 디지털자산업의 법적 정의, 적용 범위 규정


법안은 디지털자산에 대해 ‘분산원장에 디지털 형태로 표시된 경제적 가치를 지닌 자산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한다. 단 거래 또는 이전 가능성이 낮거나 기존 금융 관련 법률에서의 규제가 더 적합한 경우 디지털자산 정의에서 제외한다.

또한 디지털자산을 ‘자산연동형 디지털자산’과 ‘일반 디지털자산’으로 분류한다. 자산연동형 디지털자산은 원화 또는 외국 통화의 가치와 연동되면서 환불이 보장된 것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의미한다. 일반 디지털자산은 자산연동형 디지털자산 외의 디지털자산으로 밈코인, 유틸리티코인, 거버넌스코인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법안은 국내에 영향을 미치는 해외에서 이루어진 행위에도 적용한다. 가령 해외 디지털자산업자가 한국인을 대상으로 영업하려면 관련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 또한 해외 거래소를 이용한 불공정거래 행위가 국내에 영향을 미치면 법안에 따라 처벌한다.


디지털자산기본법안 / 출처=의안정보시스템


디지털자산업 분류 및 시장 진입 규제


법안은 디지털자산업을 유형에 따라 10개로 분류하고 해당 업을 영위하는 자를 디지털자산업자로 정의한다. 법안이 명시한 10개 업은 ▲디지털자산매매업 ▲디지털자산중개업 ▲디지털자산보관업 ▲디지털자산지갑관리업 ▲디지털자산집합관리업 ▲디지털자산일임업 ▲디지털자산자문업 ▲디지털자산주문전송업 ▲디지털자산유사자문업 ▲기타디지털자산관련업이다. 참고로 기존 ‘특정 금융거래 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매매업, 교환업, 중개업, 보관업, 지갑업으로만 분류했다.

각 업은 특성에 따라 인가, 등록, 신고 등 진입 규제를 차등 적용한다. 디지털자산매매업, 디지털자산중개업, 디지털자산보관업은 인가가 필요하며 자본금은 최소 5억 원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 디지털자산지갑관리업, 디지털자산집합관리업, 디지털자산일임업, 디지털자산자문업은 등록 대상이며 자본금은 최소 1억 원 이상이다. 디지털자산주문전송업, 디지털자산유사자문업은 신고만 해도 된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업의 겸업을 제한하지 않는다. 즉 은행, 증권, 보험 등 전통 금융 산업뿐 아니라 일반 기업도 디지털자산업을 병행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 및 결합을 허용함으로써 국가 경쟁력 제고, 디지털자산 시장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디지털자산업자에게는 전산 안정성 유지 의무를 부여한다. 전산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정보 보호 최고 책임자를 지정하고, 해킹 등 침해 사고가 발생한 경우 지체없이 금융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 또한 이용자 피해에 대한 책임 이행을 위해 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거나 준비금을 적립해야 한다.

한국디지털자산업협회 설립


법안은 대통령 직속기구인 디지털자산위원회를 설치 및 운영할 것을 요구한다. 디지털자산위원회는 디지털자산 산업 육성 및 진흥을 위해 관련 정책 및 계획을 심의, 의결하는 기구로 ▲이용자 보호 및 디지털자산 산업 진흥을 위해 3년마다 ‘디지털자산 기본 계획’ 수립 ▲연도별 시행 계획을 매년 수립하고 이행 여부 평가 ▲디지털자산 산업 및 시장 실태조사 매년 실시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디지털자산위원회는 민간위원장 1명을 포함한 30명 이내로 구성하고 민간위원 비중을 2/3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자산연동형 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전 인가제 도입


법안에 따르면 자산연동형 디지털자산 즉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려면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발행 요건은 국내 설립 법인, 자기자본 5억 원 이상이다. 자기자본의 경우 초안에는 30억 원이었으나 최종안에서 5억 원으로 줄였다. 분산원장으로 인한 높은 전산 안정성, 준비금을 통한 환불 보장으로 자기자본 중요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일반 디지털자산의 경우 금융위원회에 신고서를 제출하고 해당 신고서가 수리되면 발행할 수 있다. 금융위원회는 발행신고서에 대해서 형식심사만 실시하고, 신고 수리한 신고서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방법으로 공시한다. 해외에서 발행되거나 발행 주체가 없는 경우 발행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단 거래소 등에서 거래지원하는 경우 거래지원 심사를 거쳐야 한다.


출처=셔터스톡


디지털자산 거래지원 및 종료 규제


법안에 따르면 거래소가 디지털자산을 거래지원할 경우 자체 심사, 적격성 평가 위탁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자체 심사 방식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내용이 포함된 거래 지원 심사 기준에 따라 자체 심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거래지원적격성평가위원회에 보고 후 거래지원한다. 적격성 평가 위탁 방식은 거래지원적격성평가위원회에 평가를 위탁하고 그 결과를 반영해 거래 지원한다.

거래지원을 유지하려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거래소가 주기적으로 자체 심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거래지원적격성평가위원회에 통보한다. 또한 거래지원 유지 심사 중 종료 사유가 발견되면 거래지원적격성평가원회에 거래지원 종료 심사를 요청한다.

거래소가 거래지원 및 유지 심사 기준 관련 사항을 위반하면 과징금을 부과한다. 또한 거래지원 디지털자산에 대한 최신 정보를 공시하지 않고 그로 인해 이용자 손해가 발생하면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

디지털자산 시장에서의 불공정거래 행위 금지 규제


법안은 ▲미공개 중요 정보 이용 행위 ▲시세 조종 행위 ▲부정 거래 행위 ▲시장 질서 교란 행위 등의 디지털자산 관련 불공정거래 행위를 금지한다. 불공정거래 행위에 대한 감시는 거래소가 자체적으로 수행하도록 규정한 기존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과 달리 시장감시위원회에 감시 업무를 부여한다.

불공정거래 행위자에 대한 제재도 강화한다. 기존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과징금 및 형사처벌에 그쳤으나 디지털자산기본법안은 자산 동결, 디지털자산 거래 제한, 임원 선임 제한 등 자본시장과 동일한 수준으로 제재한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법안은 디지털자산 산업의 자율규제 체계 구축을 위해 ‘한국디지털자산업협회’를 설립하도록 규정한다. 한국디지털자산업협회는 자율규제 업무, 자율 분쟁 조정, 표준 약관 업무, 회원 및 임직원 교육 업무 등을 수행하고 거래지원적격성평가위원회, 시장감시위원회를 운영한다.

거래지원적격성평가위원회는 디지털자산 거래지원 적격성 평가, 거래지원 및 유지 심사 결과 관리, 거래지원 종료 사유 발생 시 거래지원 종료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총 9명으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위원회 추천으로 총회를 거쳐 임명한다. 8명의 위원은 금융위원회 위원장 추천(2명), 협회 추천(4명), 거래소 등 추천(2명)으로 선임한다.

시장감시위원회는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발생하는 불공정거래 행위 관련 심리 업무 및 회원에 대한 감리 업무 등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불공정거래 행위 등을 확인하면 금융위원회에 통보한다. 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총 9명으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위원회 추천으로 총회를 거쳐 임명한다. 8명의 위원은 금융위원회 위원장 추천(4명), 협회 추천(4명)으로 선임한다.


4월 진행한 디지털자산기본법안 공청회 / 출처=IT동아


업계, 빠른 입법·시행 요구


민병덕 의원이 대표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안은 관련 산업 전반에 대한 명확한 규제와 국제적 정합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디지털자산업자와 이용자의 이해상충 해소, 이용자 보호, 디지털자산 산업 육성에 필요한 요건을 담고 있다.

민병덕 의원은 “디지털자산기본법안은 디지털자산 규제를 넘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금융 주권을 지키기 위한 기반”이라며 “법안이 시행되면 디지털자산 시장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활성화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디지털 경제의 중심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법안에 대한 업계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이는 초안 작성 후 바로 발의한 것이 아니라 학계, 법조계, 업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면서 보완 및 개선했기 때문이다. 이제 업계는 빠른 입법과 시행을 요구한다. 평소 방향뿐 아니라 속도도 중요하다고 강조한 민병덕 의원이니만큼 남은 입법 절차도 빠르게 진행되길 기대해 본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디지털자산 산업 육성 위한 혁신 법안 공개 ‘이르면 7월 발의’▶ DAXA, 법인 가상자산 시장 참여 대응 위해 ‘공시’ 강화▶ 스테이블코인 “발행만큼 활용처 확보도 중요”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이번주 설문은 탈모 걱정 없어 보이는 머리숱 금수저 스타는? 운영자 25/07/14 - -
5552 카카오벤처스 “식약처 인허가 후 의료 현장에 투입, 이모코그·알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4 6 0
5551 SKT 유심해킹 최종 조사결과 발표 “5년간 7000억 원 투자 약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5 12 0
5550 [주간투자동향] 에이치티비욘드, 7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9 10 0
5549 인포플라 VLAgent 기반 ‘셀토’, V2 업데이트로 더 똑똑해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69 0
5548 전국 해수욕장 수질과 토양정보 확인은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74 0
5547 [기고] 아파트의 '공간'적 가치를 재정의 하는 시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5556 0
5546 [IT애정남] 구형 노트북인데 모니터 2대 이상 연결하려면?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8148 4
5545 “경찰청·금융사 공동대응” 시티즌코난 앱, 보이스피싱 범죄 해결책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63 0
5544 [농업이IT(잇)다] 초롱팜바이오 “식물ㆍ종균 조직 배양, 미래 위한 녹색 기술에 집중하겠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39 0
5543 구글의 식탁 빼앗기나··· 오픈AI·퍼플렉시티도 뛰어드는 '브라우저 사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38 0
5542 [생활 속 IT] AI로 간편해진 맛집 검색, 카카오맵 ‘AI메이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14 0
5541 [투자를IT다] 2025년 7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85 0
5540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03 0
5539 [기술영업人] 소비재 산업의 든든한 바탕, AWS코리아 '리테일·소비재' 조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98 0
5538 [월간자동차] 25년 6월, 기아 쏘렌토·테슬라 모델 Y 판매 1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81 0
5537 지스케일러 “제로 트러스트와 AI 결합해 강력한 보안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56 0
5536 [스케일업] 프론트웍스 [1] 페인터즈앤벤처스 “사업 방향성 명확히 하고 매력 더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72 0
5535 [퀀텀 스타트업] 6. 작은 가능성을 큰 전환점으로... '링(Ring)' 사례로 보는 스타트업 창의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67 0
5534 [IT’s 가성비] 신형 보급형 사느니 구형 플래그십? 에코백스 디봇 X1 옴니 로봇청소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63 0
5533 자동차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 '차대번호'에 담긴 의미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6643 0
5532 휠체어·유모차 최적 길 안내…서울동행맵 활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96 0
5531 ‘무게ㆍ두께에 자존심 걸었다’ 삼성 갤럭시 Z 폴드ㆍ플립 7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330 0
5530 전기 화재의 주범은 '에어컨' ··· 화재없이 안전하게 쓰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53 0
5529 각기 다른 꿈 품은 청년 30명 태우고 출발한 “청년괴짜 인생버스 시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58 0
5528 [생활 속 IT] 여름철 해수욕장 실시간 안전 가이드 ‘안전해(海)’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41 0
5527 알아두면 유용한 자동차 버튼 속 기능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503 1
5526 [주간스타트업동향] 펀진, 2025 방위산업 부품·소재 장비대전 참가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26 0
5525 [ETF Q&A] 고배당주 ETF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1027 0
5524 [IT하는법] 스마트폰 벨소리, 원하는 음악으로 바꾸는 법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1238 2
5523 “예약부터 굿즈 가격까지” 네이버 검색으로 팝업스토어 정보 ‘한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20 0
5522 [스타트업-ing] 픽플리 “성실 이용자 확보로 데이터 품질 향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281 0
5521 [뉴스줌인] 화면 터치하며 즐기는 프로젝터, 삼성 ‘더 프리미어 5’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333 0
5520 걷거나 퀴즈 풀면 6만 원 준다…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활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288 0
5519 결혼자금 빌미로 가상자산 투자 유도 ‘로맨스 스캠’ 주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8028 1
5518 [신차공개] ‘BMW 뉴 iX' 사전예약 실시·’페라리 아말피' 출시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8825 1
5517 서울경제진흥원 “韓 초격차 스타트업·日 기업 개방형 혁신 교두보 마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99 0
5516 “판매 글·가격 자동으로” 당근마켓 AI 어떤 편의 주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969 0
5515 에이수스 젠북 팝업존 '젠세이션', 4000명 이상 방문하며 성료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6558 0
5514 SKT, “7월 15일부터 해지 위약금 환급”…예상 위약금 조회하려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8005 3
5513 금융기관에 제공한 개인 정보 확인·관리하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498 0
5512 [생성 AI 길라잡이] 인공지능이 작성한 표절 논문 찾아내는 무하유 카피킬러 ‘GPT 킬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519 0
5511 승용차 70배 탄소 배출 ‘대형 트럭’…친환경 전환 대책은 부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8349 0
5510 [투자를IT다] 2025년 7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11 0
5509 [IT’s 가성비] 아직도 살만한 스테디셀러, LG 32UN650K 4K 모니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98 0
5508 [리뷰] 디지털 시대 눈 건강을 위한 투자,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29 0
5507 [IT신상공개] 성능·음질·편의성 개선, 소니 WH-1000XM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14 0
5506 SaaS 기반 협업 툴 NHN두레이의 첫 인상, ‘두레이온보딩팀’을 만나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7992 0
5505 “야근 걱정 끝” 폴라리스 오피스, AI 기반 NOVA로 활용도 높였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2742 1
5504 [농업이IT(잇)다] 백로앙금 “당도 낮춘 팥 디저트로 소비자 입맛 사로잡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346 0
5503 지하철역·공원서 책 대출·반납…스마트 도서관, 더 편하고 가까워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78 0
뉴스 ‘런닝맨’ 15주년 시청률 1위…유재석 “‘무한도전’보다 길게 했다” 디시트렌드 07.1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