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먼트뉴스 유지태 인턴기자]배우 유아인의 마약 투약 이후로, 앞으로 그가 출연할 차기작의 개봉에 안타까운 차질을 만들고 있다.
바둑기사 이창호, 조훈현 9단의 실화를 각색하여, 이병헌과 공동 주연을 맡아 화제를 모았던 영화 (2023)가 당장 올해 5월을 예상으로 넷플릭스 공개를 앞두었는데, 현재 이를 공개하는 것에 대한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투자사 에이스메이커와 배급을 담당하는 넷플릭스와의 입장 차이로 인해, 공개 연기로 선회를 돌리는 듯 하다. 21일 한 매체는 넷플릭스 측에서 유아인의 마약 투약 혐의를 명분으로 (2023)의 계약 해지를 일방적으로 통보하였다고 전해졌으나, 이내 곧바로 투자사 측에서 사실무관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부인하였다.
유아인 역시 이번 (2023) 이외에도, 드라마 , 영화 등 제작 전 부터 화제를 모은 차기작들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이번 사태로 인하여 연예계 퇴출 수순을 밟을 것 같다는 전망도 들려오고 있다.
한편, 배우 하정우 역시도 피부 미용을 목적으로 하여, 프로포폴 투약 혐의를 받았으나 지금 현재는 복귀하여, 넷플릭스 드라마 (2022)의 흥행을 성공시켰으며, 강제규 감독의 신작 영화 (2023)의 개봉을 앞두고 있다.
또한, 작곡가 겸 요식업 사업가 돈스파이크 역시도 필로폰 밀거래 및 투약 혐의로 현재 항소심 재판 중에 있으며, 1심에서는 징역 3년과 증제몰수,재활치료 80시간 등 선고받았다.
이처럼 사전제작 후 개봉을 하는 영화산업의 형태 자체가 주연배우의 사회적 물의에 가장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시간이 흐르고 여론의 관심이 잦아들 때쯤 다시금 복귀하여 재정착하는 예외의 선례도 있어, 대중들을 조롱한 것이 아니냐며 분노를 사고 있다. 연예계에서 일으키는 음주운전 및 마약 투약 등 사회적 범죄가 최근 들어 빈번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규제할 수 있는 법제적 조치나 기강이 바로 잡혀야 한다며 여론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