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내놓은 고효율 AI(인공지능) 딥시크발 충격이 일파만파 퍼지는 가운데, 서학개미들은 오히려 AI 관련주 등을 대거 쓸어 담아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 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1월30일∼2월6일 지난 한 주 동안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들인 외국 주식은 '엔비디아',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ETF(상장지수펀드)'로 나타났다.
국내 투자자들은 엔비디아와 디렉시온 반도체 ETF를 각각 2억 9700만달러, 2억 6천만달러를 순매수하면서 AI 관련주에 힘을 실었다. 특히 디렉시온 반도체 ETF는 미국 반도체 지수를 3배로 증폭해 추종하는 고위험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상승세를 내다봤다.
그 다음으로 많이 매수한 종목은 '테슬라' 2억1900만달러, 엔비디아 2X 추종 펀드인 '그레나이트셰어즈 2.0X 롱 NVDA 데일리 ETF' 1억 7200만달러였다.
사진=MBC뉴스
엔비디아, 디렉시온 ETF, 그레나이트셰어즈 ETF 등 이들 모두는 미국 반도체 관련 종목으로 단 3개의 종목 순매수액만 해도 총 7억3천만달러에 달한다. 이는 한화로 1조500억원 규모다.
이러한 국내 투자자의 낙관적인 전망 배경에는 딥시크로 인해 앞으로 AI칩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자리하고 있다. 딥시크발 충격이 오히려 시장에서는 저가 매수 기회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AI 산업 분야는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고성능 메모리 등이 필수로 탑재되어야 하기에 개발 비용 대부분이 소모되는 게 특징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AI 하드웨어가 '과잉 투자' 상태가 아니냐는 우려도 증폭된 가운데, 딥시크가 등장하면서 관련 반도체 종목 주가가 직격탄을 맞았다.
딥시크 개발에도 하드웨어 확대 법칙 적용돼
사진=MBC뉴스
실제, 엔비디아는 1월 27일 하루 만에 주가가 17% 넘게 급락하면서 시가총액 846조원이 증발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한국에서도 설 연휴가 끝난 직후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주가가 줄줄이 급락하며 코스피 전체가 하락세를 탔다.
그러나 딥시크 파문이 극심했던 1월 24∼30일에도 국내 투자자들은 AI관련 반도체 기업들을 공격적으로 사들이면서 '낙관론'에 무게를 실었다. 서학개미는 엔비디아를 3억1천700만달러(4천614억원) 순매수 결제했다.
한동희 SK증권 연구원은 이에 대해 "딥시크 개발진의 논문을 살펴보면 AI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컴퓨팅 파워(전산 자원), 강력한 기반 모델, 거대 강화학습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라며 "'스케일링 법칙'(하드웨어 확대의 법칙)이 더욱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최근 메타와 알파벳 등 미국 거대 AI 기업에서도 올해 자본지출(Capex) 전망치를 시장 예상보다 더 웃돌고 있다"라며 "이 역시 AI 투자 명분을 강화하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