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OSEN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OSEN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개념글 리스트
1/3
- 길쭉길쭉 키 171cm 박재범 윙스팬(리치) 길이 ㅇㅇ
- 세계 에너지를 지배하는 10대 기업 ㅗㅜㅑ 찜닭
- 훌쩍훌쩍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노래 좋은글
- 일본 거주하는 한일혼혈 유튜버 일본위협운전 피해 ㅇㅇ
- 박빙 예상) 하마 vs 코끼리물범 ㅇㅇ
- 싱글벙글 일본빌딩들의 조감도와 실물의 특징 ㄷㄷ...jpg ㅇㅇ
- 여 스트리머의 흑어공주 감상평 ㅇㅇ
- [스압] 맥날에서 밤새 그린 만화....manhwa 이재혁.
- 원피스가 유독 소년만화게임 중 퀄리티가 안나오는 이유는 후참
- 블라)월급3백 5년 5천모은 학자금x 31살 여친둔 10억네이버남 실시간기자
- 란마 1기는 진짜 레전드구나.. (스압) nieJi
- 3D프린터를 활용한 나만의 방독면 꾸미기 DBshotgun
- 사슴벌레 잡으러갔다가 다른거잡는.MANWHA 망상어
- 여시)알바면접보려다 꺼지라한+손님에게 싸가지없이 말하는 여시들 실시간기자
- 국제유대인들의 금융권력 그리고 전쟁.jpg ㅇㅇ
마우스 스위치의 고장에 대한 고찰
# 이글은 내 개인적인 추측과 공개된 자료기반으로 작성된 글이므로 정답이 아닐수 있으니 참고 하삼마우스 고장중 가장 흔한 증상은 더블 클릭 증상임이게 뭐냐면 한번 클릭했는데 두번 클릭되거나 혹은 클릭이 아예 안되는 증상주로 마우스 내부에 있는 스위치가 고장 나서 그런거임이게 마우스 스위치가장 쉽게 고치는 방법은1. as 기간내라면 제조사에 보내서 무상 교체2. as 기간후라면 사설 업체나 본인이 직접 납땜으로 스위치 교체3. 스위치 분해 해서 부식 된 부분을 방청 처리그럼 이런 문제가 왜 생길까?보통 사람들 의견으로는1. 사용자 습관 문제 - 너무 과격하게 사용하거나 오염물을 쏟았다2. 금속의 부식 - 기계식 부품의 숙명으로 녹이 발생 했다3. 마우스 주변 환경 문제 - 주위에 오염물이 많거나 통풍이 잘안되거나 주변 습도가 너무 높다가끔 마우스를 너무 쎄게 눌러서 탄성이 죽어서 그렇다고 하는데 이건 스위치 수명이 죽은거라 제외차로 치면 타이어 바퀴가 마모된거지그럼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지 분해를 해보면 알수 있음스위치 하단 부분에 클릭시 접촉되는 점점이 금속빛이 아니라 부식이나 오염되어서 검게 변한게 원인인데이게 녹이 발생한것임그럼 이런 현상은 왜 생길까 ?찾아보니 생각보다 아주 오래전 고대 부터 이문제가 발생 했더라(관련글 - https://gall.dcinside.com/dcbest/125635 ) "갈바닉 부식" 이라 부르더라 (아래 링크 참고)- 전면 부식 과 갈바니 부식 의 개념 및 원리 (tistory.com)배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구리를 발랐는데 철갑선이 등장하면서 이 문제가 대두된것임두가지 다른 금속이 서로 붙은 상황에서 전기적 반응이 일어 난거야더군다나 마우스 스위치 경우 두개의 접점이 붙으면 진짜 전기가 흐르니 완벽한 조건이네?사람 땀때문에 습도도 주기적으로 제공되고 온도도 주위에 비해서 높고갈바닉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금속성질 차원에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함스위치 경우 저가는 그냥 철이랑 구리로만 스위치 내부 금속을 구성하지만고급형 경우 금이나 은으로 도금을 함그렇게 따지면 외부 오염 물질이 코팅 되는게 아니면 갈바닉 부식이 생기면 안됨문제는 도금을 했더라도 스위치 구조 특성상 위에 보이는 저 구리판이 아래 접점을 때리거나클릭되면서 걸려 있는 걸쇠 부분이 마모 되면서 도금된게 벗겨짐벗겨지는 순간 부터 부식이 가속 되는거지덥클 생긴 마우스 분해 해보면 부식 생기는 구간이 정해져있는거 보면 이게 맞는듯함그럼 아예 한가지 금속으로 구성하면 되지 않냐 할수 있는데철로하면 녹은 둘째치고 녹물이 흘러서 기판을 오염시킬수 있고구리로 하면 탄성은 보장되는데 연성이 생기고금이나 은으로 하면 단가가 감당이 안됨나머지 금속들은 크랙이나 특정 성질 때문에 마우스 스위치에 쓸수도 없음거기다 마우스 자체 특성상 이게 가속 되는데1. 습도 - 주위 환경이나 마우스 사용자의 손의 땀으로 인해서 안그래도 가까운데 물로 인해서 부식이 가속됨2. 온도 - 마우스 기판 자체 발열 + rgb 효과 + 사용자의 손 온도의 환상의 콜라보어차피 금속의 숙명이라 어떻게 완전히 방지할 방법은 없지만그나마 개인이 갈바닉 부식을 방지 할려면 어떻게 해야하나?1. 주변 정리를 좀 하고 방 환기를 자주해서 습도를 낮춤경제적 여유만 있다면 여름이나 비올때 제습기 틀어 놓는것도 좋은 방법2. 마우스 스위치를 분해 해서 방청 처리가장 가성비가 좋은 방법인데wd40이나 미싱유 같은 점도가 낮은 윤활제를 스위치 분해후 접점에 뿌려두는것없으면 슈퍼 루브 같은 구리스 계열도 괜찮기는 하지만 접점 접촉을 방해 하거나 누를때 저항감이 생길수 있음wd40 뿌리면 녹이 발생한다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건 윤활이 잘되어 있는부품에 wd40을 뿌리면 기존 윤활을 제거 해서 그런거고없는곳에 wd40을 뿌리면 10퍼샌트 정도 남아서 녹방지 해줌참고로 마우스 휠을 돌리는 인코더도 내부가 구조만 다르지 원리는 마우스 스위치와 같아서휠튐, 휠 튕김, 휠 역행이라 불리는 스크롤을 하면 간혈적으로 반대로 굴려지는 증상도비슷한 경우임대신 휠 인코더 경우 출하 당시 내부에 윤활제가 발라져 있는데갈바닉 현상으로 인한 녹 + 외부 오염물 유입 + 윤활제 오염 콜라보라 새걸로 교체 하기 귀찮으면wd40을 위쪽에 떨궈서 굴려주면 부활함
작성자 : 데비룽고정닉
스압) ㅅㅂ 차량기지 한번 볼려고 등산을 다 하네
진접역으로 향하는 길차량은 용광로 갈려면 아직 2~3년은 남은 대우산 직류전용 422편성진접역 도착 2번출구로 나옴여기 바로 뒤에 진접차량기지를 볼 수 있는 등산로 입구가 나온다철마산 등산로 초입진접차량기지는 대략 저 위치에 있음빨간색 체크표시 지점초입에 설치된 해충기피제를 뿌리고 입산 시작평범한 등산길을 계속 지나서언덕 꼭대기에 올라가면진접차량기지 건설현장이 모습을 드러낸다전체적인 뷰산을 절개해서 만든 흔적이 보인다2018년 착공했으니 5년이나 지났는데도 이제서야 부지 평탄화가 끝나고 건물 기초가 올라가는 모습을 보니 산 깎는데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듯 하다확대샷최대줌으로 당겨서 찍은 입출고선 터널 입구다휴대폰 카메라의 한계그럼 저 곳을 가까이서 찍어볼까?올라가기 전 측면샷통곡의 언덕이 연속해서 등장한다철마산 생각만큼 만만한 동네 뒷산이 아니구만공사현장 소음이 울려퍼진다나무에 가려서 잘 안보인다발 헛디디는 순간 나락간다여기서 산행을 멈추었다흙길이 돌길과 절벽으로 바뀌면서 차량기지 한번 찍자고 올라갔다간 야간산행을 해야 할 기세다정상을 찍어보고 싶었으나 시간관계상 오늘은 여기서 하산한다나무에 가려져서 차량기지는 보이지 않는다카메라에 담기지 않을 뿐 육안상으로는 나뭇잎 사이로 보임이놈의 산 막판 코스가 아스트랄하다지나가는 등산객 말로는 정상 700m 전 지점부터 돌로된 수직 절벽 코스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데 산악장비를 챙겨와야겠다다음번엔 네놈의 정수리를 반드시 즈려밟아주마길이 험해서 하산도 조심해야한다발 헛디뎠다간 골로가는거다등산객 말로는 작년에 이 산으로 119 소방헬기가 2회 출동한 이력이 있단다내려오면서 다시 만난 진접차량기지공사 소음이 완전히 끊겨서 보니 근로자들이 모두 퇴근했다이때 시간은 17시 30분날씨가 더워지고 있다근로자들의 안전과 건강이 최우선 아니겠는가?산 절개가 끝났고 기초공사에 돌입한 것을 보아하니 2025년 완공은 무리가 없어보인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