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시신 갈아 만든 섬뜩한 물감 '머미 브라운'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20 13:01:42
조회 8512 추천 36 댓글 43
							

이름난 화가들은 원하는 색감을 내기 위해 안료나 물감 하나에도 무척 신경을 썼다. 과거 유럽에서 대가들에게 널리 사랑받은 물감이 하나 있는데, 이름도 독특한 '머미 브라운(Mummy Brown)'이다. 말 그대로 미라를 으깨어 만든 것으로, 그 정체가 밝혀지기 전까지 우리가 아는 유명한 작품에 사용될 정도로 유행했다.


유럽의 많은 화가들이 애용한 '머미 브라운'은 지금도 같은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물론 명칭만 '머미 브라운'이지 실제 원료는 미라와 전혀 관련이 없다. 다만 16세기 무렵 등장해 약 3세기 동안 명성을 떨친 진짜 '머미 브라운'에는 수입된 고대 이집트 사람 및 고양이 미라의 가루가 들어갔다. 


이 기묘한 물감이 만들어진 배경을 둘러싸고 아직 설이 많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미술사학자들은 '머미 브라운'의 질감이 우수하고 진득한 갈색을 내는 데다, 유채든 수채든 어울리고 투명감도 뛰어나 화가들이 애용했다고 본다. 실제로 화가들은 '머미 브라운'을 구해다 음영이나 피부색, 광택 표현에 두루 사용했다.


외젠 들라크루아의 대표작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사진=루브르 박물관 공식 홈페이지>


'머미 브라운'은 라파엘 전파 화가들, 그러니까 대략 19세기까지 통용됐다. 누가 썼는지 모두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작가 몇 명은 이미 추려졌다. 우리가 알 만한 인물은 프랑스 낭만주의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와 영국 빅토리아 시대 작가 에드워드 번 존스, 초상화 대가 윌리엄 비치다. 들라크루아는 대표작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에도 '머미 브라운'을 사용했다.


당시 화가들이 '머미 브라운'에 사람 미라의 분말이 들어간 것을 알았는지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다만 미술사학자들은 적어도 '머미 브라운'의 재료를 알게 된 화가들이 대부분 사용을 자제한 것은 분명하다는 입장이다. 


플로리다주립대 미술사학과 관계자는 "에드워드 번 존스는 물감의 정체를 알고 크게 탄식했다는 기록이 있다"며 "'머미 브라운'이 곧 사람의 시신이라고 인식, 정중하게 의식을 치러주고 마당에 매장했다"고 설명했다.


영국 화가 에드워드 번 존스는 애용하던 안료의 정체를 알고 고대 이집트 멤피스 의식대로 물감 튜브를 매장했다.
<사진=pixabay>


당시 기록을 보면, 에드워드 번 존스는 조카이자 '정글북'의 작가인 러디어드 키플링과 물감이 든 튜브를 땅에 묻었다. 고대 이집트 기록을 샅샅이 찾아 망자, 특히 죽은 파라오를 매장하는 전통 의식을 알아냈다. 에드워드 번 존스는 고대 이집트 멤피스의 실제 의식을 최대한 고증해 물감에 갈려 들어간 고대 이집트인을 추모했다.


미술사학자들은 20세기 들어 '머미 브라운'이 거의 쓰이지 않았다고 본다. 안료의 유래가 밝혀지자 '머미 브라운'을 구입하는 것은 곧 사람 시신을 사고파는 것과 다름없다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확산됐기 때문이다. 다만 일부 화가는 짙은 갈색이면서 영롱한 빛을 발하는 '머미 브라운'을 끊지 못했다는 주장도 있다.


참고로 과거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인간의 미라를 물감은 물론 약재, 심지어 음식 재료로 활용했다. 이런 해괴한 미라 사용법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말들이 많다.


서지우 기자 zeewoo@sputnik.kr


 


 


 


 


 


추천 비추천

36

고정닉 0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의외로 대식가여서 놀란 스타는? 운영자 23/05/29 - -
이슈 [디시人터뷰] 뇌까지 섹시한 래퍼, '피의 게임2' 서출구를 만나다 운영자 23/05/30 - -
160 음식 사진 보는 것만으로도 식욕 채워져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9 10 0
159 수평아리 살처분 막을 암수 구분법 탄생 [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 448 10
158 벤젠까지 싹...식물의 놀라운 정화력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6 6 0
157 죽은 이와 대화 가능...'강령 AI' 등장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8 0
156 원작 훼손 논란 '인어공주' 뚜껑 열어보니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1 0
155 젊은 사람 피로 회춘?...과학적 근거는 [6]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0 862 4
154 꿀잠 자다 파르르...동물도 꿈을 꾸나?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1 20 0
153 VLT가 잡은 제트 방출...변광성은 왜 중요할까 [5]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342 5
152 눈 24개 가진 맹독성 해파리 신종 출현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88 1
151 흰머리 생기는 근본적 원인 규명되나 [3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4241 12
150 사랑하는 곤충과 입맞춤...'버그 키스' 등장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37 1
149 82억짜리 정교한 티렉스 골격 공개된다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54 1
148 이중 다이아몬드 '뛰는 심장' 시선 집중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50 2
147 류구, 지구 생명체·물 기원 가능성 낮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182 2
146 연애 초보를 위한 인공지능 안경 등장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208 1
145 갈라파고스 해저에 숨은 원시 산호군락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105 2
144 태양 탐사선 'RHESSI' 추락...역사 속으 [1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738 3
143 세기의 소송전 조니 뎁·앰버 허드 근황은 [2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256 6
142 일론 머스크의 자랑거리 '스타십' 공중 폭발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23 1
141 美 칼텍, 태양 플레어 실험실서 재현 [1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670 8
140 日 '입실론' 로켓, 고무막 탓에 공중분해 [3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016 5
139 봄에 흘리는 땀냄새가 가장 지독한 이유 [27]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4458 12
138 스페이스X '스타십' 발사, 20일 밤 재도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681 7
137 뼈 성장 관여하는 유전자, 마침내 특정 [4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4424 14
136 中, 2028년 월면기지 건설...달에 로봇 파견 [19]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917 2
135 순찰 로봇 도입하는 뉴욕시...세계가 주목 [27]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951 9
134 이달 예정된 하이브리드 일식에 관심 집중 [17]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615 11
133 日 최초 달 탐사 로봇, 시장에 풀린다 [3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295 20
132 역사적 목성 위성 탐사 함께한 나무늘보 [1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2539 19
131 누드 공개한 할리 베리, 비판에도 당당 [10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10335 26
130 망자 부활 막아라...역사 속의 좀비 대책 [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2990 5
129 코인을 왜 해?...美 박물관, 운석에 32억 현상금 [36]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5278 5
128 미세 조류로 바이오 제트연료 뽑는 시대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236 1
127 망자도 되살리는 시대, AI는 인류의 적인가 [95]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9014 20
126 목성 위성 탐사할 '주스' 미션, 막 올랐다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335 1
125 中, 곰벌레 유전자 인간 세포 이식 성공 [24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15581 53
124 플라스틱 쓰레기, 식량문제 해결책 되나 [5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7123 18
123 모래고양이가 세력 다툼하지 않는 이유 [6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5180 59
122 쿠릴 열도 7200m 심해서 신종 갑각류 발견 [27]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3864 13
121 日 최초의 달 착륙, 이달 26일 성공할까 [4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2613 23
120 온난화로 드러난 몽골제국 귀족 식생활 [26]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0036 27
119 호주 2000m 심해에 나타난 외계인? [46]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8700 18
118 선사시대 이집트 10대 얼굴 복원 성공 [136]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1135 29
117 사카모토 류이치가 작곡한 휴대폰 벨소리 [3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4451 31
116 목성 위성 생명체 찾는 '주스' 미션 시작 [36]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2545 5
115 올멕 거대 두상 '지구의 괴물' 고향으로 [3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3118 3
114 지구온난화에 야구선수들 홈런 늘었다 [5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3682 8
113 홍콩영화 감초 연기 대가 오요한 별세 [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457 1
112 거북이 월광욕을?...학자도 놀란 기현상 [19]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6002 21
111 로만우주망원경, 우주 구성 비밀 밝힐까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1873 6
123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

힛(HIT)NEW

그때 그 힛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