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노랑초파리 뇌 최초 맵핑...근성의 학자들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24 11:54:59
조회 16333 추천 57 댓글 126
							

곤충의 뇌를 가시화하는 매핑 연구가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신경계 내에 존재하는 모든 신경세포들의 연결망인 커넥톰(connectome)이 완성되면서 향후 곤충의 생태를 보다 자세히 이해할 발판이 마련됐다고 학계는 높이 평가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팀은 23일 일반에 발표한 논문에서 무려 12년을 들여 완성한 노랑초파리 유충의 뇌 커넥톰을 공개했다. 이들의 업적은 이달 중순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를 통해서도 소개됐다.


연구팀은 노랑초파리 유충의 뇌내 신경세포 3016개와 이들 사이의 결합 54만8000개를 매핑을 통해 일일이 확인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곤충의 뇌 속에서 오가는 신호가 어떻게 행동으로 이어지는지 보여준다"며 "12년에 걸쳐 수천 장의 뇌 사진을 한 장의 지도로 집결한 이번 연구는 곤충 생태 연구에 변혁을 가져올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팀이 12년을 들여 완성한 노랑초파리 유충의 뇌 커넥톰. 좌뇌와 우뇌 신경세포와
그 연결을 도식화했다. <사진=케임브리지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노랑초파리의 뇌 커넥톰을 만들기 위해 연구팀은 수천 개의 뇌 슬라이스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했다. 이어 지금까지 축적된 노랑초파리의 신경세포 결합 데이터를 참고하고 실제 연결을 확인해가며 하나씩 매핑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곤충의 뇌 양 반구는 사람처럼 각각 독자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도 "이들이 가진 정보가 어떻게 정리돼 행동이나 인지에 반영되는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에 완성한 커넥톰에는 개별 신경세포의 결합뿐만 아니라 우뇌와 좌뇌의 상호작용이 기록돼 있다"며 "이를 통해 우리는 곤충의 뇌 상호작용을 한층 깊이 연구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노랑초파리 유충의 뇌 신경세포(점)와 그 연결(선)을 보여주는 그림(왼쪽). 오른쪽은 뇌 전체의 시냅스 연결 매트릭스다.
<사진=케임브리지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위의 왼쪽 사진 속 커넥톰 상의 무수한 작은 점은 각 신경세포를 나타낸다. 선은 이들의 결합을 보여준다. 원을 이루며 나열된 각기 다른 그림들은 다양한 신경세포의 형상이다. 오른쪽의 시냅스 연결 매트릭스는 노랑초파리 유충의 뇌 신경세포를 형태학 및 기능에 따라 93개 유형으로 구분한 결과물이다. 


생물학계는 노랑초파리 유충의 뇌 커넥톰이 대단한 성과라고 반겼다. 지금까지 곤충의 뇌 커넥톰은 구조가 단순한 선충이나 환형동물에 제한됐고, 그나마 완성도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는 이번 커넥톰이 품은 지식들이 장차 인간의 뇌 연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아주 복잡한 인간의 뇌는 부분적인 활동을 관찰할 수 있을 뿐 신경세포의 전체적인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커넥톰은 존재하지 않는다.



존스홉킨스대 관계자는 "복잡성에서 큰 차이는 있지만 신경세포가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라는 점에서 종에 관계없이 생물들의 뇌 구조 자체는 비슷하다"며 "실제로 이번에 커넥톰이 작성된 노랑초파리 유충의 뇌는 복잡한 일면에 단순성도 갖췄고 인간과 많은 공통점이 있어 연구용 모델로 자주 이용된다"고 말했다.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팀의 다음 목표는 학습이나 의사결정과 같은 특정 행동과 관련된 신경세포 구조의 분석이다. 작은 곤충도 복잡한 신경세포를 가졌고, 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그 기능을 해명할 수 있다면 인간 학습 행동의 효율을 높이거나 고도의 인공지능(AI) 개발에 응용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 입장이다.


참고로 인간 외의 생물의 뇌 지도 작성이 처음 시도된 것은 1970년이다. 그 대상은 다양한 생물 실험에 동원되는 예쁜꼬마선충이다. 이 선충의 뇌구조는 노랑초파리 유충보다 훨씬 단순한데, 이를 매핑한 커넥톰 자체도 이번에 나온 것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불완전하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추천 비추천

57

고정닉 0

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타' 오게 하는 고가의 부동산을 구매한 스타는? 운영자 23/06/05 - -
189 가치 1000경 달러 '사이키' 탐사 시작된다 [6]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6 704 4
188 역학적 불안정성 응용한 日 지네 로봇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5 20 0
187 초기 우주 대질량 천체의 흔적 최초 발견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4 410 1
186 우주에서 바삭한 감자튀김 먹는 날 오나 [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253 3
185 '컨저링' 속 심령 현상, 비밀 벗겨질까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069 4
184 IQ 높을수록 어려운 문제 오래 고민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19 1
183 멍청한 줄 알았던 호모 날레디의 대반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09 2
182 테일러 스위프트, 1개월 만에 광속 결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78 1
181 장수풍뎅이 뿔 진화 비밀 벗겨지나 [35]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022 15
180 청정 심해 1000m에서 포착된 괴생명체 [2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736 17
179 우주서 만든 전기를 지구로 보내는 법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93 1
178 대화형 AI가 정보 유출...日 정부 칼 빼나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65 1
177 우주인의 필수 인공동면, 열쇠는 초음파?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88 1
176 "천박하고 폭력적"...성경, 美 학교서 쫓겨나 [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314 2
175 보잉, 우주택시 유인 테스트 또 연기했다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51 1
174 익룡, 철새처럼 기온 따라 서식지 옮겼나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69 1
173 바닥에 떨어진 음식, 몇 초 안에 먹으면 OK? [4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4681 6
172 완벽한 인간 그려봐...AI에 시켰더니 [7]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628 3
171 美 AI 드론, 승리 위해 아군 지휘관 제거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216 4
170 신경도 없는 식물이 외부 자극 느끼는 법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97 1
169 고대인들은 떨어지는 운석으로 뭘 했을까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212 1
168 엔켈라두스가 뿜은 1만㎞ 초거대 물기둥 [8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0405 40
167 손만 대면 연령 표시...술담배 범죄 차단 [79]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2685 36
166 번개 모방한 친환경 발전, 가능할까 [4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7735 13
165 6월 보름달이 유독 붉게 물드는 까닭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302 1
164 꽁꽁 숨은 중간 질량 블랙홀, M4에?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26 2
163 코끼리, 동물원 관람객 많을수록 활달 [3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555 23
162 제임스 카메론이 그릴 새 AI 디스토피아 [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545 14
161 NASA 최초의 UFO 보고서, 7월 나온다 [3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565 15
160 음식 사진 보는 것만으로도 식욕 채워져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315 3
159 수평아리 살처분 막을 암수 구분법 탄생 [4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2073 31
158 벤젠까지 싹...식물의 놀라운 정화력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201 2
157 죽은 이와 대화 가능...'강령 AI' 등장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359 2
156 원작 훼손 논란 '인어공주' 뚜껑 열어보니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298 3
155 젊은 사람 피로 회춘?...과학적 근거는 [3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3367 8
154 꿀잠 자다 파르르...동물도 꿈을 꾸나?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133 1
153 VLT가 잡은 제트 방출...변광성은 왜 중요할까 [5]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434 5
152 눈 24개 가진 맹독성 해파리 신종 출현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486 1
151 흰머리 생기는 근본적 원인 규명되나 [3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4621 12
150 사랑하는 곤충과 입맞춤...'버그 키스' 등장 [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491 2
149 82억짜리 정교한 티렉스 골격 공개된다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95 1
148 이중 다이아몬드 '뛰는 심장' 시선 집중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96 2
147 류구, 지구 생명체·물 기원 가능성 낮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307 2
146 연애 초보를 위한 인공지능 안경 등장 [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352 1
145 갈라파고스 해저에 숨은 원시 산호군락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201 2
144 태양 탐사선 'RHESSI' 추락...역사 속으 [15]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829 3
143 세기의 소송전 조니 뎁·앰버 허드 근황은 [2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408 6
142 일론 머스크의 자랑거리 '스타십' 공중 폭발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58 1
141 美 칼텍, 태양 플레어 실험실서 재현 [1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759 8
140 日 '입실론' 로켓, 고무막 탓에 공중분해 [3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132 5
123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

힛(HIT)NEW

그때 그 힛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