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전파망원경 성능 끌어올릴 증폭기 탄생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28 09:10:40
조회 1909 추천 9 댓글 4
							

인류의 첫 블랙홀 관측을 가능하게 한 전파망원경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는 부품이 일본에서 개발됐다. 양자컴퓨터 응용 가능성까지 제기돼 관심이 쏠렸다.


일본 국립천문대(NAOJ)는 20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새로 개발한 초저 소비전력 증폭기 ‘SIS 앰프’를 공개했다. 이 증폭기는 M87은하 내의 블랙홀 M87*(포웨히)를 잡아낸 전파망원경이 해결해야 할 치명적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게 NAOJ 설명이다.


전파망원경은 우주에 존재하는 먼지와 가스를 관측한다. 이런 물질들이 발산하는 미약한 전파를 파라볼라 안테나로 모아 수신기로 검출하는 방식이다. 대중에 익숙한 광학망원경의 성능은 화소수로 좌우되는데, 전파망원경의 경우 안테나 하나당 수신기 숫자가 화소 수와 같다. 



NAOJ가 개발한 SIS 앰프. 초전도체 절연체를 겹친 SIS 믹서 2개를 결합했다. <사진=NAOJ 공식 홈페이지>


NAOJ 첨단 기술센터 코지마 타카후미 부교수(초전도 일렉트로닉스 분야)는 “안테나 하나에 집적되는 수신기 수가 곧 전파망원경의 관측 효율과 직결되기에 각국의 개발 경쟁이 뜨겁다”며 “기술적 한계로 전파망원경 한 기에 탑재할 수 있는 수신기는 보통 10개이고, 성능이 뛰어나도 많아야 64개”라고 설명했다.


전파망원경 수신기를 안테나에 많이 집적하지 못하는 이유는 엄청난 발열이다. 수신기는 우주의 극히 미약한 전파를 잡아내야 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적은 초전도재료로 제작한다. 초전도 상태 실현을 위해서는 극저온 환경이 필요하므로 수신기는 냉각기 내에 넣는데, 수신기가 많을수록 전파망원경 성능은 높아지지만 반도체 증폭기 소비전력 탓에 발열이 심해질 수밖에 없다. 


대개 전파망원경은 천체의 전파를 파라볼라 안테나로 모아 초전도 기술을 이용한 수신기로 받는다. 이후 그 신호를 해석해 정보를 얻는데, 수신기의 핵심 부품은 초전도체 절연체를 겹친 ‘SIS 믹서’다.


코지마 부교수는 “‘SIS 믹서’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영하 269℃까지 냉각해야 한다. ‘SIS 믹서’로 출력된 신호는 역시 영하 269℃ 환경의 반도체 증폭기로 증폭한 후 판독한다”며 “우주에서 날아드는 신호는 극히 미약해 증폭기 성능이 좋을수록 증폭량이 많으면서도 불필요한 노이즈가 섞이지 않는다”고 전했다.



인류 최초로 관측된 블랙홀 M87*(위). 아래는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M87 은하다. 중심부에서 제트가 방출되고 있다.
<사진=EHT Collaboration, 미 항공우주국(NASA) 공식 홈페이지>


이어 “기존의 전파망원경 냉각기는 보통 수신기 100개를 넘길 수 없었다”며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술 개발을 거듭한 결과, 초전도 재료로 된 주파수 변환기를 두 개 조합한 새로운 부품을 제작했다”고 덧붙였다.


‘SIS 믹서’ 2개를 연결, 증폭 소자로 활용하는 초전도 마이크로파 증폭기 ‘SIS 앰프’는 실험에서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는 그대로 두고 파워만 46배 증폭했다. 여기에 소비전력은 기존 장비의 1000분의 1가량으로 대폭 낮아졌다.


코지마 부교수는 “냉각 능력만 따지면 기존의 1000배나 되는 수신기를 집적할 수 있는 성능”이라며 “이번 성과는 양자컴퓨터가 풀어야 할 과제를 해결해 줄지도 모른다”고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개발자들이 주로 시도하는 방식은 초전도다. 양자비트는 초전도 재료로 이뤄지므로 전파망원경처럼 냉각이 필수다. 양자비트로부터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는 반도체 증폭기는 흔히 냉동기 안에 탑재된다. 전파망원경 수신기와 비슷한 방식이다.



무려 66개 안테나로 구성되는 대규모 전파망원경군 알마(ALMA) <사진=ALMA 공식 홈페이지>


코지마 부교수는 “현재 개발되는 양자컴퓨터의 양자비트 수는 수십~수백 개로, 완전 실용화 단계에서는 100만 개가 필요하다”며 “양자비트를 집적하려고 해도 전파망원경과 같은 이유로 기존 냉동기로는 발열을 제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전파망원경 개발로 초전도체 노하우를 축적한 NAOJ는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양자컴퓨터 개발에도 참가하고 있다. 일본은 오는 2050년까지 양자컴퓨터 실용화를 목표로 한다.


코지마 부교수는 “전파천문학 기술이 다른 산업에 도움을 주는 것은 학자로서 대단히 기쁜 일”이라며 “역으로 다른 분야의 기발한 아이디어나 새로운 지식이 전파천문학 발전에 미칠 영향도 기대된다”고 전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추천 비추천

9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타' 오게 하는 고가의 부동산을 구매한 스타는? 운영자 23/06/05 - -
192 범고래 옆에 사슴?...니가 왜 거기서 나와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6 5 1
191 고대 이집트인, 환각제와 피 섞어 마셔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4 1
190 수컷 없이 알 낳은 악어 등장...설마 공룡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3 1
189 가치 1000경 달러 '사이키' 탐사 시작된다 [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956 5
188 역학적 불안정성 응용한 日 지네 로봇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45 1
187 초기 우주 대질량 천체의 흔적 최초 발견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577 4
186 우주에서 바삭한 감자튀김 먹는 날 오나 [9]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290 3
185 '컨저링' 속 심령 현상, 비밀 벗겨질까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091 4
184 IQ 높을수록 어려운 문제 오래 고민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50 1
183 멍청한 줄 알았던 호모 날레디의 대반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19 2
182 테일러 스위프트, 1개월 만에 광속 결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95 1
181 장수풍뎅이 뿔 진화 비밀 벗겨지나 [35]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045 15
180 청정 심해 1000m에서 포착된 괴생명체 [2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760 17
179 우주서 만든 전기를 지구로 보내는 법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208 1
178 대화형 AI가 정보 유출...日 정부 칼 빼나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78 1
177 우주인의 필수 인공동면, 열쇠는 초음파?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99 1
176 "천박하고 폭력적"...성경, 美 학교서 쫓겨나 [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332 2
175 보잉, 우주택시 유인 테스트 또 연기했다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58 1
174 익룡, 철새처럼 기온 따라 서식지 옮겼나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81 1
173 바닥에 떨어진 음식, 몇 초 안에 먹으면 OK? [4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4701 6
172 완벽한 인간 그려봐...AI에 시켰더니 [7]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642 3
171 美 AI 드론, 승리 위해 아군 지휘관 제거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228 4
170 신경도 없는 식물이 외부 자극 느끼는 법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205 1
169 고대인들은 떨어지는 운석으로 뭘 했을까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222 1
168 엔켈라두스가 뿜은 1만㎞ 초거대 물기둥 [8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0422 40
167 손만 대면 연령 표시...술담배 범죄 차단 [79]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2713 36
166 번개 모방한 친환경 발전, 가능할까 [4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7750 13
165 6월 보름달이 유독 붉게 물드는 까닭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311 1
164 꽁꽁 숨은 중간 질량 블랙홀, M4에?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33 2
163 코끼리, 동물원 관람객 많을수록 활달 [3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574 23
162 제임스 카메론이 그릴 새 AI 디스토피아 [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556 14
161 NASA 최초의 UFO 보고서, 7월 나온다 [3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576 15
160 음식 사진 보는 것만으로도 식욕 채워져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324 3
159 수평아리 살처분 막을 암수 구분법 탄생 [4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2082 31
158 벤젠까지 싹...식물의 놀라운 정화력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207 2
157 죽은 이와 대화 가능...'강령 AI' 등장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371 2
156 원작 훼손 논란 '인어공주' 뚜껑 열어보니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308 3
155 젊은 사람 피로 회춘?...과학적 근거는 [3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3377 8
154 꿀잠 자다 파르르...동물도 꿈을 꾸나?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139 1
153 VLT가 잡은 제트 방출...변광성은 왜 중요할까 [5]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443 5
152 눈 24개 가진 맹독성 해파리 신종 출현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496 2
151 흰머리 생기는 근본적 원인 규명되나 [3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4630 12
150 사랑하는 곤충과 입맞춤...'버그 키스' 등장 [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501 2
149 82억짜리 정교한 티렉스 골격 공개된다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300 1
148 이중 다이아몬드 '뛰는 심장' 시선 집중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302 2
147 류구, 지구 생명체·물 기원 가능성 낮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313 3
146 연애 초보를 위한 인공지능 안경 등장 [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360 1
145 갈라파고스 해저에 숨은 원시 산호군락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210 2
144 태양 탐사선 'RHESSI' 추락...역사 속으 [15]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840 3
143 세기의 소송전 조니 뎁·앰버 허드 근황은 [2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420 6
123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

힛(HIT)NEW

그때 그 힛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