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 우리 친구들이 궁금해하는 코드를 정보컴퓨터 선생님이 차근차근 설명해 줄게요.
"온라인 교직원 채용"이라는 커다란 프로그램 조각
이 코드는 마치 큰 레고 블록 세트에서 한 조각과 같아요. "온라인 교직원 채용"이라는 전체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작은 부분이죠. 이 조각은 아마도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들이 합격했는지, 안 했는지 결과를 확인하는 부분을 담당하고 있을 거예요.
코드는 컴퓨터와 대화하는 방법
컴퓨터는 사람의 말을 바로 알아듣지 못해요. 그래서 우리는 특별한 언어, 즉 "코드"를 사용해서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려야 해요. 이 코드는 JavaScript라는 언어로 쓰여 있어요.
코드 한 줄 한 줄 뜯어보기
- BindItem: 이건 마치 라벨 스티커와 같아요.
- 예를 들어, BindItem("item0", "div00.form.staVal00", "text", "dsResultScre", "appoExam1TmeScre");
- 이 코드는 "item0"이라는 라벨 스티커를 "div00.form.staVal00"이라는 상자에 붙이고, 그 상자 안에는 "dsResultScre"라는 데이터 꾸러미에서 "appoExam1TmeScre"라는 정보를 찾아서 넣어줘!"라고 말하는 거예요.
- 즉, 화면의 특정 부분(상자)에 필요한 정보(데이터)를 연결해 주는 거죠.
function(_b): 이건 마법 상자와 같아요.
- function(_b){ ... } 이렇게 생긴 코드는 특별한 기능을 하는 마법 상자를 만드는 거예요.
- 이 상자 안에 여러 가지 명령을 넣어두면, 나중에 필요할 때 이 상자를 불러서 한 번에 실행할 수 있죠.
- 예를 들어, "검색 버튼을 누르면,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결과를 화면에 표시해 줘!"라는 기능을 하는 마법 상자를 만들 수 있어요.
if(_d.errors){return;}: 이건 안전장치와 같아요.
- 컴퓨터가 일을 하다가 혹시 실수를 하면(_d.errors), 더 이상 진행하지 말고 멈추라는 뜻이에요.
- 마치 자동차가 운전 중에 문제가 생기면 갓길에 세우는 것과 비슷하죠.
smfSearchService('listRcpt').run(): 이건 택배 주문과 같아요.
- smfSearchService라는 택배 회사에 listRcpt라는 물건(데이터)을 주문하고, run()으로 배송 시작! 이라고 외치는 거예요.
- 그러면 택배 회사(서버)는 주문한 물건을 찾아서 우리에게 보내주겠죠.
합격 여부는 어디에?
- dsResultRcpt: 이 이름표가 붙은 데이터 꾸러미 안에 합격자 정보가 숨겨져 있을 가능성이 커요.
- smfSearchService('listRcpt'): 이 택배 주문이 바로 합격자 명단을 가져오는 주문일 수 있어요.

- 좋아요! 그럼 우리 더 쉽게, 비유를 더 많이 써서 설명해 볼게요.
컴퓨터 안의 작은 마을
상상해 보세요. 컴퓨터 안에는 아주 작은 마을이 있어요. 이 마을에는 여러 건물들이 있고, 각 건물은 특별한 일을 해요.
- 채용 사무소 (온라인 교직원 채용 시스템): 이 마을에서 가장 큰 건물 중 하나예요. 사람들이 교직원이 되기 위해 지원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곳이죠.
- 게시판 (화면): 채용 사무소 앞에 큰 게시판이 있어요. 여기에 합격자 이름, 시험 점수 등 중요한 정보들이 붙어 있죠.
- 우체국 (서버): 마을 외곽에 있는 큰 건물이에요. 전국 각지에서 온 편지(데이터)들이 모이는 곳이죠.
- 심부름꾼 (JavaScript 코드): 마을 안을 바쁘게 뛰어다니는 심부름꾼들이 있어요. 이들은 채용 사무소와 우체국 사이를 오가며 메시지를 전달하고, 게시판에 정보를 붙이는 일을 해요.
합격자 발표 날
- 합격 여부 확인: 지원자가 채용 사무소에 와서 "제 이름이 합격자 명단에 있나요?" 하고 물어봐요. (검색 버튼 클릭!)
- 심부름꾼 출동: 심부름꾼이 우체국으로 달려가서 "합격자 명단 좀 주세요!" 하고 외쳐요. (smfSearchService('listRcpt').run())
- 명단 도착: 우체국 직원이 합격자 명단(데이터)을 심부름꾼에게 건네줘요.
- 게시판에 붙이기: 심부름꾼은 명단을 받아서 채용 사무소 앞 게시판에 예쁘게 붙여요. (BindItem을 사용해서!)
- 결과 확인: 지원자는 게시판에서 자기 이름을 찾고, 합격 여부를 확인해요.
코드 속 마법들
- (마법 스티커): 심부름꾼이 게시판에 정보를 붙일 때 쓰는 마법 스티커예요. 이 스티커를 사용하면 정보가 딱 맞는 자리에 정확하게 붙어요.
- (마법 주문): 심부름꾼이 여러 가지 일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마법 주문이에요. 예를 들어, "우체국에 가서 명단을 받아와서 게시판에 붙여라!" 같은 복잡한 일을 한 번의 주문으로 해결할 수 있죠.
- (안전 마법): 심부름꾼이 일을 하다가 혹시 실수하면, 더 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막아주는 안전 마법이에요.
정리!
코드는 컴퓨터 안의 작은 마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순서대로 적어놓은 거예요. 심부름꾼들이 코드를 읽고, 채용 사무소와 우체국 사이를 오가며, 게시판에 정보를 붙이는 거죠. 이렇게 해서 우리는 채용 시스템에서 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거예요!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