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본연의 풍미를 즐기기 위해 날로 먹는 문화는 점점 대중화되고 있다. 육회, 회, 생채소 등 생식은 조리 없이 섭취하기 때문에 식감과 영양을 고스란히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만큼 위생적 사각지대도 존재한다. 조리 과정을 거치지 않는 만큼 기생충, 세균,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특히 우리 몸은 일상에서 경험하는 기생충 감염에 대해 둔감해지기 쉽다. 감염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거나 단순한 피로감, 설사, 복통 정도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도 한다. 하지만 일부 기생충은 장기간 체내에 머물며 간, 폐, 뇌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다음은 식탁에 자주 오르지만, 날로 먹었을 때 기생충 감염 위험이 높은 4가지 식재료다.
온라인 커뮤니티
1. 민물고기 – 간흡충의 주요 매개체
민물고기는 생으로 섭취했을 때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동남아, 중국, 한반도 일부 지역에서는 민물고기회를 즐기는 문화가 남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간흡충은 담관에 기생하며, 반복적인 감염은 담도암이나 간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유충이 생선의 근육이나 내장에 분포돼 있다는 점이다. 얼핏 신선해 보이는 회 한 접시에도 감염원이 숨어 있을 수 있다. 고온 조리를 하지 않는 이상 완전한 제거는 어렵다.
온라인 커뮤니티
2. 소 간 – 간흡충과 톡소플라즈마의 이중 위험
소의 간은 '천연 비타민'이라 불릴 정도로 영양이 풍부하지만, 날로 섭취했을 경우 간흡충뿐 아니라 톡소플라즈마 같은 원충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중간 숙주로 사람을 삼는 톡소플라즈마는 면역력이 낮은 사람에겐 심각한 신경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소 간을 얼린 상태로 날로 먹으면 괜찮다고 말하지만, 일반적인 냉동 과정으로는 대부분의 기생충이나 원충을 완전하게 사멸시키기 어렵다. 중심부까지 70도 이상에서 조리하지 않으면 안전하다고 보기 어렵다.
온라인 커뮤니티
3. 돼지고기 – 유구낭미충의 위험성
돼지고기를 덜 익혀 먹는 문화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최근에는 스테이크나 바비큐처럼 겉은 익고 속은 덜 익은 형태로 소비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문제는 이때 유구낭미충(돼지 촌충의 유충)이 살아남아 사람의 체내로 침투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유구낭미충에 감염되면 뇌에 침투해 신경계 질환인 신경낭미충증을 유발할 수 있다. 두통, 발작, 시야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돼지고기는 반드시 내부 온도가 75도 이상일 때까지 충분히 익혀야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
4. 생나물 – 광절열두조충 및 토양 기생충 감염 가능
봄철 입맛을 살리기 위해 먹는 달래나 냉이, 미나리 같은 생나물도 기생충 감염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특히 논이나 습지에서 자란 나물은 광절열두조충이나 회충, 십이지장충 등 토양성 기생충의 알에 오염돼 있을 수 있다.
표면을 아무리 깨끗하게 씻어도 잔뿌리나 주름 사이에 알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데치거나 살짝 익혀 먹는 것이 안전하며, 최소한 10분 이상 흐르는 물에 세척 후 소금물에 담갔다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