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허경영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허경영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요즘엔 빌보드급 이상으로 중요하다는 차트 ㅇㅇ
- 상업화되지 않은, 진정한 플로리다의 바다를 느낄 수 있는 섬 관광지 ㅇㅇ
- 재판나온 이상민, 웃어놓고 "못막아 허탈"ㅋㅋ ㅇㅇ
- 곽튜브가 '5살 연하'첫사랑과 결혼을 결심한 계기 ㅇㅇ
- 국내 1병있는 로얄 53년 나타나서 난리 난 위스키카페 간경화붕이
- 트럼프, 허위이력·사기 등으로 수감된 의원을 본인 지지자라는 이유로 석방 NMH-523
- 기괴기괴 헌혈요청 겨울밤캠핑온천
- 경주 살려 ㅇㅇ
- 일회용 간이 마크로 디퓨저 만들기 쇠박쌔
- 식물 대 좀비 리플랜티드 - 팬들과 원작자 기만의 절정 끈적한물렁뼈
- 요즘 프로듀서를 싫어하는 대니 브라운 이오더매드문
- 전세 사기로 4행시 지어보겠습니다 7화 - 명도 합의 박창용
- 싱글벙글 인류가 역대까지 만든 가장 비싼물건들 ㅇㅅㅇ
- 진중권 “망상 백해룡, 임은정도 검찰이라 들이받아…누굴 응원해야 하나” 00
- 19세기 남부에서 좋은 의사가 되려면? Ashige_good
싱글벙글 전국 읍면 인구 순위
반갑다이번엔 읍 인구 순위를 해달라고 해서 돌아왔다대체 왜 동으로 전환하지 않고 읍을 유지하고 있는지 답답한 동네들이유야 뭐 농어촌 때문이겠지지방자치제 시행 이후로는 나라에서 강제적으로 행정구역 개편을 할 수 없음20등까지 알아본다전에 어떤 댓글이 마지막에 1등이 나오는 게 좋다고 해서 특별히 20등부터 역순으로 해 주겠음20등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52304명2004년 읍 승격상상을 초월하는 곳. 대체 위성지도만 봤을 땐 어떻게 5만 명을 넘기는지 알 수 없는 동네. 경기도 광주가 난개발이 너무 심하기 때문에 제대로 도시계획을 가지고 만든 곳이 별로 없음도로변에 아파트나 빌라가 길게 늘어져 있음. 그래도 교통은 좋다19등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52802명1942년 읍 승격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 (이자 무덤)북동쪽 끝에 초록색으로 보이는 곳이 봉하마을이다인구 5만 넘으니 무시하면 안됨. 동네 짱센 읍18등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54323명5만 명을 넘기는 면도 존재한다! 순천 시내와 붙어있기 때문에 여기에 택지지구가 건설되었음상삼리에 상삼출장소가, 신대리에 신대출장소가 설치되어 면사무소와 따로 관리하고 있다신대지구가 요즘 순천 핫플로 뜨고 있는데, 여기엔 아이맥스 영화관도 있고 코스트코 입점도 확정됐다!2개의 고속도로가 시작하고 순천-여수를 잇는 길목프로미스나인 백지헌이 여기서 중학교를 졸업했다 17등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56954명최근에 해룡면을 역전하고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면이 되었다부산과 양산 시내 사이에 있는 좋은 위치여서 여기가 개발이 된 것생활권이 3개로 분리된 기묘한 지역이다.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의 희생양도 아니고 원래 이랬음35번 국도가 지나는 서부/경부고속도로가 지나는 중부/7번 국도가 지나는 동부로 나눌 수 있음현재 중부에 사송신도시가 건설되어 인구 증가의 동력이 되고 있다16등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57045명1980년 읍 승격포스코와 가까이 있음하지만 포항시내와 생활권이 공장시대로 분리되어 있다15등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58019명1995년 읍 승격마산 인구를 분산시키기 위해 여기를 개발함. 정점에는 7만도 넘겼지만 창원 자체가 쇠퇴중이라 6만도 깨짐중부내륙고속도로 시점 내서JC이 소재한다14등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59303명1980년 읍 승격와부 말고 덕소로 더 유명하지. 왜 덕소읍으로 안 바꾸는지 의문덕소역엔 중앙선 전철로 서울에 금방 갈 수 있고 무궁화호와 KTX도 정차한다. 남쪽의 팔당리에 팔당댐과 팔당대교가 있음13등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59753명1973년 읍 승격우리나라 읍 중 가나다순으로 가장 마지막에 있다2015년 포항역이 여기로 이전했고 영일만항이 있다최근 들어 포항역 주변에 택지지구가 조성되어 단 2년 만에 인구 2만 명이 늘어서 이름대로 정말 흥하고 있음12등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60137명화성시청이 여기 있다. 원래 오산에 있다가 2000년에 이전함. 바로 다음해 시 승격할 때 여기에 시청이 있다고 당시만 해도 농촌이었던 여기를 동으로 전환했으나주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라 2014년 동에서 읍으로 강등? 전환되었다남양유업과는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공장은 없고 창업주가 남양 홍씨임 (고향은 평안도)11등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66851명2001년 읍 승격울산 시내와 가장 가깝기 때문에 여기를 중심으로 택지개발이 이뤄짐. 사실상 울산시내 연장선울산고속도로를 타고 울산으로 들어가면 반드시 여기를 지나게 된다10등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68450명2001년 읍 승격말이 안성이지 평택 시가지와 연담화되어 있음안성IC에서 바로 나오면 스타필드가 보이지만 거기서 길 건너면 평택이다안성시내보다 공도읍 인구가 더 많음9등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68644명2007년 읍 승격아주 넓은 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많아졌다. 오송과 헷갈리면 안됨산하 법정리가 34개로 전국에서 가장 리가 많은 읍면이다8등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77623명2015년 읍 승격거의 대부분이 정관신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부산시내와 너무 먼 곳에 개발한 것 같은 느낌인데심지어 철도도 없잖아7등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85480명2007년 읍 승격예전엔 향남읍보단 읍소재지가 있는 발안리가 더 유명했다 (옆의 서해안고속도로 나들목 이름도 발안IC)3.1운동 때 일본군에게 학살 피해를 당한 제암리가 여기에 있음최근 서해선 향남역이 개통되었다6등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89664명1998년 읍 승격대구 시내와 붙어 있기 때문에 활발히 개발되었다지하철 2호선이 여기서 시작함금호강 동쪽은 서재출장소가 따로 관할하고 있다추씨 2명의 고향이다5등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94798명2009년 읍 승격천안과 아산 사이라는 기막힌 위치로 양쪽에서 개발의 수혜자가 되었음천안아산역이 위치한다. 그리고 장항선 철도에 1호선도 지나감곡교천 이동 3리는 아무리 봐도 천안 생활권이어서 천안 편입 운동을 하기도 했음4등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95006명1989년 읍 승격개발제한구역 바깥이어서 활발히 개발이 진행되었다2022년 4호선 연장 진접선이 개통3기 신도시인 왕숙신도시 일부이 진접읍 구역에 있어서 또 떡상할 예정3등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110030명또 화성이야!1998년 읍 승격수원과 가까워서 개발이 많이 된다. 작년에 10만을 돌파했는데 1년만에 또 1만이 늘었다. 또 개발 예정구역이 있어서 여기가 전국 읍 인구 1등을 할 수도 있음쉽게 말해 지난 1년 동안 동탄보다 인구증가율이 높다화성은 동탄 병점 봉담 향남 남양 등으로 분산된 다핵도시2등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111748명또 남양주야!1991년 읍 승격 2015년 10만 돌파인구가 너무 많아서 출장소가 2개나 되어 관할하는 중여기도 은근 중구난방으로 개발됐다남양주는 화성보다 더 시가지 분절화가 심한 곳으로, 중심지라 할 만한 곳이 없고 적당히 분산되어 있어 통합이 안된다다산 별내 평내+호평 진접+오남 와부 화도 등등대망의 1등!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116757명읍 전체를 양산신도시로 개발했음. 여긴 대체 왜 동 전환을 안 하는지 모르겠는데다른 읍면은 도시화가 됐지만 일부는 시골인 곳이 있는데 여긴 면적도 작아서 다 도시거든? 여기가 양산시내보다 인구 많음부산 2호선이 지나고 물금역에 KTX도 일부 정차한다에스파 윈터의 고향은 여기가 아니다그 외에 인구 5만을 넘는 읍은 부산 기장군 기장읍경기 남양주시 오남읍경기 김포시 고촌읍이 있음여담이지만 옛날 과대읍들은 더 심했다광주시 오포읍은 11만까지 찍고 2022년 분동파주시 교하읍은 11만까지 찍고 2011년 분동화성시 태안읍은 12만까지 찍고 2006년 분동김해시 장유'면'은 13만까지 찍고 2013년 분동용인시 수지읍은 14만까지 찍고 2001년 분동이 분야의 끝판왕은 시흥군 소하읍으로 15만까지 찍고 1981년 광명시로 승격되었다다음엔 행정동을 할지 시군구를 할지 모르겠음
작성자 : ㅇㅇ고정닉
앙리 라보리와 625때 있었을지도 모르는 비극.
앙리 라보리Henri Laborit. 이 프랑스 남자는 1914년 하노이에서 태어났다. 인도차이나에서 의무병으로 복무하며 의사 생활을 시작했고, 2차 세계대전에도 군의관으로 참전했다. 구축함이 그의 근무지였다. 덩케르크 철수전에도 그가 있었다. 다만 기적이 내려왔던 그 전장에서, 라보리는 열외자였다. 그가 탑승했던 구축함의 이름은 시로코Siroco였다. 몇 안 되는 침몰함중 하나에 그가 타고 있었던 것이다. 시로코는 독일 슈넬보트가 발사한 어뢰 공격에 피격당하며 연쇄 폭발을 일으켰다. 군함은 가라앉았고 해군 660명이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죽음의 행렬에서도 라보리는 여전히 열외자였다. 얼음장 같은 북해의 바다에서 그는 파도 위로 가까스로 턱을 치켜 든 채, 약 3시간을 버텨냈다. 익사 직전까지 몰리고서야 그는 기적적으로 구조되었다. 극심한 저체온증에 시달리던 체험은 그에게 지워지지 않을 흔적을 새겼다. 하지만 라보리는 그 흔적조차 자신이 나아갈 길의 양식으로 삼았다. 체온이 떨어지며 몸에서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는 그 때의 경험을, 수술중인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는 착상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종전 이후. 파리 군병원 발드그라스에서 재직하던 라보리는 동면요법arti(금지어우회)ficial hibernation의 연구에 나섰다. 동면. 말 그대로 수술 중인 환자를 냉각재에 둘러싸이게 해서 체표면을 식히는 식으로, 체온을 강하시켜 수술 중의 절개나 심박 증가에 대한 반응을 저해하려는 요법이다. 언급했듯 그는 군의관이었다. 전쟁이 막 끝난 세계에는 다가오는 사람이 뇌관을 격발시켜주길 기다리는 무기들이 어디든 수두룩했다. 전후 뒤처리로 탄 제거에 나선 수많은 군인들이 외상을 입고 병원으로 실려 왔다. 라보리는 중대 수술들을 연이어 집도했다. 실려 온 군인의 몸 깊숙한 곳에 금속 파편이 박혀 있는 일은 예삿일이었다. 사람 몸 가르고 찢는 일이 그의 일상이 되었다. 그는 환자들이 겪는 수술 스트레스를 수없이 목격했다. 모르핀과 바르비투르산에 의존하던 당시의 수술은 환자들의 스트레스와 쇼크에 속수무책이었다. 그는 고민에 잠겼다. 어떻게 해야 환자들에게 안정과 진정을 줄 수 있을까? 수술 스트레스는 단일한 이유 하나만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여러 유형의 발현에 대처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약물을 조합해서 써보면 어떨까? 문득 라보리는 동료였던 피에르 위그나르Pierre Huguenard의 약물 칵테일Lytic Cocktail을 떠올렸다. 파리의 마취과 의사였던 위그나르는 1948년의 어느 날, 어떤 진상 환자를 떠안았다. 환자가 마취에 사용되는 마스크를 쓰기 싫다고 고집을 피운 것이다. 환자를 달래야할 간호사조차 신경질적으로 대꾸해서 진전이 없었다. 할 수 없이 그는 그녀에게 항히스타민제와 오피오이드를 혼합한- 프로메타진과 페티딘을 섞은 칵테일을 마시는 대안적인 마취법을 제안했고 그녀는 따랐다. 반신반의하던 그는 환자가 이완되었으며 또한 자극에 무관심한 상태를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 칵테일이 불려온 둔마 현상에 깊은 인상을 받은 라보리는 생각했다. 항히스타민제에 자신의 동면요법을 더하면 환자들이 안정 상태로 진입하지 않을까, 하고. 저체온 상태의 인체는 스트레스 반응의 일부 구성요소를 방지할 수 있지만, 냉각 자체가 스트레스로 작용할 요인도 존재했다. 거기에 항히스타민제를 쓰면 냉각에 대한 반응을 차단할 수 있으리라는 구상이었다. 라보리는 당시의 프랑스 제약회사인 론풀랑크Rhône-Poulenc와 접촉했다. 론풀랑크는 이미 항히스타민제를 연구하는 분야에서 최선두를 달리고 있었다. 1942년에 안테르간Antergan을 만든 베르나르 알페른Bernard Halpern과 르네 뒤크로René Ducrot가 론풀랑크 소속이었으며, 1937년에 최초의 항히스타민제를 합성한 다니엘 보베Daniel Bovet의 연구 그룹도 론풀랑크와 협력관계에 있었다. 업계의 거물에게 라보리는 제안했다. “중추 신경계에 미치는 안정화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를 만들어보면 어떨까요?” 그 작업을 맡은 과학자는 폴 샤르팡티에Paul Charpentier였다. 1951년, 샤르팡티에는 시몬 쿠르부아지에Simone Courvoisier와 함께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해내는 데 성공했다. 페노티아진 모핵에 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측쇄를 가진 그 화합물은, 론풀랑크에서 RP를 따와 4560R.P. 즉 4560RP라 지칭되었다. 이 화합물의 약리적인 특성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테스트가 시행되었다. 쿠르부아지에는 ‘로프 오르기 테스트’를 사용했다. 생쥐, 플랫폼, 플랫폼에 묶인 밧줄, 그리고 전기 충격기가 결합된 이 실험은 간단했다. 생쥐는 먹이 보상에 대한 특정한 자극에 반응하도록 조건화되거나, 충격과 같은 혐오적 경험을 회피하기 위해서 훈련될 수 있다. 쿠르부아지에는 생쥐들이 버저 소리가 나면 임박한 전기충격을 피하기 위해 밧줄을 기어오르도록 훈련시켰다. 그리고 신약 4560RP를 일부 생쥐들에게 투여하고, 결과를 살폈다. 4560RP의 약효에 취한 생쥐들은, 다른 생쥐들이 하는 것처럼 로프 위를 기어오르지 않았다! 전기를 피하지 않았다. 쪼맨한 생쥐 발이 전류를 마구 흡수하는 와중에도 쥐들이 눈을 뜬 채로 무덤덤하게 있는 것이었다. 쥐들은 잠들지 않고 깨어있는 상태로, 운동능력이나 협응력이 손상되지도 않은 상태로, 쪼그리고 앉아 있기만 하며 충격에 대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런 반응의 결손은 무관심성을 보이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샤르팡티에와 쿠르부아지에는 4560RP를 실험했고 다방면에서 이것이 프로메타진을 능가한다는 사실을 검토했다. 1950년대의 과학자들이 보기에, 약물의 작용은 광범위했다. 4560RP는 교감 신경계에 작용했다. 심혈관 효과도 관찰되었다. 바르비투르산염의 효과를 강화하기도 했다. 항콜린 작용과 항구토 작용까지 보였다. (López-Muñoz et al (2005)에서 발췌.) 라보리는 많은 계에 간섭하는 이 약물을 반겼다. 이런 작용이 다양한 목적의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것이다. 드넓게 작용한다large action는 의미에서 이 화합물에 라각틸Largactil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 프랑스에서 이 4560RP, 클로르프로마진이 라각틸이라 불리게 되는 계기였다. 라보리는 라각틸을 여러 환자에게 투여했다. 평범한 사람들도 대상이 되곤 했다. 동료 의사였던 코넬리아 카르티Cornelia Quarti가 자원해서 라보리의 피험자가 되었다. 약을 받은 카르티는 실신할 것 같은 느낌 이외에 다소간의 무관심성을 느꼈음을 보고했다. 택시 운전사들도 피실험자가 되었는데, 그들은 투약 후 경험에서 “도로 주행에서 빨간 신호를 잘 인지하지 못했다”라고 대답했다. 라보리의 실험은 외국으로도 뻗어나갔다. 마침 그 시기에 항스트레스 반응을 테스트할 적합한 시험장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프랑스에서 멀리 떨어진 곳, 전쟁의 그림자 아래서 온갖 종류의 환자들과 스트레스가 끓어오르는 좁은 반도. 한반도에서 벌어지는 한국전쟁. (Caponi (2021)에서 발췌.) Healy (2002)에 의하면, 미군과 접촉한 라보리는 미군에게도 라각틸의 사용을 제안했다고 한다. 라각틸의 neuroplegic적 효과가 부상당한 병사들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미군을 설득했다는 것이다. 라각틸이 정말로 한국전쟁 중 미군 병사들의 의료 키트에 포함되었는지, 제한적으로 허용되었는지, 리젝을 당했는지, 그리고 만약 전쟁에서 사용되었다면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다. 한국전쟁 시기에 미군의 키트에 라각틸이 존재했으며, 병사들이 그것을 사용했음을 입증하는 “공식적인” 증거는 미군의 관련 기록이나 문헌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구술적인 증언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라각틸이 정신병 유병자들의 치료에 아주 탁월하다는 소식이 퍼지고, 환자들이 정신을 회복하고 가정으로 돌아가기 시작하던 그 때. 프랑스에서는 정신과에 종사하는 의사들이 모여 연구그룹 CLRTP(Comité Lyonnais de Recherches Thérapeutiques en Psychiatrie)를 만들었다. 라각틸을 사용한 임상 사례를 공유하고 검토하는 그룹이었다. 영국정신약리학회BAP총장을 지낸 정신과 전문의/정신약리학자이며 여러 저작을 써낸 작가인 데이비드 힐리David Healy의 책 The Psychopharmacologists에는, 저자가 CLRTP 연구자들에게서 따낸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다. (Healy (2002)에서 발췌.) 그 때, 실험의 결과를 들었던 CLRTP 인사, Paul Broussolle는 이렇게 증언했다 : “실제로, 저는 나중에 라보리 씨가 미군에게 스트레스 방지제로 라각틸을 추천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미군 병사들이 라각틸 앰플을 가지게 되었다는 말입니다. 부상을 입으면 쓰기로 되어 있었죠. 근데 진정 작용 때문에 한국 전쟁에 참여했던 일부 병사들이 무기력증에 빠져버렸습니다. 구조대에 의해 구조되려는 의사표시조차 하지 않게 되었고, 다들 전쟁터에서 죽었지요. 불행한 군사적 사용인데 수년 동안 은폐되었고 지금도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비극의 존재를 암시하는 이 증언이 사실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라보리가 활약을 보였던 다른 전쟁도 있다. 바로 프랑스가 베트남과 벌였던 인도차이나 전쟁. (Jacobsen (1986)에서 발췌.) Jacobsen (1986)에 따르면, 라보리의 동면요법은 프랑스군에 대규모로 적용되었으며 수천 명의 군인들이 생명을 구했다고 한다. 어쨌든 대단한 사람임은 사실이다. 참고문헌 : Laborit, H. (1992). L’esprit du grenier. Grasset. Swazey, J. P. (1974). Chlorpromazine in psychiatry: A study of therapeutic innovation. MIT Press. Thuillier, J. (1999). The ten years which changed the face of mental illness (G. Hickish, Trans.; D. Healy, Ed.). Martin Dunitz. (Original work published 1980) López-Muñoz, F., Alamo, C., Cuenca, E., Shen, W. W., Clervoy, P., & Rubio, G. (2005). History of the discovery and clinical introduction of chlorpromazine. Annals of clinical psychiatry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linical Psychiatrists, 17(3), 113–135 Healy, D. (2002). The creation of psychopharmac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Caponi S. (2021). On the so-called psychopharmacological revolution: the discovery of chlorpromazine and the management of madness. Sobre la llamada revolución psicofarmacológica: el descubrimiento de la clorpromazina y la gestión de la locura. Historia, ciencias, saude--Manguinhos, 28(3), 661–683 Brouillot, P., Broussolle, P., Greffe, J., Guyotat, J., Lambert, P., Lemoine, P., & Soares-Boucaud, I. (CLRTP). (2000). The Birth of Psychopharmacotherapy: Explorations in a New World, 1952–1968. In D. Healy (Ed.), The Psychopharmacologists (Vol. 3, pp. 1–54) Jacobsen E. (1986). The early history of psychotherapeutic drugs. Psychopharmacology, 89(2), 138–144
작성자 : 우승희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