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제철코어' 즐기는 요즘 MZ의 가을 루틴은?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10.23 09:15:17
조회 3021 추천 9 댓글 1
														

제철코어 소비 방식에 대한 소비자 유형을 분석한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분석 보러가기


종합리서치 & 데이터테크 기업 '엠브레인'의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 전국 만 13~69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제철코어 소비 트렌드 관련 U&A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대중소비자들은 사계절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체감하며 계절별 음식이나 활동을 즐기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일상 전반에 '제철코어'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는 모습까지 살펴볼 수 있었다.



10명 중 7명, "계절마다 특색있는 음식, 활동 즐긴다!"

우리나라의 뚜렷한 사계절 기후에 대한 선호도가 연령에 관계없이 높게 평가된 가운데(10대 81.5%, 20대 78.5%, 30대 75.5%, 40대 72.5%, 50대 75.0%, 50대 85.0%), 계절 별로 특색 있는 음식을 먹거나,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경향(74.0%, 동의율)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여가나 액티비티 등 특정 계절이 되면 꼭 찾는 음식이나 활동이 있고(65.4%, 동의율), 해당 계절에만 즐길 수 있는 것들을 적극적으로 찾아 즐긴다(52.6%)는 응답도 높은 수준으로, 계절의 변화를 체감하고 이를 라이프스타일에 반영하는 태도가 일상 전반에 자리잡고 있었다.


봄에 즐겨하는 활동으로는 꽃 구경(63.8%, 중복응답)과 봄 맞이 나들이(57.8%)를 주로 꼽았다. 여름에는 제철 음식(75.0%, 중복응답) 및 과일 섭취(69.0%), 물놀이(55.3%)를 언급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을에는 단풍을 구경한다(61.5%, 중복응답)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겨울에는 귤 딸기 등 제철 과일(61.2%, 중복응답)이나 따뜻한 제철 음식을 즐기는(56.3%)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음식이나 과일/채소 등 먹거리를 중심으로 계절을 향유하는 특징을 보였고,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계절 한정 메뉴나 시즌 한정 상품에 높은 관심을 보인 점이 눈에 띄었다.


이처럼 평소 제철 음식이나 활동을 즐기고자 하는 이유로는 반복되는 일상에서 새로운 즐거움과 활력을 얻을 수 있다(55.3%, 중복응답)는 점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았고, 다른 계절에는 할 수 없는 특별한 경험(52.0%)이자 딱 그때만 할 수 있는 희소한 경험(48.9%)이란 응답이 뒤를 이었다. 특정 계절에만 경험할 수 있는 가치에 주목하며, 그 시기에 집중하려는 태도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실제로 계절은 온전히 즐기는 것이 일상에서 소소한 행복을 준다(85.5%, 동의율)는 데에 높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고, 특정 계절에만 할 수 있는 경험은 지금이 아니면 할 수 없다는 생각에 찾게 되는 것 같다는 응답이 71.6%에 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철코어' 소비 트렌드에 대한 관심 높아져
저연령층, 제철코어 핵심 소비층으로 꼽혀


전반적으로 계절 별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 태도가 두드러지면서, '제철 코어' 트렌드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철코어'란, 특정 계절에만 경험할 수 있는 음식, 패션, 라이프스타일 등을 적극적으로 즐기는 현상을 뜻하는 소비 트렌드로, 인지도(들어본 적 있고, 내용도 잘 알고 있다-4.6%) 대비 관심도(59.8%)가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


특정 계절에만 즐길 수 있는 경험은 더 가치가 있고(76.1%, 동의율), '제철/시즌' 한정 제품은 특정 계절의 감성을 자극하는 것 같아 호감이 간다(69.8%)는 응답이 높게 평가된 것으로 미루어, 계절의 한정성이 오히려 특별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계절 별로는 자연 환경을 즐기는 활동(55.8%, 중복응답), 계절에 맞는 스타일링(49.9%),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요리 즐기기(48.3%) 등을 통해 '제철코어'를 경험해봤다는 응답이 많은 편이었다. 특히, 2030 저연령층의 경우 특정 계절에만 즐길 수 있는 것들을 적극적으로 찾아 즐기는 경향이 타 연령 층 대비 강한 특징을 보였고, '제철/시즌 한정' 등의 문구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뚜렷한 모습을 보였다(우측 그래프 참조).


실제로 이들 세대를 중심으로 이전 대비 제철코어 소비 방식을 즐기는 빈도가 크게 증가했다(10대 17.7%, 20대 29.5%, 30대 26.2%, 40대 20.7%, 50대 20.9%, 60대 19.8%)는 응답이 두드러졌다. 또한 제철코어를 향유하는 주 연령층으로 2030세대를 꼽은 비율이 높게 나타나(10대 12.6%, 20대 49.8%, 30대 47.7%, 40대 30.7%, 50대 28.6%, 60대 16.4%), 2030세대가 제철코어 트렌드의 주요 소비층으로 자리잡고 있는 모습까지 살펴볼 수 있었다. 최근 이들 세대를 타겟으로 한 제철 한정 상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 이유를 재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기후 변화와 '제철 코어' 니즈 확산의 관계는?


제철코어에 대한 성장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점쳐지고 있었다.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앞으로 계절을 온전히 즐기려는 사람들이 더욱 많아질 것 같다(62.4%, 동의율)는 전망을 내비친 것으로, 계절에 맞는 소비를 공략하는 것이 중요한 마케팅 포인트가 될 것 같다(68.2%)는 의견까지 피력하고 있었다.


실제로 최근 '제철코어' 소비 방식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다(53.7%, 동의율)는 체감도가 높게 평가된 가운데, '식재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비 영역에서 '제철' 트렌드가 확산되는 것 같다(67.5%)는 응답이 두드러졌다.


물론 다른 한편에서는 계절을 온전히 즐기는 것이 시간과 돈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63.3%, 동의율)는 지적도 많았다. 또한 '제철/시즌 한정' 제품의 인기 현상은 마케팅의 결과인 것 같고(54.8%, 동의율), 어차피 내년에도 또 똑같이 나오는 상품에 불과하다(38.4%)는 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제철코어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가 높게 나타난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에 따라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83.8%)는 향후에도 제철코어 소비 방식을 즐겨볼 것이란 의향을 밝히고 있었고, 특정 계절에만 할 수 있는 자신만의 루틴/활동을 만들어보고 싶다(55.9%, 동의율)는 응답이 과반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아울러 향후 기후 변화로 인해 계절별로 즐기는 경험이 더욱 희소한 경험이 될 것 같다(73.4%, 동의율)는 인식이 높게 나타나, 계절감을 보다 가치 있게 소비하고자 하는 니즈는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단, 제철/시즌 한정 제품의 가격이 비싸더라도 소비할 의향을 밝힌 응답자 비율이 32.5%에 불과한 결과를 보여, 가격이 주요한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관련 내용 데이터 보기 :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제철코어’ 소비 트렌드 관련 U&A 조사


  • ▶🎥 OTT 덕후 주목! 2시간 말하고 5만원 받자!

  • 2026년을 관통할 3대 소비 트렌드 대공개

  • 추천 비추천

    9

    고정닉 0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해외에서 겪는 불합리한 대우에 대응 잘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11/03 - -
    83 헬시 플레저 열풍도 못 말린다? 20대 여성 구매 비중이 증가한 술은? [3]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6999 6
    82 만나면서 맞춘다 vs 잘 맞는 사람과 시작한다, 20대가 선택한 연애는? [13]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8934 7
    81 “건강관리도 스펙?” 2030이 ‘건기식’에 열광하는 이유는?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936 6
    '제철코어' 즐기는 요즘 MZ의 가을 루틴은? [1]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3 3021 9
    48 OTT가 대세인데… 굳이 영화관 가는 이유는? [24]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9756 11
    35 “친구는 많을수록 좋다”는 말, 여전히 유효할까? [27]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8257 13
    19 [딥데이터 줍줍] 맥도날드, 로코노미 마케팅 전략의 진짜 효과 [6]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5 8748 7
    14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20대 여가·사교 소비 늘었다! [27]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3 10426 8
    13 세대별로 갈린 능력의 정의, 2030의 선택은? [13]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1 8799 11
    12 ‘메이드 인 차이나’의 진화? 짝퉁에서 가성비가 되기까지 [42]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9 10513 14
    11 [엠브레인 웨비나] 가을뷰티, 타겟세그먼트의 정답을 찾다!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9 766 8
    10 2026트렌드, 한국 소비를 지배할 3대 키워드는? [17]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5 4216 14
    9 유행 따르던 시대 끝… 이제는 ‘나만의 취향’이 국룰 [1]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1253 7
    8 챗GPT만 있는 줄 알았지? 국내서 급성장 중인 AI는? [1]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1205 7
    7 “지드래곤·안성재 술 대박… 연예인 주류 매출 222% 폭증” [4]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1077 5
    6 성형 앱 쓰는 10대 급증… 메디컬 뷰티, Z세대까지 삼켰다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529 7
    5 직장인 현실 답변… ‘보상 없으면 열정도 없다' [4]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911 7
    4 취향 저격 vs 취향 감옥? SNS 추천 알고리즘 [1]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784 7
    3 힙하다 vs 위로된다, 2025 복고 문화가 뜨는 진짜 이유 [3]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945 8
    2 추석에도 실속이 국룰… 2030 소비 키워드 = 듀프 emb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465 7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