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쇼트 프로그램
Rule 510 쇼트 프로그램, 싱글 스케이팅의 경우
1. a) 싱글 스케이팅에서 쇼트 프로그램(시니어와 주니어 모두)은 8개의 필수 요소로 구성된다. 요소들의 순서는 임의로 한다.
b) 불필요한 경우, 최대한의 시간까지 프로그램을 늘리는 것에는 추가 점수가 부여되지 않는다. 음악은 선수들이 선택할 수
있지만, 가사를 포함한 보컬곡은 허용되지 않는다.
(설명: 예를 들어 프리 프로그램 규정시간이 4분 30초인데 4분 40초까지 더 길게 연기한다고 점수를 더 주지는 않는다.
가사가 들어간 보컬곡은 싱글 스케이팅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일례로 지난 시즌 브라이언 쥬벨의 All for you의 경우,
보컬곡이지만 라틴어이므로 사어(死語)로 판단하여 쥬벨 팀에서는 그대로 쓴 듯하나, 뜬금없이 월드에서는 감점을 했다.
논란이 되는 부분이다.)
c) 점프, 스핀, 스텝, 혹은 반복 등의 규정되지 않은, 혹은 추가적인 요소들은, 요소가 실패한다 하더라도 채점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다른 요소들을 침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수행된) 규정되지 않은, 혹은 추가적인 요소가 (수행되지 않은)
규정 요소를 대신하는 경우, 각 항목은 블록되며, 이 수행된 요소는 필요 요건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점수를 주지 않는다.)
(설명: 쇼트에서 8개 필수 요소 이상의 것을 수행한다고 해도 점수를 주지 않는다. (프로토콜엔 표시되는 대신, *로
표시하고, 점수는 0점이 된다. 2007 월드에서 연아가 LP 도중 뛴 3S-2T가 이에 해당한다. 두 번째 문장은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우나, 쇼트에서 점프를 네 번 뛰고 스핀을 두 번 하는 정신 나간 짓을 한 경우, 점프 항목 하나를 블록하고
세 번째 스핀은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쳐서 0점 처리하는 상황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원문에서는 \\\'block a \"box\"\\\'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프로토콜에서 요소의 칸을 뜻하는 듯 하다.)
d) 선수가 스핀에 들어갈 때 넘어지는 경우, (시간이 허락한다면) 이 넘어진 스핀/스핀 요소 후에 즉시 다시 시작하는 것이
허용된다.
(설명: 넘어진 이후 즉시 다시 스핀을 시작한다면 앞에 넘어진 것은 스핀 요소로 채점하지 않는다는 뜻. 즉, 쇼트의 경우 스핀이
네 개가 되는 것이 아니고, 이후 시작한 스핀으로 채점한다. 그러나 플라잉 자세에서 넘어진다면 물론 감점한다. 또한
총점에서도 당연히 1점 디덕션을 둔다.)
2. 시니어 쇼트 프로그램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남자:
a) 더블 혹은 트리플 악셀 파울슨
b) 연속된 스텝과 이에 해당하는 스케이팅 움직임(ex. 이나바우어)들에 즉시 이어서 수행되는 하나의 트리플 또는 쿼드러플 점프
c)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 2-3 (3-2), 3-3, 4-3 or 4-2
d) 플라잉 스핀 [FSp]
e) 발을 한 번만 바꾸는 카멜 또는 싯스핀 [CCSp or CSSp]
f) 발을 한 번만 바꾸는, 모든 기본 포지션(싯, 카멜, 업라이트 또는 그에 따른 베리에이션)을 포함한 컴비네이션 스핀 [CCoSp]
g) 서로 다른 라인을 사용하는 두 개의 스텝 시퀀스 (스트레이트 라인, 서큘러, 혹은 서펜타인) [SlSt, CiSt, SeSt]
(구성 예: 브라이언 쥬벨의 경우 [COR SP]
1. 4T-3T (c)
2. 3A (a)
3. 3Lz (b)
4. FSSp (d)
5. CiSt (g)
6. CCoSp (f)
7. SlSt (g)
8. CSSp (e)
점프를 제외하고는 대개 스핀도 FSSp, CSSp, CCoSp으로 동일하지만, 숀 소여처럼 플라잉스핀으로 FCSp을 넣을 수도 있다.)
여자:
a) 더블 악셀 파울슨
b) 연속된 스텝과 이에 해당하는 스케이팅 움직임들에 즉시 이어서 수행되는 하나의 트리플 점프
c)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 2-3 (3-2), 3-3
d) 플라잉 스핀
e) 레이백 혹은 사이드웨이 리닝(leaning) 스핀 [LSp]
f) 발을 한 번만 바꾸는, 모든 기본 포지션(싯, 카멜, 업라이트 또는 그에 따른 베리에이션)을 포함한 컴비네이션 스핀
g) 스파이럴 시퀀스 [SpSq]
h) 스텝 세퀀스 (스트레이트 라인, 서큘러, 서펜타인)
(구성 예: 김연아의 경우 [SA SP]
1. 3F-3T (c)
2. 3Lz (b)
3. SpSq (g)
4. 2A (a)
5. LSp (e)
6. FSSp (d)
7. SlSt (h)
8. CCosp (f)
여자 싱글 역시 스핀은 대부분의 선수가 비슷한 구성이다. 사이드웨이 리닝은 이번 마오의 쇼트나, 연아의 레이백 도중 변형
자세처럼 옆으로 허리를 눕힌 자세이며, 프로토콜상에는 LSp으로 기본 레이백과 동일하다.)
(추가 설명: 항목 b에서 스텝이나 다른 스케이팅 무브먼트는 2가지 이상이어야 한다. 예를들어 플립 점프에 선행하는 쓰리턴은
스텝이지만 1개이므로 이것만 수행한 경우 스텝+트리플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나바우어도 단독 사용은 인정하지 않으며,
연아의 LP에서처럼 다른 것들과 연속으로 사용한 경우엔 인정한다.
항목 f에서 쇼트에서의 콤비네이션 스핀은 싯, 카멜, 업라이트 자세를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연아의 SP
마지막 스핀은 카멜 6회-싯(캐논볼) 7회-업라이트(I자 스핀) 10회를 돈다.)
3. 주니어 쇼트 프로그램은 아래 요소들로 구성되며, 세 그룹으로 나뉜다. 각 그룹은 매해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Group A 2008-2009 시즌
남자:
a) 더블 혹은 트리플 악셀 파울슨
b) 연속된 스텝과 이에 해당하는 스케이팅 움직임들에 즉시 이어서 수행되는 하나의 더블 혹은 트리플 러츠 점프
c)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 2-3 (3-2), 3-3
d) 플라잉 카멜 스핀 [FCSp]
e) 발을 한 번만 바꾸는 싯스핀 [CSSp]
f) 발을 한 번만 바꾸는, 모든 기본 포지션(싯, 카멜, 업라이트 또는 그에 따른 베리에이션)을 포함한 컴비네이션 스핀 [CCoSp]
g) 서로 다른 라인을 사용하는 두 개의 스텝 시퀀스 (스트레이트 라인, 서큘러, 혹은 서펜타인) [SlSt, CiSt, SeSt]
여자:
a) 더블 악셀 파울슨
b) 연속된 스텝과 이에 해당하는 스케이팅 움직임들에 즉시 이어서 수행되는 하나의 더블 혹은 트리플 러츠 점프
c)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 2-2, 2-3 (3-2), 3-3
d) 플라잉 카멜 스핀
e) 레이백 혹은 사이드웨이 리닝(leaning) 스핀 [LSp]
f) 발을 한 번만 바꾸는, 모든 기본 포지션(싯, 카멜, 업라이트 또는 그에 따른 베리에이션)을 포함한 컴비네이션 스핀
g) 스파이럴 시퀀스 [SpSq]
h) 스텝 세퀀스 (스트레이트 라인, 서큘러, 서펜타인)
그룹 B 2009-2010 시즌
남자
a) 더블 혹은 트리플 악셀 파울슨
b) 연속된 스텝과 이에 해당하는 스케이팅 움직임들에 즉시 이어서 수행되는 하나의 더블 혹은 트리플 플립 점프
c)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 2-3 (3-2), 3-3
d) 플라잉 싯 스핀 [FSSp]
e) 발을 한 번만 바꾸는 카멜스핀 [CCSp]
f) 발을 한 번만 바꾸는, 모든 기본 포지션(싯, 카멜, 업라이트 또는 그에 따른 베리에이션)을 포함한 컴비네이션 스핀 [CCoSp]
g) 서로 다른 라인을 사용하는 두 개의 스텝 시퀀스 (스트레이트 라인, 서큘러, 혹은 서펜타인) [SlSt, CiSt, SeSt]
여자
a) 더블 악셀 파울슨
b) 연속된 스텝과 이에 해당하는 스케이팅 움직임들에 즉시 이어서 수행되는 하나의 더블 혹은 트리플 플립 점프
c)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 2-2, 2-3 (3-2), 3-3
d) 플라잉 싯 스핀
e) 레이백 혹은 사이드웨이 리닝(leaning) 스핀 [LSp]
f) 발을 한 번만 바꾸는, 모든 기본 포지션(싯, 카멜, 업라이트 또는 그에 따른 베리에이션)을 포함한 컴비네이션 스핀
g) 스파이럴 시퀀스 [SpSq]
h) 스텝 세퀀스 (스트레이트 라인, 서큘러, 서펜타인)
그룹 C 2010-2011 시즌
남자
a) 더블 혹은 트리플 악셀 파울슨
b) 연속된 스텝과 이에 해당하는 스케이팅 움직임들에 즉시 이어서 수행되는 하나의 더블 혹은 트리플 룹 점프
c)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 2-3 (3-2), 3-3
d) 플라잉 카멜 스핀 [FCSp]
e) 발을 한 번만 바꾸는 싯 스핀 [CSSp]
f) 발을 한 번만 바꾸는, 모든 기본 포지션(싯, 카멜, 업라이트 또는 그에 따른 베리에이션)을 포함한 컴비네이션 스핀 [CCoSp]
g) 서로 다른 라인을 사용하는 두 개의 스텝 시퀀스 (스트레이트 라인, 서큘러, 혹은 서펜타인) [SlSt, CiSt, SeSt]
여자
a) 더블 악셀 파울슨
b) 연속된 스텝과 이에 해당하는 스케이팅 움직임들에 즉시 이어서 수행되는 하나의 더블 혹은 트리플 룹 점프
c)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 2-2, 2-3 (3-2), 3-3
d) 플라잉 카멜 스핀
e) 레이백 혹은 사이드웨이 리닝(leaning) 스핀 [LSp]
f) 발을 한 번만 바꾸는, 모든 기본 포지션(싯, 카멜, 업라이트 또는 그에 따른 베리에이션)을 포함한 컴비네이션 스핀
g) 스파이럴 시퀀스 [SpSq]
h) 스텝 세퀀스 (스트레이트 라인, 서큘러, 서펜타인)
4. 설명, 싱글 스케이팅
점프:
b) 시니어 남자 싱글의 경우, 어떤 트리플이나 쿼드러플 점프도 허용되나, 쿼드러플 점프기 c)의 상황[컴비네이션]에서
수행되는 경우, 단독 점프로 다시 뛸 수 없다. 시니어와 주니어 남자 싱글의 경우, 트리플 악셀 파울슨은 a) [단독 점프]로
수행된 경우, 그것은 단독 점프나 점프 컴비네이션으로 다시 뛸 수 없다. 시니어 여자 싱글의 경우 모든 트리플 점프가
허용된다. 주니어 남녀 싱글의 경우, 규정된 더블 혹은 트리플만 뛸 수 있다. 단독 스프레드 이글, 스파이럴, 스케이팅
움직임은 연결된 스텝 혹은 이에 해당하는 프리 스케이팅 움직임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심판들에 의해 GOE로 평가될
수는 있다.
(부가 설명: 일부는 위에서 이미 설명했던 내용들이다. 요약하자면 남싱 쇼트에서 쿼드와 트리플 악셀은 두 번 뛸 수 없다. 단독
트리플 점프에 선행하는 스프레드 이글, 스파이럴, 이나바우어, 플립 전 쓰리턴 모두 연결된 스텝 요소가 아니므로
스텝+트리플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대개 여싱의 경우 더블 악셀 전에 이글, 이나바우어, 스파이럴 등을 시행한다.)
점프 컴비네이션:
c) 시니어 남자 싱글의 경우, 점프 컴비네이션은 같은 종류 혹은 다른 종류의 더블, 트리플, 쿼드러플 점프로 구성될 수 있다.
시니어 남자 싱글의 경우 쿼드러플 점프가 b) [스텝+트리플/쿼드러플]로 수행된 경우, 쿼드러플 점프는 컴비네이션으로
뛸 수 없다. 시니어 여자 싱글, 주니어 남녀 싱글의 경우, 컴비네이션은 같은 종류 혹은 다른 종류의 더블, 트리플 점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단독 점프는 반드시 다른 종류여야 한다.
만일 같은 점프가 단독 점프와 점프 컴비네이션에 사용된 경우, 이들 중 마지막에 수행된 점프 요소는 채점되지 않으며,
점핑 박스로 남는다. (만일 그 요소가 점프 컴비네이션이었다면, 전체를 채점하지 않는다.
(부가 설명: 앞부분은 위의 설명과 동일. 쇼트에 사용되는 점프는 트리플인 경우, 컴비와 단독은 다른 종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컴비네이션으로 3T-3T를 뛰는 것은 가능하지만, 3F-3T를 뛰고 단독으로 다시 3F을 뛰어서는 안 된다. 이 경우 요소
이름은 표시가 되지만 점수는 0점이고, 컴비네이션이든 단독 점프든 필수 요소를 수행하지 못한 것이 되어 GOE -3이
되지만 기초점이 0점이므로 계산되지 않는다.)
스핀:
자세: 세 가지 기본 자세가 있다: 카멜(프리렉의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은 상태로 뒤로 뻗은 자세. 그러나 레이백 스핀, 비엘만
스핀, 그리고 다른 비슷한 변형 자세들은 업라이트 스핀으로 본다.), 싯(엉덩이의 아랫부분이 스케이팅 렉의 무릎 위쪽
끝보다 아래에 있는 자세. 스케이팅 렉의 윗부분은 얼음과 평행), 업라이트(카멜 포지션이 아니면서 스케이팅 렉이 펴져
있거나 거의 펴진 경우) 그리고 그 중간 자세들. (위의 정의에 따르면 모든 자세들이 카멜, 싯, 업라이트인 것은 아니다.)
컴비네이션 스핀: 중간 자세의 회전수도 전체 회전 수에 포함된다. 자세 변화가 충분한 경우, 중간 자세는 어려운 자세
변화로 인정된다. 그러나 이 자세의 지속은 하나의 기본 자세에서 다른 기본 자세로 넘어가는 자세 변화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컴비네이션 스핀은 각 기본 자세당 최소 두 바퀴 이상 돌아야 한다.
(부가 설명: 설명이 더 애매하게 되어 있다;; 싯도 업라이트도 아닌 자세의 경우 그 자세를 지속한 채 두 바퀴 이상 돌 수
있다면 기본 자세들의 변형으로는 인정하지만(가산점 요소), 그것이 카멜-싯-업라이트 사이의 자세 변화로 쓰여서는 안
된다. 즉, 기본 스핀에서 다른 유형의 기본 스핀으로 갈 때는 변형 자세 없이 즉시 다음 기본 자세로 움직여야 한다.
쇼트에서 모든 기본 자세를 포함하는 컴비 스핀의 경우 각 자세당 2바퀴 이상 돌아야 한다.)
단일 자세 스핀과 플라잉 스핀: 중간 자세도, 규정에서 요구하는 전체 회전수로는 인정된다. 그러나 레벨 업 요소로는
부적합하다.
발 바꿈은 어떤 포지션이든 최소 3회 이상 돈 경우에 시행되어야 한다. 한쪽 발로 3바퀴를 돌기 전 혹은 후로 있는 스핀은
규정에 따르지 않은 것으로 보고 채점되지 않는다.
(부가 설명: 컴비 스핀에서 레벨을 제대로 올리려면 각 기본 자세마다 2회 이상 돌면서 최소 한가지 자세에서는 8바퀴 이상
돌아야 한다. 자세 변화 2회+단일 자세 8회 스핀으로 레벨4는 되지만, 그 중 하나를 기본이 아닌 중간 자세로 돈 경우,
기본 3자세가 다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 레벨은 떨어진다. 또한 발 바꾸기 전에 최소 3바퀴 이상은 돌아야 한다.)
어떤 스핀이든: 에지 체인지는 기본자세에서 수행될 때만 인정된다. 기본 자세를 포함하지 않은 스핀은 레벨과 점수 모두
주어지지 않는다.
플라잉 스핀을 제외하고, 스핀은 점프와 함께 시작되어서는 안 된다. 스핀의 마지막이 업라이트 스핀인 경우, 만일 회전수가
3바퀴가 넘지 않으면 다른 자세로 인정되지 않으며, 그 안에서 시행된 회전 수는 회전의 필수 회전 수를 채운 것으로 세지
않는다. 머리, 팔, 프리렉의 포지션 변화와 속도의 증감은 허용된다.
d) 플라잉 스핀
시니어: 어떤 종류의 플라잉 스핀이든 허용된다. 스텝 오버는 반드시 GOE 요소로 평가되어야 한다. 랜딩 포지션으로 최소
8회전을 돌아야 하며, 플라잉 포지션과는 다를 수 있다. 테이크-오프 전 얼음 위에서는 어떤 회전도 허용되지 않는다.
주니어: 오직 미리 규정된 \"플라잉\" 포지션과 그 베리에이션만이 허용되며, 이 자세는 반드시 공중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랜딩
포지션으로 최소 8회전을 돌아야 하고, 플라잉 포지션과 같은 자세여야 한다. 플라잉 싯스핀에서 랜딩시 발을 바꾸는 것은
허용된다. 테이크 오프 전 얼음 위에서는 어떤 회전도 허용되지 않는다.
시니어와 주니어 모두, 규정된 8회전은 랜딩 포지션의 어떤 베리에이션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부가 설명: 스텝 오버 \"Step over\" 직역하자면 \\\'건너뜀\\\'. 아래에도 다시 나오니 그쪽에서 설명하겠다.)
e) 남자 싱글 - 한 번의 발바꿈이 있는 스핀 [체인지풋스핀]
시니어: 선수는 카멜이나 싯스핀 둘 중 어느 쪽을 택해서 수행해도 된다. 스핀은 반드시 한번의 발 바꿈을 포함하여야 하며,
이것은 스텝 오버나 점프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고, 각 발당 6바퀴 미만으로 돌아서는 안 된다.
주니어: 미리 규정된 싯 또는 카멜 포지션만이 가능하다. 스핀은 반드시 한번의 발 바꿈을 포함하여야 하며, 이것은 스텝
오버나 점프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고, 각 발당 6바퀴는 넘게 돌아야 한다.
(부가 설명: 발을 바꿀 때, 캐롤라인 장처럼 자세 변화가 거의 없는 채로 발을 바꿀 수도 있고, 중간에 이번 스티븐 캐리어의
SP처럼 뛰어 오르며 바꿀 수도 있다. Step over는 그런 종류의 발 바꿈 중 어떤 형태를 지칭하는 용어인 듯 하나 정확히
어느 동작인지는 모르겠다. 주니어는 매해 플라잉 스핀과 체인지풋스핀으로 싯과 카멜을 각각 정해주므로 그 자세로
수행해야 한다.)
e) 여자 싱글 - 레이백 또는 사이드웨이 리닝 스핀:
기본 레이백이나 사이드웨이 포지션이 업라이트 포지션까지 올라가지 않는 채로 8바퀴를 도는 한 어떤 포지션이든 허용된다.
8바퀴의 필수 회전 수를 채운 후에는, 비엘만 포지션을 수행할 수 있다.
(부가 설명: 기본 자세로 시작하고 8바퀴를 채우지 못하면 비엘만을 한다 해도 레벨 업에 지장이 있다.)
f) 컴비네이션 스핀:
스핀 컴비네이션은 반드시 모든 세 가지 기본 자세(싯, 카멜, 업라이트 그리고 그 변형 자세들)를 포함하고 단 한번만 발을
바꾸며, 각 발당 6회 이하로 돌아서는 안 된다. 발바꿈은 스텝 오버와 점프로 수행될 수 있다. 발 바꿈과 자세 변화는
한 번에 해도 되고 각각 해도 된다. 자세를 바꾸는 동안 어려운 변형 자세가 수행될 수 있다. 최소 회전 수는 각 포지션당
중지 없이 두 바퀴이다. 이 요소들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그 자세는 평가되지 않는다.
어떤 자세에서든 발 바꿈은 앞 뒤로 어떤 스핀 자세가 있어야 하며, 각 최소 3회전을 돌아야 한다.
(부가 설명: 이 헷갈리는 스핀 회전수의 세계. 앞서 나온 모든 스핀 회전 수를 정리해 보자.
2회전 - 어떤 자세의 베리에이션 인정을 위한 최소 회전 수
3회전 - 체인지 풋 앞뒤로 수행되는 스핀에서 돌아야 하는 최소 회전 수
6회전 - 체인지 풋의 경우 각 발당 돌아야 하는 최소 회전 수
8회전 - 플라잉 스핀의 랜딩 자세와 레이백 스핀의 처음 자세에서 돌아야 하는 최소 회전 수)
스텝과 스파이럴 시퀀스:
스텝 시퀀스:
g)와 h) 모든 스텝 시퀀스는 음악의 특성에 맞게 수행되어야 한다. 스텝 시퀀스는 작은 점프 같은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 바퀴 이상의 회전은 허용하지 않는다. 음악에 맞춘 짧은 멈춤은 허용된다.
- 스트레이트 라인 스텝 시퀀스: 링크의 짧은 축 어느 장소에서든 시작될 수 있으며, 직선에 가까운 선을 유지한다면 반대쪽
짧은 축 어느 곳으로 이동해도 상관 없다.
- 서큘러 스텝 시퀀스: 링크의 전체 너비를 사용하며 완전한 원 또는 타원을 그려야 한다.
- 서펜타인 스텝 시퀀스: 링크의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최소 두 번의 큰 커브를 그리며 반대쪽 끝에서 끝난다.
(부가 설명: 스트레이트라인 스텝은 링크 단축의 중앙-중앙으로 직선을 그리거나 링크 꼭지점-꼭지점으로 대각선을 그리거나
상관없다. 서큘러 스텝은 링크 단축을 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야 한다. 서펜타인 스텝은 수행 도중 링크의 장축을 최소 두 번
이상 만나야 한다.)
스파이럴 시퀀스(여자 싱글):
g) 스파이럴은 한쪽 다리를 링크에 두고, 프리렉(무릎과 발을 포함한다)은 엉덩이 높이보다 높아야 한다. 스파이럴
포지션은 스케이팅 렉(오른쪽, 왼쪽), 에지(인, 아웃), 방향(전진, 후진), 또는 프리렉의 자세(후진, 전진, 사이드)에 따라
분류된다.
스파이럴 시퀀스의 패턴은 어떤 종류의 곡선 조합(에지에 따라 - 스트레이트 라인으로 수행되는 자세는 자세의 숫자로 세지
않는다.)이든 허용된다. 처음 세 가지 자세만이 레벨 업 요소로 평가된다.
세 가지 스파이럴 자세와 한 번의 발 바꿈이 포함되어야 하며, 발 바꿈 앞 뒤는 반드시 스파이럴 자세여야 한다. 하나의
스파이럴 자세로 인정되는 최소 시간은 3초이다. 스파이럴 시퀀스 내의 모든 자세가 3초 이내거나, 발 바꿈이 없는
경우에는 레벨을 받을 수 없고 점수도 주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포지션은 손이나 팔의 도움 없이[언서포티드]
수행되어야 한다. 스피드를 얻기 위해 미는 동작은 허용된다. 스파이럴 사이의 연결 스텝(스프레드 이글,
한쪽 다리는 뻗고 한쪽 다리는 굽힌 두 발 동작 즉 \"이나 바우어\"), 턴, 작은 점프는 시퀀스 내의 어떤 시점이라도 허용된다.
이러한 미는 동작, 스텝, 턴, 작은 점프 도중을 제외하고, 선수는 반드시 기본적으로 스파이럴 포지션을 취하고 있어야 하며,
즉 한쪽 다리는 반드시 엉덩이보다 높아야 한다. 무릎이나 스케이트 날을 잡는 것을 포함하여 어떤 자세 변화라도
허용되고, 프리렉의 자세는 자유이다.
Rules 511-512 (보류)
=======
시기는 안 좋지만 마저 올리고.
흑흑 홀릭횽 방송 채팅에서 아무생각없이 --횽 이라고 내뱉고 경고나 먹고ㅠㅠ
짜게 식고 걍 하던대로 침묵으로 돌아섰다. 풀썩.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