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국산 AI 반도체 사업에서 과반이 '퓨리오사AI' 선택··· 직접 이유 들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6.15 11:12:45
조회 5044 추천 4 댓글 16
“한국에는 다른 나라에는 없는 반도체 생태계와 인재, 그리고 기술이 있다. 오픈 AI를 위한 반도체를 함께 만드는 건 어떨지 제안하자 ‘샘 알트만 역시 같이 할 수 있는 부분을 평가해 보자’라는 의사를 밝혔다”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63 빌딩에서 열린 ‘K-스타트업 미트 오픈AI(K-Startups meet openAI)’ 행사 이후 진행된 기자단 백브리핑에서 임정욱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이 밝힌 내용이다. 이날 행사에는 챗GPT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오픈AI의 샘 알트만(Sam Altman) 최고경영자와 그렉 브록먼(Greg Brockman) 공동창업자가 참석해 K-스타트업과 협업 방안, 한국 사무소 설치 의향, 후배 창업자와의 만남 등의 시간을 가졌다.


퓨리오사AI의 1세대 칩, 워보이(WARBOY) 서버 이미지. 출처=퓨리오사AI



핵심은 대한민국의 반도체 역량과 기술력이 세계적 수준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 기업도 인지할 정도며, 우리 기업들이 앞으로 더 많은 분야에서 저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 정부 역시 향후 미래먹거리 확보를 위해 전방위적으로 투자 및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사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추진하고 있는 ‘K-클라우드 프로젝트’다. AI 반도체 시장 선점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과 현황을 짚어본다.

한국 반도체 사업의 가능성을 열다, K-클라우드 프로젝트


K-클라우드 프로젝트는 세계 최고 수준의 국산 AI 반도체 개발 및 데이터 센터 적용을 위해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들에게 향상된 A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며, 2023년부터 30년까지 8천200억 원을 투입한다. 사업은 다자 컨소시엄 형태로 진행되며, 네이버클라우드와 NHN클라우드, KT클라우드 등 클라우드 제공 업체(CSP)와 국내 AI 반도체 개발사인 퓨리오사AI, 사피온, 리벨리온이 참가한다. 사무국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가 맡는다.

지원 사업은 ▲ 국산 AI 반도체 기반의 상용 클라우드 센터를 구축· 실증하는 ‘AI 반도체 팜 구축 및 실증 ▲ 광주 AI 단지에 국산 AI 반도체 기반 데이터 센터 운영 및 실증하는 ‘AI반도체 시험검증 환경조성’ ▲ 서버, 엣지용 국산 AI 반도체 기반 테스트 서버, 제품 구축·개발 및 AI 서비스 개발·검증하는 ‘AI 반도체 응용실증지원’ ▲ AI 연구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 기관에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지원하는 ‘고성능 컴퓨팅(AI반도체 트랙)’ ▲ 국산 AI 반도체 기반 AI 솔루션의 사용권리를 지원하는 ‘AI 바우처(AI반도체 트랙)’까지 다섯 개 부문으로 나뉜다.


AI 바우처 사업 개요도.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다섯 과제 모두 국산 AI 반도체의 생태계를 일구기 위한 사업인데, 이 중에서도 고성능 컴퓨팅 지원 및 AI 바우처 사업은 일반 수요처가 대상이다. 고성능 컴퓨팅 지원은 AI 추론 서비스를 다루는 기업 및 창업자, 공공기관, 대학교 등 총 100곳을 선정해 올해 말까지 60TOPS((Tera Operations Per Second, 초당 1조회 정수 연산 처리), 120TOPS, 240TOPS 이상의 AI 연산 처리 자원을 제공한다. 해당 사업에는 총 181개 수요 기업이 접수를 신청해 총 100곳이 선정되었는데, 60곳의 기업이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퓨리오사AI의 컨소시엄을 선택했다.

AI 반도체 초기 시장의 수요 창출을 위해 AI 개발 기업에게 국산 AI 반도체 기반의 솔루션 사용 권리를 제공하는 'AI 바우처 사업'에서는 총 31개 과제를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AI 도입을 원하는 국내 중소·벤처 및 중견 기업 등이 대상인데 약 8:1의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로 많은 수요가 몰렸다. 흥미롭게도 해당 사업 역시 31개 중 48%인 15개의 과제가 퓨리오사AI의 워보이를 기반으로 하는 솔루션을 제공받기로 했다.

AI 바우처, 차질 없는 양산 계획과 소통 수준 고려해


AI 바우처 사업의 경우 11개 기업이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퓨리오사AI의 컨소시엄을, 4개 기업이 네이버클라우드와 퓨리오사AI의 컨소시엄을 선택했다. 우리 정부는 선정 기업에 국산 AI 반도체 인프라 도입 비용 1억 원과 AI 반도체 기반 AI 솔루션 개발 비용 최대 3억 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31개 수요처 중 15곳이 퓨리오사AI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써로마인드의 비전 솔루션 개요도, 해당 과정의 검사 과정에 퓨리오사AI의 워보이가 사용된다. 출처=써로마인드



써로마인드(SURROMIND) 정헌수 연구원은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사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성능을 갖췄다고 판단했으며, KServe를 지원해 쿠버네티스 기반의 안정적인 배포 및 확장을 지원하고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공개하는 점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양산을 시작해 하드웨어를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점도 중요하게 작용했는데, 호환성 테스트 중 신속한 지원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었던 점도 좋았다”라고 말했다.

써로마인드 측은 AI 스튜디오, 비전 솔루션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다중 분류(Multiclass Classification) 및 콘텐츠 기반 필터링(CBF-RecSys) 추천 시스템과 하이브리드 추천(Hybrid RecSys) 기반의 클라우드 음원 추천 시스템에 퓨리오사AI의 자원을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빠른 응답 시간 및 성능을 통한 추론 및 반환 성능과 추후 사업 확장 시 늘어나는 추론 요청에 대한 해소에 충분히 대응할 것으로 보고 있다.

퓨리오사AI 솔루션, 개발 편의성·소프트웨어 지원 좋아


AI 기반의 카메라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성과 분석 및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딥핑소스(Deeping Source) 김태훈 대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편의성’을 주요 사유로 손꼽았다. 김 대표는 “AI 기술의 제품화를 위해 하드웨어에 AI를 이식하는 작업이 많은데, 엔비디아 이외에는 직관적이거나 쉬운 서비스가 없다. 한데 퓨리오사AI의 워보이는 시험 당일에 작동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성능 분석 도구들의 편의성과 최적화도 기대 이상이었다”라고 말했다.


퓨리오사AI가 깃허브를 통해 배포하고 있는 SDK 도구. 출처=깃허브



이어서 김 대표는 “워보이를 사용하면 하드웨어 성능을 최대한 끌어낼 가능성이 높다. 해외 기업의 경우 문의도 어렵거니와, 몇 개월이 지나도 만족할만한 답변을 듣기 어렵다. 퓨리오사AI는 개발 도구 이외에도 빠르게 안내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데다가 가격이나 와트당 성능 측면에서도 장점이 분명하다”라며 선택의 이유를 꼽았다.


딥핑소스는 인공지능 학습용 개인정보 비식별화 처리 기업으로, 이를 응용해 실제 공간을 카메라로 분석한 다음 데이터로 산출하는 솔루션을 선보인다. 출처=딥핑소스



딥핑소스가 워보이를 활용할 분야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 처리다. 예를 들어 딥핑소스의 솔루션을 한 전시회에 적용했다고 할 때, 전시장 내 카메라 등을 통해 몇 명이 방문하고, 성별과 연령대는 어느 정도인지, 어떤 것에 관심을 보이는지 등을 실시간 데이터로 만든다. 이때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데이터를 익명 처리 하고, 그다음 AI로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 처리 과정에서 워보이가 투입된다. 유연한 확장성을 통해 매번 신속하게 하드웨어를 다룰 수 있는 한편, 비용 대비 효율까지 맞추기 위해 워보이를 선택한 것이다.

K-클라우드 프로젝트, 수요 및 공급기업 모두를 위한 길



퓨리오사AI의 인공지능 반도체, 워보이(WARBOY). 출처=IT동아



결과적으로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AI 반도체 시장에 물꼬를 트기 위함이다. 공급기업은 사업 초기에 확보하기 어려운 고객사 등을 정부 지원으로 모집하고, 수요기업 입장에서는 찾기 어려운 AI 컴퓨팅 자원 및 서비스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부 역시 장기적으로는 인공지능 생태계를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는데 투자하는 것이므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물론 이번 K-클라우드 프로젝트에서는 퓨리오사AI의 솔루션을 선택한 기업이 유독 많았는데, 양산 제품을 보유한 만큼 당연한 결과로 보인다. 이번에 뿌린 씨앗이 언젠가 더 큰 양분으로 돌아와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의 재목이 되길 바란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인공지능 각축전'으로 거듭난 컴퓨텍스 2023, 올해 주목받은 기업들은?▶ [리뷰] 국산 반도체의 진면모를 파헤치다, 퓨리오사AI 워보이 NPU▶ GPU 넘어 NPU가 주목받는 이유 ··· '관건은 와트당 성능, 그리고 효율성'



추천 비추천

4

고정닉 1

1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생활고나 번아웃 고백이 와닿지 않는 스타는? 운영자 25/08/18 - -
5737 [투자를IT다] 2025년 8월 3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2 4335 0
5736 [IT's 가성비] 직구 말고 정품도 살만하다? 레노버 아이디어 탭 11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2 161 0
5735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메이크웍스 “중소 건설사 위한 웹캐드 ‘CAD뷰’, 스마트 건설 디지털전환 이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2 76 0
5734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딥핑소스 “AI 데이터 익명화 기술로 매장 운영 효율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2 77 0
5733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레저스포츠 진입장벽을 기술로 낮춘 ‘레저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2 71 0
5732 "7년 만에 개선" 카카오톡, 삭제 기능 업데이트…모바일·PC 버전 모두 적용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2 10004 0
5731 [스타트업-ing] 에임비랩 "고객 피드백 반영한 혁신으로 축산업 디지털 전환 이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131 0
5730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전략적인 해외 진출 가능" 지미션, AX 혁신 솔루션으로 주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120 0
5729 V6 PHEV 스페셜 모델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출시…’880마력 성능 발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121 0
5728 드리미, 스스로 물걸레 골라 쓰는 로봇청소기로 '눈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133 0
5727 리벨리온·레드햇, 국내 첫 vLLM 밋업 개최··· "AI 위한 공동의 협력에 기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117 0
5726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강조한 구글 픽셀 10, 스마트 기기 경쟁 구도 바꿀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167 0
5725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키라앤컴퍼니 “금융 초보자를 위한 머니케어 설루션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108 0
5724 [IT 신상공개] 구글 픽셀 10 프로 폴드, 경쟁 폴더블 스마트폰 대비 매력은?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7490 1
5723 예스24 사태로 보는 랜섬웨어 감염 시 몸값 주면 안 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128 0
5722 이노디테크, 닥터덴트AI로 국산 AI반도체 상용화 실증 나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98 0
5721 글로벌 가전 브랜드 ‘모바’, 한국에서도 사용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137 0
5720 [르포] 서울 한복판에서 체험하는 항공기 1등석...'에미레이트 항공 트래블스토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135 0
5719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윤회주식회사 “디지털 제품 여권(DPP) 솔루션 ‘CARE ID’, 옷의 삶을 기록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133 0
5718 [ETF Q&A] 레버리지 ETF는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8309 0
5717 [주간스타트업동향] 리벨리온, 사우디 법인 설립... 중동 '소버린 AI' 시장 선점 본격화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120 0
5716 서울대 SIPC, 제2회 상생포럼 개최··· "기술교류로 초격차 기업 성장에 기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131 0
5715 [리뷰] 갤럭시 Z 폴드7, 15년차 아이폰 유저가 사용하면 어떨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9 388 0
5714 국가유산과 이머시브의 만남, '헤리티지: 더 퓨처 판타지' 둘러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9 165 0
5713 “혁신 기술·전력 소비·성능 최적화?” 애플·삼성의 차세대 칩 협업 예상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9 5905 0
5712 韓 주도 ‘세계 블록체인 콘텐츠 플랫폼’ 첫 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9 146 0
5711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포트존 “신뢰 기반 동문 네트워크 구축, 스쿨밋”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9 146 0
5710 [뉴스줌인] 샤오미 ‘레드미 패드 2’ 국내 출시, 값이 싸지긴 했는데…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6634 1
5709 [신차공개] 기아 'The 2026 카니발'·아우디 '더 뉴 A6 e트론'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176 0
5708 [서울과기대 초창패 2025] 로봇 "AI 접목 리걸몬스터, 누구나 법률 문서 무료로 쉽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165 0
5707 [투자를IT다] 2025년 8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149 0
5706 "지원 AI 모델만 42만 개··· 생태계에 대한 고민이 프렌들리AI의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166 0
5705 [IT애정남] 갤럭시 업데이트 후 분리된 상단바, 원래대로 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226 0
5704 [시승기] ‘로마 스파이더’와 떠난 한여름의 특별한 여정…’에스페리엔자 페라리’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5 8454 4
5703 아티웰스 “중소기업 AI 활용률 30% 미만…MCP로 디지털 전환 도울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348 1
5702 슬림폰 전쟁 본격화, ‘선공’은 삼성, ‘막타’는 애플이?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9692 1
5701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콜로세움 "창고끼리 디지털 연결해 세계 물류 혁신 시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294 1
5700 충남콘텐츠진흥원 "광복 80년, 美 타임스퀘어서 순국선열 인공지능 영상 상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305 1
5699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안심하이 “AI·STT 기술로 어르신 돌봄 업무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278 1
5698 [농업이 IT(잇)다] 다소니 “우리나라 전통 건강식품을 현대화해 세계에 알리고 싶어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278 1
5697 [기술영업人] 운영기술(OT) 분야 디지털 전환의 정석, '한국지멘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254 1
5696 [기고] 광복 80주년과 한국의 얼굴 - '케데헌'이 만든 관광지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274 1
5695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퍼슬리 “공인 자료로 신뢰 높인 환자 맞춤형 AI 건강비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296 1
5694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슬리비즈 “쇼핑몰 거래 시장에 신뢰 더하는 셀러비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244 1
5693 퓨리오사AI, 베트남 IT 대기업 CMC 그룹과 함께 'NPU' 혁신 사례 만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296 1
5692 [주간스타트업동향] 디노티시아, '니모스 워크스테이션' 최초 공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3 285 1
5691 [SBA x IT동아] 노보렉스 “저분자 신약 개발 기술 FBDD로 바이오 분야 혁신 이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3 285 1
5690 [퀀텀 스타트업] 9. 지역거점 양자 인재 양성으로 '퀀텀점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3 337 1
5689 티빙-웨이브 합병으로 탄생한 ‘더블 이용권’, 이득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3 509 1
5688 [월간자동차] 25년 7월, 신차 판매량 상승세 유지…기아 쏘렌토 2개월 연속 판매 1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3 6109 1
뉴스 [세 개의 시선] 넷플릭스 '케데헌' 속 루미의 사인검, '이것'으로 만들어졌다? 길이 5m, 무게 1톤 '괴물' 정체는? 디시트렌드 08.2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