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중세 봉건 기사에 대한 오해들

prevo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2.01 01:22:33
조회 9424 추천 54 댓글 21
														

7ceb867fbd806cf038ec98bf06d60403f83dec46e9df7cb15a



......현재까지 합의된 사실은 잉글랜드와 노르망디 모두 1066년 이전에 '봉건제도'의 기본 요소인 종속적 토지보유권, 영주권, 군사적 봉사의 의무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이 다른 형태의 토지보유권과 군사적 의무들과 함께 공존했다는 것이다.


즉 잉글랜드의 '봉건제'는 12세기 글랜빌의 법률서와 13세기 초 브랙턴의 법률서에서 볼 수 있듯이 노르만 정복 이후의 불안정한 상황에서 진행된 점진적인 변화의 결과물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를 중세의 두 번째 미신인 '봉건 기사'의 미신으로 안내한다.


찰스 오만이 정립한 이 미신은 말을 탄 봉건 기사들과 성채를 중세 전성기의 전쟁의 핵심으로 규정한다.


오만에 따르면, 1066년 헤이스팅스 전투와 14세기의 '보병 혁명' 사이에, 군사전술의 발전은 정체되었다.


진정한 병법은 서로마 제국의 멸망과 함께 서부 유럽에서 거의 소멸했다.


요새 축성과 공성 기술은 중세시대에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 유일한 분야였지만, 동시대의 다른 군사사학자들처럼 그 역시 야전을 전쟁의 핵심 요소로 보았기 때문에 거기에 별로 많은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근대적인 의미의 상비군도, 직업군인도 없었기 때문에, 전쟁은 전략적인 목표가 없거나 거의 없는 소규모 기병대 사이의 무질서한 교전으로 전락했다.


이 시대는 기사도와 용기와 명예가 규율과 훈련을 대체해버린, 군인이 아닌 전사들의 시대였다.



7ceb867fbd806cf038e698bf06d60403074ec276e815f105d2



중세 지휘관들의 아마추어성을 감안하면, 중세 전쟁에서 야전이 드물었던 것은 어떤 전략적인 이유 때문이었을 리가 없었다.


원인은 지휘관들이 명확한 전략적 목적이 없고 정찰병도 없이 길을 헤매느라 서로의 위치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야전이 일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한 군대의 지휘관이 상대 지휘관에게 공식적으로 도전장을 보내서 전투를 벌일 시간과 장소를 합의하는 것뿐이었다.



7ceb867fbd806cf039eb98bf06d604034ed8d2aac3dedc090f



이런 과정을 거쳐서 전투가 벌어지면, 전장은 순식간에 난장판이 되었다.


제대로 된 지휘 계통, 제식, 규율의 부재는 가장 저열한 형태의 전술만을 이끌어냈다.


지휘관들은 전투가 시작되자마자 직접 혼전에 뛰어들었기 때문에 군사들을 지휘할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매번 똑같은 전술이 반복되었다.


약속된 장소에서 만난 양측 기병대는 400야드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마주보고 섰다.


하나의 기병대는 옆이나 앞뒤로 늘어선 2-3개의 '바타유'로 구성된다.


바타유는 서로 다른 영주들의 깃발 아래에서 복무하며 각자 자신의 영주만을 지휘관으로 인정한 봉건 기사들이 임시로 모여서 만들어진 3-4열 두께의 기병 전열로, 사실상 이 시대의 군대가 가진 유일한 전술체계였다.


도시나 마을에서 징집된 보병 부대도 있었지만, 그들은 기사들보다 무장이 빈약하고, 훈련상태는 더 형편없었다.


이 보병들은 야전에서의 군사적 가치는 거의 없었지만 적지에서의 단순한 파괴행위나 공성전에서 유용했다.



7ceb867fbd806cf039e898bf06d604039d0144e05a3b7c0654

7ceb867fbd806cfe38eb98bf06d60403adc268f8d34b1fe5eb



오만이 정립한 이 모델에서 전투의 핵심은 등자를 단단히 딛고 창대를 겨드랑이에 끼운 기사들의 돌격이었다.


돌격과 충돌 이후, 전투는 무질서한 혼전으로 전락하여, 특정한 군사적 임무보다는 개인의 기량을 발휘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기사들 간의 개별 결투가 반복되었다.


대부분의 기사들은 직속 영주에 대한 봉건적 의무에 따라 참전했고, 기사도의 영광과 전리품에 대한 욕망에 강하게 이끌렸다.


봉건 기사들은 무엇보다도 명예를 중시했고, 명예는 용기를 증명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명예는 또한 부대 내부에서의 경쟁과 질투로 이어졌고, 절제되지 않는 용기는 전투에서의 만용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전투의 결과는 병력수와 전투기술 뿐 아니라 운에도 달려 있었다.


혼전 도중 총지휘관인 왕이나 백작의 죽음은 언제나 일어날 수 있었고, 승리가 갑작스러운 패배로 뒤바뀔 수 있었다.



7ceb867fbd806cf036ee98a518d60403a59e80643a9e8a



위의 내용들을 기술하면서 마음속으로 중세 지휘관들의 능력을 나폴레옹 시대의 지휘관들과 비교해본 오만은 그 모든 것이 혐오스럽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봉건 기사 시대의 군대의 수준에 대한 그의 평가는 직설적이고 잔인했다:

"결집하기 어렵고, 명령을 듣지 않으며, 신속한 기동이 불가능하고, 짧은 복무 기간이 끝나자마자 부대를 떠날 준비가 되어 있는 봉건 군대는 군인으로서의 자질의 총체적인 결여를 보여준다."



7ceb867ebd866af638ec98bf06d60403d6dd94061ff77328bd



보병은 중세 시대 내내 전투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오만이 봉건 기사 시대의 시작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묘사한 1066년 헤이스팅스 전투는 사실 아주 근소한 차이로 승패가 결정된 전투였다.

노르망디의 사생아 공작 윌리엄(훗날 잉글랜드의 정복왕 윌리엄 1세)의 기병대는 잉글랜드군을 강력한 방어 진지 밖으로 유인하기 위해 거짓 후퇴 전술을 써야 했다.


롬바르디아 동맹의 시 민병대 보병들은 1176년 레냐노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의 기병대의 공격에 맞서 동맹을 상징하는 전투 깃발을 단 카로초 수레를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중세 시대의 대부분의 전투에서 보병이 기사보다 훨씬 많았다.



카롤루스 제국 시대부터 14세기 초까지의 전투들에 대한 베르부르겐의 연구는 유능한 중세 군사 지휘관들이 정교한 전술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었음을 입증했다.


그들을 또한 군대에 규율을 확립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사자심왕 리처드 1세의 군대는 살라딘의 궁기병들의 끊임없는 공격을 받으며 레반트 해안을 따라 84마일을 행군했다.


보병, 기병, 함대의 협동 작전의 성공적인 사례인 이 전투 행군은 아르수프 전투에서의 승리 이상으로 인상적인 군사적 업적이었다.



리처드는 군대를 직사각형의 행군 대열로 배치했다.

전위와 후위에는 최고의 기병대인 성전기사단과 구호기사단이 배치되었다.

수송대와 말들은 양쪽으로 늘어선 갑옷 입은 보병들로 보호되었다.


이 행군은 휴식일을 가지면서 의도적으로 느리게 진행되었다.


리처드는 함대가 군대에 물과 식량을 전달하고 부상자들을 실어갈 수 있도록 항구들을 장악했다.



7ceb867fbd806cf036e798bf06d60403ce0c93d23b505e8842



아르수프에서 벌어진 전투는 사실 리처드의 명령에 반하는 것이었다.


이 전투는 후위의 구호기사단이 큰 피해를 입고 조급해져서 살라딘의 군대에 돌격한 것으로 시작되었다.


그것을 본 리처드는 다른 기사들에게도 돌격을 명령했다.


몇 주 동안 반복된 공격에도 반응하지 않았던 군대가 갑자기 돌격해오자 살라딘의 궁기병들은 깜짝 놀랐다.



중요한 것은, 이 전투에서 승리한 리처드가 군대에게 무슬림들을 추격하는 대신 계속 야파로 행군할 것을 명령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그의 군대가 완전히 '봉건적'이거나 일차원적인 전투 부대가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세 유럽 군대의 다차원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났다.


우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세 전성기의 군대들에는 보병이 기병대보다 많았다.


또한, 기사들은 스스로 기병이라고 생각했지만, 필요할 때 그들은 말에서 내린 다음 보병대 안에서 훈련되고 잘 무장한 등뼈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기사들을 근대적 병과 구분법인 '기병대'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도보 전투 능력뿐만 아니라 중요한 요새 수비 임무까지 무시해야 한다.



7ceb867fbd806cf037ed98bf06d604039831eb8d0d32671305



중세에 일반적이었던 전투 회피 전략은 오만이 상상한 봉건적 지휘관들과 기사들이라면 절대 받아들일 수 없었을 것이다.

그들은 그것을 불명예스럽고 비겁한 행위로 볼 것이기 때문이다.


길링엄에 따르면 사자심왕 리처드 같은 중세의 훌륭한 군사 지휘관들은 냉정하게 전투의 비용과 이익을 평가한(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비용이 이익보다 크다고 판단한) 합리적 행위자였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행한 군사교리는 군사서를 읽어서 배운 것일 수도 있다.


길링엄은 중세 전성기에 유행한 군사교리가 로마제국 말기의 군사저술가 베게티우스의 조언과 일치한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그것을 '베게티우스식 전략'이라고 불렀다.



오만이 책을 쓴 시기에는 12세기 후반의 서유럽 귀족들이 대부분 문맹이었으며 오직 전투 기술만을 교육받았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다음 세대의 학자들은 생각을 바꾸었다.


12-13세기의 기사들은 전사로서의 기술뿐 아니라 궁정인으로서의 기술도 배웠다.


그들은 오만이 상상했던 일차원적인 전사들이 아니었다.


세속어를 읽고 쓰는 능력은 12세기 후반경의 고위 귀족들 사이에서 일반적이었다.



'De Re Militari'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베게티우스의 '군사학 논고Epitoma rei militaris'는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걸쳐 가장 많이 필사된 문헌 중 하나다.


또한 라틴어에서 세속어로도 자주 번역되었고, 적어도 몇몇 군사 지휘관들이 필사본을 소유했다는 증거가 있다.


길링엄은 전쟁에 대한 중세 지휘관들의 인식과 접근법이 베게티우스의 책을 통해 직접적으로 형성되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안했다.


사자심왕 리처드는 어느 대주교의 부족한 라틴어 실력을 조롱한 적이 있었을 정도로 학식이 높고 라틴어에 조예가 깊었기 때문에, 심지어 라틴어로 된 베게티우스의 책을 읽었을지도 모른다.



7ceb867fbd806cf037ea98bf06d60403cbefe59a9a9f1060fd



지급된 임금의 차이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사들의 사회적 정치적 지위는 보병들보다 훨씬 우월했으며, 중세의 예술과 문학의 전쟁 묘사에서도 기사가 중심이 되고 보병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실제 전투에서는 상황이 많이 달랐다.


심지어 야전에서도 말에 탄 기사들이 방어 진형을 이룬 규율 잡힌 보병들을 상대로 반드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중세 시대 내내 가장 효과적인 군대는 궁병과 창병의 지원을 받는 기마 돌격대로 구성된 혼합 전술 부대였다.



또한 아이러니하게도, 오만은 전투부대로서의 기사의 몰락과 보병의 부상이라는 사건의 선후관계를 반대로 뒤집은 것으로 보인다.


헤이스팅스 전투에 대한 스티븐 모릴로의 세밀한 연구는 이 전투가 이후 300년 동안 지속된 보병에 대한 봉건 기사의 우월성을 확립했다는 오만의 주장을 무너뜨렸다.


반면에 맬컴 베일은 '14세기 보병 혁명'이 기사를 쓸모없게 만들었다고 알려진 이후에, 15세기에 와서 갑옷과 무기와 전술의 발전으로 중기병대가 전투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7ceb867ebd866af638ea98a518d604038895d3d9a312ac071f76



길링엄의 '베게티우스식 전략' 이론은 미국의 사학자 찰스 홀리스터가 처음 제시한 역설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다른 지역들보다 봉건적이었던 중세 잉글랜드에서 봉건적 군역이 상대적으로 덜 중시되었다는 역설.


앞에서 본 것처럼, 적어도 1086년부터 잉글랜드의 귀족들은 봉건적 군역을 대가로 왕에게 하사받은 봉토로써 토지를 보유했다.


이전까지는 이를 근거로, 국왕군으로 복무한 기사들의 대부분은 봉건적 의무에 따라 소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홀리스터는 다른 사실을 발견했다.


저서 "The Military Organization of Norman England"와 여러 논문들을 통해 그는 일명 '봉토 보유를 대가로 의무 지워진 기사의 군역이 노르만 왕조의 잉글랜드 왕들이 군대를 모집하는 주된 방식이었던 적이 없었다는 봉건제의 아이러니'를 증명했다.


이후 많은 역사학자들이 11세기부터 15세기 초까지 잉글랜드 국왕군의 주력이 왕실 가신단 기사들이었음을 밝혀내면서, 봉건적 군역이 실제로 중시되었다는 가설은 더욱 약화되었다.


수십 명의 왕실 가신단 기사들은 왕의 야전군이나 요새 수비대에서 정예부대로 활동할 뿐 아니라 소규모 작전에서 독립적인 부대로 운용되기도 한 전문 상비군이었다.



직접수봉자(tenant-in-chief)들이 잉글랜드 왕에게 진 봉건적 군역은 13세기 동안 급격히 축소되었다.


1166년 헨리 2세는 이론상 봉건적 군역에 따라 기사 5000명을 소집할 수 있었다.


하지만 1272년 그의 증손자인 에드워드 1세는 평신도 귀족들에게서 기사 3-500명, 주교와 수도원장들에게서 기사 132명을 소집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즉, 100년 사이에 봉건적 군역의 90%가 사라졌다.



봉건적 군역으로 소집된 군사들의 질도 하락해서, 기사들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고 무장도 빈약한 기마 서전트의 비율이 갈수록 높아졌다.


1277년 에드워드는 웨일즈 전쟁에서 봉건적 군역으로 기사 228명과 서전트 294명을 소집해서 40일 동안 무보수로 복무시켰다.

1303년 에드워드가 스코틀랜드 원정에 데려간 국왕군 7500명 중에는 봉건적 군역으로 소집된 기사 15명과 서전트 267명이 있었다.



13세기 잉글랜드 왕들은 남작들에게 보낸 소환장에서 '왕에 대한 충성과 사랑으로' 각자 지위에 맞는 숫자의 기사들과 그밖의 병사들을 데리고 왕의 전쟁에 참가할 것을 요청했다.


참전은 '자발적인' 것이었지만, 소환에 응하지 않는 것은 왕의 총애를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이는 귀족 집안의 운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따라서 13세기 말이 되면 남작들은 봉건적 군역보다 더 많은 수의 맨앳암즈(기사와 기마 서전트)들을 데려왔다.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는 봉건적 군역이 유지되었지만, 잉글랜드에서 봉건적 군역에 의한 소집은 1327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13세기 후반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왕들은 신하들의 봉건적 군역을 기꺼이 면제해줄 수 있었다.

프랑스에서는 적어도 13세기초부터, 그리고 잉글랜드에서는 그 이전부터 이미 봉건적 군역이 국왕군을 위한 중기병의 주요 공급 수단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7ceb867fbd806cf13ee998bf06d60403640339bf5f7712669c



12세기 초반 잉글랜드에서 봉건적 군역이 기사 봉토 제도의 공식적인 명분이었을지 몰라도, 왕의 입장에서 그것의 진정한 가치는 재정적 수입이었다.


1100년경부터 현금 지불로 군역을 대신하는, 방패세(scutage)라고 불리는 제도가 일반화되면서, 국왕군에 합류할 것을 명하는 소환장마저도 수입원이 되었다.


앙주 왕조의 잉글랜드 왕 헨리 2세와 그의 아들인 리처드와 존은 봉건 소집군보다는 용병을 더 선호했다.


그들은 직접수봉자들에게 봉건적 군역 대신 방패세를 낼 것을 강요해서 용병들에게 지불할 임금을 마련했다.



12-13세기의 군주들은 봉건적 군역의 중대한 결함과 현실적인 문제들 때문에 왕실 가신단 기사와 용병들을 더 선호했다.


우선 봉건적 군역의 의무가 왕국의 방어에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외국 원정에도 요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조차 없었다.


의무 복무 기간인 40일이 지나면 임금을 받고 싸우기를 원하지 않는 기사들은 모두 떠날 것이다.


남작들이 의무대로 정확한 숫자의 기사들을 데려올 것이라는 보장이나, 그 기사들이 제대로 무장하고 훈련을 받았을 것이라는 보장도 없었다.


사자심왕 리처드가 1189년 죽어가는 아버지 헨리 2세에 대항해 일으킨 반란이나, 이중봉신들이 포함된 군주들 간의 영토 분쟁 같은 내전 상황에서, 봉건적 군역의 의무를 진 봉신들은 한 대군주에 대한 봉건적 군역의 의무와, 그것을 이행한 대가로 다른 대군주에게 봉토를 압류당할 가능성 사이에서 손익을 계산해야 했다.



하지만 왕실 가신단 기사들과 용병들은 이런 문제들을 전혀 일으키지 않았다.


마키아벨리는 용병들을 신뢰할 수 없다는 고정관념을 확립하는 데 성공했지만, 12-13세기의 용병들은 적어도 고용주들 사이에서는 훨씬 더 좋은 평판을 가지고 있었다.


고용주들은 용병들에게 정해진 임금을 제공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인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었다.



상비군에 가장 가까운, 잘 무장하고, 잘 훈련되고, 규율 있는 왕실 가신단 기사들은 국왕군의 단단한 등뼈를 이루었다.


용병 부대의 보병들은 12-14세기의 전쟁의 핵심 요소인 황폐화 전술과 공성전에 매우 적합했다.


방패세로 얻은 수입을 통해 노르만 왕조 잉글랜드의 왕들은 봉건 소집군보다 더 신뢰할 수 있고 융통성 있는 군인들을 구입할 수 있었다.




-Richard P. Abels, "The Myths of Feudalism and the Feudal Knight", Seven Myths of Military History.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54

고정닉 33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4100348 공지 신고게 。° ૮₍°´ᯅ`°₎ა °。 (12. 10. 2024) ✔ [14] ㅇㅇ(80.135) 24.10.13 110365 189
4278267 공지 천안함을 기억합시다 [40] G8K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26 5817 244
4254434 공지 무레퍼 트럼프 떡밥 금지 [17] 토오오오오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03 3685 55
3545695 공지 공지 20250319 토오오오오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7 37932 452
4178627 공지 계엄 떡밥 이 위로 다 막음 [46] 토오오오오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04 14505 165
4058334 공지 (20240917)갱차리스트 다중이 합본 [19] G8K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9.17 11764 196
2923975 공지 군갤 고정글 모음 군갤공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6 31531 467
3923368 공지 군 관련 경제 떡밥 별도 규정 [52] G8K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14 16529 220
4313564 일반 조기경보기 짤 [4] 패튼박는노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6 93 2
4313563 일반 ㄱㅇㄱ 윾럽의 흔한 동거문화 [3] 김퍼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2 151 1
4313562 일반 국군 야전방공의 희망은 이제 좃썬더뿐이야 [3] 패튼2077년현역기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2 99 2
4313561 ❗정보 념글 오지리 해군에 대한 보충설명 [4] HK88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95 6
4313560 일반 예전에 송탄 에어쇼 가본 군붕이들한테 질문 좀 ㅇㅇ(211.206) 11:29 16 0
4313559 일반 패륜아들 늘어난건 다 디씨탓이지 [1] ㅇㅇ(121.169) 11:29 67 1
4313558 ✒️창 조기경보기 [4] Semifurr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9 101 6
4313557 일반 ㄱㅇㄱ)절밥 맛있네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6 82 2
4313556 일반 탄신, 탄신일 중 탄신이 바르다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6 37 0
4313555 일반 오평파 영상들 어떻냐구요?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6 38 0
4313554 일반 오늘은 부처님 생신입니다 [6] IOT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4 51 0
4313553 일반 우러전은 이란이라크전만큼 시간끄려나 [1] 미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22 0
4313552 일반 뭔가 자축을 해야 할거같은 날이야 [1] 어린이회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2 56 0
4313551 일반 군붕이들이 안깔만한 대공포 [9] _.___,._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2 107 0
4313550 일반 아 레일건 덮어놨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95 0
4313549 일반 미국은 아직도 경범죄자 대상으로 군대갈래? 깜빵갈래? 선택권 주냐? [3] ㅇㅇ(211.206) 11:21 59 0
4313548 일반 소신발언) 임신한 여자 배 발로 차봄 [4] 윤의철군단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192 3
4313547 일반 엄마한테 쌍욕하는 애들 흔하지 않음? [8] ㅇㅇ(210.99) 11:17 121 0
4313546 일반 ㄱㅇㄱ 패륜아 봤다 [9] 차단피해주파딱에게뇌물먹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3 142 2
4313544 일반 롯데타워 파괴되는꿈꾸다가 깻다 [5] 김퍼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42 1
4313543 일반 고려왕이나 장수 이름 붙인 함은 언제 나올까?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61 0
4313542 일반 a10? 쟙쟙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48 0
4313541 일반 킹린이날이구나 ㄷㄷㄷ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22 0
4313540 일반 KDDX가 빨리 나와야 사브영업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50 0
4313539 일반 중국에서 이순신을 무조건 아냐?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20 0
4313538 일반 계속 말하지만 KDDX는 이순신 대체 아님 [4] 비율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2 161 0
4313537 일반 인천공항서 2억 6천만 원 훔쳐 도주 중국인 남성 긴급체포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115 0
4313536 일반 독일 제국 해군 배들 이름보면 [1] 30분랩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69 0
4313535 일반 근데 한국서는 동거 이미지가 않좋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98 0
4313534 일반 각국 건함사업 특징 [5] CA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154 3
4313533 일반 KDDX보다 혁신적인 배도 별로 없지 않음? [2] CA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7 192 1
4313532 일반 이번에 오산 에어파워데이 친구랑 가려고 하는데 [2] 단지맛단지우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6 31 0
4313530 일반 이란이 이번에 쏜 탄도탄 탄두중량이 좀 심상치 않아보임 [1] 비율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3 127 1
4313529 일반 좋은 군용 병기랑 뭘까 [7] 인내김아완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2 102 0
4313527 일반 러시아 연방 분열이 가능한 이유 ㅋㅋㅋ(119.194) 10:50 72 0
4313526 일반 소련전차 체계가 지금보면 대량생산 용이한 독일보는 느낌이네 [5]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0 74 1
4313525 일반 군붕이들아 이제 너희가 어린이날에 [2] ㅇㅇ(211.206) 10:46 56 2
4313524 일반 ㄱㅇㄱ) 미국 살아본 군붕이 있니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6 121 2
4313523 일반 어린이날 받은거 있음? 혈관맥혀버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25 0
4313522 일반 ㄱㅇㄱ 파키스탄 큰형님 용접을객관적으로 보면 차단피해주파딱에게뇌물먹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60 0
4313521 일반 근데 "좋은 야전방공차량"은 뭐가 있냐? [4] ㅇㅇ(211.63) 10:38 105 1
4313520 일반 어린이날 인싸와 군붕이들 차이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45 4
뉴스 유재석 ‘20년’ 후배 반말에 긴장된 순간...“어미 계속 빼시네?” 디시트렌드 05.0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