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16년차 게임, 롤 디렉터가 말하는 진입 장벽 해결책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3.15 13:53:05
조회 94 추천 0 댓글 0
														


리그 오브 레전드 대표 이미지
🔼 리그 오브 레전드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리그 오브 레전드 공식 홈페이지)

[게임메카=이우민 기자] 리그 오브 레전드는 PC 온라인게임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는 게임이지만, 어느덧 서비스 16년 차에 접어든 장수 게임이기도 하다. 오래된 시스템과 모델링 등은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갔지만, 오랜 시간 쌓인 콘텐츠의 양은 덜어냄 없이 계속 늘어나고만 있다. 170명에 달하는 수많은 챔피언과 새로운 시스템으로 인해 신규 유저 뿐 아니라 복귀 유저의 진입 장벽이 매우 높다는 이야기가 많다. 이로 인해 점점 하드코어 유저들만 남게 되는 고착화 현상은 리그 오브 레전드의 미래를 위한 주요 관건이다.

게임메카는 최근 한국을 방문한 라이엇 게임즈 리그 스튜디오 피유 리우(Pu Liu) 디렉터를 만나 리그 오브 레전드가 직면한 진입장벽 문제와 그 해결 방안, 사업 방향성 등에 대해 직접 들어봤다.

한국을 방문한 라이엇 게임즈 리그 스튜디오 피유 리우 디렉터 (사진: 게임메카 촬영)
🔼 한국을 방문한 라이엇 게임즈 리그 스튜디오 피유 리우 디렉터 (사진: 게임메카 촬영)

Q. 우선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린다.

피유 리우 디렉터: 리그 오브 레전드를 개발하는 리그 스튜디오의 디렉터를 맡고 있는 피유 리우다. 한국 음식도 너무 좋아하고 한국 팬분들도 사랑하는데, 2023년 월즈 결승과 지난 시즌 시작 기념 방문에 이어 이번 퍼스트 스탠드 개최로 다시 한국을 찾게 되어 기쁘다. 
Q. 리그 오브 레전드는 올해로 서비스 16년 차에 접어든 장수 게임이다. 오랜 기간 서비스를 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정상급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이러한 장기 서비스의 원동력이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피유 리우 디렉터: 저를 포함해 라이엇 게임즈 창립자들은 플레이어들과 장기적인 관계를 맺고 싶어한다. 제가 디렉터 직을 맡게 되었을 때 창립자들이 한 가지 미션을 줬다. 이 게임이 향후 15년, 30년 간 계속 이어질 수 있게끔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게임으로 성장시켜 달라는 것이었다. 저 역시 도타부터 히어로즈 오브 뉴어스(heroes of Newerth) 등 AOS 장르를 오랫동안 플레이 한 만큼, 리그 오브 레전드 성공에 기여하고 싶은 마음이 크다.
Q. 오랜 시간 서비스를 해오며 챔피언도 굉장히 많이 나왔다. 챔피언을 만들 때 개발 기조가 궁금하다.

피유 리우 디렉터: 사실 새로운 챔피언을 만드는 접근 방식은 지난 16년 동안 많이 바뀌어왔다. 초창기 챔피언이 40개 밖에 없을 때는 다양성이라던지 단순히 게임의 볼륨이 더 나아질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했다면, 이제는 좀 더 넓은 시야에서 바라볼 필요가 생겼다. 예를 들어 최근 추가된 ‘멜’은 상당히 직관적인 챔피언일 뿐 아니라, 이번 시즌 테마인 녹서스 분위기와도 잘 맞다 보니 많은 인기를 얻었다. 이처럼 성능이나 스킬 구성 등 기술적인 측면에서 끝나지 않고 전체적인 게임 테마에 맞는지, 유저 경험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e스포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등을 모두 고려하고 있다.
최근 추가된 신규 챔피언 '멜' (사진제공: 라이엇 게임즈)
🔼 최근 추가된 신규 챔피언 '멜' (사진제공: 라이엇 게임즈)

Q. 많은 챔피언은 물론 장점이지만, 그만큼 알아야 할 정보가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장르 특성상 다양한 챔피언 특성을 알고 있는 게 유리하다 보니, 신규 혹은 복귀 유저 입장에서는 진입 장벽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어떤 대안을 생각 중인지 궁금하다.

피유 리우 디렉터: 해당 현상은 내부에서도 인지하고 있다. 실제로 저도 오랜만에 리그 오브 레전드를 플레이해 보니 실버 티어 유저한테도 질 정도로 따라가기가 쉽지 않더라. 이처럼 일부 유저한테는 리그 오브 레전드가 충분히 어려운 게임으로 느껴진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개선하려 하고 있다.

다만 10년, 15년 동안 게임을 꾸준히 해온 유저들은 이런 복잡성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시스템을 무작정 제거하거나 변경할 수는 없기에 해결이 쉽지는 않다. 대신 스킬을 최대한 직관적으로 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멜 같은 경우 W 스킬 외 나머지 스킬은 속박을 걸거나 피해를 입히는 등 간단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 외에도 정보의 홍수 속에서 신규 유저나 복귀 유저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계속 하고 있다. 유저 피드백 또한 계속해서 받고 있으니 많은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다.
현재까지 총 170명의 챔피언이 출시됐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현재까지 총 170명의 챔피언이 출시됐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Q. 서비스 초창기에 비해 용이나 아타칸, 정글링 등 게임 시스템도 다소 복잡해졌다. 기존 유저 입장에서는 좋은 방향성이지만, 신규·복귀 유저 입장에서는 알아야 할 정보가 너무 많아 게임을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복잡한 요소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피유 리우 디렉터: 말씀 주신 것처럼 게임이 점점 복잡해지는 것은 사실이다. 내부적으로 이러한 복잡한 요소를 추가할 때는 그 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충분히 재고한 뒤 도입한다. 게임 템포, 전략 등 근본적인 재미는 물론, e스포츠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크다면 새로운 시스템을 추가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시스템 도입 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유저 피드백을 통해 유지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따져본다. 실제로 아타칸이나 무력 행사는 도입 후 몇 차례 조정이 이뤄졌다. 만약 유지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면 제거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질문에 답변 중인 피유 리우 디렉터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질문에 답변 중인 피유 리우 디렉터 (사진: 게임메카 촬영)

Q. 그 외에 신규·복귀 유저 유입을 위해 노력한 점이 있다면?

피유 리우 디렉터: 리그 오브 레전드의 다양한 파생 콘텐츠가 신규 유저 유입에 도움을 주는 것 같다. 실제로 e스포츠와 ‘아케인’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가 신규 유저와 복귀 유저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라서 말씀드릴 수 없다는 점은 양해 부탁 드린다.

시간이 지나면서 신규 유저 유입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이 많아진 건 사실이다. 예를 들어 저와 같은 스타크래프트 세대와 마인크래프트를 하는 현 세대는 기대하는 바가 완전히 다르다. 신규 유입을 원한다면 이런 모든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가 앞으로 저희가 해결해야 할 숙제인 것 같다.
전세계적인 인기를 끈 리그 오브 레전드 애니메이션 '아케인'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 전세계적인 인기를 끈 리그 오브 레전드 애니메이션 '아케인'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Q. 최근 마법공학 상자 삭제가 유저들 사이에서 이슈였다. 지금은 철회됐지만, 처음 마법공학 상자를 삭제한 이유 중 하나는 수익성과 관련된 문제였다. 장기 서비스를 위해서는 수익 모델 역시 중요한 요소인데, 향후 수익 모델은 어떤 식으로 구축할 것인지 궁금하다.

피유 리우 디렉터: 사실 마법공학 상자 제거의 의도는, 수익이나 지속 가능성보다는 플레이어들이 좋아하지 않는 요소가 있다는 피드백을 받아서였다. 왜냐면 상자를 열면 50% 확률로 관심도 없는 감정 표현이나 파랑 정수가 나오고, 어떤 경우에는 상자 안에 또 상자가 나와 시간을 잡아먹었다. 때문에 모든 유저가 마법공학 상자를 좋아했던 것은 아니었다. 아울러 신규 유저들은 이러한 시스템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판단했고, 전투 패스를 통해 13~15개 스킨을 확정으로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방식으로 대체할 계획이었다.

다만 저희가 놓쳤던 부분은 상자를 열기 전까지 높은 가치의 아이템이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에 대한 재미였다. 마법공학 상자를 삭제하면 그런 유저들의 재미가 사라지고, 운영진 입장에서는 유저들이 만족하지 않으니 서로 안 좋은 결과만 낳게 된다. 그래서 유저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다시 바꿔야겠다고 생각해서 마법공학 상자를 복귀시켰다.

사업 모델에 대해서는 수익과 지속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고 있으며, 수익이 창출되었을 때는 유저 경험 향상에 재투자를 많이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번 퍼스트 스탠드라던지, 아케인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 등이다. 이처럼 유저들을 만족시키면서 충분한 수익을 낼 수 있는 적절한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 삭제 소식으로 논란을 낳았던 마법공학 상자 (사진: 게임메카 촬영)

Q. 국내에서는 수락 버튼 삭제를 원하는 유저들이 많다. 개발사 측에서도 수락 버튼을 누르지 않았을 때 처벌을 강화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은데, 이에 대한 향후 개선안이나 패치 방향성에 대해 듣고 싶다.

피유 리우 디렉터: 사실 내부에서는 그동안의 조치로 어느 정도 정상 수치에 진입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물론 계속해서 유저들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수락 버튼을 제거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않는다고 본다.

예를 들어 매칭이 잡힌 후 유저 한 명이 챔피언을 고르지 않아 매칭이 취소되면, 수락 버튼이 있을 때보다 더 많은 시간이 낭비된다. 특히 상위권 유저들은 지금도 매칭을 찾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더욱 피해가 크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해야 하기에 수락 버튼 제거만이 해결책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다. 내부적으로 계속 논의하고 있고, 장기적인 솔루션을 찾고 있으니 양해 부탁드린다.
많은 국내 유저들의 불만을 낳은 게임 내 수락 버튼 (사진: 게임메카 촬영)
🔼 국내에서는 수락 버튼에 대한 불만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Q. 마지막으로 한국 유저들께 한 마디 부탁드린다.

피유 리우 디렉터: 한국 유저들이 계속해서 보여준 열정과 관심에 감사드린다. 저희가 뭔가 새로운 콘텐츠를 내놓을 때, 처음부터 완벽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대신 더 나은 결과를 보여드리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다는 약속을 드리고 싶다.

유저분들의 피드백은 저희가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굉장히 중요하고, 항상 피드백을 듣고 싶다. 특히 한국의 e스포츠 문화가 얼마나 대단한지 알고 있기에, 한국 유저분들의 피드백을 통해서 앞으로도 더 재미있는 게임과 국제 대회를 만들어 가고 싶다.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58842 공지 2025 LCK 스테이지 1(R1/R2) 통합 로스터 및 일정입니다. [2] 보르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19 375 0
19281 공지 자꾸 아쉽네 뭐네 하지마라 [286] ㅇㅇ(211.36) 22.03.17 43826 1027
54483 공지 신문고 입니다. [39] 백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10 1601 0
59978 일반 티원 이기는건 바라지도 않다 [2] ㅇㅇ(116.43) 04.25 139 0
59977 일반 좆 됐 다 [1] 브붕이(219.248) 04.25 112 1
59976 일반 감독 바꾸면 누가좋겠냐?? [6] 브붕이(211.36) 04.25 179 1
59975 일반 근데 모건은 매판 cs가 20개 이상 차이나 있냐 [6] 브붕이(210.105) 04.25 267 0
59974 일반 브리온은 지고 바디는 레스터를 나가고 [2] 백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00 0
59972 일반 하입한테 존나 물어보고 싶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61 1
59970 일반 모건이 못하는 건 괜찮음 재활일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44 0
59969 일반 하이프는 무조건 잘못한거임 브붕이(116.43) 04.24 188 2
59968 일반 하이프는 걍 딱 숟가락임 브붕이(220.70) 04.24 107 0
59967 일반 하이프 스샷 제대로 따옴 훈련용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83 2
59966 일반 함박은 어차피 바꿀꺼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51 0
59965 일반 하이프 그장면 스샷 [2] 순말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98 0
59964 일반 나 진짜 이 팀 져도되니까 저런장면만 안나오면 훈련용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55 1
59963 일반 제일 문제 많은 사람 딱 알려줌 [3] 재활일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64 0
59962 일반 그리고 요즘 모건 폼 좀 구린내나는게 [1] 클리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90 0
59961 일반 아쉽다 [1] 젤리피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98 0
59960 일반 오더할 사람이 필요한거같은데 [2] 브붕이(58.29) 04.24 188 0
59959 일반 진짜 쟤네도 오늘 메롱이였는데 그냥 중요 순간떄 던졋음 한명씩 브붕이(219.251) 04.24 85 0
59958 일반 아니 ㅋㅋ 창 보고 맞는건 진짜 뭐임? 진짜 이해가 안되는ㄷ[ 브붕이(219.251) 04.24 72 0
59957 일반 적어도 오늘 경기는 감독욕 못하겠다. [3] 브붕이(104.28) 04.24 267 1
59956 일반 진짜 못참곘다 진도 그렇고 루시안 좀 심각했다 브붕이(39.112) 04.24 65 0
59955 일반 함박만 저런짓 하는건가 싶었는데 훈련용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46 0
59954 일반 하이프 순간적으로 판단력 풀리는거 한두번 나온거 아닌데 [3] 클리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60 2
59953 일반 2세트는 여러모로 너무 아쉬운데 판단부분에서 브붕이(218.147) 04.24 58 0
59952 일반 ㅋㅋ 하이프씨 감사합니다 ㅇㅇ(220.80) 04.24 148 1
59951 일반 하입 방금 창 보엿는데 맞고 뒤진건 진짜 프로맞냐 [1] 브붕이(219.251) 04.24 200 1
59950 일반 그냥 다섯명중에 가장 딸리는게 누군지 알자나 브붕이(218.151) 04.24 145 0
59949 일반 루시안 풀스펠 ㅋㅋㅋㅋ ㅇㅇ(211.36) 04.24 73 0
59948 일반 그래도 졌잘싸였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63 0
59947 일반 ㅋㅋㅋㅋ 설마 거기서 귀환되길 바란거?? ㅇㅇ(122.46) 04.24 72 0
59946 일반 하입 뭐하는새끼냐? [2] 훈련용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59 3
59945 일반 ㅋㅋㅋㅋㅋㅋ [1] 재활일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18 0
59944 일반 ㅋㅋㅋㄲㅋ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53 0
59942 일반 이거 수정해주세요 재활일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12 1
59940 일반 모건 오늘 헤롱하네 훈련용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97 0
59939 일반 니코를 잭스가 마크하면.... 젤리피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56 0
59938 일반 판단 왜이러지 클리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7 0
59937 일반 방패 ㅆ발 거기서 쳐써서 브붕이(218.151) 04.24 49 0
59936 일반 루시안 아칼리 딜 잘나오는데 왜 넘어갔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51 0
59935 일반 뭔 각을 본 거임? 재활일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3 0
59934 일반 이전보단 그래도 조합이 힘이있음 한번만이기자 브붕이(218.147) 04.24 33 0
59933 일반 재능이 처참하다는건 모건을 보고 하는말인듯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85 0
59932 일반 와 진짜 모건은 프로가 맞냐 저거..!? 브붕이(106.101) 04.24 83 0
59931 일반 루한이횽. 젤리피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53 0
59930 일반 그냥 이 팀은 15분 되면 서렌치자 재활일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9 0
59929 일반 폴루 아까 죽을때도 방패 이상하게 들더만 브붕이(218.151) 04.24 35 0
59928 일반 주장님 왜그래.. 클리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5 0
뉴스 파우, 웹드라마 ‘항상 그 자리에 있어’ 연기 이어 OST까지 완벽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