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렇게 우리가 흔히 말하는 기영이대가리 패턴이라는게

이렇게 보면 볼수록 킹받는 천진난만한 기영이의 머가리 패턴에서 나온다는건 다들 알고있을테고
통상적으로 저런 기영이대가리가 나온다는건 장대양봉을 뽑아낸 고점에서 다시 쏟는다=>반전형 패턴이다 라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고
흔히 말하는 반전형패턴 3인방은 더블탑, 트리플탑, 헤드앤숄더가 있음
여기서 착안해 기영이대가리 패턴에 접근
일단 차트패턴의 바이블이라고 할 수 있는 encyclopedia of chart patterns에서는 Head of Kiyŏng이라는 기영이대가리 패턴을 찾기 힘들어 상술한 고점 반전형패턴으로 접근

복합 헤숄형

특징은 두개의 대가리와 몇개의 어깨로 구성되는 헤드앤숄더 탑의 복합형이며 어깨사이에는 거래량 하락추세
전형적인 헤숄법칙에 어깨와 머가리가 좀 추가됐다는 말임

사례에서 들고있는 complex H&S인데 양쪽으로 어깨뽕을 한번 더 처맞은걸 볼 수 있음

기영이대가리 판독전략은 딱 보면 알겠지만 그래도 우리는 그림을 분석하는 큐레이터가 아니라 거기서 나오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차티스트들이니
1. 모양 : 헤숄탑에 여러 어깨가 있고 아주 드물게 대가리가 두개 있는 경우가 있음. 물론 머가리는 어깨보다 고점이고 근처에 있는건 거의 없고
2. 대칭 : 강한 머가리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경우가 있고 타임프레임도 거의 유사. 좌우측 어깨형태도 거의 유사함
3. 거래량 : 보통 촤측이 우측보다 거래량이 많고 점점 줄어드는 형태
4. 목라인 : 왼쪽어깨저점과 우측어깨의 저점을 연결해서 거기 하방 터치하면 기영이대가리 신호발생
5. 하방돌파 : 어깨아래로 떨어지면 바로 기영이 대가리 번지대 완성

거래전략
1. 측정기준 : 헤숄의 머리끝 정수리에서 어깨까지 높이만큼 어깨선 하단으로 돌파라고 생각. 그게 TP

더블탑처럼 이런 TP로 접근
2. 컨펌대기 : 헤숄패턴이란게 일단 컨펌났으면 추가적인 어깨형성에 컨펌을 하지말고 (공격적으로) 숏 오픈. (기영이대가리라는게 어깨를 계속 만들어가는 형태인데 어찌되었든 떨어질놈은 떨어진다 라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될듯)
3. SL : SL설정은 고점 어깨에서 조금 위로 설정
4. 되돌림관찰 : 되돌림 구역에서 ㅈ반등하는 경우가 있으니 추가로 포지션을 넣기 전 관찰을 좀 하라는 말

Complex H&S이니 여러 잡탕찌개로 관찰해볼만한 가치는 있는 패턴임
기본 접근은 헤숄로 들어가고

물론 차트라는게 대응의 영역이다보니 이렇게 기영이대가리 형성하겠다 싶어도 손 흔들며 SL안걸어놓은 포지션 골로 보내버리는 손흔드는 기영이 패턴도 가능함
P.S. 현재 머장 상황(feat.엄마 미안해)

P.S.2 중절모패턴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hartanalysis&no=786696
https://gall.dcinside.com/m/chartanalysis/1051672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