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보고 나도 읽어보긴 했는데, 몇 개 짚고 넘어가자
SDR(8bits)이랑 HDR(10bits 이상)이 있고 얘네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가장 큰 차이임
이때 디지털 데이터를 모니터에서 전기적 신호로 바꿔주기 위해서 전달함수라는걸 사용함
전달함수 종류야 많지만, 대표적인게 PQ랑 HLG임
표준은 PQ고 얘가 돌비에서 만든 규격이라고 생각하면 됨. (자세한 자료는 smpte st 2084등 문서 찾아보셈)
그냥 간단하게 설명하면 PQ는 데이터 효율성이 가장 높은 전달함수라고 보면 됨.
PQ 이름부터가 인지 곡선에서 따온건데, 데이터 신호 변환 과정에서 최대한 사람이 체감하기에 영향을 안주게끔 압축하는거임.
그래서 이게 현재는 사실상 HDR 표준이라고 보면 됨.
HLG는 호환성 떄문에 쓰는건데 기존에 HDR 지원이 안되는 이미 만들어지거나 만들어지는 모니터들도 많이 있단말임.
여기서 PQ가 표준인건 좋은데 PQ에 맞춰서 만들어진 영상은 HDR지원이 안되는 기기에서는 재생하려면 톤매핑 변환을 매번 해줘야함.
이 부분 때문에 호환성이 떨어지니까 밝기 값이 HDR 기준으로 낮은 영역에서는 기존 SDR 컨텐츠처럼 감마 곡선을 쓰는 형태의 함수인데
이거 때문에 하이브리드-로그-감마라고 부르고 HLG가 여기서 나온거임
HLG는 호환성이 좋다. 근데 PQ가 데이터 효율성이 가장 좋다고했지? PQ에비해서 데이터 효율이 떨어짐, 반대로 같은 비트레이트면 PQ가 HLG보다 이론상 화질은 높음(기준이 애매하지만)
유튜브같은곳에서는 HLG를 채택하고 있음. 호환성이 중요하니까 (공식 문서상으론 그런데 자세한 내용은 나도 안찾아봄)
암튼 저게 PQ니 HLG니 하는 부분에대한 간단한 정리고 HDR표준은 사실상 PQ라고 보면 되는데
지금 거론되는 애플 아이폰은 내가 찾아보니까 HLG를 씀.
돌비비전에서 HDR 기준으로 만든 함수는 smpte 2084고, 다이나믹 메타데이터 포함된건 smpte 2094임
근데 아이폰에서 촬영한건 메타데이터를 돌비로 가지고있긴 한데 HLG를 쓰니까 짭이 맞다. (돌비는 HLG가 아니라 PQ임)
근데 TV화질을 논하는데 아이폰이 돌비비전 촬영을 한다는게 중요한건지는 전혀 모르겠음
차라리 넷플릭스에서 돌비비전 규격으로 제작된 영상을 재생하냐 마느냐면 모를까
난 삼성티비 가지고있진 않아서 모르겠는데, 지금 LG OLED TV에서 돌비비전이 나타나는건 그냥 'HDR재생 잘 된다' 정도로 받아들이면 되는거지 그 이상 의미부여할게 없다.
그니까 HDR재생 잘 되는게 확인됐으면 거기서 끝난거지 그게 돌비비전이니 HLG니 아이폰이 짭이니 논할 필요가 없다는거임 엄밀하게 말해서 이건 컨텐츠 제작하는사람들이 마스터링하면서 고려할 부분이지, 그리고 그쪽 사람들은 전문가라 어련히 알아서 잘 한다.
좋은날인데 다들 기분좋게 휴일 보내자 굿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