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서양사 도서 추천 - 1. 서양사 통사, 세계사앱에서 작성

Ga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9.03 22:58:00
조회 13629 추천 20 댓글 16
														

예전에 독서 갤러리에 같은 글을 쓰다 말았는데, 세계사 갤러리 오랜만에 와보니 리젠은 잘 안되어도 그래도 갤이 그럭저럭 관리는 되고 있는듯 해서 추천 도서를 한번 정리해보려고 함

나는 유럽사를 중심으로 공부했고 관심사도 그 분야 위주라 서양사 개설서들만 정리를 해보겠음. 개인적으로 이런 류의 지식 수집에 관심이 많긴 한데 이중엔 안읽어본 책도 많고 헛소리도 있을테니 적당히 알아서 걸러 듣길 바람

일단은 국내 번역된 책 중에 흥미 본위 대중서들은 배제하고 학술적으로 인정받거나 폭넓게 개설서로 쓰이는 책들 위주로 추천함. 관련 내용이 빈약한 경우나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는 경우는 해외서도 몇가지 소개를 해보겠음




서양사 통사

1. 주디스 코핀, 로버트 스테이시 《새로 쓴 서양 문명의 역사》

전세계 서양사 입문 강좌의 교과서로 가장 널리 쓰이는 교과서다. 현 시점에서 서양사 입문서를 추천하자면 가장 추천하고 싶은 책. 단점이라면 2권 합쳐서 천오백 페이지가 넘는 분량이 만만하지가 않고 원판은 이미 저자들 싹 갈아서 2017년 즈음에 개정판이 나왔는데 국내판은 아직 2008년판이라는 점 정도. 에드워드 맥널 번즈가 대표 저자로 있는 <서양 문명의 역사>는 이거 구판이니까 지금은 볼 필요 없음.



2. 민석홍, 《서양사개론》

내가 서양사 처음 공부할 때 읽었던 책임. 한때는 서양사 개설서의 원탑격의 지위에 있었고 나름의 장점도 있지만 지금은 추천 우선도가 많이 떨어짐. 일단 한권 분량이고 저자 나름 역사학계의 주요 연구 성과를 담아낸 점은 고평가할만 한데, 이 책 너무 오래됐음. 저자가 작고한지가 꽤 되었고 마지막 개정이 1992년인가 그런데 시중에 지금도 서양사 개설서 계속 나오고 있는 상황에 예전만큼의 지위는 아님. 역사 임용 쪽에서는 아직 교과서로 쓰인다고는 함.



3. 차하순, 《서양사총론》

<개론>이랑 비교했을 때 그나마 최근까지 개정판이 나왔고, 그림 자료도 많고 컬러판이어서 보기 편한 점이 장점임. 다만 2권 분량이라 좀 부담스러울 수도 있고, 비교적 최근에 나온 저작들이 좀 더 낫지 않나 싶긴 함. 지금 <개론>이랑 <총론> 중에 뭘 추천할거냐고 묻는다면 총론을 택하긴 할텐데 다른 책들과 비교했을 때 역시 연배가 꽤 되는 저작이라 장점이 다소 퇴색되는 느낌은 어쩔 수 없는듯.



4. 박윤덕 외, 《서양사강좌》

근래 나온 국내 저자들이 쓴 서양사 개론서 중에 최고라 평할만함. <개론>이 차지하던 단권짜리 서양사 통사의 원탑 부문은 이 책이 거의 대체하지 않았나 싶음. 국내 현역 서양사 연구자들이 각 단원을 나눠 썼기에 근래의 연구 성과들이 나름대로 반영되어 있는 점이 최고 장점임. 그 덕분에 통일성 부분은 약간 미흡하다는 평을 들을 수도 있긴 하지만 역사학 분야도 연구 주제의 미분화, 전문화가 심해져서 예전과 같이 개인이 밀도 있는 통사를 쓰는 건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에 감안을 해야할 부분.



5. 배영수 외, 《서양사강의》

<강좌>와 비슷하게 서양사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나눠서 쓴 책임. 강좌가 현역 역사가들이 중심인 비교적 최근의 저작이라면 이건 지금 정년퇴직 라인에 걸쳐있는, 한 세대 전의 역사가들이 중심임. 그렇다고 아직 낡았다는 평가를 들을만한 책은 아니고, 이 책이 중요한 점은 기존의 개설서들과 다르게 주제 중심으로 좀더 깊이 있는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점임. 가령 프랑스 혁명을 다루는 단원은 다른 서적들과 다르게 프랑스 혁명 수정주의 연구 성과를 간략하게 정리한다던지. 위의 네 저작들을 읽고 난 다음에 서양사 각 주제에 대한 좀 더 밀도 있는 이해를 원한다면 꼭 읽어봐야 할 저작임.



6. 사료로 보는 서양사 시리즈

이상하게 3편 근대 초를 건너뛰고 4편 19세기가 먼저 나온 시리즈인데, 사료를 참고할 수 있다는게 큰 장점이라고 생각함. 내용 자체는 그냥 무난


이외에 대학교재로 나온 서양문화사 서양사의이해 이런 류 저작들 많은데 국내 서양사 개설서는 그냥 이걸로 퉁쳐도 무방할듯




세계사

근래 역사학계의 가장 큰 화두가 지구사(Global History)라고 각 대륙 간의 상호작용, 연결성 이런거 강조하면서 통합적으로 쓰고자 하는건데, 국내에도 이러한 시각들이 반영된 저작들이 점점 소개되고 있는 중임. 몇가지 대표 저작들을 소개해봄. 이 분야는 최근에 신간이 물밀듯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서 업데이트 안된 것이 있을수도 있음



1. 하버드-C.H. 베크 세계사

미국 하버드대와 독일의 저명한 출판사 C.H. Beck (역사 관련 저작들이 특히 유명함)가 합작해서 출판한 세계사 시리즈. 현재 국내에는 3권과 5권, 6권이 번역되어 나왔고 가장 최근에 4권이 번역되어 나옴. 앞서 말한 글로벌 히스토리 연구 방식을 참고하기 가장 좋은 저작이라고 생각함



2. 옥스퍼드 세계사

올해 나온 신간인데 이건 옥스퍼드 답게 영국 역사가들이 주가 됨. 하버드 C.H. 베크는 분량이 상당히 부담스러운데 이건 한권짜리라 비교적 편하게 읽을 수 있는게 장점인듯. 안 읽어봐서 잘 모름



3. 메리 위스너 행크스, 《케임브리지 세계사 콘사이스》

이름이 뭔가 이상한데 케임브리지의 유명한 시리즈물인 Concise History 시리즈 중 세계사를 다룬 책임. 아래서 다룰 Cambridge World History의 시론격으로 나온 책이라고 함. Concise History 시리즈 자체가 신뢰도가 높은 좋은 시리즈라 각국사 참고할 때 우선적으로 참고할만함. 왠만한 나라는 다 나와있음



4. 케임브리지 세계사 시리즈

이건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주도하는 세계사 시리즈인 Cambridge World History의 번역인데 원저는 이미 7권 분량으로 완결이 되었음. 국내에는 올해 1권과 2권이 번역 출간이 되었고, 남은 분량이 차차 번역되어 나올듯함



5. J.M. 로버츠, 오드 아르네 베스타, 《세계사》

이건 좀더 전통적인 세계사의 방법론을 사용한 책인데, 원저자인 로버츠 사후에도 뒷세대 역사가인 베스타가 참여해서 지속적으로 개정되고 있는 세계사 분야의 고전임. 이것도 안읽어봄^^;



6. 아틀라스 세계사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시리즈. 내용은 큰거 없는데 지도가 상세해서 입문용으로 정말 좋음. 자매품으로 <조르주 뒤비의 지도로 보는 세계사>라는 엄청 큰 책이 있는데 이 쪽이 분량 면이든 밀도 면에서든 압도적으로 좋긴함. 근데 절판되었고 가격 자체가 엄청 비싸니까(10만원 넘었던걸로 기억) 도서관에 있으면 그걸로 봐라



7. 파멜라 카일 크로슬리, 《글로벌 히스토리란 무엇인가》

앞서말한 지구사/글로벌 히스토리의 대표적인 입문서적. 이거보다 좀더 폭넓게 읽히는 개설서로는 Sebastian Conrad의 What is Global History?가 있는데 이건 크로슬리의 책과 비교했을 때 더 이론적이고 전문적으로 파고들어서 관련 개념이 잡혀 있지 않은 사람은 더 읽기 힘든 편임



8. 스벤 베커트, 《면화의 제국》

글로벌 히스토리 서적 중 Jürgen Osterhammel의 Die Verwandlung der Welt(영어로는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ld)와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인정받는 저작 중 하나임. 하버드 교수인 저자가 면화를 중심으로 세계 자본주의의 탄생을 밀도 있게 다룬 걸작으로 평가됨



위에 언급된 서적 중 Osterhammel의 책은 국내에도 곧 번역될 예정이라는 말이 있는데 잘은 모르겠다. 오스터하멜은 하버드 C.H.베크 세계사의 책임 편집자이기도 하고 글로벌 히스토리 담론을 이끌고 있는 거물 역사가임. Die Verwandlung der Welt말고 다른 대표작이면서 짧아서 읽기 편한 《식민주의》와 《글로벌화의 역사》가 번역되어 있으니 참고할 것

- dc official App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0

고정닉 5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6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32550 공지 규칙 & 신고 (25.1.1) [7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01 1138 4
32557 공지 한국어로 출판된 사료 목록(작성중)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01 126 0
32556 공지 국내 사학/고고학 잡지 추천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01 480 8
32549 공지 역사 관련 링크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01 164 0
24682 공지 국내 논문 무료로 찾아보는 방법 [1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5 2718 19
33886 일반 동로마 군대는 서방에 비해 약체였다면 얼음보숭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26 10 0
33885 질문 십자군 돌격이 왜 고평가를 받는거임? [1] ㅇㅇ(121.174) 22:00 32 0
33884 정보 (미멕전쟁) 미군의 멕시코 심장부 침공(3): 멕시코시티 전투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48 14 0
33883 일반 세계 총대주교 할사람 없어지는거 아니냐?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0 40 0
33882 질문 독도관련 자료는 어디서 찾아볼 수 있어? [5] ㅇㅇ(211.235) 15:10 53 0
33881 일반 역시 17~19세기는 전세계가 잘산다는게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1 106 1
33880 질문 혹시 인도의 정치 사회 문화 역사 종교 생활상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2 20 0
33879 전시/ 화조미감 花鳥美感 [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44 2
33878 사진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조선민화전 후기 [6] MC재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90 3
33877 일반 로마 속주별 편견 이거 맞지 않냐? [4] ㅇㅇ(121.174) 04.27 112 0
33876 일반 의외로 꼴잘알이었던 당나라 성문화 [3] ㅇㅇ(218.147) 04.27 137 1
33875 질문 역사학의 목적은 뭘까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71 0
33874 정보 미멕전쟁) 미군의 멕시코 심장부 침공(2): 세로 고르도 ~ 푸에블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0 2
33873 질문 그라쿠스 개혁 조사 어떤 책을 보면 될까요?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8 0
33872 일반 왜란때 대마도주는 진짜 골치아파겠네? [1]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01 0
33871 질문 대영제국은 그 좆만한나라가 어케 이렇게 됐던거냐?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81 0
33870 일반 정주영은 딱히 실향민도 아니었는데 어쩌다 실향민이 된것같네 [5] 뢰흐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39 0
33868 전시/ 마나 모아나-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87 5
33867 질문 바랑기가드나 그리스불도 멸망할때까지 [4] 얼음보숭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93 0
33866 일반 7차 러시아-튀르크전쟁때부터 오스만하고 러시아 국력이 벌어졌네?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49 0
33865 질문 (역알못)마오쩌둥은 뭐잘했다고 현재까지 영웅대접하는거임? [24] ㅇㅇ(58.78) 04.26 211 0
33863 자료실 외모 관리의 중요성 [4] W.Sikorsk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157 0
33862 질문 바랑기안근위대가 바이킹애들임?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74 1
33861 일반 카르타고인들은 예상외로 그리스 혼혈이 많았을수도 [5] ㅇㅇ(120.142) 04.26 224 6
33859 일반 러일전쟁때 조선은 대체 왜 중립선언한거지 했는데 [5] ㅇㅇ(222.111) 04.26 123 2
33858 질문 벌거벗은 세계사에서 왜 홍위병 안다룸? [4] ㅇㅇ(58.78) 04.26 128 1
33857 일반 유목민 뽕 채우는 브금 총집합 [1] pyr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80 1
33856 질문 고니시랑 대마도주는 일단은 임란반대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62 1
33855 일반 임진왜란 일어나기전까지 일본 장수들도 다 찬성한거 아니였네? [2]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116 0
33854 질문 금나라 철부도 vs 성전기사단 1대1 돌격대결 ㅇㅇ(121.174) 04.26 74 0
33853 일반 진지하게 14세기 동로마는 살길이 없었냐? [10] 얼음보숭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184 0
33852 사진 겸재 정선 특별전 후기 [2] MC재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129 2
33851 질문 만약에 미래에 로마와 이스탄불을 둘다 먹은 기독교 국가가 등장한다면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154 0
33850 질문 이집트는 무슨기술도입으로 인구가 폭증한거임 [4] ㅇㅇ(125.177) 04.26 109 0
33849 일반 근데 일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소수민족들도 차별했네? [9]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79 2
33848 일반 미군의 멕시코 심장부 침공(1): 작전의 배경부터 베라크루스 공성까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60 2
33847 일반 에도막부는 네덜란드하고는 제한적인 교류는 했네? [4]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12 0
33846 일반 한민족의 백두산 강조는 끼워맞춘거같음 [14] ㅇㅇ(110.46) 04.25 372 6
33845 일반 박정희 암살 미국이 사주한거 같은데 너무 뇌피셜인가 [2] ㅇㅇ(218.147) 04.25 111 3
33844 일반 근데 그리스엔 극우 정당 없냐? [10] 얼음보숭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61 0
33843 일반 근데 정조는 할아버지 영조를 원망하긴 했을려나? [4]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71 0
33842 전시/ 마음의 사귐, 여운이 물결처럼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86 2
33841 일반 고대말 중세초 중국사 북방민족 중 오환족이 가장 아깝더만 淸皇父攝政王.. ■x■x(121.167) 04.24 93 0
33840 일반 새로운서양문명의역사 하 읽고있는데 번역 왤케 십구리냐 ㅇㅇ(123.213) 04.24 60 0
33839 일반 똥잔틴은 유스티니아누스 역병 이후로 [2] 그린마일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06 2
뉴스 넷플릭스 측 “‘흑백요리사2’, 10월 공개 NO” [공식]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