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certo pour piano n°3.
Yunchan Lim (piano),
Fort Worth Symphony,
Marin Alsop.
Decca. Ø 2022. TT : 42’.
TECHNIQUE : 3,5/5
C’est la captation vidéo de cette exécution du Concerto n° 3 de Rachmaninov, lors de la finale du Concours Van Cliburn 2022, qui propulsa en pleine lumière Yunchan Lim de dix-huit ans mettant le jury à genoux. Après la sérénité trompeuse avec laquelle il entame le thème de l’Allegro non tanto, notre soliste déchaîne des torrents de notes, qui envoient plus d’une fois l’orchestre texan sur le gril. Les accents, que le pianiste est un des rares à respecter, confèrent au sommet d’intensité (à 8’29”) une tension que l’on cherchera en vain dans la plupart des versions.
Optant pour la cadence courte (comme Rachmaninov au disque, comme Horowitz et Argerich), il la cisèle avec une fulgurance calculée, réservant ses déferlements les plus vertigineux pour la suite. Les respirations, la cadence suivante (à 13’12”), transfigurée en rêve éthéré, révèlent un maître de la matière sonore doublé d’un poète.
Le deuxième mouvement conjugue flamme et intensité. L’accélération foudroyante, à 10’30”, annonce un finale qui balaiera tout sur son passage : la cavalcade conclusive (à 9’58”) arbore une férocité réjouissante. La bravoure technique, sans doute aiguillonnée par l’électricité du concert, l’investissement mystique de l’interprète, les constantes prises de risques : les atouts ne manquent pas, décidément, pour assurer à Yunchan Lim une place à part.
Si d’aucuns resteront fidèles à Daniil Trifonov (DG), c’est que ce dernier pouvait compter sur un Philadelphia Orchestra autrement somptueux, précis et mieux capté. Sans faire oublier ni la flamboyante lascivité d’Argerich (Philips, avec Chailly), ni l’austérité brûlante du compositeur (accompagné par Stokowski, RCA), ni les assauts démoniaques d’Horowitz (sous la baguette de Reiner, RCA), voilà un document pour le moins palpitant !
Bertrand Boissard
피아노 협주곡 3번
임윤찬 (피아노),
포트워스 심포니,
마린 올솝.
데카, 2022년. 총 연주시간: 42분.
기술 점수: 3.5/5
이것은 2022년 반 클라이번 콩쿠르 결선에서 연주된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3번 실황 영상이다.
이 연주는 18세의 임윤찬을 세상의 주목을 받게 만들었고, 심사위원단을 무릎 꿇게 했다.
그는 Allegro non tanto의 주제를 기만적인 평온함으로 시작한 뒤, 폭풍 같은 음표들을 쏟아내며 텍사스 오케스트라를 몇 번이고 벼랑 끝으로 몰아넣는다.
그가 정확히 지켜낸 악센트들은 (8분 29초 시점에서) 극도의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며, 이는 대부분의 다른 연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것이다.
그는 라흐마니노프, 호로비츠, 아르헤리치처럼 짧은 카덴차를 선택했으며, 이를 치밀한 번뜩임으로 조각하듯 연주했다. 가장 현란한 폭발은 이후를 위해 아껴두었다.
호흡의 여유, 다음 카덴차(13분 12초)의 이뤄낸 몽환적인 변형은 음향의 대가이자 시인임을 드러낸다.
2악장은 불꽃과 긴장을 함께 지닌다.
10분 30초 시점의 전격적인 가속은 모든 것을 쓸어버릴 마지막 악장을 예고하고,
9분 58초 지점의 결말부 질주는 기쁜 사나움으로 가득하다.
연주의 전기가 자극했을 테크닉의 용맹함,
해석자 특유의 신비한 몰입,
끊임없는 위험 감수 —
임윤찬이 특별한 존재임을 증명할 무기들은 넘쳐난다.
물론 어떤 이들은 다닐 트리포노프(DG)의 연주를 고수할 수도 있다. 그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라는 더욱 웅장하고 정밀하며 잘 녹음된 파트너를 등에 업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아르헤리치(필립스, 차이이와 함께)의 눈부신 관능성,
작곡가 자신이 지휘한 스토코프스키(RCA)의 불타는 엄격함,
호로비츠(라이너 지휘, RCA)의 마성적인 공세를 잊게 만들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이 음반은 적어도 전율할 만한 문서이다!
베르트랑 부아사르 (Bertrand Boissard)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