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복 상태인데 혈당이 높게 나올 때가 있다. 전날 과식도 하지 않았고 아침도 건너뛰었는데 수치가 떨어지지 않으면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 많은 사람들이 혈당 상승을 음식 때문이라고만 생각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몸의 상태, 수면, 약물,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혈당 수치에 영향을 준다. 특히 공복 혈당이 지속적으로 높게 나오는 경우라면 지금부터 소개하는 4가지 원인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스트레스는 식사보다 강력한 혈당 상승 요인이 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몸은 이를 위협으로 판단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과 아드레날린을 분비한다. 이 호르몬들은 간에 저장된 포도당을 혈중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동시에 인슐린의 작용을 방해해 혈당 흡수를 떨어뜨린다. 이중 압박으로 인해 식사를 하지 않아도 혈당이 올라가게 된다.
특히 장기간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서 만성적인 공복 고혈당이 생길 수 있다. 감정적인 긴장뿐 아니라 신체적인 통증이나 피로도 같은 반응을 유발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스트레스가 혈당을 움직이게 만드는 셈이다.
온라인 커뮤니티
수면 부족은 혈당 조절 호르몬의 균형을 무너뜨린다
잠을 잘 자지 못하면 인슐린 민감도가 떨어지고 혈당이 쉽게 오르게 된다. 수면 중에는 렙틴, 성장호르몬 같은 대사 관련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잠을 설칠 경우 이 호르몬들이 불균형해진다. 그 결과 식욕이 과도하게 자극되고,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밤샘 근무나 수면 무호흡증을 겪는 사람들에게서 공복 혈당이 높게 나오는 경우가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하루 4시간 이하로 수면을 제한한 사람들의 인슐린 저항성이 급격히 증가했다는 보고도 있다. 혈당 관리에는 식단보다 수면이 우선일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약물 복용이 혈당을 은근히 끌어올릴 수 있다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 일부 항우울제나 고혈압약은 혈당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약물들은 간의 포도당 생성을 자극하거나 인슐린의 작용을 억제해 혈당 조절을 어렵게 만든다. 특히 스테로이드는 강력한 항염 효과가 있지만 그만큼 혈당을 올리는 부작용도 크다.
환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약물 복용 후 일정 기간 동안 공복 혈당이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혈당이 계속 오르는데도 식습관에는 변화가 없다면 복용 중인 약물의 영향을 의심해봐야 한다. 약을 중단하거나 교체하기보다는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라인 커뮤니티
새벽현상과 간 기능 문제도 혈당 상승을 유도한다
아침 시간대 공복 혈당이 높게 나오는 가장 대표적인 생리 현상은 '새벽현상'이다. 새벽 무렵 우리 몸은 코르티솔,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며 잠에서 깨어날 준비를 한다. 이 과정에서 간은 혈중으로 포도당을 방출하는데 인슐린 민감도가 떨어진 사람은 이를 잘 조절하지 못한다.
또 간 기능이 저하된 경우 포도당 처리 능력이 떨어져 혈당이 불균형해진다. 지방간, 알코올성 간 질환이 있는 경우 아침 혈당이 유난히 높게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공복 혈당이 반복적으로 오를 땐 단순히 식사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