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2/7 북한산 - 이옥과의 동행(3)

1866(118.37) 2010.02.19 03:50:52
조회 985 추천 2 댓글 10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http://editor.daum.net/services/blog/css/contents4view.css?ver=1.1.171"><STYLE type=text/css>                </STYLE>

 

 

 

이윽고 도달한 중흥사.

177CBE034B7CFBC968A958

 

북한산성 축조시 중흥사외 12개 사찰을 짓거나 복원, 중창하여 전국의 승병를 모았다.

중흥사는 북한산성 방어를 위한 승병군영(緇營)이 있는 절로써 

팔도도도총섭(八道都摠攝, 전국승병의 총사령관)의 지휘로 운영되었다.

 

도성 문을 나서며 이미 승려를 만났고 북한산에 이르러 점점 많이 만났는데

절에 들어서는 승려를 다 만나게 되었다.

눈으로 본 승려가 무릇 이백여 명이고, 말을 주고받은 승려는 겨우 십여 명이었다.

사일(獅馹)은 일찍이 호종천교 정각보혜(護宗闡敎正覺普慧) 팔로제방 대주지(八路諸方大住持)

팔도승병 도총섭(八道僧兵都摠攝)이 되었는데 화산(花山) 용주사(龍珠寺)의 총섭이기도 하였다.

그는 조포사(造泡寺)에서 자리를 옮겨 북한산성의 총섭이 된 것이다.

스스로 말하기를 본래 호남인으로 어느 씨족에 속해 있다고 했는데,

반나절 동안 말을 해보니 매우 분명하고 막힘이 없었다.

그래도 때때로 남도(南道) 사투리를 썼다.(중흥유기中)

 

절에서 이틀을 묵는 동안 밤이면 문득 범패(梵唄)를 부르는 자와 《병학지남(兵學指南)》 및

‘대장청도도(大將淸道圖)’를 외우는 자가 있었는데

등불이 꺼져 누구의 입에서 나오는 소리인지 알지 못하였다.(중흥유기中)

 

 

 북한산의 승려들은 산성방어를 위한 승병이라 불경보다 군사서적을 더 열심히 읽었던 것 같다.

  

여러 절에는 불교경전이 전혀 없었는데 오직 승가사(僧伽寺)와 부왕사(扶旺寺)에만은

약간 남아 있었는데, 비록 있기는 하지만 책장이 떨어져 나가고 꿰맨 실이 흩어져 읽을 수가 없었다.

그나마 있는 것은 ‘결수문(結手文)’과 《은중경(恩重經)》, 《법화경(法華經)》 등의 대여섯 묶음뿐이다.
경전에 통한 승려가 없음을 알 수 있다.(중흥유기中)

  

 현재의 중흥사는 폐허가 되어 있는데 중흥사 복원을 위해 기도정진하고 있다.

167CBE034B7CFBCA693958

 

147CBE034B7CFBCA6A8FDC

 

이옥은 첫 날은 태고사에서 머물고 둘째 날은 진국사에 머물며 산성내 곳곳을 유람하였다.

 

천석(泉石)은 탕춘대(蕩春臺)는 번잡하고 상운사(祥雲寺) 염폭(簾瀑)은 시원스럽고,

서수구(西水口)는 엄숙하고, 칠유암(七游巖)은 명랑하고,

산영루(山暎樓)는 풍요롭고, 손가장(孫家莊)은 밝으며 환했다.

모두가 아름다운 풍광으로서 우열을 쉽게 결정지을 수 없었다.(중흥유기中)

 

계곡을 따라 걸으며 계곡과 바위, 누각을 묘사했는데 그중 산영루(山暎樓)는 각별했다.

 

 

1250EF254B7D08D92D7158

 

산중에서 이틀 동안 머무르면서 산영루에 오른 것이 세 번이었다.

낮에 오르고 저녁에 또 오르고 다음날 아침에 지나면서 또 올랐다.

낮부터 저녁까지 날씨가 맑더니 이튿날 아침에는 구름이 끼었다.

산색의 어둡고 밝음과 수기(水氣)의 흐림과 맑음을 이번 걸음에서 모두 파악하게 되었다.

다시 보니 저녁 산은 마치 아양을 떠는 것 같아 고운 단풍잎이 일제히 취(醉)한 모양이요,

아침 산은 마치 조는 것 같아 아련히 푸르름이 젖어드는 모양이다.

저녁의 물은 매우 빠르게 흘러 모래와 돌이 제자리에 있지 못하며,

아침의 물은 기(氣)가 있어 바위와 구렁이 비에 적셔진 것과 같다.

이와 같은 아침저녁 산수(山水)의 변화는 누(樓)의 기문(記文)으로 남길 만한 것이다.중흥유기中)

산영루가 복원된다면 이옥의 글을 기문으로 남겼으면 좋겠다.

현재의 산영루는 초석만 남아 있다.

 

154B5C244B7D099C62688C

 

164B5C244B7D099C63BEC1

 

174B5C244B7D099C6440AC

 

194B5C244B7D099D653D5E

 

114B5C244B7D099D67F5BC

 

이옥일행이 다녀가고 100여년이 지난 후인 구한말시기의 산영루와 일제시기의 산영루 사진이

최근에 알려졌다.

 

186486274B7D0ABD3926B0

 1885년 주한미국대리공사 조지 클레이튼 포크(Foulk,1856~1893)가 촬영한 산영루

이 사진은  미국 위스콘신대 밀워키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최근에야 알려졌다.

(http://blog.ohmynews.com/arts/251882)

 

누각위에 포크공사 일행인듯한 사람들이 주변 경치를 구경하고 있고 누각밑에는  일꾼들이 쉬고 있다.

이옥일행의 유람 모습도 이와 같지 않았을까...

 

2005F6224B7D0C5B6A7DAE

1911년  독일 오틸리엔 성 베네딕토 수도회 원장 베버(Norbert Weber)신부가 촬영한 산영루.

비석거리앞에 날렵하게 서있는 산영루.

한 아이가 산영루를 등지고 앉아 일행을 기다리고 있는 듯...

 

 

이옥일행은 계곡을 따라 계곡아래 대서문까지 갔다.

 

북한산성의 계곡방향의 방어를 보완하기위해 설치한 성문인 중성문. 

1630BC1F4B7D10FAABAC50

 

1830BC1F4B7D10FBACF093

 

1930BC1F4B7D10FBAD36FE

 

중성문의 튼튼한 방비를 위해 노적봉까지 성곽을 구축했고 바로옆 계곡에는 수구문을 설치했으나

지금은 홍수에 쓸려가 흔적이 사라졌다.

2030BC1F4B7D10FBAEB851

 

북한산성중 가장 낮은 지대에 위치한 대서문.

이곳에 군량창고인 하창이 있었고

계곡에는 수구문이 있었으나 현재는 유실되었고 양옆으로 성곽만 남아있다.

 

145C08224B7D12EF2253E9

 

145C08224B7D12F023A004

 

155C08224B7D12F02481E5

 

 

 대서문에서 바라본 원효봉과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175C08224B7D12F026D746

 

이옥일행은  북한산의 경치를 만끽하며 북한산의 가을색을 묘사하였다.

 

초목(草木)

산에 오르기 전에는 모두들 단풍은 너무 이르다고 말하였는데 산에 들어와 보니

단풍과 낙석(絡石)과 나무로서 의당 붉어질 것은 이미 다 붉어져 있었다.

석류화(石榴花)의 붉음, 연지의 붉음, 분(粉)의 붉음, 꼭두서니의 붉음, 성혈(猩血)의 붉음,

짙게 붉기도 하고 옅게 붉기도 한 것이 이르는 곳마다 빛깔이 같지 않았다.

그것은 위치가 구별되고 나무가 다르기 때문이다.(중흥유기中)

 

이옥일행은 북한산에서 이틀밤을 머물고 금위영뒤 보국문을 빠져나가 도성으로 향해 갔다.

 

나는 이옥일행과 헤어져 대남문을 나섰다.

 

이옥일행의 삼장(三章)의 법중 나머지 하나는 시(글)에 대한 다짐이었다. 

 

첫째, 시(詩)에 대한 규율이다.

시 속의 사람을 지을 것이고, 사람 속의 시를 지어서는 안 되며,

시 속의 경치가 되게 할 것이고 경치 속의 시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중흥유기中)

 

(詩)안에 북한산을 담고자 다짐하며

이옥은 북한산의 아름다움을 이렇게 읇었다. 

 

바람은 잔잔하고 이슬은 정결(淨潔)하니 8월은 아름다운 계절이고,

물은 흘러 움직이고 산은 고요하니 북한산은 아름다운 지경(地境)이며,

개제순미(豈弟洵美)한 몇몇 친구는 모두 아름다운 선비이다.

이런 아름다운 선비들로서 이런 아름다운 경계에 노니는 것이 어찌 아름다운 일이 아니겠는가?

자동(紫峒)을 지나니 경치가 아름답고,

세검정(洗劍亭)에 오르니 이름답고,

승가사(僧伽寺)의 문루(門樓)에 오르니 아름답고,

문수사(文殊寺)의 문에 오르니 아름답고,

대성문(大成門)에 임하니 아름답고,

중흥사(重興寺) 동구(峒口)에 들어가니 아름답고,

용암봉(龍岩峰)에 오르니 아름답고,

백운대(白雲臺) 아래 기슭에 임하니 아름답고,

상운사(祥雲寺) 동구가 아름답고,

폭포가 빼어나게 아름답고,

대서문(大西門) 또한 아름답고,

서수구(西水口)가 아름답고,

칠유암(七游岩)이 매우 아름답고,

백운동문(白雲峒門)과 청하동문(靑霞峒門)이 아름답고,

산영루(山暎樓)가 대단히 아름답고,

손가장(孫家莊)이 아름다웠다.

정릉동구(貞陵洞口)가 아름답고,

동성(東城) 바깥 모래펄에서 여러 마리 내달리는 말을 보니 아름답고,

3일 만에 다시 도성에 들어와 취렴(翠帘), 방사(坊肆), 홍진(紅塵), 거마(車馬)를 보게 되니

더욱 아름다웠다.

아침도 아름답고 저녁도 아름답고,

날씨가 맑은 것도 아름답고 날씨가 흐린 것도 아름다웠다.

산도 아름답고 물도 아름답고,

단풍도 아름답고 돌도 아름다웠다.

멀리서 조망해도 아름답고 가까이 가서 보아도 아름답고

불상도 아름답고 승려도 아름다웠다.

아름다운 안주가 없어도 탁주가 또한 아름답고,

아름다운 사람이 없어도 초가(樵歌)가 또한 아름다웠다.

요컨대 그윽하여 아름다운 곳이 있고 밝아서 아름다운 곳도 있었다.

탁 트여서 아름다운 곳이 있고 높아서 아름다운 곳이 있고,

담담(淡淡)하여 아름다운 곳이 있고 번다하여 아름다운 곳이 있었다.

고요하여 아름다운 곳이 있고, 적막하여 아름다운 곳이 있었다.

어디를 가든 아름답지 않은 곳이 없고, 누구와 함께 하든 아름답지 않은 곳이 없었다.

아름다운 것이 이와 같이 많을 수 있단 말인가?

이자(李子)(이옥)는 말하노라.

 

“아름답기 때문에 왔다. 아름답지 않다면 오지 않았을 것이다.”

 

 

이옥은 북한산을 유람한 이후 소설체 문장을 고치지 않아 정조로부터 많은 제재를 받았다.

과거시험을 보지 못하게 하는 정거(停擧) 처분을 받고와 군대에 복무하는 형벌(충군,充軍)을 두 번 받고
성균관으로 돌아오는 수모를 당했다.
충군처벌중 별시 초시에 1등 합격이 문체의 격으로 인해 꼴등으로  합격 처분되었지만 이마저도 충군처벌이 사면되지 못해
군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젊은 세월을 다 보내고 40세가 넘어 칩거하며 많은 글을 남겼다.

과거급제로 가문을 세우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하였으나 그의 자유분방한 문체를 포기할 수 없기에
번번이 정조의 반정(反正)의 표적이 되었던 이옥은 
“나는 요즘 세상의 사람이다. 내 스스로 나의 시, 나의 문장을 짓는데
선진양한(先秦兩漢)과 무슨 관계가 있으며, 위진삼당(魏晉三唐)에 무어 얽매일 필요가 있는가”
라고
스스로의 글에 자부하며 시대를 앞서갔지만 왕의 절대권력앞에 일개 서얼출신의 유생신분으로 맞설 수는 없었기에
불이익을 감수한 채 문체를 고치지 않으며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그의 글은 친구 김려가 <담정총서>에 담아  역었고, 2001년 번역본 <완역이옥전집>이 출간되었다.

그 양의 무려 5권에 2,600쪽의 방대한 분량에 달한다.   

 

 


< type=text/></>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56899 아싸 케이블카 [17] ㅇㅇ(116.123) 15.08.26 865 7
56828 가야산 백운동(만물상)코스 다녀왔다 ㅇㅇ(112.160) 15.08.24 1788 9
56643 3박 4일 설악산 종주 (남교리~귀때기~중청~공능) [8] 수원클라이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8.20 1954 7
56157 일본 야쿠시마(屋久島) 다녀왔습니다 - 시라타니운스이쿄 [4] 땅토마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8.09 1072 5
56156 일본 야쿠시마(屋久島) 다녀왔습니다 - 죠몬스기 [4] 땅토마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8.09 1309 5
56151 15년8월8일, 백두대간20구간, 갈령3거리-형제봉-천왕봉-문장대 [2]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8.09 815 6
56011 계룡산 변해가는거 보며 국립공원은 이제 줄이려고한다 [7] ㅇㅇ(112.160) 15.08.04 1191 6
55963 15년8월1일, 영동 갈기산, 말갈기능선,월영산 [5]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8.02 4076 12
55859 횽아들~ 서울에 갈만한 등산로 추천좀 해주세요! [8] 뭐라구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7.27 878 2
55828 15년7월25일 백두대간19구간 화령재-봉황산-갈령3거리 [1]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7.26 1081 7
55824 [스압]관악산(사당역-연주대-서울대입구)등산기 [24] 뭐라구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7.25 2308 8
55726 (..아니 니눈은 정상이야 [3] ㅋㅋㅋ(175.195) 15.07.22 968 13
55691 15년7월18일, 단양 올산, 산부인과바위/히프바위 사인암 [1]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7.19 1088 6
55688 한 나라의 국민성은 그나라 최고봉 산의 높이로 결정되는거같다 [6] ㅁㄴㅇㄹ(183.96) 15.07.18 1454 12
55592 덕유산의 여명 [3] 김씨(1.11) 15.07.12 1053 7
55538 다음주에 설악산 가려고 하는데 설악동 민박 [1] ㅇㅇ(221.139) 15.07.08 1264 5
55517 내가 만나본 북한산 3대 조직분석, 태클환영~~ [4] ㅇㅇㅇㅇ(220.126) 15.07.07 1347 21
55501 산에 다니는 젊은놈들은 제발 촌스러운 알록달록 누더기 기워붙인듯한 등산복 입지마라 [8] ㅇㅇ(178.248) 15.07.06 1882 11
54969 15년6월13일, 대간16구간 추풍령-용문산-국수봉(웅이산)-큰재 [1]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14 2110 5
54942 화요산행 - 설악 2 [7] 인도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12 1806 14
54938 화요산행 - 설악 1 [5] 인도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12 2971 14
54826 15년6월6일, 지리산 노고단, 삼도봉, 뱀사골 [12]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07 2349 11
54651 신불산과 간월재 [3] 라프(180.69) 15.05.31 1237 16
54637 15년5월30일, (산하200) 춘천 강선봉. 검봉산, 봉화산 [5]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30 2176 7
54535 뉴비입니다!!북한산 백운대 함 가보려고 하는데 조언 좀 부탁드려요(수정) [7] 4호선상록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6 1101 4
54340 등산 혼자가 최고입니다 [5] 땅토마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0 1918 11
54298 간만에 주말산행-연인명지 [11] 인도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18 3015 8
54280 고양이 [2] ㅇㅇ(64.233) 15.05.17 828 6
54273 15년5월16일, (산하200) 가평 화야산, 고동산, 뾰루봉 [4]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16 1782 9
54271 거시기 톡 튀어나오게 입는게 핏이 좋은건가.... [11] 자연닌(175.127) 15.05.16 1576 11
54243 밑에 백운대 고양이 얘기 나오길래... [6] 인도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15 1150 11
54201 일욜날 관악산 올라가는데 언년이 내려오다 쉬면서 옆에사람이랑 얘기하면서 스틱을.. [3] ㅇㅇ(87.118) 15.05.12 990 4
54094 5월 5일 합천 모산재를 다녀왔습니다. [7] 눈팅중(112.155) 15.05.07 963 6
53918 14년5월2일,(산하200) 연천 고대산,보개봉,지장산 연계산행 [8]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03 1700 11
53818 봄날의 산행 남한산성 - 은고개 [29] 인도새(219.240) 15.04.29 3819 10
53700 15년4월25일, 대간14구간 우두령-바람재-황악산-여시굴산-괘방령 [5] 하글하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4.26 1192 5
53629 용아장성보다 염초릿지가 난이도가 훨씬 더 높지 [3] 천년의하루(180.134) 15.04.22 1735 3
53590 용아장성이 글케 위험함?, 난이도는 어떤가요? [17] 터락산(123.228) 15.04.21 1536 6
53507 제발 등산복좀 때와 장소를 가려라 [4] ㅇㅇ(188.166) 15.04.17 1964 14
53484 박정희 사위 일가, ‘설악산 케이블카’ 42년 독점·특혜운영 [20] ㅇㅇㅇ(108.59) 15.04.16 1262 15
53429 오색케이블카설치를 찬성합니다 [58] ㅇㅇ(124.111) 15.04.13 1672 12
53379 산에서 산은 안보고,, 남의 옷이나 훔쳐보는 열폭거지들 극혐 [6] 111(103.10) 15.04.10 1259 15
53166 등반에 입문하는 사람을 위한 안내서 1부 [36] 천년의하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4.01 11379 17
53087 오늘 면티에 청바지 운동화 신고 관악산 산책갔다 들은말 [8] ㅇㅇ(94.142) 15.03.28 2345 7
53084 이젠 하다하다 물통까지 구색 갖추려고 하네... [9] 인도새(182.227) 15.03.28 1755 21
53033 등갤 이 새끼들은 겉멋만 들었네. [23] 인도새(182.227) 15.03.26 1737 27
53012 꼭 없는새끼들이 하이엔드 브랜드 더 따짐 [9] ㅇㅇ(178.162) 15.03.25 1325 18
52996 솔까 대한민국 모든 산은 평상복에 운동화만 신고가도됌. [15] 인도새(182.227) 15.03.24 1783 28
52983 좆만한 산밖에 없는 반도에서 병신목발 씹쌍스틱은 왜 짚고 다니는거냐? [14] ㅇㅇ(188.138) 15.03.23 1755 14
52865 국공들은 왜 인수봉에 난간 설치할 생각은 안해? 하프돔 처럼 만들어라! [2] 에스테반(122.128) 15.03.20 1047 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