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반도 지진의 주기에 대한 분석 - 대주기에 대해

ㅇㅇ(121.133) 2024.04.26 01:03:47
조회 601 추천 17 댓글 3
														



이전에 여러 글을 통해 약 10년 주기의 한반도 지진 활동에 대한 나름의 분석을 해봤다.


이번에는 이보다 더 긴 주기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바로 한반도 지진의 대주기이다.



1. 과거 지진 주기를 분석하기 위한 노력들

사실 한반도의 지진 주기를 분석하기 위한 노력들은 과거부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이뤄져 왔다.


다음은 조금 오래되기는 했지만 '조선시대 이래 한반도 지진발생의 시.공간적 특성(2001)' 논문에서 분석한 자료이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4d789e5cd


당시 연구자들은 약 100~130년 주기의 활성기와 잠복기를 분석하여 특정 시기에 지진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 현재가 지진 활성기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참고로 최근 지진활동이 많아진 것처럼 보이는 것은 지진계를 통해 과거보다 지진 관측이 많이 되었기 때문이다.


1900년 이전의 지진 자료는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된 내용만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위 분석은 오류가 있을 수 있다. 2001년은 아직 역사지진 자료가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던 시기이기 때문이다.



2. 본격적인 분석

이제 본격적인 분석을 시작해보겠다. 다음 자료는 '지진 자료(고, 역사, 계기지진)를 이용한 한반도 지진활동 특성 연구(2009)'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이다. 이 자료도 조금 오래된 자료이지만 이 자료부터 시작해보겠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c64f32b4e95


위에 있는 그래프는 각 시기별 전체 지진 횟수를, 아래에 있는 그래프는 규모 4 이상으로 추정되는 최대진도 V 이상 지진의 시기별 발생횟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전보다 역사지진 자료가 많이 수집되어 보다 정확한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이 작성되기 시작한 1400년대 이후 부터는 비교적 지진 자료가 잘 남아있어 분석하기가 좋다.


따라서 이 기간의 패턴을 파악해봤다. 눈으로만 봐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c66f22c4695

특정 기간마다 지진 횟수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패턴을 3회 보였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비교적 규모가 있는 지진이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했음을 알 수 있는 증거이다. 이는 기존에 분석했던 10년 주기의 소주기에서와 유사하다.



이제부터는 더욱 제대로된 분석을 위해 가장 최근 연구된 역사지진 자료인 '기상청 역사지진 목록'을 이용해보고자 한다.


다음은 기상청 역사지진 목록이 기록된 최대진도 VI 즉, 규모 5 이상으로 추정되는 주요 지진들에 대한 자료이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c64f52d4b


이전 자료와 동일한 주기성을 확인할 수 있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f574b9c9a


각 주기별로 지진의 증가와 감소가 보이는데 이 한 사이클은 약 130년이다. 이 130년 중 지진 발생이 적은 시기를 비활성기, 지진 발생이 많은 시기를 활성기라고 해보겠다.


한 주기는 비활성기-활성기-비활성기로 구성된다. 즉, 비활성기에서 지진활동 증가 이후 활성기를 거쳐 다시 지진활동이 감소하는 과정이 하나의 사이클인 것이다.


이제 조선시대 이전시기 즉, 기록이 상대적으로 적은 시기에도 동일한 사이클이 있었다는 가정을 하여 모두 130년을 주기로 통일해보겠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f5a499e9d


이제 대지진이라고 볼 수 있는 최대진도 VIII~IX급 지진, 즉 규모 6.5 이상으로 추정되는 주요 지진이 발생한 시기를 화살표로 표시해보겠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f594f9f9f


그 결과 놀랍게도 전체 15회의 대지진 중 11회 즉, 73%의 지진이 각 주기의 절반 지점에서 약 앞뒤로 30년 정도로 추정되는 시기에 발생했다. 이 60년간의 시기를 활성기로 보겠다.


첫 주기인 40~170년 주기를 1주기로 보고 활성기로 추정되는 시기에 발생한 주요 대지진에 대해 실제로 알아보겠다.


-1주기 40~170년 / 활성기 75~135년 추정

가옥이 붕괴되고 사망자가 발생한 89년 서울 지진과 100년 경주 지진이 발생


-2주기 170~300년 / 활성기 205~265년 추정

기록 없음


-3주기 300~430년 / 활성기 335~395년 추정

기록 없음


-4주기 430~560년 / 활성기 465~525년 추정

가옥이 붕괴되고 사망자가 발생한 502년 평양 지진과 510년 경주 지진이 발생


-5주기 560~690년 / 활성기 595~655년 추정

기록 없음


-6주기 690~820년 / 활성기 725~785년 추정

사망자가 100명 이상 발생한 최대규모 7.0으로 추정되는 779년 경주 지진 발생


-7주기 820~950년 / 활성기 855~915년 추정

기록 없음


-8주기 950~1080년 / 활성기 985년~1045 추정

대지진 기록은 없으나 석가탑에 심각한 손상을 주었던 1036년 경주 지진 발생


-9주기 1080~1210년 / 활성기 1115~1175년 추정

기록 없음


-10주기 1210~1340년 / 활성기 1245~1305년 추정

대지진 기록은 없으나 개성 강진 기록 있음


-11주기 1340~1470년 / 활성기 1375~1435년 추정

전국적인 지진 회수 증가


-12주기 1470~1600년 / 활성기 1505~1565년 추정

규모 6.8로 추정되는 1518년 서울 대지진 발생, 이후 전국적인 지진활동 증가


이후 1568년 한반도 전체에서 진동을 감지하는 지진 발생


-13주기 1600~1730년 / 활성기 1635~1695년 추정

기록상으로는 최악의 활성기를 보냄


1643년 합천 대지진, 1643년 울산 해역 대지진, 1681년 양양 해역 대지진 발생


특히 울산 지진과 양양 지진의 경우 규모 7 이상으로 추정되며, 쓰나미 발생


-14주기 1730~1860년 / 활성기 1765~1825년 추정

지진활동 증가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조선왕조실록 기록 부실 등의 이유로 지진 활동이 누락된 것으로 보임 (1899년 서울에서 한강의 얼음이 깨질 정도의 지진이 있었음에도 조선왕조실록에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가능성 있음)


사망자가 다수 발생한 1810년 부령 대지진 발생


3. 역사지진시대 이후로 확장

14주기 이후 부터는 일제강점기로 들어가게 된다. 이 시기부터는 지진계를 이용한 계기지진 관측이 시작된다. 과연 다음과 같은 주기가 이후에도 계속 되었을까?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eca4bcaf3


이제 15주기 이후의 자료를 추가해보겠다.


15주기 이후의 자료를 추가할 때 기존 자료와의 일관성을 위해서 여러 논문과 당시 기사자료를 통해 최대진도 VI으로 추정되는 지진만을 사용하였다. 즉, 해역에서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더라도 최대진도 VI 아래로 관측된 경우는 제외했다.


자 그럼 이제부터 15주기 이후를 보겠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ecd4ecff3


-15주기 1860~1990년 / 활성기 1895~1955년 추정

신문 기사 등으로 지진 관련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시기이다.


1899년에는 지진으로 한강의 얼음이 깨지고 양평에서 집이 무너졌다.


1920~1930년대에는 지리산 지역에서 강한 지진이 빈발했다. 이 중 가장 큰 피해를 남겼던 지진은 1936년 쌍계사 지진이다.


1930년대 이후에는 전국에서 지진이 빈발했다.


계기관측된 지진 중으로는 한반도 지진 중 모멘트 규모 6이 넘게 관측된 1944년 신의주(또는 평안도 해역) 지진(6.6)과 1952년 평양 지진(6.4)이 이 시기에 발생했다.


이외에도 일제강점기 직후 인천해역에서 발생한 전국적인 지진, 6.25전쟁 직후에 발생한 전국적인 지진 등도 이 시기에 발생했다.


이후 1976~1982년 사이에 일시적으로 지진활동이 증가한 것을 빼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지진활동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지금까지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로 여겼졌던 이유도 추정해볼 수 있다. 지진활동이 비교적 활발했던 시기가 비교적 옛날이었고, 거기다 큰 규모의 지진이 났던 시기가 혼란스러웠던 일제강점기 말과 6.25전쟁 시기였던지라 제대로된 기록도 남겨지지 않았다.


이후 계기지진 관측 이후 가장 평화로웠던 1980년대 중반 ~ 199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라는 시각이 강해졌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영월지진 이후에도 2000년대에 사람이 크게 느낄만한 지진은 2007년 평창지진 정도였다. 이후 2016년이 되어서야 경주 지진이 발생했다.


-16주기 1990~2120년 / 활성기 2025~2085년 추정

과거 기록을 분석했을 때 우리는 이제 활성기에 가까워 진 것으로 보인다.


활성기에는 지속적으로 지진활동이 계속해서 증가하다 감소하고, 규모 6이 넘는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과연 앞으로도 지금까지의 주기가 반복되고, 지진활동이 실제로 증가할지는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 이래 한반도 지진발생의 시.공간적 특성(2001) 논문 일부분을 인용하면서 마치겠다.


"영국의 대기화학자 James Lovelock은 지구를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로 보았으며, 실제 지구에는 내부 에너지 순환의 한 방법으로 화산활동과 지각변동과 같은 내적작용이 일어난다. 특히 지각변동은 지구내부의 에너지가 축적되어서 마찰력의 한계를 넘을 때 지진을 수반한 단층운동의 형태로 나타나므로 주기적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한반도 내의 지진활동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조선시대 이래 한반도 지진발생의 시.공간적 특성, 윤순옥, 전재범, 황상일, 2001


추천 비추천

17

고정닉 3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지진 갤러리 이용 안내 [162] 운영자 11.03.11 44564 48
412959 국짐찍 감축대상들 호들갑떨지마라 [3] ㅇㅇ(121.149) 06.01 142 6
412924 태양 플레어 X3 발생 [6] ㅇㅇ(211.225) 05.27 391 12
412882 동해 초기 섭입대와 동해안 대지진 가능성에 대해 [6] ㅇㅇ(220.118) 05.22 493 20
412854 다음 난카이 트로프 대지진의 추정 규모 [12] ㅇㅇ(220.118) 05.18 853 18
412850 <내가 본 미래> 예지일 정리 [15] 별명따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7 705 17
412834 전 세계 초대형 지진의 주기성 [3] ㅇㅇ(121.133) 05.11 797 15
412822 진도 1~2같은건 올리지마 [7] ㅇㅇ(106.101) 05.09 447 11
412812 지진데이터 낼 새벽에 올릴게요. [8] 귀염둥이(220.118) 05.08 586 11
412783 내일 테러경고 말인데 [6] 효린(106.102) 05.04 760 7
412738 일본서 대지진 터질 때 다른 재해들 연동돼 터질 가능성 높음 [25] 별명따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676 46
412684 대만 우리가 예상하는대로 대지진 오면 [6] ㅇㅇ(122.202) 04.29 802 10
412674 군무새 한남들 드릉드릉 6.9 소추달고 군캉스간다네 [9] 지갤러(211.184) 04.29 237 10
412642 대만, 인도, 일본 지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4] 지갤러(203.255) 04.28 845 17
412639 대만 땅이 다 초토화 될 정도의 지진 올 수도 있음 ? [11] ㅇㅇ(223.38) 04.28 763 8
412637 섬짱깨 존나 크게 나는거 보고싶으면 개추!ㅋㅋㅋㅋ [15] ㅇㅇ(121.177) 04.27 432 29
412633 방금 찍은 중국 우박 이에5 [10] 5징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468 5
412631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남남동쪽 787㎞ 해역 6.9 지진 [4] ㅇㅇ(211.225) 04.27 753 8
412627 대만 지금 대지진 전조 맞는 거 같지 ?? [6] ㅇㅇ(223.38) 04.27 1014 17
412619 아니 ㄹㅇ 대만 좆되는 거 아니냐 ??? [15] ㅇㅇ(223.38) 04.27 717 5
412618 04:13 대만 화롄현 북북동쪽 27km 지역 M5.0(진도4) [3] 귀염둥이(220.118) 04.27 397 11
412612 지금 중국 대만에 사는 애들은 전부다 [3] 지갤러(223.39) 04.27 410 10
412595 솔직히 일본 침몰 이지랄하는 건 너무 유치한 거 아니냐?? [16] 별명따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479 11
412592 제주도 원희룡 본진이라 죗값받는듯 [16] ㅇㅇ(118.235) 04.26 309 8
한반도 지진의 주기에 대한 분석 - 대주기에 대해 [3] ㅇㅇ(121.133) 04.26 601 17
412571 타츠키 료가 말했자나 [9] 지갤러(118.235) 04.25 536 9
412542 슈퍼문재앙 영롱하노 [19] ㅇㅇ(223.39) 04.24 501 6
412526 통구이 [23] ㅇㅇ(14.47) 04.24 255 19
412524 중국이 지질대 컨트롤해서 대만에 지진내는거임 [5] 지갤러(72.138) 04.24 554 7
412504 대만 지진은 두가지임 [9] ㅇㅇ(1.229) 04.23 1006 10
412492 현재 4월들어서 규모 4이상 지진 300번 넘게 일어났는데 [4] 지갤러(118.235) 04.23 635 6
412448 대만 조만간 8이상짜리 하나 터지겠군 [10] 지갤러(219.248) 04.22 881 16
412427 와 규모 2.6 좆밥 지진도 깊이가 얕으면 흔들리는구나 [5] 지갤러(218.154) 04.22 921 16
412417 이번지진 그때 조심하라했던 라인이랑 겹치네 [5] ㅇㅇ(180.81) 04.22 1069 18
412389 지진아님? [5] 지갤러(113.59) 04.22 646 7
412361 이번 대마도 지진 분석 [7] ㅇㅇ(121.133) 04.20 1284 28
412329 이쪽 라인 조심해라 [25] ㅇㅇ(118.235) 04.20 2040 31
412270 지진난 위치를봐라 호들갑이라니 ㅋㅋㅋ ㅂㅅ [8] (122.47) 04.19 1632 24
412133 서울 강남 한복판에도 지진단층 있음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716 6
412129 8이상 큰지진 와서 한국 멸망 했으면 [6] 지갤러(223.39) 04.19 531 11
412115 서울에 대지진 한 번 오면 좋겠다 [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970 24
412112 최근 일본에서 연달아 발생을 하고 있는 지진 현황 [7] ㅇㅇ(223.62) 04.18 1334 12
412084 태양 체크 해야되는것 맞다 [5] ㅇㅇ(211.225) 04.18 794 11
412082 지진 5도 넘어가면 개무섭긴함 진짜 [16] くお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1349 22
412079 소박사 낼 근들갑 영상 올리겠노 [9] ㅇㅇ(118.235) 04.18 709 22
412068 하ㅋㅋ 큰거한방터져라 [7] ㅇㅇ(117.111) 04.17 611 6
412064 국짐찍들 장악지 대구 경북 울산 부산 경남에 일어나면 되겠구만 [3] ㅇㅇ(121.149) 04.17 265 10
412023 관동대지진은 지진 자체보다 조선인학살 [5] ㅇㅇ(106.101) 04.16 498 12
412011 예언 ㅇㅈㄹ하는 ㅂㅅ들은 ㄹㅇ 뭐임? [9] ㅇㅇ(121.178) 04.15 479 9
412010 <내가 본 미래>의 아직 실현 안 된 예지 3가지 정리 [4] 별명따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097 3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