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대한민국 의과대학 역사>

0000(173.70) 2015.06.20 23:51:41
조회 762 추천 7 댓글 1

<대한민국 의과대학 역사>


http://orbi.kr/0006130821 이글을 내twitter로 보냅니다 이글을 facebook으로 보냅니다
의대계보.jpg

우 리나라 의과대학 계보를 도식화 한 차트. 우리나라 의과대학 역사는 크게 3개 의과대학에서 뻗어나왔다.(여기에 포함 되어있지 않은 의과대학은 어느 한 대학이 주도하지 않고 여러 대학이 혼합되어 시작된 대학이다.) 한양대 의대의 경우 이사장이 의도적으로 서울대 50%, 연세대 50%로 교수를 선발하여 서로 견제하게 만들어서 꽤 성과를 보았고 한때 동양 최고의 병원이라고 불렸었다.

국 립의대는 건국초기 서울의대와 경북의대 출신이 격돌하는 곳이었다. 전남의대의 경우 경성의전 출신과 대구의전 출신이 번갈아가면서주도권을 잡았다. 충남의대는 처음에는 경북의대가 점유하였으나 후에 서울의대로 주도권이 넘어갔다.(현제는 충남대출신이 장악) 연세대는 이렇다할 브랜치가 없었으나 80-90년대 의대가 마구 설립되면서 문어발식 영역확장을 하였다.


0.JPG

I. 해방전

1의대 7의전 체제.

의대 - 경성제국의대

의학전문학교 - 경성의전
                     세브란스의전
                     대구의전
                     평양의전
                     함흥의전
                     광주의전
                     경성여의전


* 1904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개교(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 개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1923년 대구의학전문학교 개교(경북대학교 의과대학)
* 1923년 평양의학전문학교 개교(평양의과대학)
* 1926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개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1938년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개교(고려대학교 의과대학)
* 1944년 광주의학전문학교 개교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 1944년 함흥의학전문학교 개교 (함흥의과대학)
1.jpg

1885년 마이애미 의과대학 출신인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H.N. Allen에 의해 광혜원이 설립, 1904년 세브란스 의학교가 개교하여 1908년 
1회 졸업생 7명이 배출됨.
2.jpg


1923년 제국대학령에 의해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되고 1926년 내과의사인 志賀潔를 필두로한 도쿄제국대 출신들 주도로 의학교육이 시작됨.


1923년 설립된 공립의학교로, 병원장 池上四郞, 부원장 藤繩文順, 주임교수 吉田準一郞 등 교토제국대 출신 교수 16명 주도로 의학교육이 시작됨.
3.jpg

1925년 당시 조선총독부 발행 의사명부에는 조선인의사가 550명이었고
해방당시에는 우리나라 의사가 3000명이었다.


4.jpg
당 시 의학교의 입학경쟁은 치열하였다.  일단 의학교 개수가 너무 적었다. 그리고 입학정원에 일본인과 차별을 두어 각 도에서 손꼽히는 수재가 아니면 조선인으로서 의학교 입학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조선팔도 제일의 수재들이 모인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에서 경성제대 합격권 20여명 전원이 의학부를 지망하는 해도 있었다.

 5.jpg


II. 해방이후
* 1945년 10월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개교
* 1954년 성신대학교 의학부 개교(현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1955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개교

III. 1960~1979
* 1965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 1966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 1968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1968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 1970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 1971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1971년 당시 남한에는 14개의 의과대학이 있었는데, 서울이 8개(연세, 고려, 이화, 서울, 카톨릭, 경희, 한양, 중앙), 지방에는 6개(부

산, 경북, 전남, 조선, 전북, 충남 등) 였다.

70년대말에 지방에 의과대학 신설이 많아졌다.

1977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1978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1979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1979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79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IV. 1980년대 : 12개 의대 신설
* 1981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 1981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 1981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 1982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 1985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 1985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 1986년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 1986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 1987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 1988년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 1988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 1988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V. 1990년대 : 10개 의대 신설
* 1991년 대구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1995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1995년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 1995년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 1997년 가천의과대학교
* 1997년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 1997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1997년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 1997년 포청중문의과대학교
* 1998년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보면 알겠지만 나이든 의사선생님이나 교수님들이 
80~90년대에 신설된 의대를 족보없는 의대라고 까는 이유가 있다.

해방전 의대들은 의료불모지인 국내에 근대의학 전파를 위한 국가적 필요에 의해 설립되었다면
70년도에 설립된 의대는 지역민들의 필요에 의해서 설립된 의대가 대부분이다.
즉, 해방전과 70년도에 설립된 의대는 국가적명문 혹은 지역민들의 수요 충족을 위한 필요에 의해서 설립된 의대들이다.

하지만 80~90년대에 설립된 의대들은 사립대학교 이사장들의 개인적인 사욕으로 만들어진 의대가 대부분이다.
(요즘 까이는 서남의대도 같은 맥락.)

특히 김영삼 시절에는 뒷돈을 받은 김현철의 활약으로 5년간 무려 9개의 의과대학이 설립인가를 받았다.
5_6.JPG

울산의대 ,성균관 의대(개인적으로는 높게 평가하고 있고 잠재력이 큰 대학이라고 생각하지만..) 
역시 두 재벌가의 순수하지 않은 목적으로 설립된 의대이고, 아산, 삼성병원의 위상은 인정하지만
울산의대, 성균관 의대는 의학교육 기관으로서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존재감 없는 곳이란 사실.

미국이나 일본의 예를 보아도 국가의(or 지역민들의) 필요에 의해 설립된 대학과 그렇지 않은 대학은그 존재 의의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지니고 있다.

------------------------------------------------------------------------------------
1의대 7의전 시절 의과대학은 학교가 오래되다 보니 의대 건물이 문화재가 되었다.
세브란스 본관은 안타깝게도 전쟁중에 소실되었고, 고대의대는 처음 경성여의전이 모체라고는 하지만 너무 여러 재단을 거치는 바람에 현재 건물은 소실된 것으로 알고 있다.

지금 남아있는 건물로는 서울의대 대한의원, 경북의대 본관 등이 있음.

<서울의과대학 대한의원>
6.JPG
7.JPG

사적 제248호

대 한의원 본관은 지상 2층, 연면적 1,636.37㎡(495평)으로 세워졌고, 이후 연면적 1,500평 규모의 병동 7동·해부실·의학교 등이 건립되었다. 탁지부(度支部) 건축소에서 설계와 감독을 담당하였으며, 건축소 기사(技師)인 야바시 겐끼찌(失矯賢吉)가 설계를 주관하였다.

본관 건물은 정면과 후면이 각각 완전 대칭으로 건축되었다. 적벽돌과 화강암을 주요 자재로 썼고, 지붕은 동판을 덮었다. 형태는 기념성이 강조되는 고전주의적인 특성을 가진다. 건물 중앙에는 시계탑과 현관 포치가 있다. 현관 포치는 석조 아치형 개구부로 되어 있으며, 자동차가 직접 진입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계탑은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었는데, 하부는 적벽돌 벽면과 코너의 장식기둥으로 단순하게 처리되었으며, 상부는 둥근 지붕(bulbous dome)을 중심으로 화려한 장식으로 처리되었다.

이 건물은 조선은행 본관,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과 함께 1900년대 초 서울의 3대 명물로 손꼽혔다. 또한, 1900년대 초기 한국에서 건립된 양식 건물 중에서 고전주의양식에 충실하며, 정교한 벽돌조 구조와 섬세한 장식수법으로 역사적인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경북의과대학 본관>
8.JPG
9.JPG

사적 제 442호

3 층의 붉은 벽돌 건물로 정면 중앙부에는 4층으로 된 사각탑을 두고 옥상에는 옥탑을 설치하였다. 평면은 산자 모양으로 중복도식이며, 현관 포치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이다. 건물의 외관 구성에 나타난 특징은 정면 중앙부 돌출 유리벽의 곡면처리 및 창 사잇벽과 옥산 파라팻부의 수평돌림띠는 정면성을, 옥상부의 사각탑과 창 사이의 수직벽은 수직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웅장함을 느끼게 된다.

한국 근대 의학교육의 역사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건물로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전체와 세부 구성이 치밀하고 건축사적으로도 매우 수준 높은 건물로서 근대 건축으로서의 건축사적 가치 뿐만 아니라 교육사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세브란스의전 본관>
10.JPG
전쟁중 소실됨.


<평양의전 본관>
11.JPG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20175 단국대 천안 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이유 중복학과 ㅇㅇ(223.33) 15.09.06 199 9
120174 단국대 천안 부실대학 되지 않은 이유 중복학과 없음 [2] ㅇㅇ(223.33) 15.09.06 567 9
120171 한국경제, 분교부실대학 선정이유 특성화와 중복학과 구조조정 [1] ㅇㅇ(223.33) 15.09.06 425 14
120170 부실대학 일등공신, 분교 중복학과 ㅇㅇ(223.33) 15.09.06 223 10
120169 한국경제, 분교 부실대 선정이유 특성화없는 중복학과 많아 ㅇㅇ(223.33) 15.09.06 225 8
120166 본교중복학과 부실대학으로 오해없게 분교중복학과 명칭 바꿔라 ㅇㅇ(223.62) 15.09.05 192 10
120159 보과대 정릉캠퍼스 바이오의료과학센터로 변신 [3] 매직(223.28) 15.09.05 1218 13
120156 본교 부실대학으로 오해받지 않게 분교중복학과명칭 바꿔라 ㅇㅇ(223.62) 15.09.05 202 13
120153 명문 동의대 공대 전경 동의대(211.60) 15.09.04 503 8
120152 고대 세캠 친구들아 걍 고대다닌다고 해도돼!!!! 그게 무슨 사기도아니고 [1] ㅇㅇ(27.119) 15.09.04 1160 20
120147 고대 세종다니면서 나는 고대생 하는게 잘못된거야. 애초에 다른학교라니까? [6] 강간마태영이(14.47) 15.09.04 1484 13
120146 본교가 부실대학으로 오해받지 않게 분교 중복학과 명칭 빨리 바꿔야 ㅇㅇ(223.62) 15.09.03 268 10
120134 본교중복학과 학생 부실대학생으로 오해받지 않게 분교중복학과 명칭바꿔야 ㅇㅇ(223.62) 15.09.02 263 12
120133 본교중복학과 부실대학으로 오해받지 않게 분교중복학과 명칭 반드시 바꿔라 ㅇㅇ(223.62) 15.09.02 234 11
120125 분교중복학과 이름 바꿔야 본교중복학과 부실대학으로 오해받지 않는다 ㅇㅇ(223.62) 15.09.01 269 12
120120 "세종시립대"로 바꿔야 한다 [1] ㅁㅇ(1.221) 15.09.01 1065 15
120113 분교 중복학과 명칭바꿔야 본교 중복학과 부실대학으로 오해받지 않아 [1] ㅇㅇ(223.62) 15.09.01 344 10
120105 세종캠 이제 안암이랑 통폐합될듯 [6] ㅇㅇ(223.62) 15.08.31 1682 8
120076 미래공학관 [10] 허세가득(1.219) 15.08.28 2941 11
120068 진짜 sk관 안짓고 녹지로 보존하면 딱 좋은 자리인데.. [2] (223.28) 15.08.27 1209 9
119926 타대생인데 고대계절교류와서 4.0맞고 가요 [2] ㅇㅇ(58.228) 15.08.13 1371 25
119922 인촌선생 꼬추 [1] 중앙고(221.138) 15.08.13 694 10
119920 해외고 출신이고 고대 경영 수시로 지원할 생각인데 가능하겟냐 [7] 고경(104.236) 15.08.12 733 10
119906 세계 해킹올림픽 한국 우승했는데 팀원 13명중 8명이 고대 사이버국방학과 [1] ㅇㅇ(175.223) 15.08.11 1050 13
119537 고려대 세종새끼들한테 이거 하나만 물어보면 된다니까? [4] 강간마태영이(223.62) 15.08.06 1908 19
119521 개새끼들아 고려대 조치원애들도 엄연히 고대생이다. [3] ㅋㅋ(27.119) 15.08.05 1084 11
119494 고대 편입하고 느낀점 [8] 편충이ㅠㅠ(211.36) 15.08.02 3394 40
119464 고려대 이름만 보고 세종캠 원서쓰려는 고3들에게 충고한다. [7] 피해자(223.62) 15.07.28 1575 10
119457 고려대 본교 분교차별없다 [6] 121(66.249) 15.07.27 1676 26
119452 고려대 갤러리 구성비 : 80% 분교글 20% 좆고딩글 [2] 강간마태영이(223.62) 15.07.26 478 9
119448 제발 분교충들은 고려대 분교라고 꼭 밝혀라 이건 양심의 문제다. 강간마태영이(223.62) 15.07.26 605 19
119438 보건환경융합과학부 어때요? ㅇㅇ(121.159) 15.07.23 2612 12
119436 말련아 02학번이잖아 니 [6] 느금마이말련(218.232) 15.07.23 617 13
119403 인문 - 자연 - 녹지 캠퍼스를 지하로 연결시킬려나보다 [4] ㄹㅇ(223.28) 15.07.18 1545 17
119393 뉴스 떳다. 능력자들 조감도 찾아와라. - 고려대학교 8개 동 신·중축 [5] ㄻㅇㄴㅁㄴㅇㄻㄴㅇ(125.176) 15.07.16 1506 10
119371 세종캠 [3] 빨아줘~(122.32) 15.07.15 910 11
119354 분교 중복학과 특성화, 본교 코스프레 사라진다 [1] ㅇㅇ(223.33) 15.07.12 1236 11
119350 나 고세 다니는데 울과에서 대기업40프로 가는데 [3] 대동양(121.171) 15.07.11 1247 8
119322 항공사진으로 보니 건물이 많아져서인지 캠퍼스가 꽉찬 느낌 [4] (223.28) 15.07.07 1463 7
119307 아니 SK관이 그렇게 기형적으로 보이나..그정도는 아닌거 같은데 [16] (223.28) 15.07.03 2199 12
119306 문과 고려대 세종캠 ㅍㅌㅊ냐 [15] ㅇㅇ(211.36) 15.07.03 1730 10
119291 중복학과 본교생에게 중복학과 분교생이냐는 논란을 없애야 [3] ㅇㅇ(223.33) 15.06.30 659 5
119262 기계공학과 취업률 90% 건축, 산업경영 100% 리얼?? [4] ㅇㅇ(223.28) 15.06.27 1238 13
119252 수도권 TROIKA ㅡ 인하 vs 에리카 vs 성균 [1] ㄷㄷ(211.36) 15.06.26 581 10
119248 오늘, 모교에 인재(人災)가 있었습니다. [3] ㅇㅇ(163.152) 15.06.26 944 8
119237 2015년 최종입결에 근거한 주요대학 문과서열 [5] ㅇㅇ(1.232) 15.06.25 1601 14
119212 고려대 세종캠 [5] 맛나고짭짤한(223.62) 15.06.23 1239 6
119199 고대 아재님들 세종 학생증으로 안암도서 대출 가능해욤? [5] 매달린영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21 1150 8
<대한민국 의과대학 역사> [1] 0000(173.70) 15.06.20 762 7
119187 차기 임기중에 산학관(공학관)과 경영관을 신축예상하기 때문에 [3] (223.28) 15.06.20 1140 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