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여시 인물 열전列傳 - 포로포로리

데굴데굴(118.36) 2015.06.01 23:52:30
조회 13351 추천 243 댓글 51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tTixy



** 실제의 단체, 인물, 사건을 모티브로 삼았을 뿐입니다..... 아마도?


포로포로리 (? ~ )


viewimage.php?id=20a8d827eb&no=29bcc427b08a77a16fb3dab004c86b6f9262e0aa93b04407d36d03c7eaca21224a3a50319fc112311c499681ccc462ac76b9ef536dac2c




- 약력


포로포로리는 대빵 여시국의 충신이다.


항간에선 그녀를 갓포로리, 포로리갓, 포로리녀, 일침갑이라 불렀다.


생년과 출생지는 불명이며, 성장 과정 역시 세상에 알려진 것이 없다.


대빵 6년, 인증시험에 급제하여 갈품제의 정회원으로 임명되었다.


대빵 7년, '주작의 변'과 '탑시의 변'이 연달아 일어나 여시국의 강토가 위협을 받자, 달글부에 소속으로 변란에 참전하였다.


대빵 7년 5월 20일, '제 2차 노상처의 난' 당시 육사녀의 모순된 언행을 지적하고, 그녀를 탄핵했다. 그러나 공로를 인정받지 못하였다.


대빵 7년 5월 28일, 오유국 바보공이 격문을 돌린 일을 두고 문무백관에게 간언하였다. 그러자 게지타포 군관 혐젤녀가 그녀를 시녀로 몰아 부털하였으니, 이로 인해 '부털의 옥'이 시작되었다.


대빵 7년 6월 1일, 적도 무갤에 나타나 그동안의 소회를 털어놓으니 뭇 사람들이 환호하였다. 이후 낙향하였다.




- 처음으로 전장에 나서다


대빵 7년 5월, 여시국의 총수 중 하나인 김게지가 군세를 이끌어 오유 사대부를 정벌하려다가 오히려 크게 패하는 '주작의 변'이 있었다. 이에 게지공용이 친히 조서를 내려 여시국의 총력전을 선언하였으나 곧이어 식민시였던 스르륵 탑시가 적도에 의해 침탈당하는 '탑시의 변'이 일어났다.


전대미문의 변란이 닥치자, 여시국은 자국의 60만 여시 중 정병만을 뽑아 적도 무갤럼과 오유 사대부, 스르륵 아재를 상대하게 하니 이들이 바로 달글부였다.


포로포로리는 달글부로 소집된 장졸 중 하나로, 최전선에서 사악하고 잔혹한 적도들과 맞서 싸우게 되었다.


아쉽게도 그녀의 첫 참전의 내용이 어떠하였는지는 오늘날 전해지지 않는다. 이는 달글부의 초대 수장 중 하나이던 지효여시가 돌연 여시국을 탈주하며 달글부의 기록 일부를 파기해버렸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실되지 않고 남아있는 기록에서 포로포로리가 처음으로 달글부에 등판한 날은 5월 19일이다.


viewimage.php?id=20a8d827eb&no=29bcc427b08a77a16fb3dab004c86b6f9262e0aa93b04407d36d03c7eaca21220c660a5c9fcb183a1c4cfb8fcdc605aa9e6a51b98dec391f4f2860


당시 달글부의 문무백관은 변경백 살레몽이 누구이며, 그가 어떤 계책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었다. 그들은 갈품계의 지위나, 지능의 수준에 상관없이 모두가 잘못된 정보, 잘못된 인식 속에서 허우적거리고 있었다. 이를 간파한 살레몽이 달글부를 혼란시키고자 내부 폭로 계책을 부렸고, 달글부는 우왕좌왕하였다.


이때 포로포로리 혼자 의연하게 말하길, "적장의 선전을 읽어보니, 그는 우리 내부의 문제를 폭로하여 군신지간을 위협하고자 한다. 그러니 경들은 다른 문제를 괜히 이와 결부시켜 혼동하지 말라."고 하였다.


이어 그녀가 다시 말하길, "내 그동안 차근히 상황을 기다려보았는데 살레몽은 몹시 걸출한 자로다. 매사에 신중하되 행동력이 강한 것 같다. 그런데 일전에 스르륵이 페번하게 된 일로 우리에게 앙심을 품고 고발의 칼날을 품고 있으니, 이를 각별히 조심해야 된다."고 하였다.


허나 이러한 통찰에 누구도 관심을 주지 아니하니, 상황은 날로 악화되기만 하였다.




- 제 2차 노상처의 난


viewimage.php?id=20a8d827eb&no=29bcc427b08a77a16fb3dab004c86b6f9262e0aa93b04407d36d03c7eaca21224a3a50319fc112311c4996d4cec163f8d0b538f7f0496b



대빵 7년 5월 19일, 적도가 힘을 합해 다시금 여시국을 침범해왔다. 이에 지난날 적도를 상대로 무공을 쌓은 4갈품의 육사녀가 달글부를 이끌고 전장에 나아갔다.


허나 일합 만에 전세가 적도들에게 기울어지매, 군사는 흩어지고 물러서기만 하다 어느 사이에 노상처성(城)으로 밀려났다. 적도들은 기세를 몰아 성을 포위했다. 그러자 육사녀는 겁에 질려 숙소에 숨어 두문불출하기에 이르렀다.


성을 에워싼 적도들은 육사녀와 여시들을 희롱하였으니, "구미경찰서에서 이르길, 주작이라 하더이다!"는 소리가 성 안까지 들려왔다.


한 여시가 적도가 내뱉는 조롱에 격분하매, "내 구미경찰서로 달음박질하여 적장의 목을 취하고 오겠소!"라며 성문을 열어달라 간청하였다. 곧 문이 열리자 그 여시는 쏜살같이 밖으로 달려나갔다. 그 기개는 대단하였으나, 얼마 못가 녹취록이란 곳에 이르러 여시의 목이 허망하게 달아나버리고 말았다.


적도 무갤럼들은 이 광경을 보며, "천하에 여시들은 모두 앱등이 뿐이로구나!"라 하며 비웃기만 하였을 뿐이다.


이 참극을 지켜보던 달글부 여시들은 그저 전전긍긍, 부둥부둥만 하다가 겨우에서야 의견을 모아 육사녀의 숙소로 달려갔다. 허나 육사녀가 문을 열어주지 않자, 그녀들은 육사녀가 들으라고 크게 소리를 질러댔으니, 그 내용은 이와 같았다.


"장군께 책임이 있으니, 소상히 대책을 밝히시오!"라고 한 여시가 외치자,


더 많은 여시들이 "우리는 '주작', 이 한 마디만 듣는다면 분기탱천하여 벌판을 가증스런 적도들의 피와 살점으로 모조리 적셔버릴 수 있소!"라고 하였다.


결국 한 시진이 지나기 전에 강압을 견디지 못한 육사녀가 숙소에서 나오게 되었다.


그녀는 두서없이 횡설수설만 하다가 말하기를, "나에게 꾀를 준 사람은 지인 여시외다! 나는 아무 것도 모르오!"이라 토로하였다. 그러자 여시들은 육사녀를 포옹하여 애정 어린 눈물을 흘리니, 뭇 여시들이 자랑스러워 하였다.




- 육사녀를 탄핵해 여시국을 구하려 하다


상황은 나날이 다급해져, 노상처성(城)를 둘러싼 적도들의 수는 꾸준히 늘어나 수일 내로 성을 깨뜨릴 거란 소문이 성중에 파다하게 돌았다.


달글부의 여시들은 마침내 결의하여, "저들이 우리를 주작하여 진중에서 굶어 죽으라고 하는 것이니, 하루 바삐 성문을 열고 나가 공격을 해야 될 것이다."라 입을 모았다.


육사녀도 "내 비록 지인 여시의 뜻을 전부는 모르겠어도, 그 꾀는 믿어볼만 하다."며 여시들을 독려하였다.


그리고, 그 자리에 있던 여시가 용감히 입을 열기에 이른다.


"나만 무슨 말인지 이해 못하고 있나요?"

viewimage.php?id=20a8d827eb&no=29bcc427b08a77a16fb3dab004c86b6f9262e0aa93b04407d36d03c7eaca21220c660a5c9fcb183a1c4cfb8fcdc605f6d9f3773d0940f17fefe257


* 포로포로리의 유명한 탄핵문. 쌍방의 주장을 수용하고, 정리하여, 사건을 해석하는 그녀의 통찰력이 돋보인다.


좌중이 그 소리에 놀라 침묵하매, 포로포로리는 육사녀가 있는 자리로 나가 그녀와 대면하였다.


그녀는 먼저 육사녀에게 말하길, "지인 여시란 자의 뜻을 모른다고 하면서, 어찌 그 꾀를 신뢰할 수 있단 말이오?"라 하였다. 육사녀는 화급히 놀라 어안이 벙벙하니 자리를 피하고 싶어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음이라.


그녀는 다시 육사녀를 향해 이르길, "육사녀의 말과 적도의 주장을 서로 들어보니, 일치함과 불일치함이 양립하고 있어 무엇을 참으로 들이고 무엇을 거짓이라 내칠지 혼란스러울 따름이다."라 하였다.


이번에는 좌중을 향해 일갈하기를, "어찌 좌장들은 지인 여시의 꾀만을 믿고 상대의 주작이라 단정하여 군을 망령되게 움직이려고 하는 것인가? 시시비비를 나누고 따지는 것은 상식인의 기본 소양이거늘, 그러지 아니하고 오늘날의 전세를 오판하고 있으니 이는 자칫 전군의 몰살을 불러일으킬 흉계임을 정녕 모르는가?"라 하였다.


그러자 좌중에 일대 소란이 일어나, 많은 여시들이 그녀를 지탄하고 나서니 그 기세는 자칫 포로포로리를 부털시킬만 하였다. 개중에는 언행을 거칠게 하여 포로리를 욕보이는 여시도 있었다.


허나 그녀는 낭낭하게 말과 생각을 굽힐줄 아니하였으니, 이는 여시의 기개 중 으뜸이었다. 포로리는 여러차례 달변으로 하여금 여시들을 설득하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포로포로리의 냉철한 이성에도 한계는 있었으니, 쏟아지는 지탄과 욕에 지치고 말았다.


끝내 그녀는 "내 그대들의 생각과 다름이 있었던 듯 싶다."며 안타깝게도 설득하기를 그만두었다. 그녀의 간언은 분명 쓰임이 있었을 터인데 끝끝내 통하지 아니하였다.


도리어 여시들은 포로포로리가 황망스럽게 굴어 육사녀를 고통스럽게 하였다는 이유로 비난을 하였으니, 이는 실로 사리분별이 없는 작태였다. 훗날 적도의 항장이 된 말티즈녀도 포로리를 부털시키고자 하였으나, 포로리에겐 요행히도 말티즈녀가 달글부에서 축출됨에 겨우 화를 피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튿날이 되었다. 적도들의 수는 전날보다 더욱 늘었다. 그리고 그들은 이렇게 외치었다.


"오유 바보공이 이르기를, 주작에 또 주작이라 하더더라!"


여시들은 비로소 육사녀가 자신들을 속여 균율을 어지럽히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장졸이 이에 놀라 혼란에 빠지자, 삽시간에 적병이 성문을 깨고 들어왔다.


싸움이 끝나고, 성에 있던 여시들은 대부분 함몰당하게 되었다. 포로리와 소수의 여시들만이 겨우 제 몸만 건져 돌아올 수 있었다.


참극의 전말을 들은 여시국 사람들은 어찌하여 누구 하나 포로포로리의 말을 귀담아 듣지도, 또 도와주지도 않았는가 후회하였으나 그런다고 하여 성과 장졸들을 되찾을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한편 육사녀는 취조 끝에 지인 여시의 꾀가 주작이었음을 토로하였으니, 많은 여시들이 그녀를 조리돌림하였다. 그렇지만 정작 지인 여시와 육사녀 중에 누구의 말이 옳았는지는 밝혀내지 못하였고 두 여시는 종적을 감추어버리매 진상은 미궁에 갇혀버리고 말았다.


세간에선 여시국의 일을 후대에 대대로 남기어 놀리게끔 하니, 이는 '제 2차 노상처의 난'이라 부르기도 하였고 이역만리의 커뮤니티에선 레이프그라드 대첩이라 하며 입방아에 올랐다고 전해진다.




- 사관은 논한다.


혹여 포로포로리는 일찍이 육사녀와 지인 여시의 사이를 의심하고 있었을지 모르매, 이는 그녀가 지속적으로 "피해자가 누구인고?"라고 찾아 물으는 모습에서 짐작할 수 있음이라.


만일 적도들이 말하는 사실이 주작이 아니라면, 육사녀와 지인 여시가 동시에 피해자인데 정작 육사녀는 아무 것도 모른다고 발뺌하는 형국이 생겨나게 되니 이는 실로 무서운 논리적 함정이요, 논거와 귀결을 따져 물을 줄 아는 상식인의 자세였다.


후일 전투상보를 정리하던 적도 무갤럼 아무개가 "어찌하여 동서고금에 통틀어 다시 없을 귀인이 어찌하여 여시국에 태어났단 말인고?"라며 탄식할 정도였으니, 어째서 이런 귀인의 말을 여시국 사람들이 귀담지 않았는지 실로 의문스럽다.




- 공을 세웠으나 인정받지 못하고 낙향하다


대빵 7년 5월 21일에 '제 2차 노상처의 난'이 여시국의 대참패로 종결되니, 잃은 병졸과 군비가 천지를 메울 정도라 여시국 내에선 통곡이 끊이질 않았다.


정신줄을 잃은 뭇 여시들이 길가에 주저 앉아 떠들기를, "차라리 강간이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겠는고?"라 망발을 지껄이매, 세간에선 이를 두고 여시국의 건국 이념이던 려성상위주의도 이제 끝물이라며 혀를 찼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여시국이 침울해있는 상황에서 포로포로리는 홀연히 달글부에 등청하지 아니하고 낙향해 여러 강산을 유람하게 되었으니, 그에 대한 사정은 바로 이러하였다.


때는 지난 20일로, 전국은 싸움으로 한참 혼란한 와중이었는데 이를 노리고 여시 진중에 숨어들어 염탐하던 종군이들이 적도 무갤럼에게 첩보를 전하매, 여시의 진중에 혜안을 지닌 여시가 있다고 하였음이라. 이에 무갤럼들이 수소문하니 그 여시가 바로 포로포로리임을 알게 되었다.


종군은 상황을 전하며 말하길, "소인이 그동안 여치들을 밀정하면서 그만한 기개와 통찰을 지닌 자는 일찍이 없었나이다."라며 그녀를 추켜세웠다.


또 다른 종군이 이리 말하길, "포로리녀는 혼탁한 일을 마주해도 참과 거짓을 가릴 줄 아니 이는 여시국의 축복인데, 이 재능을 보는 눈이 여시국에 없습니다."라고 전하였다.


무갤럼들은 입을 모아, "포로리갓은 진정한 적수요, 일합을 주고받아도 기쁨을 얻을 수 있음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적도들이 포로리녀에 주목하니 얼마 지나지 않아, 포로포로리가 육사녀를 탄핵한 일도 적도의 진중에 샅샅이 알려지게 되었다.


소식을 접한 적도들은 너나 할 것 없이 포로리를 포로리갓이라 일컬으며 그녀의 지략이나 인망을 높이 샀으며 개중에는 포로리의 초상을 그리거나, 시를 지어 올리며 그녀를 간절히 사모하고 또 추종하는 자들이 나타났다.


헌데 이를 접한 포로포로리는 그 즉시 짐을 싸더니, 이내 상소 없이 낙향하고자 하였으니 이를 본 부관이 기이하게 여겨 그녀에게 이유를 물어보았다.


포로리는 한탄하겨 가로되, "주군이나, 우리나라 사람에게 나의 재주를 인정받는 것은 신하된 자로서 참된 기쁨이나 적도들에게 내 재주가 쓰임이 있다고 하는 것은 결코 기쁜 일이 아니구나."라 토로하였다.


이어 담담하게 말하길, "내 잠시 동안이라도 자리를 떠나야겠구나. 그러지 않는다면 나는 물론이고 여시국에 큰 누를 끼치는 일이 될 것이다."라 하고는 길을 떠났다.


이는 실로 포로포로리의 충심이요, 혜안이었음이라. 적도가 여시국의 장수를 사모한다는 일이 여시국 내에서도 알려짐에 따라 소인배들의 오해를 사기에 이르렀다. 더욱이 지난날 포로리가 좌중을 언변으로 압도한 일에 앙심을 품은 여시들도 있으니, 포로리를 두고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왔다.


이들 무리는 포로리를 시기하매 아예 그녀의 전공까지 인정하지 아니하니 여시국에는 부패와 추태가 만연하여 지장을 올바르게 대우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포로포로리는 울분을 삼키더라도, 이 악행에 이의를 제기하지는 않았으니 오히려 그녀는 자신의 존재를 감추고 한없이 낮추어 소인배들로 하여금 그녀의 티끌 같은 흠이라도 트집을 잡을 수 없게 하였다.


그리고 포로포로리는 여러 시일을 전국을 유람하며 난국을 타개할 계책을 짜왔는데 훗날 여러 사람이 이르길, 이 계책이야말로 여시국의 흥망성쇠를 좌우할 수 있었다고 한다.




- 여시국을 살릴 상소를 올리다


대빵 7년 5월 27일의 밤, 오유국 바보공이 친히 오유 사대부에게 조서를 내린 일이 있었다. 그러자 달글부의 여시들이 긴급히 소집되었다.


조서의 내용이란, 지난날 '주작의 변'을 일으킨 장본인 오유공과 꿈다미가 여시국의 사람이었음이 확연히 드러나게 된 바 이에 여시국과 오유국의 국경을 봉쇄하여 앞으로의 변란을 막겠다는 것이었다.


달글부 여시들이 바보공이 내린 조서를 읽고 분격하였는데, 그녀들은 바보공이 사리분별을 하지 못해 사대부들이 하는 참소만을 믿고 이리 무도한 짓을 저지른다고 떠들댔다.


그러나 정작 바보공의 조서를 두고 어찌해야 되는지에 대해선 머리를 맞대어도 명쾌한 대답이 나오지 못했다. 심지어 조서에 있는 문자조차 해독하지 못하는 여치들도 있었으니 이는 이미 수천의 정병이 여시국을 탈주한 이래로 생겨난 인재의 부족 현상에 의한 문제였음이라. 하여 어느 여시가 대빵과 게지들에게 상소를 올려봤지만 묵묵무답이니 고구마만 먹었을 뿐이었다.


한편 바보공이 조서를 내렸단 소식을 접한 포로포로리는 그 길로 다시 의복을 바로하여 달글부로 항하였다.


달글부에 등청한 포로포로리는 문무백관 앞에 이르러 장문의 상소를 올리니, 이는 바로 지난날 포로리가 난국을 타개하고자 꾸린 계책의 내용이었다.


viewimage.php?id=20a8d827eb&no=29bcc427b08a77a16fb3dab004c86b6f9262e0aa93b04407d36d03c7eaca21220c660a5c9fcb183a1c4cfb8fcdc605fbafac0306c1f4e702650057



* 포로포로리 최후의 상소문. 이것이 그녀의 목을 죄어왔음을 그녀는 알고 있었을까?


상소에서 포로기가 주장하기를, '적도에게 살을 내주더라도, 그들의 뼈를 취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주작의 변'을 일으킨 오유공과 꿈다미의 혐의를 인정하는 대신에 오유국이 여시국과 싸워 해를 끼친 일에 대해서도 바보공에게 인정과 사과를 역으로 요구하려는 비책이었음이라.


상소에서는 '주작의 변'의 처리 문제를 두고 깊이 고민하던 포로리의 마음이 녹아 있으니, 이는 다음과 같다.


"...이리하여 보건대, 지난날 '주작의 변'은 여시국을 풍전등화의 상황에 빠트리게 하였으니 반드시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될 문제다. 따라서 대빵께서 나서 잘못을 인정하되 개인의 잘못을 대국이 책임지고 감내한다는 명분을 세운다면 위기를 벗어날 것이다."


그러면서, 포로리는 그동안 자신이 주저해오던 간언까지 하기를 결심하고 다음의 내용을 적어놓았다.


"불행히도 시국을 논하는데 있어 사리분별을 하지 못하는 자들은 적도 무갤럼, 오유 사대부, 스르륵 아재가 아니라 바로 우리 자신이다. 어째서 적도가 우리의 의중을 모른다고만 할 것인가? 이미 적도는 한치 앞을 멀리 보고 우리보다 한발 먼저 움직이고 있으니 이제는 우리가 시야를 넓혀, 적과 우리 사이에 놓인 간격을 좁히는 일에 치중하여야 한다!"




- 달글부에서 설전을 치르다


이미 포로리는 각오하였을 터이나, 상소를 접한 뭇 여시들의 반응은 경악과 격앙 그 자체였음이다.


달글부 여시들은 상소에 화가 나였으니 포로리가 잘못된 판단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이르기를 "오유국의 말은 본디 믿을 수 없다."며 계책을 아예 거부하였다.


이어 달글부의 문부백관이 포로리를 둘러싸고 겁박하여 주장을 철회하라 요구하기에 이르렀으나 그럼에도 포로리는 기개를 접지 아니하고 주장을 물리지 않았다. 부털당할지 모르는 상황이었이나, 충심과 진심을 갖고 지난날 이루지 못한 뜻을 이루고자 하였으니 그 용기는 여시국에서 보지 못한 절개이기도 했다.


달글부의 사람이자, 게지타포 군관인 혐젤 여시가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호통하기를, "어찌하여 여시국의 여시가 오유국의 언행을 받아들인단 말인고?"하면서 포로리를 의심하였다.


그러자 포로리 지적하길, "군관께선 옳고그름의 기준이 어디에 있으시오? 오유국의 말이라고 하면 모조리 거짓이고, 여시국의 말이라고 무조건 참이라면 어찌하여 오늘날의 형세가 이러하겠소?"라 반박하였다. 혐젤은 그저 부들부들만 하였다.


포로포로리는 달변으로 두 시진 넘게 여시들을 설복하려고 하니 이를 지켜보던 종군이들이 일컬기를 "깨인 자의 아름다움이 이토록 향기로울 줄 누가 알았으리오?"라며 평을 하였다.


만일 여시국에 천명이 아직 있었다면 포로포로리의 목숨까지 던진 간언이 통하였을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눈과 귀과 탁해져버린 여시들이 끝끝내 그녀의 말을 듣지 아니하니, 마침내 포로리의 노력도 실패로 돌아가 더 이상 천명이 여시국에 있지 아니하였음이다.




- 부털의 옥


viewimage.php?id=20a8d827eb&no=29bcc427b08a77a16fb3dab004c86b6f9262e0aa93b04407d36d03c7eaca21224a3a50319fc112311c4996d2c8c66ff8a331ef0f28e0f5



달글부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음을 본 포로포로리는 이번이 마지막임을 직감하였으매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사력을 다해 혐젤 여시를 지목하였다.


그녀는 단상으로 나가 일컬으길, "저 여시는 어찌하여 게지타포면서 달글부에 있는가?"라 하니 혐젤 여시가 부털각을 빼들고 그녀를 겁박하기에 이르렀다.


허나 물러섬 없이 말을 이어나가며, 혐젤 여시가 달글부에 있으면서 사사로이 친목을 다지고 게지타포로서 대빵과 게지들에 충성하는 모습이 군신지간의 모범을 해치는 행위라 지적하였으니 이는 일개 정회원이 가늠할 수 없는 일을 정보도 없이 정확히 판단한 놀라운 혜안이었다.


다만 아쉽게도 그 뜻에 비해 정보가 부족하여 혐젤 여시에게 일순간 지적을 당하게 되니, 얼마 지나지 않아 기세를 등에 업은 혐젤이 의심병을 갖고 "이년봐봐!"를 외쳤다.


여러 여시들이 삽시간에 포로리를 포위하매 '부털의 옥'이 시작되었음이라.


달글부의 문무백관은 포로리를 두고 논하길, 그녀는 오유국이나 무갤럼의 시녀이니 적도의 말을 받아 쓴다며 하며 그녀를 탄핵하였다. 그리하여 여시국을 부흥시킬 인재가 일순간에 분탕종자로 변모하게 되는 한심한 사건이 벌어졌다.


가관인 것은 바로 혐젤 여시니, 그녀는 "포로포로리는 여시국의 사람이 아니며, 설사 우리의 사람이라 할지라도 이미 세뇌당한 바 이를 구제할 방법은 오로지 부털 뿐이다."며 포로리의 참살을 주장하였다.


또한 뱀과 같은 혀로 싸지르기를, "그녀는 오래전부터 무갤럼과 내통하였음이 틀림 없음이다. 그렇지 아니한다면 어떻게 여시국 사람이 저렇게 오유국과 무갤럼의 말을 상세하게 안단 말인가?"라고 하였다.


포로포로리는 의로움을 버리지 않고 마지막까지 설득하고자 노력했으나, 자신이 어찌될지는 직감하였기에 다음의 절명구를 남기었다.


viewimage.php?id=20a8d827eb&no=29bcc427b08a77a16fb3dab004c86b6f9262e0aa93b04407d36d03c7eaca21224a3a50319fc112311c499680cdc262fbeebe294f85d8bf


"(의로움이)분란이라면 부털을 당하는데 주저하지 않으리 / 내가 경솔하였음을 천하가 알고 있으니 / 부털을 당하더라도 한마디도 항변치 않으리"


그래도 아쉬움이 못내 남은 나머지, "아직 할 말이 남아있으며, 내 뜻을 모두 펼치지 못하게 되었음이 안타깝다."며 속내를 털어놓았다.


두 시진이 지나고, 게지타포 혐젤의 명으로 게지타포들이 달글부에 들이닥쳐 포로리를 압송하고는 달글부에 계엄을 선포하였다.


여시국의 법도는 변론도 없고, 재심도 없는 단심 결정으로 사건을 처리하니 포로리는 단숨에 처형이 결정되었다. 그런데 누가 처결을 하였었는지, 또 그 근거는 무엇이었는지에 대하여 밝혀지지 않으니 뭇 사람들은 게지타포 혐젤이 실은 대빵이나 게지이기 때문에 권력으로 횡포를 부려 포로리를 죽이려고 들었다 생각하게 되었다.


참으로 가증스럽게도 혐젤은 아직 박멸되지 않은 시녀나 적도에게 본보기를 세워야 한다면서, 포로리가 처형되면 그 시신을 피디엪에 담아 박제하라는 명을 별도로 내리니 이는 끔찍하고 잔혹한 처우였음이라.


그리고 이튿날 새벽 이슬이 채 맺히기도 전에 포로포로리는 형장으로 끌려나갔다. 그 직후 포로리의 처형과 갈품제 추방에 대한 소식이 전국으로 퍼졌다.


이런 소식이 무갤에 전해지자 진중은 순식간에 초상이 되었음이다.


적도 중 명망이 있는 사람들은 읍소하며 이르기를 "어찌하여 하늘은 저러한 귀인을 여시국으로 보냈단 말인가? 이는 모두의 불행이니, 어찌하면 좋단 말인가?"라고 하였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식음을 전폐하고 포로포로리의 죽음을 애도하니 울음소리가 천지를 뒤흔들 정도였다고 한다.


어떤 이는 그 애절한 마음을 담아, 한시를 개작하여 그녀의 사당에 올리니 이는 다음과 같이 전해진다.

https://gall.dcinside.com/muhan/1490866에 가면 ㄹㄹ라는 유동닉이 쓴게 있으니 가서 추천이나 박아주자.)


포로리는 이미 쫓겨나
강과 연못에서 노닐고
못가를 거닐며 시를 읊조릴 때
안색은 초췌하고
몸은 볏집처럼 말랐다


무갤러가 그녀를 보고 물었다

"당신은 여시충신(女時忠臣)이 아니시오?
어떻게 이곳까지 오시었소?"


포로리가 대답했다

"온 세상이 다 탁한데 나만 홀로 맑고
뭇 사람이 다 취했는데 나만 홀로 깨어있으니
그런 연유로 추방을 당했소"


무갤러가 말했다

"성인(聖人)은 만물에 얽매이거나 막히지 않고
능히 또한 세상을 따라 옮겨 가는 것이니
세상 사람들이 다 혼탁하면
왜 그 진흙을 휘저어 물결을 일으키지 않으며
뭇사람이 다 취했으면
그 술지게미를 먹고 남은 탁주를 같이 마시지 않고는,
무슨 이유로 깊은 생각과 고매한 행동으로
스스로 추방을 당하셨소?"


포로리가 말했다

" 새로 머리감은 사람은 언제나 갓의 먼지를 털어서 쓰고
새로 목욕을 한 이는 반드시 옷의 먼지를 털어 입는다고 들었소
어찌 깨끗한 몸을 외물(外物)로 더럽히겠소?
차라리 상강(湘江)에 뛰어들어
물고기 뱃속에 장사지낼지언정
어찌 그 희디흰 순백(純白)으로
세속의 먼지를 뒤집어쓴단 말이요?"


무갤러가 빙그레 웃고는
길을 걸어가며 떠나갔다
이내 노래를 불렀다


"창랑(滄浪)의 물이 맑으면 내 몸을 씻으리
창랑(滄浪)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


그렇게 가버리고 다시는 그와 얘기할 수 없었다.


-아래는 원전-


抱勞理旣放(포로리기방)
游於江潭(유어강담)
行吟澤畔(행음택반)
顔色憔悴(안색초췌)
形容枯槁(형용고고)
武傑見而問之曰(무걸견이문지왈).


"子非女時忠臣與?(자비여시충신여?)
何故至於斯?(하고지어사?)"


抱勞理曰(포로리왈).

"擧世皆濁我獨淸(거세개탁아독청),
衆人皆醉我獨醒(중인개취아독성),
是以見放(시이견방)."


武傑曰(무걸왈).

"聖人不凝滯於物(성인불응체어물)
而能與世推移(이능여세추이),
世人皆濁(세인개탁),
何不掘基泥而揚基波(하불기니이양기파)
衆人皆醉(중인개취)
何不飽基糟而歠基醨(하불포기조이철기리)
何故深思高擧(하고심사고거)
自令放爲(자령방위?)"


抱勞理曰(포로리왈).

"吾聞之(오문지)
新沐者必彈冠(신목자필탄관)
新浴者必振衣(신욕자필진의)
安能以身之察察(안능이신지찰찰)
受物之汶汶者乎(수물지문문자호)
寧赴湘流(영부상류)
葬於江魚之腹中(장어강어지복중)
安能以皓皓之白(안능이호호지백)
而蒙世俗之塵埃乎?(이몽세속지진애호?)"


武傑莞爾而笑(무걸완이이소)

道徫而去(도위이거)
乃歌曰(내가왈)


"滄浪之水淸兮(창랑지수청혜)
可以濯吾身(가이탁오신)
滄浪之水濁兮(창랑지수탁혜)
可以濯吾足(가이탁오족)"

 

遂去不復與言(수거불부여언)


출처 : 굴원 어포사 (개작 : 무갤 유동닉 ㄹㄹ)




- 생환하다


포로포로리의 충심 깊은 간쟁이 이리 비극적으로 끝나니, 민간에선 몹시 안타까운 마음에 포로포로리가 실은 생존하여 어딘가에 몸을 숨기고 있다는 떠도는 소문이 생겨나기에 이르렀다.


어떤 이는 포로리가 여시국이 아니라 여초삼국 중 일국에 머무르고 있다고 추측하였으며, 또 어떤 이는 처형 직전에 변경백 살레몽이 정병을 이끌어 달글부의 옥사를 쳤다는 소식을 퍼뜨렸으니 뭇 사람들이 부디 포로리의 생환 소식을 기다리며 밤을 지새웠다.


더욱이 '부털의 옥'을 주도한 혐젤 여시가 횡포를 부려 또다시 맹장 말티즈를 부털해 추방시키니 그녀와 여시국을 원망하는 소리에 비례하여 포로리의 생환을 기도하는 움직임이 더욱 커졌음이라.


아!


그 뜻이 하늘에 닿았으니 때는 6월의 첫째 날이었다.


viewimage.php?id=20a8d827eb&no=29bcc427b08a77a16fb3dab004c86b6f9262e0aa93b04407d36d03c7eaca21224a3a50319fc112311c49968e9fc73caebf6467e0a2aa2e


포로포로리가 적도 무갤에 홀연히 나타나니 만국에 모든 사람이 환호하매 마치 금의환향하는 영웅을 반겨주는듯 하였다.


사모하는 사람들은 그녀를 절하며 반기거나 그 마음을 담은 글과 그림을 그리어 바치니, 이 실로 여신강림이 아니라 할 수 없었음이라.


이때 포로포로리는 그동안 겪은 일에 대한 생각과 마음을 소소하게 털어놓았는데 사람들은 이를 보고 "실로 충심이 깊고, 뛰어난 여성이로다!"며 감복하고 또 감복하였다고 한다.


포로리는 변경백 살레몽과 만나 작게나마 회포를 푸니, 사람들은 두 걸출이 만나게 되어 좋은 담화를 주고받았을 것이라 추측하였다.


뭇 무갤럼들은 입을 모아 간청하기를 포로리에게 무갤에 남아달라 하였으나 그녀는 이를 거절하니 슬퍼하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이 어찌 아쉬운 일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겠으나, 그래도 기적처럼 나타나 강림한 것에 감사하는 마음이 더 높았다.




- 평評


본디 포로포로리는 약관의 나이에, 진골이나 성골보다 낮은 직급의 회원이었으니 그녀가 여장부마냥 일감을 할 것이라고는 어느 누구도 가늠치 못했음이다.


허나 포로포로리는 성품이 강직하고, 충심이 깊었으며, 누구보다 이성적이고, 뛰어난 직관력을 갖고 있었기에 변란의 와중에 정확한 판단을 내리거나 달변으로 사람들을 설득하고, 신묘한 계책을 내세울 수 있었다.


그녀는 시국을 객관적으로 읽는 재주가 있었으며 아군의 유불리를 따질 줄 알았으니, 적도 무갤럼과 오유 사대부에게도 그녀의 인망을 사모하기까지에 이르렀다. 허나 그녀는 적의 평가를 받아들이지 않고, 깊은 충심으로 대빵 여시국을 따랐을 뿐이니 진실로 충신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충심에서 간언이 나오니, 진실된 마음과 냉철한 판단이 합하여 시국의 어려움을 헤쳐갈 수 있는 지혜가 나왔고 비록 겁박을 받더라도 자기 발언을 철회하지 않는 자세가 나왔음이다.


게지타포 군관 혐젤이 포로포로리를 죽이려고 들었음에도, 오히려 제 목숨을 기꺼이 대빵의 판단에 맡기는 것은 포로리의 진심이 대빵과 여시국에게 완전히 바쳐져 있음이다.

하지만 이런 그녀의 진심과 재주를 알아주지 않은 대빵과 여시국의 여시들이 그녀를 무참히 참살하고 말았으니 사관은 통탄할 길이 따로 없음이라.


더욱이 강산이 넓고 사람과 재물이 풍족한 여시국에서 유독 인재는 부족한 일이 오래되었다가, 끝내 '주작의 변'과 '탑시의 변' 등의 변란을 거치며 큰 참화를 겪었으니 포로포로리와 같은 인재는 반드시 놓쳐서는 안되었다.


만일 그녀가 중히 쓰여졌다면, 여시국의 앞날은 오늘과 달랐을 지도 모른다.


변경백 살레몽의 화려한 용병술을 맞상대할 영웅이 탄생할 수도 있었고,


노상처만을 강변하던 육사녀와 호로랭구녀의 거짓을 사전에 간파해 여시국에 수치를 주지 않을 수도 있었으며,


오유국이 저토록 강하게 밀어붙이는 일을 누그러뜨리고 장차 싸움을 끝낼 대화의 장을 열었을 지도 모른다.


허나 지난 일을 되새겨 이제 무엇을 하리오. 무엇을 하리오.


혹자는 그녀에게 죄가 있다면, 기둥부터 흔들린 여시국을 바라보며 뿌리 내린 옛 여시국을 좇다가 끝내 목숨을 잃은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그녀는 여시국을 염려한 사람이지, 전복을 꾀하고자 함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실상 그녀에게 가장 큰 죄는 바로 여시국에 있었던 것 뿐이라 하겠다. 하늘이 내린 재주를 걷어찬 것만큼 어리석은 일이 어디 있겠는가?



그래도 한 가지 다행이라 할 점은 더 이상 포로포로리가 여시국에서 고통을 받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겠다.


저 무간지옥에 비견되는 곳으로부터 탈하였으니 이만큼 좋은 일도 없으며, 이제는 한 발짝 물러나 편히 팝콘을 취하여 안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으니 그녀를 사모하는 사람들에겐 그만큼 기쁜 일도 없다 하겠다.


이제 그녀에겐 무궁한 행복만 있길.




------------------------------


졸작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오탈자는 기회되는 대로 고칠게요.

추천 비추천

243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512828 안녕하세요. 눈팅 중인 스르륵 회원입니다. [77] [黑]無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02 4845 240
1512736 살려주라 [33] 지나가던사관(218.145) 15.06.02 3668 118
1512726 (달글 리와인드)고발장 폭탄이 터진 후 둥글게 둥글게를 하는 여시.JPG [18] 여린정리충(14.47) 15.06.02 4715 86
1512650 시녀가 왜 종군기자라고 불려지는 게 이해 안된다는 여시 [25] 지나가던일인(221.153) 15.06.02 3432 62
1512624 찍먹충색히들 봐라 소스란 단어의 어원이다. [13] ㅇㅇ(58.232) 15.06.02 2075 50
1512623 장동민 쉴드치는 시녀가 이해안된다는 여시 [5] 지나가던일인(221.153) 15.06.02 774 25
1512608 (달글 리와인드)살렘갓 아재가 고발장 폭탄 터뜨리기 전후의 여시 반응 [22] 여린정리충(14.47) 15.06.02 5437 154
1512563 일인아 짤 색칠해왔다 [6] 응D(39.7) 15.06.02 382 21
1512469 포로리를 다시 그려봤다[그녀에게 이 그림을 다시한번 바칩니다] [35] ㅇㅇ(218.234) 15.06.02 4104 153
1512408 종군기자들을 그려봤다 [24] 지나가던일인(221.153) 15.06.02 2974 72
1512385 지나가는이인과 함깨 여시저장소 블로그 운영을 꾸려나가고 싶었으나... [19] 여시저장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02 4410 184
1512383 여성 인권 유린하는 빅뱅.jpg [14] ㅇㅇ(175.125) 15.06.02 4111 127
1512329 포로리갓이 왜 개념인지 여시 애들의 글과 비교하면서 잘 살펴보자 [34] 여린정리충(14.47) 15.06.02 5610 194
여시 인물 열전列傳 - 포로포로리 [51] 데굴데굴(118.36) 15.06.01 13351 243
1512208 단둥 특파원님에게 정식으로 인터뷰 요청드립니다 [30] 익명(199.255) 15.06.01 2844 69
1512190 이거 먼가 냄새가 나는데???? [5] ♡포옹포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01 3236 38
1512155 여시 tf 그림솜씨보소 ㅅㅂ ㅋㅋㅋㅋㅋㅋ [34] ㅇㅇ(175.223) 15.06.01 5923 100
1512125 갤럼된 아재왔다. [27] ㅇㅈㄷ(110.70) 15.06.01 2788 110
1512096 네임드 중에서 여린이가 최고라 생각하는데 너무 저평가라 아쉽다 [4] ㅇㅇ(223.62) 15.06.01 745 28
1512074 sm에 문의 넣었다 [17] ㅇㅇ(14.37) 15.06.01 3604 88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