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해군 용어정리

LoveBlind 2009.01.14 03:00:49
조회 158704 추천 131 댓글 416


수정 및 추가사항 댓글로 달아주세요

123 ABC ㄱㄴㄷ순
-123-
15분전, 5분전 – 해군에는 정각 개념보다 15분전 5분전 개념이다.
3보이상구보 - 기초군사학교에서 3보이상거리는 무조건 뛰라는 의미.
-ABC-
ADI(Assist Drilling Instructer) - 어시스트 인스트럭터. DI 밑에 단계 역시 훈병들이 벌벌떤다. 계급은 하사급
C4 코스 - 해군 기초교에 있는 전투구보 코스
CPO-해군에서 말하는 상원사 계급의 총칭. 그들의 일과는 노가리까기와 선임하사 갈구기이며 CPO당번을 시켜서 온갖 향흥을 접대받는다. 일은 존나 안하지만 막상 하면 졸라 잘함. 베테랑의 내공을 느끼게됨. 하지만 평소에 일 안하므로 걍 조용히 짱박혀 자다 퇴근해주면 고마움.
DI(Drilling Instructer) - 드릴링 인스트터쳐의 뜻. 훈육교관을 의미. 훈병들이 벌벌떠는 신적인 존재. 주로 상사나 중사계급.
가입소주 - 입대 첫 1주일간의 적응기간겸, 입소자 조사기간. D.I들의 악마의 유혹이 시작되고 나약한 자들은 1주일후 다시 사회복귀크리.
RA - 함정 수리의 일종. 주로 2주 ~ 8주간 수리부두에 입항하여 배를 수리하게 되며, 함정 요원의 경우 이 수리 시기에 대부분 휴가를 가게 된다.
R/S - 레이더 사이트의 준말. 섬에서 레이더를 가동하여 수상한 함정이 없는지 감시하는 부대로 해군에서 섬에 근무하는 육상부대로는 R/S가 유일하며 규모가 큰 섬에서 민간 여객선이 전혀 다니지 않는 격오지 섬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음. 또는 함정에서 탄약 저장고를 부르는 말.
-ㄱ-
간식 - 함정 출동시 해군은 오전 7시 아침식사, 12시 점심식사, 오후 5시 저녁 식사외에 오후 8시에서 8시 30분 정도에 간식 시간이 있다. 각 함정에 따라 떡국, 짜파게티, 라면 등의 다양한 음식이 나온다. 또한 참수리의 경우 야간 출동을 마친 후 정박할 경우 간단한 간식이 식당에 준비되는 경우가 있다.
간부훈병 - 기초교 내에서 각 훈련병 부대를 책임지는 소대장 훈병, 중대장 훈병, 대대장 훈병을 이르는 말.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 훈병을 말할 시 뒤에 \'훈병\'을 붙이지 않으면 교관이나 소대장들로부터 심할 경우 과실지적도 가능하다.
갑탐 - 태생은 갑판이나 실무에서 전탐으로 팔려간 갑판 갑판전탐의 약어.

견시 - 항해시 레이다로 관측되지 않는 장애물 등에 의해 배의 운항이 방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함교 좌우에 망원경으로 배의 진로를 확인하고 경고하는 일. 견시요원은 통상 각 직당 2명에서 배에 따라 더 배치할 수 있으며 특히 어망 등이 많이 깔려있는 2함대 앞바다 등에서는 견시의 역할이 매우 중요.
경의부 - 취사, 의무, 이발, 사관당번들을 통칭하여 이르는 부서. 부서장은 함정의 부장이 맡는다.
구서 작업 - 쥐 잡는 작업. 배의 사정에 따라 쥐를 잡을 경우 휴가일수를 추가시키는 경우가 있음.
국기수 - 각각의 부대(사령부, 전단, 함 등등)은 고유의 해군기와 태극기를 일과시간에 올리게 되는데 이짓을 할때는 정복을 입고 해야 한다. 한마디로 고역. 새벽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과실자 - 훈련도중 발생하는 벌점을 먹은자. 주말에 과실점수대별로 과실훈련을함. 점수는 훈련시간과 비례관계
과실점수, 양호점수 - 모범을 보인경우 양호(+), 잘못을 저지를 경우 과실(-)로 점수 매김. 보통 기초교에서 쓰는 평가제도지만 실무에서도 시행중인 부대있음.
교육기수 - 신병 전입시 신병의 교육을 총괄적으로 관장하는 기수. 신병 전입시 1~2주간 신병의 옆에 동행하여 일을 가르쳐주고 다른 곳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감시하는 수병(주로 일병급)과 이를 전체적으로 확인하는 수병(주로 병장급)으로 나눠지는데 전체적으로 확인하는 수병을 교육기수라고 한다. 단 배의 사정 및 자체 규율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구서 작업 - 쥐 잡는 작업. 배의 사정에 따라 쥐를 잡을 경우 휴가일수를 추가시키는 경우가 있음.
기릿가시 : 수병이 하사로 신분전환하는것을 일컬어 하는말
길비켜 - 비좁은 함정내 통로에서 상관이 지나갈 때 벽에 붙어서서 길을 터주는 행동 또는 그 구령.
길차렷 - 배의 통로는 좁아서 사람들이 여럿 지나가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음. 따라서 통로에서 상급자와 마주쳤을 경우 마주보고 경례를 하면 상급자가 길을 갈 수 없기 때문에 경례 후 옆으로 비켜서 차렷자세를 취하는데 이를 길차렷이라 한다.
깡깡이 - 함상에서 페인트벗길때쓰는 작은 망치? 갑판의 마스코트.
꼬바르다 - 고자질하다.
꽃게 - 꽃게잡이 어민들의 안전 및 중국어선들의 단속을 위해 2함대에서 1년에 2번 실시하는 작전. 이 작전 때 꽃게에 이를 가는 수병들이 많다고 할만큼 힘든 작전.
꿀빤다 - 싸이드깐다와 비슷한뜻, 편하게 군생활한다는 의미.
-ㄴ-
너 쪼리할래 - 식사당번들 중에서 운이 심각하게 나빠서 상병 달고도 당번 나오는 수병들에게 조리병들이 장난 반 진담 반으로 물어보는 말. 상병쯤 달고 당번 나오면 애들도 제법 부리고 웬만한 일도 척척 해내기 때문에 조리병들에게서 인기가 높아진다.
-ㄷ-
당가리 - 근무복 하의.
당직 - 해군의 당직은 3직제로 1직(8시 - 12시), 2직(12시 - 4시), 3직(4시 - 8시)으로 하루 총 8시간씩 근무한다. 2직은 미드워치(midwatch)라고도 하며, 2직자는 당직 후 아침 일과정렬(8시, 실제로는 7시 55분)에서 제외하여 수면을 취할 수 있다. 3직은 말직이라고도 한다.
대기대: 함정 근무 수병들의 경우 상륙을 다녀오거나 전역시에 잠시 머무는 곳이다. 예를 들면 전역시에 전역 날짜가 출동후에 있게 되면 출동은 뛰지 않고, 출동 나가는 배를 전역복을 입고 출항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배는 출동을 나가므로 소속이 함인 수병이 머무를 곳이 없게 된다. 이럴때 이용하게 되는 곳이 대기대. 모든 함정수병들의 로망이었다.
드라이 해군 - 함정 근무 한 번 없이 첫 실무배치때부터 전역때까지 육상근무만 한 해군
대양해군건설 - 현재 우리나라 해군의 캐치프레이즈. 대양으로 작전범위를 광범위하게 넓혀나가자는 의미. 항공모함, 핵추진 잠수함이 갖춰진 미해군이 대표적인 대양해군.
데끼 - 영어 Deck(갑판)의 일본식 발음. Deck Gray(페인트)나 Deck Brush(갑판청소용 브러시) 등을 지칭할 때 보통 \'데끼\'라는 한 단어로 표현한다. 브러쉬로 사정없이 문질르고 닦아내는 과정.
-ㅁ-
막걸리 - 암구호
말짱오장 - 이병 최고 끗발과 일병 물호봉 근처.
멀티병 - 자신의 직별 고유임무 외에도 2~3개 타직별의 임무를 능숙히 수행할 수 있는 수병을 일컫는 말. 어느 참수리 갑판병이 병기병, 전탐병, 기관병 일을 모두 해내는 것을 본 적이 있는 사람도 있다고함.
문관 - 선수TO를 지난 제대 직전의 초말년병장.
-ㅂ-
발령기수 - 함상근무 수병 중 일병 4호봉에서 상병 3~4호봉 정도를 이르는 말. 이 기수에서 육상근무 전출이 이루어지며 이 시기를 그대로 지나친 수병은 그 배에서 제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병말 - 병장 1호봉.
보수과업 - 함상에 부착된 페인트가 칠해지지 않은 부분이나 구리같은 금속들을 광약을 발라 닦아 광내는 작업. 윈드라스는 사포로 연마.
부식작업 - 함내 전투식량 및 부식들을 배에 옮기는 작업. 통상 배 총원이 집합하여 운반 작업에 참여한다.
부이 - 해상위에 설치하여 배가 계류하거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
비취인가 - 비밀취급인가의 준말. 비밀은 반드시 부대에서 비밀취급인가를 받은 자만이 다룰 수 있는데, 통상 항해과 장교는 2급, 기관병과 장교는 3급 비밀인가를 받으며, 수병의 경우 업무의 성격에 따라 2급 비밀인가를 받고 비밀작업을 할 수 있다.
빵모 - 수병들이 근무시, 행사, 상륙시 착용하는 하얀색의 병정모. 하얀 호빵 얹어올린 모양이라 이름붙여짐. 상륙나와서 워낙 안쓰고 다녀 참모총장까지 걱정할 정도.
빵빠레 - 야간비상훈련
삥아리 - 신참 하사를 일컫는 말
-ㅅ-
사관당번 - 함장 및 장교, 외부 손님의 수발을 드는 임무를 맡은 병사. 통상 키가 작고 외모가 예쁘장한 수병을 차출하여 임무를 맡기며, 주요 임무는 함장실 및 사관실 청소, 장교들의 식사 준비, 손님 수발 등이다. 주로 상대적으로 수가 많고 차출해도 큰 지장이 없는 갑판, 기관, 취사병 중에서 차출한다.
사관실 - 함정에서 장교들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장교들의 회의실 및 식당 역할을 하며, 전투시에는 긴급 환자의 수술실로도 사용한다. 장교외의 부사관 및 병은 사관실에 함부로 들어올 수 없으며 반드시 \'들어가도 좋습니까\', \'예, 들어가겠습니다\'라는 승낙 후에만 들어갈 수 있다.
상가: 모든 탄약을 꺼낸 함을 들어올려서 함의 하부에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한마디로 배를 들어올리는 것을 말한다. 평택의 경우는 상가이고, 좀 더 큰배의 경우에는 진해에 있는 도크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상끗 - 상병 최고 끗발.
상륙 - 휴가나 외박을 말함.EX) 이번주 상륙자 누구임?
상말 - 상병 1호봉.
상추 - 기초교 공포의 반찬. 지금은 모르겠지만 과거 524기때까지만 해도 상추가 나오는 날은 거의 100% 야비가 걸렸다.
샌드 - 함정의 통로에 있는 울퉁불퉁한 부분. 함정에서 미끄러질 경우 부상의 위험이 있고, 심하면 바다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로부분에 모래를 뿌리고 울퉁불퉁하게 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데 이를 샌드작업이라고 한다.
선임수병(선수) - 생활관의 병들중 권력을 갖고 있는 최고 기수 중의 한명. 작은 부대는 선수가 휴가 일정을 짤 정도로 권력이 막강.
선임하사 - 통상 중사계급으로서 상,원사 계급인 직별장 밑에서 실무를 맡는 역할을 맡은 부사관. 각 직별별로 직별장 1, 선임하사 1~2, 그 밑에 하사와 수병으로 구성되며, 직별장의 감독에 따라 서류작업 및 육체적인 노동을 도맡아 처리한다. 실상 그 배 직별의 능력은 직별장 보다 선임하사의 능력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셈당 - 셈브레이와 당가리의 약어.
셈브레이 - 근무복상의.
소이동 - 야비의 백미. 누운자세에서 옆으로 데굴데굴구름. 정신없이 구르다보면 멀미남.(요즘은 사라짐)
소재반 - 내무대(생활관)을 총 관리하는 계급 정도. 부대마다 다르지만 보통 상말~병물 정도가 담당.
쇼핑 - 비누, 가루비누, 치약으로 청소를함. Soaping
수발 - 말이 수발이지..작업때문에 함정바깥으로 나오기 힘든 수십명 고참들의 잔심부름이나 다름없죠. 그 많은 수병들의 대리은행업무부터 비누,생필품 쇼핑까지 주루룩.
수양록 - 기초군사학교에서 매일 쓰는 일종의 일기. 훈련소에서 특별한 사건이 있지 않은 이상 거의 비슷한 내용으로 채워짐.
순항훈련 - 해군사관학교 4학년 생도들의 함정적응 능력과 원양항해에 대한 경험 증진을 위해 실시하는 훈련. 통상 DDH 1척+군수지원함 1척이 참여하며, 주요 코스는 각 기수에 따라 태평양 연안을 순회하거나, 인도양 쪽으로 가는 항해 코스 등으로 매년 달라지며, 특별히 10단위 기수의 경우 세계일주 코스를 돌게 된다. 생도들은 배안에서 학과강의 및 항해실습을 하며, 임관 이후 해외여행의 기회가 적은 생도들에게 다양한 추억을 남길 수 있는 훈련이기도 함. 참고로 순항훈련 참가 함정의 경우 일부 병들이 갑자기 전출, 전입되는 경우가 있고 전입한 병 뒤에 빽이 있다는 말이 끊이지 않는 등 확인되지 않는 소문이 많이 돌기도 한다.
스나프 - 대걸레.
스머프 - 수병의 겨울정복(검정색 세일러복)을 일컫는 속어
스콜 - 소나기, 우리나라에는 해당되기 어렵지만 원양에서 활동하던 해군의 경우 국지성 소나기가 내리면 나와서 샤워를 했다고 함.
스크라퍼 - 정식 명칭은 삭거구이며, 길쭉한 철판 막대가 끝에 가서 직각으로 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양 끝은 넓적하고 날카롭게 갈려 있다. 주로 깡깡이 대신 녹을 제거하거나 토치로 그을린 페인트를 긁어낼 때 사용한다.
시내 농협 - 진해 시내의 농협 앞을 일컫는 말로 휴가 복귀 장병의 집결지 같은 역할을 한다. 부대 복귀 전 술을 한잔 하고 싶거나 모여서 같이 들어가고 싶은 경우 이곳에서 기다리다가 모이는 경우가 많다. 물론 수병에 따라 그 주변의 패스트푸드 점과 PC방에서 모이는 경우도 있다.
싸이드 - 보통 건물내 구석이나 잘 안보이는곳을 지칭.
싸이드 깐다 - 농땡이 친다.
싸이드 탄다 - 체스터 지붕 등,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구석의 먼지를 웨이스로 닦아내는 일. 하지만 의외로 편한 작업에 속한다.
싸제 - 사회 제품
쏘가리 -  막 발령되어서 온 초임소위
씨큐 - 삼단매트의 중간을 감는 흰천.
-ㅇ-
아쎄이 - 새것, NEW!
앵카 - 말그대로 \'닻\' 이지만 한 부대에 전역할때까지 계속 근무하는걸 해군에선 앵카박는다 라고 함.
야비 - 야간 비상훈련. 야비하게 새벽에 모아놓고 뺑뺑이 굴림.
약통 - 의무병
열외병장(열병) - 소재반을 마친후 진정한 병장의 길로 들어서는... 이젠 놀 일만! 생활관의 모든 귀찮은 일에서 열외(단 부사관, 장교가 시키는 경우는 제외) 보통 병장2호봉
영내화 - 실내화
영송병 - 함정이나 육상부대에 상급 지휘관 및 고위급 외부손님이 올 경우 현문 및 출입문 좌우에 도열하여 예를 갖추는 수병을 일컫는 말. 출입전 영송 피리를 불고 방송에 따라 경례한다.
예관대 - 예비군관리대의 준말. 각 부대의 세세한 편제를 확인하기는 곤란하나 3함대 예관대는 목포훈련대에서 관리했다. 말 그대로 예비군들이 동원훈련 와서 머물다 가는 곳으로, 2층침대의 최신식 막사로 되어 있다. 전역교육 들어가는 전역병들은 약 3~6일간 이곳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모든 현역 수병들의 로망이기도 하다.
오바로크 - 재봉틀로 전투복 등에 마크나 이름을 바느질하는것.
오버홀 - 통상 3개월에 한번씩 실시하는 RA수리(2주~8주)만으로 수리가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몇년에 한번씩(대략 5년) 대대적으로 실시하는 수리. 길게는 1년 이상이 소요되며 이 시기에는 바다로 나가지 않고 수리와 휴가가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이 시기는 함상근무 중 편한 시기로 통상 꿀을 빤다고 표현하나 오버홀이 끝난 후에는 장기간의 수리로 인해 군기가 빠진 것을 보충한다는 구실로 외부 훈련대에서 교관이 파견되어 대대적인 훈련이 실시되어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된다.
오장 - 최고선임.
올비비 - 여기서 올은 24시간 종일근무, 비는 쉬는 것을 뜻하는 말로서 상황실(지통실) 요원은 3직제로, 24시간 종일 근무 후 다음날 퇴근, 그 다음날 쉬고 출근하게 된다. 만약 3직제로 돌아가는 요원 중 한 명이 휴가 및 기타사정으로 일을 할 수 없는 경우 3일차 휴식 없이 홀짝으로 종일근무 후 퇴근하게 된다.
웅동 - 야전교육대를 뜻함. 야전교육대가 진해시 웅동에 위치하고 있어서 웅동이라고 불림, 경상도의 유일한 툰드라지대. 훈병시절의 하일라이트. ex) "겨울에 웅동가서 야비받다가 얼어죽을뻔 했다"
위봉함 - LST-676으로 2006년 12월 28일에 폐선된 대한민국 해군의 마지막 미국제 상륙함이다. \'철판보다 페인트가 더 두꺼웠다\'거나 \'코웨이 아줌마가 파이프 보고 떡실신해 돌아갔다\'는 등 여러가지 전설이 남아 있다.
윈드라스- 닻에 연결된 체인을 끌어올리는 동그란 기계
웨이스 - 손걸레.
이동 PX 차량 - 부두를 운행하면서 PX역할을 대신하는 차량. 주로 일과시간이 끝난 후 저녁에 많이 운행하며, 차량 도착시 \'이동 PX 차량 도착\'이라는 방송으로 함내에 알려 함내 인원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빨깐다 - 거짓말.
이승만 대통령 별장 - 진해 기지 안에 이승만 대통령의 옛 별장이 있음. 출입 계단의 조그마한 연못 및 작은 집과 정원, 집 뒤편의 정자가 있으며 외부 손님 방문시 관리병의 안내를 받으며 구경이 가능함. 구경시간은 대략 30분 정도
이함 - 함 인원 외에 외부인이 배에 왔다가 나갔을 경우를 일컫는 말. 조타사 일지와 항박일지에 \'XX 이함\'으로 기록한다. 단, 함정 인원의 경우 배가 침몰하기 전까지 배를 떠나는 경우가 없으므로 함 인원에 대해 \'이함\'한다고 말 할 경우 배가 침몰하여 배를 떠난다는 뜻이 되므로 절대 함내 인원에게는 써서는 안되는 말이다.
이함훈련 - 기초교 전투수영 훈련프로그램 중 하나. 쉽게 말해 배가 침몰 위기에 빠졌을 때 바다로 뛰어내리는 훈련. 다이빙대 천정에 머리찧는 경우 허다함.
일끗 - 일병 최고 끗발
일말 - 일병 1호봉
임전 - 임전태세검열의 준말. 정기수리가 끝나면 실시한다. 참수리 기준으로 보통 1일~1박2일로 실시하며, 전투배치, 저시정, 황천, 타기고장, 기뢰원통과, 익수자구조 등의 훈련을 매뉴얼에 따라 종합적으로 실시한다.
입항지시 - 출동 14일 정도 되었을때 함대사령부에서 입항지시가 내려오는 전보 또는 명령 보통의 경우 함총원이 목이 빠져라 기다린다.
-ㅈ-
작사 - 작전사령부.
작전부 - 조타, 전탐, 통신 등의 직별을 통칭하여 이르는 부서로 부서장은 작전관이다.
저주받은끗발 - 대체 전생에 뭔 죄를 지었는지 다른 동기들은 벌써 직별 선수 달고 배 #3 달고 있는데 혼자만 상병2호봉 되도록 갑판 막내에 포갑 막내에 꼴랑 작전부 후임 셋 데리고 그나마 한 명은 발령까지 나는 정말 선임들이 불쌍해서 눈물 지어줄 정도로 운 없는 케이스.
전단 - 전대의 상위 개념으로 전대를 모아서 구성한다. 지휘관은 원스타. 2전단이면 2함대. 5전단의 경우는 전투전단이 아닌 XX전단이며, 특수전여단을 포함하여 10개정도 존재하는 듯.
전대 - 편대보다 큰 개념으로 함을 종류별로 묶어서 전대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구축함전대, 초계함 전대
정비검열(MI) - 함정내 장비 이상 유무 및 서류 감사를 목적으로 연중 1회 실시되는 검열. 주요 내용은 상급부대장 확인하 복장검열 및 각 직별별 평가관에 의한 장비 및 서류 감사로 통상 배의 규모에 따라 2~3일간 실시한다. 검열에서 지적사항이 나올 경우 그 배의 평가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각 직별별로 과업이 심하며, 검열 준비를 위해 각종 서류 작성, 배 전체에 페인트 칠 과업, 장비 보수 작업 등에 의해 함 인원 전체에 부담을 주는 검열로 실상 연간 과업 중 가장 과중한 검열이라 할 수 있음.
전투력검열(TI) - 함정의 전투력 측정을 위해 상급부대 지휘관(주로 전대장)의 참관 하에 실시하는 검열. 주요 내용은 협수로 연안항해, 인명구조, 단정강하, 비상투묘, 비상조타, 화생방 대비훈련, 이함 훈련 등이 있으며 이틀에 걸쳐 측정한다.
전어 - 진해 수로는 상당부분이 군사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어민들의 조업이 금지되어 있음. 그런데 가을에 이 군사구역에서 전어가 많이 잡히기 때문에 군사구역임에도 불구하고 어선이 조업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진기사 참수리 전대가 단속하면서 몸싸움이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하여 참수리 요원들이 많은 애로를 겪게 된다.
조타사 일지 - 배의 운항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이 정리된 일지. 배의 침로 및 RPM, 함내 방송 등 운항 전반을 기록한다.
쥐마개 - 정박시 배를 묶은 홋줄 중간에 설치한 칸막이처럼 생긴 도구. 부두의 쥐가 홋줄을 타고 배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도구
지네매듭 - 전투복착용하는 해군의경우 고무링을 쓰지않고 작은 매듭을 만들어 전투화를 조이고 늘리며 동시에 전투복 하단까지 고정시킴.
지통실 - 지휘통제실의 준말. 각 함대 작전참모처 예하로 보통 지하에 있으며, 예하 모든 R/S 및 함정에서 보내오는 데이터가 KNTDS 화면에 펼쳐진다. 아침마다 사령관이 와서 브리핑을 듣고 가기도 하는데, 3함대는 회의실 여건이 무진장 안좋아서 외부손님들이 오면 거의 대부분 지통실에 와서 브리핑을 받았다.
지휘검열 - 배의 정비검열과 같은 개념으로 육상부대에 실시하는 검열. 상급부대 검열실에 의해 집행되며(작전사는 해본 검열실, 함대는 작전사 검열실) 주요 내용은 인원확인(복장검사 및 주요 암기사항 질문), 각 부서별 서류 확인, 비밀 확인, 회계분야 자금 확인 등이다.
진기사 - 진해기지사령부.
짜세난다 : 멋지다, 폼난다.
째린다 - 보통함상에서 멀미하는것을 뜻함. 또는 페인트나 신나향에 취하다
쪼갠다 - 웃을때 하는말
-ㅊ-
체스트 - 관물대?
최강병양성 - 기초교의 슬로건.
최후의 5분 - 국군 10대 군가중의 하나. 해군에선 화생방 공식 주제가. 타군보다 화생방이 길어서 군가를 여러곡 부르는데 가사내용이 적절하여 늘 부르게 됨.
츄라이 - 식판 , 식사당번
-ㅋ-
카포크 자켓 – 해군의 표준 구명조끼로 일반적 해군 홍보영상에 보이는 두꺼운 구명조끼다. 가끔 과실훈련때 육군들 완전군장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ㅌ-
타 - 배의 운전대
타종 - 함정이나 육상부대의 지휘관, 혹은 그에 준하는 고위급 인사가 배나 부대 출입시 현문이나 출입구에서 방송과 함께 치는 종. 대위에서 대령까지는 2타 2회, 중장까지 2타 3회, 대장은 2타 4회를 친다. 방송예시) \'땡땡 땡땡 함장 승함\' \'땡땡 땡땡 함장 하함\'
탄약작업: 수리에 들어가는 함정의 경우 위험상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함에 있는 모든 탄약을 꺼내서 탄약창에 임시 보관하게 된다. 여기서 지옥창이라는 말도 나온다.
-ㅍ-
편대 - 3급함 이하에 보통 적용되는 개념으로서 3대로 편대가 구성된다.
필수요원 - 그 배의 운용에 필수적인 초임하사나 수병의 전출을 막기 위한 제도. 통상 갑판, 병기, 전탐, 기관, 조타 특기에서 일을 잘하는 경우 필수요원으로 묶어서 전출을 막고 그 배에서 제대시킴. 키멤버, 핵심멤버
포갑부 - 함정내 조직 중 하나로 통상 갑판, 병기부를 합쳐서 이르는 말. 통상 포술장이 포갑부의 수장이며, 갑판사관은 분대장이지만 LST와 같이 갑판의 비중이 높고 갑판사관이 포술장보다 계급이 높을 경우 갑판사관이 포갑부의 수장 역할을 맡는다. 다만 포갑부 중 갑판의 경우 DDH에서는 작전부에 소속되므로 포갑부라는 명칭이 모든 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포요원능력평가 - 함정의 포술 능력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평가로 정비검열, 전투력검열과 함께 3대 검열로 통칭한다. 주요 대상은 포술장 및 병기직별 부사관, 병기병 및 갑판병 중 포요원에 해당하는 수병이며, 주요 내용은 오전에 각 함포 및 소병기 등의 제원에 대한 필기평가 및 조립 등의 실기평가, 그리고 오후에는 가상 목표물 출현시 실제적인 포지휘 능력을 테스트한다. 갑판 및 병기병의 경우 실제 연습 외에도 필기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공부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준비에 짜증을 내는 검열이기도 하다.
피복판매소, 피판 - 해군의 각종 피복들을 판매하는 곳
피항 - 태풍 접근시 배의 손상을 막기 위해 태풍으로 부터 안전한 다른 항구로 배를 피신시키는 것을 일컬음. 특수한 경우로 태풍이 너무 가까이 접근하여 배를 항구에 정박시킬 수 없는 경우 배의 방향을 태풍의 바람 방향에 따라 항해하여 태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항해피항이라 한다.
필승주 - 훈병들의 로망. 후반기 교육으로 갈수있단 엄청난 감격에 사무쳐 지냄.
-ㅎ-
함대, 사령부 - 함대의 경우 사령관은 소장이며, 작사의 경우는 중장, 지역방어사령부의 경우는 준장이지만, 지역방어사령부는 장기적으로 없어진다고 알고 있음.
함전 - 함 자체 전력. 배가 출항할 경우 배 자체 발전기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배를 운용하고, 배 정박시에는 부두에 전력선을 연결하여 부두의 전력(육전)을 사용하게 된다. 배 출항시 \'육전에서 함전으로 전환\' 구령은 부두의 전력선을 떼라는 의미이며, 배 입항 후 \'함전에서 육전으로 전환\'은 부두에 전력선을 연결한 후 배의 발전기를 그만 가동시키라는 의미임.
향도 훈병 - 기초군사학교에 소대별로 지급되는 총기를 관리하는 훈병.
항박일지 - 조타사 일지를 참조하여 조타사 일지의 기록 외에 외부인의 출입 및 배 시설물들에 대한 점검 내용을 그날 당직사관이 정리하는 일지. 배의 모든 기록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지이다.
행보오장-오장 바로 밑 기수.
행정서무사(행서) - 기초군사학교에 각 소대의 행정 담당 업무를 하는 훈병. 주로 하는 일은 보급품 나누어주기, 우편 전달, 양호/과실용지 점수 계산 등의 일을 한다.
홀드 - 휀다나 홋줄을 고정시킬때 쓰는말
홋줄(계류색) – 배와 부두를 연결하는 총 6가닥의 줄, 배가 정박할 때 배를 고정시키기 위해 묶는 줄로 그 위치에 따라 1~6홋줄로 구분한다. 함수의 1, 2홋줄과 함미의 5, 6홋줄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며, 홋줄의 굵기에 따라 3, 5, 7, 9인치 홋줄로 구분한다. 3인치는 참수리, 5인치는 LST, PCC, FF 등에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7인치는 악천후시 큰 배의 고정용으로, 9인치는 LST의 백령도 접안 등 특수한 용도시에 사용한다.
홋줄요원 - 함정이 부두에서 출항할 때 또는 부두에 입항할 때 부두에 볼라드에 걸려있는 홋줄을 빼주거나 걸어줄 외부요원이 필요하다. 이 요원을 홋줄요원이라고 부른다. 배에 타고 있는 장병이 할 수 없는 일이므로 근처에 정박중인 함정이나 육상부대에 지원 요청하여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큰 함정일수록 굵은 호수의 홋줄을 쓰므로 힘이 많이 필요함. 게다가 바닷물에 빠졌다가 올라오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겨울철에는 더더욱 힘들다.
화생방 훈련 - 최근 함정의 위협 중 화학탄에 의한 위협이 크게 평가됨에 따라 강화된 훈련. 해군의 모든 부대는 매년 각 부대 훈련대에서 화생방 훈련을 반드시 받도록 규정되어 있다. 훈련소의 경우 방독면을 잠깐 썼다가 완전히 벗는 식으로 훈련하며, 실무 부대에서는 방독면을 착용하고 입실 후 환기통만 뺐다가 끼우는 식으로 훈련한다.
환기훈련 - 수리기간중 개빠진 함정의 기강을 잡는 훈련 보통 1~2주 시행되며 훈련전대 빨간모자들이 내려와서 카포크 입고 함상에서 할 수 있는 이항 제외한 훈련을 모두 실시함
활동화 - 운동화
황천 - 거칠 황 하늘 천 말그대로 하늘이 거칠어 져서 날씨가 좋지 않은 상황을 말함. 보통의 경우 황천 2급까지(파고 4미터 이하)는 출동 가능하나 1급(4미터 이상)이면 무조건 피항한다.
훈병 - 훈련병.
현문 - 배와 부두를 연결하는 출입문. 현문앞에 당직자(부직사관, 당직병)가 배치되며, 원칙적으로 현문 통과시 함수 태극기를 향해 경례를 하는 것이 예절이나 사실상 하지 않음.
휀다 - 방현물, 함정이 부두 또는 해상 계류시 현측을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범퍼.
히빙라인 - 입항할때 던지는 줄, 원호줄을 가이드 하기위한 보조라인이다. Heaving Line

추천 비추천

131

고정닉 8

1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공지 해군 갤러리 이용 안내 [106] 운영자 09.01.09 19090 43
공지 해군 입영예정자 준비물 총 정리 [133] 푸짐한 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26 63487 248
해군 용어정리 [416] LoveBlind 09.01.14 158704 131
231068 군대에 얘 댈고가도 될가요 ㅠㅠㅠㅠㅠㅠㅠ [3] 겅형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440 10
231056 얘는 갤에서 욕처먹는 이유가 있구나 [8] ㅇㅇ(211.36) 06.14 763 13
230947 해군절대오지말아라 [11] ㅇㅇ(39.7) 06.13 1615 24
230885 ㅈㄱㅅ로 전출왔는데 얼마나 편하냐면 [16] 해갤러(223.39) 06.12 1687 20
230832 ■ 704기 치킨먹으며 준비뮬 완............ [8] 해갤러(1.222) 06.11 1498 11
230831 이거 맞냐..? [6] 해갤러(223.38) 06.11 1906 25
230801 해군 인력난 해결법 생각해냈다 [7] 해갤러(172.226) 06.11 1576 38
230742 GS25에 이런 거도 파네 [4] ㅇㅇ(121.166) 06.10 1729 11
230730 해군 낭만 때문에 오는 사람들에게 조언하나 한다 [16] 해갤러(223.39) 06.10 1654 18
230729 이거 신고가능? [25] 해갤러(223.39) 06.10 1591 22
230713 해붕이 호국보훈 달 맞아 해군의 아버님 뵙고 왔다 [12] 상암고양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365 38
230703 해군이 추억이 많지 후회는 안함 [11] ㅇㅇ(112.158) 06.10 1751 68
230698 704기 나는 노예가 아니다. [7] 해갤러(106.101) 06.10 1339 33
230692 해군 왜 갔냐고? [9] ㅇㅇ(118.235) 06.09 2229 66
230669 연예계 유일한 근본 해군 수병 [12] 해갤러(106.101) 06.09 2080 50
230639 신원식애미대가리 즉시강력하게끝까지 응징하고싶으면 개추 [6] ㅇㅇ(104.28) 06.09 2292 101
230612 훈련소 교관들 해군갤 보더라. [7] 해갤러(223.39) 06.09 2310 27
230601 오늘따라 이분 그리우면 개추 [10] ㅇㅇ(118.235) 06.09 2516 61
230599 ㄹㅇ 우리 오늘 출근 도대체 왜 한거임? [3] ㅇㅇ(223.39) 06.09 2318 45
230585 월요일 전투휴무 바라면 개추 ㅋㅋ [4] 해갤러(118.235) 06.09 2440 31
230561 내일 일과예상 [7] ㅇㅇ(61.110) 06.09 3173 49
230558 파티원구함 [12] ㅇㅇ(223.39) 06.09 1809 32
230556 훈련병죽인 중대장은 조사도 안받고 휴가감 ㅋㅋㅋ [3] ㅇㅇ(223.39) 06.09 1333 33
230555 오물풍선 하나에 전군 싹다 출근하라 하는거도 ㅈㄴ 병신같은데 [6] ㅇㅇ(106.101) 06.09 2443 48
230551 지금 전군 출근지시 내려진이유) [3] ㅇㅇ(106.101) 06.09 3309 47
230549 아니 개씨발 출근 [13] ㅇㅇ(223.39) 06.09 2566 25
230511 역대급 엘리트 기수 [15] 해갤러(106.101) 06.08 2360 22
230500 군수 왜이리 싫어하냐 [10] 해갤러(106.101) 06.08 1242 27
230495 나 전역한 수송인데 수송은 욕먹어도됨 [15] ㅇㅇ(118.235) 06.08 762 10
230493 근데 00함 어떻냐고 물어보는게 잘못된거임? [10] ㅇㅇ(106.101) 06.08 1286 20
230451 4중대 폐급놈 ㅈㄴ웃기네 ㅋㅋㅋㅋㅋ [7] ㅇㅇ(118.235) 06.08 1443 28
230448 참수리굿즈가 나왔읍니다. [4] ㅇㅇ(223.39) 06.08 1111 16
230393 나는 공군 붙었지만 해군왔다 [8] ㅇㅇ(223.62) 06.07 1630 22
230316 자격증 없이 드라이 가는법 찾음 [5] 해갤러(106.101) 06.06 1767 24
230289 배타다내렸는데 드라이라고하는애들있는데 [6] 해갤러(119.71) 06.06 1454 20
230280 ㅇㅇ함 배 발령받는데 어떰? 이런글 쓰지마셈 [9] 해갤러(1.252) 06.06 1675 27
230270 해붕이 현충원 다녀옴 [9] 봇치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158 38
230255 저 납치당한것같아요 ㅜㅜㅜㅜ [6] 해갤러(118.235) 06.06 1795 54
230241 지금 702기 수송 후반긴데 장원영 찾았노 [10] 해갤러(223.39) 06.06 1983 18
230229 새삼새삼이긴한데 경상도애들 좀 뭐랄까 신기하더라 [47] 해갤러(118.235) 06.06 1393 27
230201 군대 동기중에 세상 착한 애 있었는데 [6] 고단북반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230 22
230102 해군 입대하고 본 여군 첫인상 특징 [7] ㅇㅇ(175.205) 06.05 2811 54
230092 군경은 어딜가도 부조리가 심한듯 [3] ㅇㅇ(121.139) 06.05 1009 16
230072 아니 이래도 해군 드라이를 안온다고? [15] 해갤러(119.71) 06.04 2861 62
229983 해군 배타면하는 훈련 딱 알려줌 [7] 쌉쌉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795 7
229955 식사당번 <<< 해군의 전통이고 뭐고 없애야함 [16] ㅇㅇ(223.39) 06.03 1907 25
229869 상호존중, 존댓말 ㅇㅈㄹ하는새기가 [6] ㅇㅇ(223.39) 06.02 1682 1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