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김성룡 인터뷰 “선수들은 본인 생각만하길, 그 외는 감독 책임”모바일에서 작성

ㅇㅇ(211.200) 2017.12.05 08:39:03
조회 1078 추천 28 댓글 17

포스코켐텍 바둑리그 포스트시즌 2위로 마감

단 하나의 우승 트로피를 쟁취하기 위해 8개월간을 쉼없이 달려왔다. 트로피의 영광은 정관장 황진단에게 돌아갔다.

거칠 것 없이 순항해 손에 잡힐 듯 보였던 우승컵이 손 안에서 멀어져가는 것을 느낀 포스코 켐텍의 검토실에는 정적이 흘렀다. 2위를 차지한 포스코 켐텍 김성룡 감독을 기원 근처 위치한 포스코 연구실에서 만났다.
81327400.jpg

▶챔피언엔 오르지 못했지만 그래도 2등 팀인데 자축하는 분위기가 전혀 없다.

오늘 진 것도 진거지만 결과보다 내용이 너무 허무해서 그렇다. 말도 안되는 바둑을 졌다. 윤찬희가 이창호를 상대로 진 판은 윤찬희 인생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한 바둑이었다. 마지막에 윤찬희가 여러 번 실수했고 계속 물러섰지만 결국 어떻게 둬도 반집 이기는 바둑이었다. 내가 걱정되는 건 윤찬희 입장에서는 본인이 크게 성장 할 수 있는 판을 졌다는 것이다. 이런 패배가 도움이 되는 사람도 있고 트라우마가 되는 사람도 있다. 윤찬희가 잘 이겨내길 바란다.

▶마지막 날이라 선수들이 같이 식사를 할 줄 알았는데 바로 헤어지더라. 혹시 감독님이 무서워서 그런거 아닌가(웃음).

우린 정말 특별한 일 아니면 같이 회식 안한다. 특히 바둑 지고는 회식 한 적 없다.

▶굉장히 비장한 팀이다.

다른 팀하고 색깔이 좀 다르다. 다 같이 모여서 회식하며 단합하는 그런 분위기는 확실히 없다. 대신 우리 팀 연구실이 따로 있다. 선수들이 자유롭게 모여서 공부한다. 연구실 위치가 기원에서 가깝고 연구실 내부 환경도 좋다보니 이젠 다른팀 선수들도 들리더라. 첨엔 연구실에 뭐가 없었는데 선수들이 스스로 책도 가져다 놓고, 이렇게 아늑하게 만들어놨다. 나도 2차전 끝나고 잠이 안오길래 일찍 연구실에 나와 분리수거도 하고 시간을 보냈다.

우리팀은 다 같이 식사 하는 대신, 본인들이 원하는 식당을 정해 알아서 먹는 시스템이다. 커피도 한잔씩 하며 자유롭게 공부하라고 카페도 정해놨다. 팀이 다 같이 모이는 정말 어쩌다 한번이다. 우선 선수들 나이가 어리고, 그리고 술을 마시는 선수도 없다. 또 각자 맘 맞는 사람끼리 편하게 먹고 싶지 않겠는가. 이게 우리 팀 색깔이다.



87272133165703.JPG▲최종국에서 살떨리는 승부를 펼친 김명훈(오른쪽)과 나현이 대국 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명훈 승.


▶마지막 5국, 나현 바둑이 좋았는데 졌다. 나현 본인도, 팀도 굉장히 아쉽겠다.

형세는 나현이 좋았지만, 김명훈 스타일의 바둑이었다. 나현은 복잡하게 유리한 바둑보다 불리하더라도 단순한 바둑을 잘둔다. 그래도 마지막엔 나현이 이기는 줄 알았는데 결국 지더라. 전체적으로 김명훈이 잘 둔 바둑이다.

▶나현과 김명훈 둘다에게 부담스러운 한 판이었을 것이다.

맞다. 나는 그 부담감 때문에 경험이 많은 나현이 이길거라 생각했었다. 근데 나현도 흔들리더라. 다른 스포츠에서도 중요한 판에 꼭 명승부가 안나오다. 부담이 큰거다. 어떻게보면 동료의식, 책임감인데 단체전도 개인전이란 생각으로 둬야 하는데 그게 쉽겠는가.

▶챔피언 결정전에서 선수들이 더 긴장한 것 같았다.

플레이오프전에서 킥스를 만났을 때에 비해.
음… 우리 팀 입장에서 킥스가 굉장히 까끌한 상대였다. 그러다보니 나도, 선수들도 킥스전에 기대치가 좀 낮았다. 반면 정관장은 해볼만 하다고 생각이 드니까 꼭 이겨야한다는 부담감이 컸던 것 같다.

▶나현과 김명훈의 마지막 판이 끝났을 때 대국장 안에 들어가서 두 선수의 복기를 지켜보는 걸 봤다.

복기를 보려고 들어간건 아니고, 우승 팀 인터뷰가 바로 있던데 정관장에서 팀 승리를 결정지은 김명훈이 제일 잘 한 선수 아니겠는가. 김명훈 사진 찍게 보내줘야 될 것 같아서 내가 들어가 정리하려고 했다.

▶나현한테 나가자고 한건가.

'복기 마무리하자'라고 했다. 딱 보니까 승부처도 아닌 곳을 복기하고 있더라. 두 선수 다 그 상황이 버거운거다. 개인전도 아니지, 또 끝났다고 막 돌 걷고 나오기도 어려울거고. 보면 안다. 의미 없는 복기를 두 선수가 하고 있다는걸. 나현한테 (김)명훈이 우승 축하받게 보내주자고 했다.

▶윤찬희가 역전패를 당하고 굉장히 괴로워하더라. 검토실에 왔을 때 어떤 말을 해주었나.

나는 지고 들어왔을 때 따뜻한 말을 건네는 스타일이 절대 아니다. 나도 타이틀도 따보고, 치열하게 승부했던 사람이다. 내가 따뜻하게 위로는 못하지만 바둑을 진 그 심정은 이해한다. 그 상황에선 어떤 말도 위로가 안되고, 또 위로가 필요도, 의미도 없다. 내가 내 자식이 시합 나가서 예선탈락하면 '그래 잘했다. 다음에 잘 하면 돼.'라고 말한다.

그런데 바둑리그 선수들은 이미 그런 레벨을 넘어섰다. 윤찬희가 들어왔을때 '다이긴 바둑 져서 아쉽겠다, 잘했다.' 이런 말? 의미없다. 그냥 '고생했다.' 하고 끝이다. 오늘 윤찬희 들어왔을 때 해주고 싶은 말이 많았다. 근데 그냥 '고생했다.' 하고 말았다.



8428823215701.jpg
▲ 챔피언결정전 1차전에서 승리하며 시리즈를 앞서 나간 포스코.



▶어떤 말이 하고 싶었나.

지금 판 결과에 상관없이 정말 잘했다는 말이 하고 싶었다. 윤찬희가 오늘 졌지만 시즌 내내 본인이 맡은 임무보다, 내 기대보다도 더 열심히 해줬다. 본인은 아마 심정적으로 아쉽고, 팀원에게 미안하겠지만 솔직히 윤찬희가 미안할 이유가 뭐 있나. 오더 내가 짰다. 잘됐어도 내 탓이고, 실패한 것도 내 탓이다. 첫 날 팀은 이겼지만 윤찬희는 졌다. 그날 내가 찬희한테 말했다. 나는 우리 팀 선수 모두 다시 지명할거라고.

바둑리그 감독이 대국 중 타임을 부를 수 있나, 선수들에게 일일이 어떻게 두라고 작전을 짜주겠나, 내가 할 수 있는건 상대전적 열심히 비교해서 오더 짜는거고, 선수들을 제일 편하게 해주는 게 가장 좋은거다.

내일 선수들이 바로 시합이다.(챔피언 결정전 다음날 GS칼텍스배 전체 예선전이 있다) 그래서 다들 가라고 했다. 나도 속상하고, 선수들도 속상하지만 이게 오늘로 끝이 아니지 않나. 나 같은 사람한텐 시합이 이것 뿐이다. 하지만 선수들은 시합이 계속되는거다. 길게 봐야 한다.

▶솔직히 다재다능하시지 않나. 진행자로도 유명하고, 학원 사업도 하고 있고, 그래서 이 정도로 감독직에 애착이 클 줄은 몰랐다.

나만 이런게 아니다. 다른 감독도 다 이렇다. 모든 감독에게 본인 바둑을 지는 게 아픈지, 내 팀이 지는게 아픈지 물어봐라. 장담하는데 다들 대답이 바둑리그 진 게 훨씬 속상하다고 할 거다. 바둑리그 지면 잠도 안온다. 초창기 감독 시절, 내가 기원 근처에 살았는데 팀이 지면 청계천을 다섯시간을 걸었다. 그렇게 날샜다. 심지어 그냥 정규리그였다.


89505701.JPG


▶생각보다 훨씬 다정한 감독인 것 같다. 그렇게 안보였는데(웃음).

최철한한테 보청기 얘기 한번도 한적이 없었다. 그런데 플레이오프에서 강승민이랑 두는데 확실히 최철한 컨디션이 안좋더라. 그때 처음으로 최철한한테 보청기 착용하자고 얘기했다. 그랬더니 별 말이 없더라. 당연한거다. 바둑 지고 기분이 어떻겠나. 더 말도 안꺼냈다. 그런데 챔피언결정전1차전할때 나한테와서 먼저 얘기하더라. 하는 얘기가 '보청기 가져와서 끼려고하는데 전자기기라 괜찮을까요?' 이러는데 순간 드는 생각이 '얘가 대단한건지 정말 특이한건지….

나는 선수들이 정말 본인만 생각했으면 좋겠다. 그 이외의 것은 다 감독인 내가 책임지고 처리하고 싶다. 전자기기를 사용하면 사람들이 뭐라고 할지 이런 걱정을 최철한 본인이 왜하나. 내가 그날 인터뷰에서 최철한 보청기에 대해서 주저리주저리 먼저 얘기했다. 아마 듣는 사람들은 어리둥절 했을텐데 나는 그렇게라도 최철한의 부담감을 줄여주고 싶었다. 그게 감독의 역할이라 생각하니까.

윤찬희도 그렇다. 윤찬희가 져서 흐름이 넘어갔네 뭐네 하지만 윤찬희 욕먹을 이유 하나도 없다. 바둑도 야구처럼 도루, 번트, 채점하듯 세밀하게 점수매기면 연봉 오를 상위권은 무조건 윤찬희다. 정규리그에서 평균 2지명을 만나서 승점을 챙겼다. 본인 할 역할을 충분히 했다.

나현도 마찬가지다. 마지막 판 졌지만, 3차전 두기 전에 내가 나현에게 그랬다. '(나)현아 네가 무조건 MVP다. 2국이든 3국이든, 언제 나와서 이겨도 니가 제일 잘한거다.' 우리 팀 선수들 진짜 고맙다. 다 잘했다. 잘해서 우리가 2등한거다. 나는 우리 선수들 그대로 보유할거다. 정관장도 그럴테고. 내년에 다시한번 붙고 싶다. 우리 선수들이 가만히 있을 것 같나? 내가 아는 우리 선수들은 오늘 진거 분명히 기억하고 되갚으려 할거다.

▶우승 정관장 감독 인터뷰 봤나? 눈물을 보이던데.

얼마나 감격스럽겠나. 나 같아도 그랬을거다. 오늘은 누가뭐래도 정관장 감독 김영삼의 날이다. 축하한다고 문자 보냈다.

▶답장이 왔나.

고맙고, 나보고 내년에 우승하라고 하더라(웃음).

868KakaoTalk_20171205_035327742.jpg

추천 비추천

28

고정닉 2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400581 오로 정용진 강경낭 인터뷰 레전드 [2] ㅇㅇ(112.216) 17.12.21 417 2
400580 최정까는놈들 퓨처스리거와 연구생들 티나네 ㅋㅋㅋ ㅇㅇ(223.62) 17.12.21 99 1
400579 연구생은 입단경쟁상대 후보도 안되는 여자를 깔 이유가 없음. ㅇㅇ(203.226) 17.12.21 70 2
400577 피해의식 찌들은 연구생들 또 나대네 ㅋㅋ [1] ㅇㅇ(223.62) 17.12.21 122 7
400576 최정까는 놈들 특징 ㅇㅇ(223.62) 17.12.21 74 1
400575 좆정 바둑이 시청률 높게 나오긴 하는거 맞음? [2] ㅇㅇ(211.36) 17.12.21 120 3
400574 바둑계 이슈 메이커 순위 ㅇㅇ(223.62) 17.12.21 100 0
400573 이곳은 최정 안티갤이냐? [1] ㅇㅇ(223.62) 17.12.21 96 4
400572 최정? 바둑리그 2승5패 ㅇㅇ(116.120) 17.12.21 102 1
400571 진짜 미안한데 타젬딥젠고랑 [1] 1111(119.148) 17.12.21 147 0
400570 참내 ⬅+이년 죄정 가족인가 ㅋㅋ [1] ㅇㅇ(211.36) 17.12.21 100 5
400569 법에서도 묵비권으로 유리한 진술만을 보장하는데, 5패 최정.변호해줘야해? ㅇㅇ(203.226) 17.12.21 47 3
400568 궁륭산 병신배 결승 네이버 동점 피크 1700 ㅇㅇ(211.36) 17.12.21 57 2
400567 최정팬님 바둑리그 공홈 기록페이지 팩트왜곡으로 고소하세요 ㅇㅇ(223.39) 17.12.21 51 0
400566 이젠 바둑리그에서 대준것도 쉴드질이네 ㅋㅋㅋ ㅇㅇ(115.139) 17.12.21 42 1
400565 강자와 5패 최정 팩트왜곡이면, 양학 신진서 약자와 꽁승도 팩트왜곡이냐? [1] ㅇㅇ(203.226) 17.12.21 70 3
400564 여자바둑이 한국바둑의 유일한희망이다 [4] ㅇㅇ(223.62) 17.12.21 188 8
400562 왜 같은 바둑조무사들끼리 비교하고 싸우냐 ㄹㅈ(211.47) 17.12.21 50 0
400561 김다영한테 1패. 최정컨디션 좋지 않았다고 언급 안하면 팩트왜곡이겠네? ㅇㅇ(203.226) 17.12.21 49 0
400560 1:0 졌다.심판문제,주전이 빠졌다는등 변명을 안쓰면 팩트왜곡인거냐? ㅇㅇ(203.226) 17.12.21 40 1
400558 한게임 몹쓸회사네 사카닭(121.153) 17.12.21 321 1
400557 2승5패라고 말하고,5패에 대한 구구절절한 변명을 안하면 팩트왜곡이라고? [3] ㅇㅇ(203.226) 17.12.21 87 1
400556 권주리 박정환한테 져도 0.001패로 산정해야 [1] ㅇㅇ(203.226) 17.12.21 113 0
400554 바둑리그만 잘두는 이창석 주제파악하고 퓨처스승률부터 올려야 ㅇㅇ(223.39) 17.12.21 40 0
400552 최정이 이길만해서 이긴 원성진... 당신은.....대체.. [2] ㅇㅇ(223.39) 17.12.21 145 0
400551 "알파고 이후 신의한수는 없다" 글 싸지르고 멋진줄 아는애 수준 ㅋㅋ [2] ㅇㅇ(203.226) 17.12.21 127 0
400550 질사람한테 진거니까 2승5패는 팩트가 아니다 ㅋㅋㅋㅋㅋ [2] ㅇㅇ(203.226) 17.12.21 91 4
400549 여자 2위 오유진 [2] ㅇㅇ(116.120) 17.12.21 215 0
400547 쉴드도 기본소양 부족인 사람이 치니까. 사사건건 트집 잡히네 ㅇㅇ(203.226) 17.12.21 39 0
400546 강자하고 지면 1패가 0.5패로 환산 해주나? 팩트왜곡 뜻도 모르고 쓰네 [1] ㅇㅇ(203.226) 17.12.21 62 2
400545 최정 퓨처스 언급을 이세돌 단체전 쪽박으로 비유하면 ㅇㅇ(223.39) 17.12.21 50 0
400544 최정 바둑리그 2승5패. 이게 어디가 팩트왜곡이지???????? [8] ㅇㅇ(203.226) 17.12.21 361 12
400543 별명이 풍운아. 이세돌은 엄청 간섭하고, 최정 공주님은 멀해도 노상관 ㅇㅇ(203.226) 17.12.21 39 0
400542 한게임 인공지능이 그리 세냐 ㅇㅇㅇㅇ(182.218) 17.12.21 157 0
400541 이창석이 최정한테 고마워해야하는거면 이세돌은 왜? [1] ㅇㅇ(223.33) 17.12.21 99 0
400540 친한 친구가 최정인데 ㅇㅇ(223.62) 17.12.21 74 0
400538 자신이 없어요 질 자신이요..이정도 드립력 아니면 입은 안터는게 낫다 ㅇㅇ(223.39) 17.12.21 75 0
400537 옹졸하게 비꼬는 말투로 퓨쳐스 성적 무시하는거하고 판단못하는 사람도있냐? ㅇㅇ(203.226) 17.12.21 79 0
400536 친한 친구와 본인이 셀프디스로 웃음으로 승화 시키는거하고 ㅇㅇ(203.226) 17.12.21 53 0
400535 정답인 수가 보이는데 바둑신이 수내러 가지. 알파고처럼 둘까? [2] ㅇㅇ(203.226) 17.12.21 128 2
400534 한돌이 그렇게 세냐? [3] ㅇㅇ(223.62) 17.12.21 386 1
400533 알파고가 물러난다는건 신의 한수를 몰라 두려움에 안전하게 둔다는 뜻이다 [3] ㅇㅇ(203.226) 17.12.21 133 0
400532 이창석 직접봤는데 [3] ㅇㅇ(223.62) 17.12.21 269 3
400531 이세돌의 말을 빌자면 알파고는 신의 한수를 몰라서, 안전하게 물러난다 ㅇㅇ(203.226) 17.12.21 70 0
400530 알파고가 신의 한수에 도달 했다고 생각하고 내뱉는 소리냐? [2] ㅇㅇ(203.226) 17.12.21 101 0
400529 "알파고 이후 신의 한수가 없다". 란 말하면서 창피하지 않냐? ㅇㅇ(203.226) 17.12.21 76 0
400528 나는 이 질문 보면서 바둑리거와 비리거간 위계관계가 느껴지더라 [2] ㅇㅇ(223.62) 17.12.21 126 0
400526 창석아 임마 퓨쳐스도 열심히 해라...이런말은 [1] ㅇㅇ(223.39) 17.12.21 129 0
400525 이창석 1지명 잡아도. 바둑리거 주전은 2승5패 최정이란 사실을 잊지마 [9] ㅇㅇ(203.226) 17.12.21 262 7
400524 이창석.바둑리그 많이 이기면 머하냐? 퓨쳐스나 많이 이기셔~~~~ [1] ㅇㅇ(203.226) 17.12.21 8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