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산부인과는 정말 포괄수가제 때문에 망한걸까? 알아봤음

의갤러(118.235) 2024.04.01 10:00:02
조회 12606 추천 134 댓글 263

요새 민수햄 욕이 네이버 댓글 점령했던데

대부분 내용이 포괄수가제로 산부인과 망쳐놓고 무슨 낯으로 나오냐 이거더라고?

나도 예전부터 궁금했던거라 진짜 포괄수가제가 산부인과 망한 원인인지 찾아보기로함.


일단 포괄수가제가 뭔지부터 설명해보면...

viewimage.php?id=20b8d42fe6d334af7dacc3b0&no=24b0d769e1d32ca73ce982fa11d02831d33053808284030ab34aa303bbab5c7570d9cc4294cdb396c1219748afdf24977720c1e6cbe7096fe06ed1d91d7068044f7d3d9199ec62f9

기존의 수가제도는 행위별 수가제인데, 말 그대로 행위 하나하나에 수가를 부여하는 방식임. 검사는 검사대로, 처방은 처방대로 하나하나 다 가산함.

행위별 수가제의 문제는 의료의 질과는 무관하게 말 그대로 행위수에만 보상을 부여하기 때문에 과잉진료의 가능성이 있음.


포괄 수가제는 '제왕절개'라는 하나의 종목에 대해 동일한 수가를 지급하는 방식임. 검사를 몇번을 더 하건 상관없이 일정한 금액을 지급받음.

이렇게 되면 의사는 과잉진료를 할 유인이 사라지게 되고, 환자는 더 적은 돈을 내도 동일한 서비스를 받게된다는게 포괄수가제의 도입 배경임.

물론 반대로 과소 진료를 할 가능성, 의료의 질이 저하될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의료의 질'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합의된 바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재입원률'이라는 수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정량화를 함.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42d4ea7fd2ac9a114c2d1971e9e8e4565d2a1fa6cd123fcc46453b01b33a1e80ec417168b7a8b30cb28e8fe


이 연구는 지금까지 나온 논문 죄다 때려박은 메타연구인데, 재원일수 (Length of Stay)는 유의미하게 줄어든 반면 재입원율 (Readmission)은 증가하지 않았다고 함.

사실 Confidence Interval이 (0.62-1.01)로 아슬아슬하게 1에 걸쳐있어서 그렇지 감소했다고 표현해도 무방함 ㅇㅇ

논문 1, 논문 2 물론 한국에만 한정한 연구도 크게 사정이 다르지는 않다. 되려 외래 방문 수가 떨어졌다는 결과도 나옴.


아니 근데 갑자기 가격을 딱 고정해놓으면 뭐먹고 살라고 이러는거냐?

사실 인식과는 다르게 2013년 포괄수가제 정책에서는 행위별 수가제 하에서의 평균적인 진료비에서 18% 높은 수가를 책정해뒀음.

정부 입장에서는 사실 의료비 절감보다는 보장성 확대에 주축을 두고 편 정책이기 때문임.


그렇다면 포괄수가제를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의료의 질이 크게 떨어지는 것은 물론, 조기 퇴원을 강요하는 병원이 늘면서 환자들의 불만도 많아질 것

2. 고객이 내는 비용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급 종합병원으로의 쏠림현상이 일어날것이다.

3. 동시 수술에 대해 동일한 수가를 제공하기 때문에 동시수술을 할 인센티브가 없다.

4. 신 의료 기술을 도입해도 수가가 동일하기 때문에 의료기술을 도입할 인센티브가 없다.


상급종합병원 산부인과에서 포괄수가제 적용 이후 진료형태의 변화

1. 위 연구에 따르면 퇴원 후 50일내 환자 1인당 외래 방문 수/재입원 수를 조사해봤을때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음.

조기퇴원, 의료의 질에 문제가 있었다면 퇴원 후 문제가 생겨 재방문하는 케이스가 증가했었어야겠지?

2. 또한 기존에 포괄 수가제를 진행하던 병원 또한 수술 건수가 감소했고, 상급 종합병원도 비슷한 비율로 감소하였음.

이는 수술 건수 자체가 전체적으로 줄어들었음은 물론이고, 상급 종합병원으로의 쏠림 현상도 예상하던것과는 다르다는것 보여줌.

3. 이건 제법 타당한 주장이고, 실제로 2015년부터 동시수술에 대한 별도 수가가 인정되도록 개정됨. 마취과 전문의 초빙료 또한 신설되었음.

4. 이것 또한 적절한 인센티브를 통해 해결 가능함. 미국을 예시로 들면, 신 의료기술이 효과가 있고 경제성이 있다고 예상되는 경우, 50%에 달하는 '별도 보상'을 2~3년의 짧은 기간동안 보장해줌. 그 동안 보상을 받기 위해 병원들이 신의료기술을 도입하면 나머지 병원도 경쟁을 따라가기 위해 기술을 도입한다는 발상임.


아무튼 포괄수가제가 의료계 주장과는 다르게 일장일단이 있다는 것은 차치하고 산부인과가 망한 원인이 포괄수가제 때문인지 찾아보기로 함.

7ced8674b3856ae87eb1d19528d527030cadbe2cc138d6

먼저, 산부인과 전문의 배출은 포괄수가제 적용 시점인 2013년 이전에도 꾸준히 감소하고 있었음.

출산율 감소에 의한 기대수익 감소, 피안성으로 대표되는 비급여 시장 확대는 기존에도 존재한 문제이기 때문임.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42d4ea7fd2ac9a114c2d1971e9e8e4565d2a1fa6cd023fdc46457b51b33457312e0d0c1e9ee59daadbf8520


포괄수가제 전후의 개/폐업 비율 통계임.

어! 포괄수가제 적용한 2013년에 피크찍었네! 싶을 수도 있지만 사실 전년도보다 폐업한 의원의 절대적인 수는 적음.

오히려 전문의 배출 감소에 의한 개업 감소가 직접적인 원인이고, 이후로는 개/폐업 비율이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줌.

그리고 전체적인 개/폐업 비율도 볼 필요가 있음. 산과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폐업 비율도 2013때 피크를 찍었음. 아마 리먼사태 영향이 아닐까 추측해봄.


74e9897eb6ed69e864afd19528d52703efae0414ff05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42d4ea7fd2ac9a114c2d1971e9e8e4565d2a1fa6cd723fdc86451b51b330d9c30b2c1360b16fcc3a0439d15

이건 산부인과 전문의 배출 건수임. 애초에 포괄수가제 시행 전부터 파멸적인 하락을 시작하고 있었다는 뜻임.

또 2013년도에 전공의를 시작했다고 해도 2017년에면 전문의가 되어있을텐데, 전문의 배출은 오히려 늘어남.

물론 산부인과 전문의 배출 건수와 산부인과 장래성에 얼마나 관련이 있냐? 하면 사실 그렇게 관련이 없을 수도 있긴 함. 전공의들이 전공 선택할 때 시장 상황을 잘 모를수도 있긴 하니까. 참고만 하라고 올려둠.

이건 별개의 이야기인데, 여성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비슷하거나 늘어나는데 남성 산부인과 전문의만 급속도로 퇴출된다는게 재밌는 통계임.

야간 분만같은 일은 보통 육아 등등의 문제로 남성 전문의가 담당했는데, 분만 건수 감소랑도 관계가 있지 않을까? 싶음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5876

 


또 포괄수가제 이후로 돈 안되는 자연분만 안하고 제왕절개만 한다!라는 말이 있음

근데 포괄수가제 탓이라고만 보기는 힘든것이.. 제왕절개 비율의 증가는 전세계적인 트렌드임.

그 이유는 산통을 참기 힘들어서, 계획출산이 늘어서, 노산 비율이 늘어서 등등 다양하지만 단순 포괄수가제 영향은 아니라는거임.

7fed8173b5816af33ee983e14687706ec17984d0a4d4547ae6b4465434f6fcc0

그리고 우리나라는 포괄수가제 전에도 원래 제왕절개 비율이 높았음..


산부인과가 망하던건 포괄수가제 이전에도 있던 현상이고, 포괄수가제 이후로 가속됐다는 근거는 미비함. 

출산율 감소는 이전에도 있던 문제이고 피안성정으로 대표되는 비급여과, 영상의학과 등으로 대표되는 워라밸과의 등장으로 더 폭망한거임.



출처: 의대증원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34

고정닉 18

7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41613
썸네일
[이갤] 가수 이홍기가 제일 싫어하는 타입.jpg
[452]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36219 533
241612
썸네일
[야갤] 전주 공장...19세 노동자 사망 ㄹㅇ...jpg
[1173]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50678 871
2416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의 몰락, 그리고 미국과 유럽.jpg
[897]
ㅇㅇ(1.218) 10:10 26710 149
241608
썸네일
[도갤] 한국건축의 이해 - 9부 [탑파건축 개론]
[37]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8054 38
241607
썸네일
[기갤] '가만두지 않겠어', 황소 돌진해오자 번개처럼 나타나.jpg
[18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0 19530 70
241605
썸네일
[싱갤] 아무도 모르는 성경책의 위력 JPG
[310]
잼민이(222.120) 09:40 35301 135
241603
썸네일
[이갤] 경품 행사 당첨되어 200여개 회사에 경품 받으러 갔다가 망한 중국인
[125]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4155 145
241602
썸네일
[디갤] 태국의 꽃들
[25]
북극여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8514 25
241598
썸네일
[싱갤] 중국중국 중국에서 유래된 음식
[662]
콘스탄티니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0 26312 126
241597
썸네일
[카연] 유령자국 3화
[12]
오탈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0 6857 27
241595
썸네일
[군갤] 풍익 이름의 유래
[9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0 14378 119
241593
썸네일
[교갤] 서산 - 태안 - 안면도 - 보령 완행버스 여행
[61]
강수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8922 46
24159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차대전 참전한 히틀러.jpg
[277]
ㅇㅇ(110.12) 08:20 20263 133
241590
썸네일
[로갤] 픽도의 SR-01 슈퍼삐약이 후기-2
[59]
CHICA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6950 29
241588
썸네일
[싱갤] 울트라맨 제작 현장
[101]
ㅩㄺ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0 18295 149
241587
썸네일
[이갤] 42세 김신영의 동안 비결.jpg
[384]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32045 73
241585
썸네일
[수갤] 김수붕도 할 수 있다! 밸류 연습하기
[50]
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9627 70
241583
썸네일
[싱갤] 열심열심 가수지망생 1일1식 다이어트 유튜버.jpg
[353]
ㅇㅇ(112.144) 07:30 31522 235
241580
썸네일
[기갤] 물개에 돌 던지고 괴롭힌 남성, 경찰 추적.jpg
[2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7754 60
241578
썸네일
[이갤] 아내에게 성형수술 강요하고 수술 후 약물 과다복용으로 살해한 남편
[135]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0 31333 93
241576
썸네일
[싱갤] 역대 팔씨름 세계최강자 계보 (1) .jpg
[222]
ㅇㅇ(175.112) 01:50 24649 123
241574
썸네일
[기갤] 7층 창틀에 매달린 아이…소방호스 묶고 내려가 구해.jpg
[1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0 25003 45
241572
썸네일
[이갤] 간헐적 단식의 효과...jpg
[560]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53542 107
24157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발정기에 관한 오해
[266]
ㅇㅇ(220.124) 01:20 60214 235
241568
썸네일
[카연] 인외마경 톱머리 결전
[57]
염승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19573 78
241566
썸네일
[기갤] 20억 들인 다리인데? 홍수로 완공 직전 붕괴.jpg
[1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0 30598 62
24156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임기중 체포당한 대통령.jpg
[134]
99대대통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0 32337 195
241562
썸네일
[누갤] 미국 영화의 극적인 액션 연출 발달 과정
[98]
누븅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0 22056 37
24155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NTR 레전드........
[2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0 56230 421
241556
썸네일
[기갤] 유재석이 너무 맛있어서 잊을 수 없던 빵.jpg
[2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0 43844 65
241554
썸네일
[이갤] 청담역 1분거리에 뷰가 엄청 좋은 전세 2억 7천 청담 자취방.jpg
[428]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0 35954 57
24155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피카소 그림 변천사.jpg
[296]
99대대통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6495 268
241550
썸네일
[카연] 본인... 문신충이 된 사연... 下 .manhwa
[108]
나나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0830 129
241548
썸네일
[야갤] 북한 밥상 먹어보는 탈북 가족
[528]
야갤러(211.234) 06.22 40873 520
24154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러우 전쟁에서 가장 억울하게 죽은 군인
[320]
운지노무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7186 497
241544
썸네일
[모갤] 스압)트램 아포칼립스 디오라마 제작기 -조립편
[20]
감자포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6097 26
24154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짠게 아니면 말이 안되는 마술
[285]
이게뭐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0851 91
241540
썸네일
[카연] 전학생의 XXX를 먹고 싶어하는 여고생..! manhwa 3화
[133]
니소라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27673 162
241536
썸네일
[디갤] 24년 상반기 결산 with 800D
[29]
12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7094 37
241534
썸네일
[싱갤] 도파민에 미친 인간들이 만든 격투기 대회..gif
[557]
환송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50045 206
241532
썸네일
[야갤] 이 멤버로 이게 최선? 국민 욕받이 된 잉글랜드 감독.jpg
[2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25411 59
24153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국왕 사망원인 레전드.jpg
[269]
99대대통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50268 239
241528
썸네일
[여갤] 김수망 캐스팅썰
[60]
iRecreati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19691 82
241526
썸네일
[부갤] 인구 25%가 이민자?"..이민자들에 의해 무너져가는 네덜란드 경제상황
[572]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3503 214
241524
썸네일
[카연] 로봇술래잡기 2화
[53]
sgtHw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11639 104
241522
썸네일
[싱갤] 후룩후룩 한국 짬뽕 먹어본 일본인
[391]
ㅇㅇ(218.39) 06.22 55589 284
241520
썸네일
[주갤] 애낳았는데 여혐할것 같다는 대형커뮤니티 여성회원
[445]
ㅇㅇ(211.41) 06.22 42614 575
241516
썸네일
[야갤] 코로나19가 남긴 '상흔', 학력 회복은 어떻게?.jpg
[1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23678 56
2415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모자란놈 미친놈 이상한놈.jpg
[239]
99대대통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53945 609
241510
썸네일
[야갤] 어제자) 한 달 식대만 4천만원이라는 걸그룹...jpg
[34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8251 9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