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투자 보고서: 귀여움과 경험의 힘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0 00:00:01
조회 18992 추천 35 댓글 44

Build-A-Bear Workshop, Inc(NYSE: BBW). 투자 보고서: 귀여움과 경험의 힘



7bbb877ee7846cf337ef85b413d272643f3469867784454d016a8746aacfe38fa4c3738d96a79f43dbfef0cea7fd2fa4

요약:

Build-A-Bear Workshop, Inc.(이하 Build-A-Bear)는 귀여운 장난감 시장에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고객이 직접 커스텀 인형을 만들 수 있는 독특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족 단위 고객을 대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모든 성공 뒤에는 도전과제가 따르기 마련. Build-A-Bear 역시 여러 어려움을 마주하며 힘든 시기를 겪었다. 하지만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혁신적인 변화 전략을 통해 성공적으로 부활했다.



098ef376b78a61e864afd19528d52703a87c0beae5f8d685

이 회사의 핵심 경쟁력은 '경험 경제'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 오늘날 장난감 시장은 단순히 제품을 파는 것을 넘어, 경험을 파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Build-A-Bear는 바로 이 흐름을 정확히 간파했다. 고객들에게 인형을 직접 만들고, 애정을 담아 완성품을 안아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장난감 그 이상의 가치를 창조했다. Build-A-Bear의 경험은 가족 간의 사랑을 연결하는 특별한 가치가 되었다.




0fa8d92ae1d33aa36fad9bbd13d0362945e87a6d8a1f6588946069ba7dec3801

과거의 성공과 도전:

Build-A-Bear의 성공 스토리는 199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들은 가족 단위 고객을 위한 특별한 장난감 가게를 열었다. 고객들은 직접 곰인형의 형태를 고르고, 솜을 채우고, 목소리와 하트를 넣으며 자신만의 인형을 만들 수 있었다. 이 독특한 경험은 큰 인기를 끌었고, Build-A-Bear는 미국 전역에 매장을 확대하며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2008년 경제 위기는 그들의 주요 고객층이었던 미국 중산층 가정에 타격을 주었다. Build-A-Bear의 매출과 수익성은 경제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했다. 또한, 온라인 쇼핑의 성장과 전통적인 쇼핑몰의 쇠퇴는 Build-A-Bear의 오프라인 매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일시적인 매장 폐쇄는 또 다른 도전과제였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389d63d66f79813cd6e82c8eeb9a3b06b9e31d43c3b2bfa

기본에 충실한 변화:

Build-A-Bear는 어려움 속에서도 기본에 충실하며 변화하는 전략을 택했다. 그들은 곰인형이라는 핵심 제품에 집중하면서도, 다양한 캐릭터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고객층을 공략했다. 동물의 숲, 포켓몬, 산리오와 같은 인기 캐릭터들을 인형으로 제작하며, 컬렉터들과 젊은 세대들의 관심을 끌었다. 온라인 판매 채널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홈페이지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개선을 통해 바쁜 현대인들과 전 세계의 컬렉터들이 쉽게 인형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전략은 온라인 매출의 급격한 상승을 가져왔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2cfb403d516b67a8843c76caecf1d208ed307eac4ff0ae9923184b7919e7116c73fb956

오프라인 매장의 진화:

Build-A-Bear는 오프라인 매장의 중요성도 간과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오프라인 매장을 경험의 중심지로 탈바꿈시켰다. 쇼핑몰을 벗어나 관광지, 유원지, 그리고 월마트와 같은 사람들의 발길이 닿는 곳으로 매장을 확대했다.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고객들과의 접점을 늘리고, 그들의 추억을 자극했다. 과거의 고객들이 어른이 되어 월마트에서 Build-A-Bear 매장을 발견하고 놀라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그들은 어린 시절의 즐거운 기억을 떠올리며, 자신의 아이들에게도 그 경험을 선물하고 싶어질 것이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389d63d66f69c17cd6ed381163840908870cfaa9bf071a3

강력한 브랜드 충성도:

Build-A-Bear의 독특한 경험은 강력한 브랜드 충성도를 만들어냈다. 그들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 중 80%가 이미 구매 의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uild-A-Bear의 경험이 고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추억을 선사했음을 보여준다. Build-A-Bear는 곰인형이라는 제품을 넘어, 고객들과 인형 간의 관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기 위한 콘텐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스토리텔링, 이벤트, 그리고 디지털 경험을 결합한 새로운 전략을 통해, 고객들과의 연결고리를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





재무 현황:

Build-A-Bear의 재무 상태는 건전하다. 2023 회계연도 기준, 총 매출은 3억 7,54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84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 순이익은 1,9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Build-A-Bear의 전략이 시장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2cfb403d516b67a8843c76caecf1d208ed307eac4ff0ae9c43883e49d902041c725a736

미래 성장 전략:

Build-A-Bear의 미래 성장 전략은 경험 경제를 더욱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캐릭터 콜라보레이션을 확장하여,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끄는 캐릭터들을 인형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온라인 판매 채널을 강화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와 인플루언서 마케팅에도 투자할 예정이다. 또한, 오프라인 매장은 더욱 경험 중심적으로 변화할 예정이다.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인형을 만드는 것을 넘어, 다양한 체험 활동과 이벤트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389d63c63f89f14cd6ea74a9fb67311668c951f27cfecd9

투자 매력도:

Build-A-Bear는 단순히 곰인형을 파는 회사가 아니다. 그들은 고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과 추억을 선사하며, 가족 간의 사랑을 연결하는 특별한 가치를 만들어냈다. 이 회사의 진정한 가치는 제품이 아니라, 고객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경험에 있다. Build-A-Bear의 건전한 재무 상태와 성장세는 이러한 가치를 반영한다. 현재, 이 회사의 시가총액은 그들의 잠재력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Build-A-Bear는 경험 경제의 흐름을 정확히 간파하고, 고객들과의 연결고리를 강화하는 데 집중했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389d63d66f79d14cd6e27613f245a63fd5325df871ea59e

결론:

Build-A-Bear Workshop, Inc.는 귀여운 장난감 시장에서 경험의 힘을 이해한 기업이다. 그들은 고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하며, 가족 간의 사랑을 연결했다. Build-A-Bear의 성공 스토리는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혁신적인 변화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회사는 경험 경제의 흐름을 정확히 간파하고, 고객들과의 연결고리를 강화하는 데 집중했다. Build-A-Bear의 미래 성장 전략은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확장, 온라인 판매 채널 강화, 그리고 오프라인 매장의 경험 중심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Build-A-Bear는 단순한 장난감 회사가 아니라, 경험을 파는 회사로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을 만한 매력적인 투자 기회이다. Build-A-Bear, 그들은 귀엽다.




추가 부록

Build-A-Bear Workshop, Inc. 개요

Build-A-Bear Workshop, Inc.는 1997년에 설립된 델라웨어 주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 어린이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직접 참여하여 자신만의 테디베어와 기타 플러시 장난감을 만들고 꾸밀 수 있는 몰 기반의 체험형 전문 소매점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6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2억 4천만 개 이상의 인형을 판매하며, Build-A-Bear는 높은 소비자 인지도와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갖춘 기업으로 성장했다.


Build-A-Bear는 다양한 사업 전략을 통해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직접 관리, 파트너 운영, 국제 프랜차이즈 모델을 통해 글로벌 매장 수를 확대하고 있으며, 선물용, 수집품, 라이선스 제품에 초점을 맞춘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판매 채널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아웃바운드 라이선싱 계약을 통해 플러시 장난감 이외의 카테고리로 사업을 확장하고, 엔터테인먼트 및 스포츠 라이선스를 획득하여 타겟층을 확대하고 있다.


Build-A-Bear는 독특한 체험 매장의 글로벌 확장, 포괄적인 디지털 혁신 가속화, 투자 이니셔티브를 통한 수익성 있는 성장 추구 등을 주요 전략적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매출과 이익 성장을 도모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며, 다양한 소비자 세그먼트에 도달하고자 한다.


경쟁:

Build-A-Bear의 사업 분야는 다양하며, 여러 카테고리의 경쟁자들이 존재다. 그들의 시그니처 제품인 테디베어와 플러시 장난감은 장난감 카테고리에 속하며, Ty, Mattel, Hasbro와 같은 기업들과 간접적으로 경쟁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및 종합 소매업체, 장난감 전문점과도 경쟁하고 있다. 선물용과 친밀감 있는 사업의 성장과 함께, Vermont Teddy Bear, Funko, 1-800 Flowers와 같은 다양한 소매업체와 온라인 회사들도 경쟁사로 꼽힌다.


Build-A-Bear의 매장 경험은 엔터테인먼트와 소매의 독특한 조합으로, 직접적인 경쟁은 제한적이다. 그들의 경험은 가족 간의 사랑을 연결하는 특별한 가치가 되었으며, 이는 강력한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했다. Build-A-Bear는 고객들과의 연결고리를 강화하는 데 집중하며, 경험 경제의 흐름을 선도하고 있다.


월가 헤지펀드 판 골목식당 "Pod Shop" 이슈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289d63366f99c11cd6e3866ff66d0ecd7b9e340e79838e8d2

0. 부제: 포드 샵: 혁신인가, 혼돈인가?

다중 전략 헤지펀드, 일명 "포드 샵(Pod Shops)"은 헤지펀드 업계에서 가장 핫한 트렌드 중 하나다. 다양한 전략을 한 곳에 모아 투자자들에게 시장 변동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익을 약속하는 혁신적인 모델이다. 그러나 포드 샵의 부상은 여러 가지 리스크와 부작용을 가져왔고, 업계는 이제 그 미래를 고민하고 있다.
이 글은 포드 샵의 운영 모델, 리스크, 그리고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며, 특히 한국에서는 최초로 논의되는 이 핫한 이슈에 대해 흥미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만약 당신이 금융 지식이 거의 없다면 파란색으로 쓴 문단 4번, 5번만 읽어도 무관하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289d63367f29f14cd6e5c97ead94bc07e2265598ba6bd4e43

1. 헤지펀드 판 "혼자면 죽고 뭉치면 산다"

포드 샵의 핵심은 여러 개의 개별 투자 팀을 모아 "포드"를 형성하는 것이다. 각 포드는 특정 전략을 담당하며, 이를 통해 전체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한다. 주식, 채권, 상품, 파생 상품 등 다양한 자산 클래스에 걸쳐 자본을 동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포드 샵의 부상은 다양한 요인이 합쳐진 결과다. 특히 은행의 독점적 거래 활동을 제한하는 볼커 룰(Volcker Rule)의 시행이 두드러진다. 또한, 규제 장벽의 증가, 창업 비용의 급증, 기존 펀드에서 포드 샵으로의 인재 유출도 이 추세를 가속화했다. 포드 샵은 투자자들에게 시장 변동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익을 약속하며, 특히 불안정한 시기에 매력적인 제안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포드 샵의 운영에는 잠재적인 리스크와 부작용이 있다. 운영 비용 상승, 인재 확보 전쟁, 규제 기관의 조사 증가 등은 포드 샵과 관련된 주요 도전과제다. 또한, 포드 샵의 운영 모델은 단순히 잘 나가는 전략들을 훔친 "복사-붙여넣기"의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289d63366f79e12cd6ecc57212bc2bbf4592e1dd8bf2ef5

2. 리스크 다각화라는 허울

포드 샵의 운영 모델은 여러 개의 개별 투자 팀을 결합하여 "포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포드는 특정 전략을 담당하며, 전체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는 동시에 수익을 극대화다. 그러나 이는 또한 리스크를 다각화한다는 명분으로 메뉴판을 왕창 늘리고 운용수수료만 비싸게 받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포드 샵은 다양한 전략을 결합함으로써, 단일 시장 부문의 하락세에 의해 타격을 받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적 위험을 줄이고 투자자들에게 보다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한다. 그러나 여러 포드가 유사한 전략을 구현하거나 동일한 자산에 투자할 경우, 그들의 행동은 시장에 피드백 루프를 생성하여 가격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 즉 리스크를 다각화 한다는 말은 다 뻥이고 오히려 헤지펀드의 전략을 난잡하게 만들 뿐이라는 것이다.

또한, 포드 샵의 운영 모델은 규제 기관의 주목을 받았다. 레버리지 사용, 시스템적 위험, 투명성 부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업계에 추가적인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 규제 준수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과정이 될 수 있으며, 규제 기관과의 적극적인 대화가 있다지만 아직까지 미진할 따름이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289d63366f69d14cd6e6290996a33c285a96836df7b02c3

3. 헤지펀드 업계의 "백종원 선생"을 기다리며

포드 샵과 관련된 리스크 중 하나는 재상관 위험이다. 다양한 전략과 자산 간의 상관 관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상관관계가 갑자기 급증하면 포드 샵의 변동성이 증가하여 마진 콜을 유발할 수 있다. 마진콜은 포드 샵이 마진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자산을 매도하도록 강요하여 시장 하락을 악화시킬 수 있다.

포드 샵은 이러한 재상관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했다. 그들은 역사적으로 미국 주식시장에만 초점을 맞추는 대신 다양한 자산군과 지역에 걸쳐 다각화했다. 또한, 포드 샵은 상관 관계 추세를 모니터링하고 변화하는 시장 역학에 맞게 전략을 조정하여 재상관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포드 샵의 미래는 불확실하다. 투자자들은 높은 수수료와 제한된 유동성에 실망할 수 있다. 또한, 규제 기관의 조사와 금융 파트너의 변화하는 우선순위는 업계에 추가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다. 포드 샵이 지속적으로 성공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시장 역학에 적응하고, 혁신하며, 회복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쉽게 쓴 버전
4. 여기 뭐 잘해요? 일단 저희 열심히 다 하긴 해요~
아마 이쯤 되면 이 글을 생략하고 3줄요약으로 넘어갈 수도 있겠다. 하지만 금융업계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724e8c89fd1e5ff789ef38b51b90e4a71542293b01e7d964bc
성공한 식당에 손님이 몰리듯이, 헤지펀드 업계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몇몇 헤지펀드에서 고객이 고를 수 있는 메뉴를 늘리니 성공을 한 것이다.
마치 해물집에서 돈까스 메뉴 추가했더니 대박 난 케이스다. 우리는 이를 "포드 샵"이라고 부른다.

이게 워낙 잘 나가니 비슷한 전략을 모방한 "포드 샵"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이는 마치 인기 있는 식당의 메뉴를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는 것과 같다.

즉, 하버드 다닌 사람들이 엄청난 노력을 해도 옆집 가게에서 "딸깍" 전략을 복사해버리니 현타가 온 것이다.
이러니 다들 김밥천국을 차리는 실정인 것이다.
앞서 말했던 리스크 다변화는 핑계다. 마치 실력없는 식당에서 매출이 안 나와 메뉴를 늘리는 멍청한 선택과 똑같다.

콧대 높던 월가 헤지펀드 업계는 "고급 레스토랑"를 추구했던 과거와 달리, "김밥천국"과 같은 단순 전략 복제 프랜차이즈로 변하고 있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289d63263f99c11cd6eebb6c3de31c2ae556dd646935437

5. 이 모든 메뉴 다 먹어도 안전해요?

그러나 포드 샵의 운영 모델은 만능이 아니다.
김밥천국이 메뉴 다양화로 인해 식자재 관리에 취약한 건 다들 알 것이다.
참 웃기게도 포드 샵 또한 유사한 약점을 가지고 있다.

포드 샵은 한 가지 전략 또는 식재료(우동다시)를 사용하여 다양한 메뉴(김치우동, 얼큰 우동, 어묵 우동 등)를 만드는 것과 같다.
만약 그 한 가지 전략이나 식재료에 문제가 생긴다면, 전체 포트폴리오 또는 메뉴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 Pod Shop으로 쏠림 현상이 심해지면서 헤지펀드 내부에서 수익률을 위해 무리한 일을 벌이고 있다는 내부자 인터뷰도 꾸준히 나오는 상황이다.
마치 김밥천국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자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불법적인 영업활동을 하는 사장과 똑같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포드 샵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량은 월가 헤지펀드 전체 중 25%까지 차지하게 되었다.
이는 7%였던 3년 전에 비해 무려 3배가량 오른 수치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289d63362f09d12cd6e37c43f23df627e093acf4e7f5803

이들의 욕심은 여전하다. 그리고 이제는 전세계의 연기금까지 이 전략을 따라하려고 한다.


아직까지 포드 샵에 대한 규제는 미비한 수준이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잠재적인 위험을 안겨주고 있다.
포드 샵의 운영에는 높은 운영 비용, 인재 확보 전쟁, 규제 기관의 조사 증가 등 여러 가지 도전과제가 뒤따른다.

김밥천국 또한 규모가 커지고 메뉴가 다양해지면 식재료관리가 더 어려워지는 것이 상식이다.
따라서 포드 샵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각 포드의 전략과 리스크 관리에 대한 투명성이 부족해질 수 있다.
FT에 따르면 향후 주식시장에서 가장 큰 리스크가 될 수도 있다는 평이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289d63366f79c12cd6e9134e7c23e661c33652f39335cd3

6. 결론: 적응, 혁신, 그리고 투명성

포드 샵의 부상은 헤지펀드 업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모델은 투자자들에게 시장 변동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익을 약속하며,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수익성 높은 부문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성공에는 여러 가지 리스크와 부작용이 뒤따른다. 운영 비용 상승, 인재 확보 전쟁, 규제 조사 증가, 전략 복제 프랜차이즈의 확산 등은 포드 샵과 관련된 주요 도전과제다.

포드 샵이 지속적으로 성공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시장 역학에 적응하고, 혁신하며, 회복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규제 준수, 투명한 보고, 강력한 거버넌스를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한, 포드 샵은 그들의 전략을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며, 투자자들에게 투명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허나 이 과제를 무시하고 형편없는 헤지펀드들이 몸집을 키우기만 급급하면...
Financial Times의 마지막 문단을 인용하며 마무리하겠다.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cd6a7e289d63263f29810cd6e52c97b86883f18909ce913c95e0d




출처: 나스닥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5

고정닉 8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815/2] 운영자 21.11.18 5592048 430
23842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나만을 좋아하는 팬
[12]
담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459 11
238427
썸네일
[이갤] 대한민국 축구 주장의 근황
[4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0 1647 39
238424
썸네일
[위갤] 위증리) 기원 증류소 투어(feat 차량 바사삭)
[70]
LiverArchi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7580 36
238422
썸네일
[야갤] 다른곳보다 메탄 배출 15배.. 온실 가스 줄줄 샌다는 이곳.jpg
[1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5 12370 45
238420
썸네일
[이갤] 길들여져있는 가공식품을 줄이는 방법
[191]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19438 36
23841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생각자체를 하면 안되는 이유
[351]
ㅇㅇ(117.111) 01:16 23581 52
238416
썸네일
[디갤] [소니] 막삼 사진 재탕 50pic
[18]
여행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5922 12
238414
썸네일
[유갤] 최근 방송에 나온 한국 그림계의 거장이 될 것 같은 남학생
[305]
ㅇㅇ(185.114) 00:55 20836 171
2384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좆소고양이(좋았쓰!!) 만화모음9.manwha
[139]
까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5 22448 139
238410
썸네일
[야갤] 최대 규모 작전 펼친 이스라엘군, 가자 주민 수백명 희생.jpg
[3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14793 71
238408
썸네일
[야갤] "'골룸' 수준 탈모였는데..", 반가워할 소식 전해졌다.jpg
[17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5 20304 87
238404
썸네일
[야갤] 소분 힘들어도 "큰 거 주세요", 달라진 소비자들.jpg
[23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5 26843 124
23840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나치즘은 좌파사상.jpg
[825]
ㅇㅇ(110.12) 06.10 17347 268
238400
썸네일
[이갤] 반박부터 하는 애들 특징..jpg
[5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7763 185
238398
썸네일
[군갤] 소련제 총검의 쓸모없는 기능
[66]
357Ma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1212 65
23839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게임 리뷰촌 - '아이작의 구속' 편
[56]
노무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9991 32
238394
썸네일
[야갤] 스압)18년만에 범인검거한 노원주부살인사건
[133]
야갤러(211.234) 06.10 12697 130
238392
썸네일
[야갤] 군인 사망...셀프 탄원서 제출함...jpg
[397]
ㅇㅇ(121.133) 06.10 27018 318
238390
썸네일
[야갤] "해외출장, 일단 예약해", 줄줄 새는 국민 세금.jpg
[2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7162 140
238388
썸네일
[카연] (ㅇㅎ) 기후재앙과 저출산을 걱정하는. manhwa
[78]
새만화금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9517 179
238386
썸네일
[싱갤] 일본에서 민폐짓 했던 어느 유튜버 근황
[23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0104 237
238382
썸네일
[이갤] 3명 죽이고 무기징역받은 한국의 연쇄살인범..JPG
[191]
leel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9252 119
238380
썸네일
[야갤] "이게 불법이 아니라고요?", 날벼락 맞은 개미들 '폭발'.jpg
[2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8252 107
238378
썸네일
[대갤] 日교원단체, 오사카 엑스포 초대 단호히 거절... 이유는 가스폭발
[130]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3363 101
238376
썸네일
[메갤] 일본인에게 한중일 이미지에 대해서 질문했다
[43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4824 186
238374
썸네일
[싱갤] 고전고전 달리는 버스에서 짜장면 시켜먹기...jpg
[195]
빠요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8727 210
238372
썸네일
[이갤] 풍자 닮았다는 소리 많이 듣는 송가인.jpg
[30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8887 315
238368
썸네일
[야갤] 주운 카드로 골드바를? 분실카드 117번 긁었다.jpg
[19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2014 121
238366
썸네일
[싱갤] 90년대생 추억vs 00년대생 추억
[475]
ㅇㅇ(223.39) 06.10 31223 184
238364
썸네일
[블갤] 래틀링 걸 만들기~
[195]
BBiyag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3835 53
238360
썸네일
[야갤] 최근 개봉한 초특급 대작영화.JPG
[513]
멸공의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8237 391
238358
썸네일
[야갤] 아니 밀양 렉카들 또 엄한사람 인생 망쳤네 ㅋㅋㅋㅋ..jpg
[944]
성소리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5972 383
238356
썸네일
[대갤] 프랑스 제과·제빵 그랜드슬램 달성한 한인 제빵사 서용상 씨
[24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9540 237
238354
썸네일
[이갤]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세가지...jpg
[392]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6013 88
23835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서양판 풍수지리
[193]
ㅇㅇ(210.104) 06.10 24412 140
238350
썸네일
[야갤] 고려대생 앞에서 절대 하면 안 되는 말.jpg
[7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5160 375
238348
썸네일
[기갤] '스쿨존' 갑자기 없앤다는데, "찬성한다" 공문 보낸 학교.jpg
[32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5603 38
238346
썸네일
[이갤] 노벨상을 받은 의외의 국가들
[4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1758 163
238344
썸네일
[야갤] 오늘자) 백종원 홍콩반점 2탄, 재교육과 재점검.jpg
[5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5777 245
238342
썸네일
[싱갤] 대한민국 역대 최강의 스펙 1탑.jpg
[726]
ㅇㅇ(221.143) 06.10 51390 887
238340
썸네일
[야갤] [단독] "게임 레벨업해드릴게요", 돈만 뜯은 사기범 검거.jpg
[37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5374 103
238339
썸네일
[부갤] 임금 격차가 인구소멸 이끌어“..일본, 역대급 저출산에 충격적인 상황
[588]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6968 137
238336
썸네일
[카연] 높고 어두운 뱀파이어 성 탐험하는 만화
[102]
전기톱장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5750 210
238334
썸네일
[야갤] [단독]'보좌진 채용 대가로 돈거래'..검찰, 초선 의원 수사.jpg
[1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2863 173
23833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9세기 유럽 선교사들이 본 조선.jpg
[628]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8641 283
238331
썸네일
[기갤] 등 번호 10번, '영원한 캡틴'.. 마지막도 김연경다웠다.jpg
[1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3125 22
238330
썸네일
[이갤] 한국의 사회 문제 원인은 한국교육이다...jpg
[890]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6895 227
238328
썸네일
[야갤] [단독] "북한군, 대남 확성기 설치 중".. 군, 도발 대비.jpg
[4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1168 78
238327
썸네일
[국갤] [단독] 탈북 어민 강제 북송 재판, 7개월 만에 공개로 전환
[293]
...(118.235) 06.10 15290 35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