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30번째길래..

유나미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3.12.11 00:29:38
조회 1055 추천 27 댓글 14
														

viewimage.php?id=28bcc232edc32da765ba&no=29bcc427b18777a16fb3dab004c86b6f3ef31427baf7278b6f892d15b023c250d575d105f2b231a4ae2ef3782bcd8ea3b3d721102b1389a2aee1d21b


2013.12.6 석간 후지
"경계하라! 생사를 가르는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제30회 강진을 과소평가하는 위험한 '상식'

대지진의 흔들림이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도 훨씬더 크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지난 번에 다룬 고감도 지진계와 달리, 이번에는 감도를 낮춘 지진계에 대해 얘기를
하겠다. 왜 그런 게 필요한가. 일부러 무딘 식칼을 마련하는 것같다고 생각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중요한 관측이다. 고감도 지진계로는, 근처에서 대지진이 일어났을 때
기록한도를 넘어버려, 땅의 흔들림을 정확히 기록하지 못하게 된다. 그때문에 저감도의
지진계 '강진계(强震計)'가 필요한 것이다.

그것은 지진의 진동이란 것이, 지면을 1,000분의1mm도 움직이지 않는 작은 진동이
있는가 하면, 수십cm나 움직이는대지진까지 있기 때문이다. 대지진의 경우에 지면이
얼마나 흔들리는지는 건물을 지을 떄 중요한 정보가 된다.

고베대지진(1995년) 이후, 일본전국에 강진계가 증설됐다. 지금은 일본전국에 1,000개나
있다. 세계제일의 밀도다. 이런 강진계가 설치됨으로써, 지금까지 몰랐던 것을 알게됐다.
그중 하나는 대지진의 흔들림이 이전까지 생각됐던 것보다 훨씬 큰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지진이 건물을 흔들 때에는 지진의 '가속도'에 비례한 힘이 걸린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값에 물체의 무게를 곱한 힘이 걸린다. 가속도의 크기는 'gal'이라는 단위로
측정한다. 980gal 은 지구의 인력으로, 지구상의 모든 물체에 걸리는 중력이다.
야구선수가 높이 쳐올린 타구가 땅에 떨어지는 것도 중력 때문이다.

만일 지진의 흔들림이 980gal을 넘으면 지면의 바위가 튀어오른다는 것을 뜻한다.
건물에도, 댐이나, 고속도로 등의 구조물에도 엄청난 힘이 걸리게 된다.

실은 고베대지진 전에는 지진학자들 사이에서도 "설마 바위가 튀어오를 정도의
흔들림은 없겠지"라는 게 일반적인 상식이었다. 그러나 그 뒤에 일어난 대지진으로
일본전국에 설치된 강진계의 기록이 그 상식을 뒤집었다. 예를들면 니가타현 쮸에쓰
지진(2004년)에서는 2,516gal을 기록했고, 이와테,미야기 내륙지진(2008년)에서는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 겐비쬬 마쓰루베지역에서 4,022gal이라는 커다란 가속도를
기록했다.

이쯤 되면 걱정되는 게 지금까지의 '상식'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예를들면 원전은
어느 한도 이상의 흔들림이 없는 것으로 치고 설계돼있다. 어느 전력회사의 원전
웹사이트에는 "장래 일어날 수 있는 최강의 지진동"이라면서 300~450gal이라 하고,
"거의 현실적이지 않은 지진동"이라면서 450~600gal이라는 값을 내세우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그 웹사이트는 삭제돼버렸는데, 그값으로 설계됐었던 것은
확실한 일이다. 지진국에 사는 지진학자로서 걱정되는 일이다.(끝)


viewimage.php?id=28bcc232edc32da765ba&no=29bcc427b18777a16fb3dab004c86b6f3ef31427baf7278b6f892d15b023c250d575d105f2b231a4ae2ef3782bcd8ea3b6d5211a2f14d8f6aee1d21b


그래, 지진국이면서 핵에 미쳐있는 나라에 사는 지진학자로서, 일본 원전의 위험성에 대해
한마디 했군.. 반핵 작가 히로세 타카시가 일찍부터 주구장창 주장했던 얘기이기도 하다.
지진의 힘은 어마어마하게 작용했던 실제 사례가 수두룩한데, 그걸 은폐하고, 왜곡하는 종특으로
지들 국민을 속일뿐만 아니라, 지구를 오염시키고 있다..


viewimage.php?id=28bcc232edc32da765ba&no=29bcc427b18777a16fb3dab004c86b6f3ef31427baf7278b6f892d15b023c250d575d105f2b231a4ae2ef3782bcd8ea3b18522437c13d9f3aee1d21b


관련글↓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9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8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7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6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5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4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3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2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1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0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9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8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7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6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5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4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3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2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1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10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9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8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7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6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5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4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3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2번째길래..
지진의 기초지식 연재칼럼 시작했다길래..


추천 비추천

27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글쓴이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