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잠재력 있는 중국에 관한글 (꿀팁)

서바이버(211.47) 2014.06.17 12:03:28
조회 215 추천 0 댓글 0

● 개인과 집단의 관계 

필자가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상당히 재미있는 차이점을 보여준다. 혼자서 학교 식당에서 식사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양국 대학생들은 서로 아주 다른 대답을 하였다. 혼자서 식사하는 것이 아무렇지 않다고 대답한 중국 학생은 약 73%로 대다수를 차지한 반면, 같은 대답을 한 한국 학생은 14%에 불과했다. 한국 학생 가운데 35% 정도는 혼자 먹기 쑥스러워서 차라리 군것질로 때우겠다고 대답한 반면, 그러한 대답을 한 중국 학생은 겨우 1%를 조금 넘을 정도였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학생보다 한국 학생에게서 집단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 

한국 학생들에게 물어보면 혼자서 식사하는 사람은 친구가 없는 불쌍한 사람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 혼자 있으면 남들이 나를 ‘왕따’라고 하지 않을까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고 부자연스럽다고 한다. 중국과 한국에서 대학 생활을 경험한 필자의 관찰에 따르면 중국 학생들은 대학 입학 후 학과 졸업생들의 취직 동향에 비교적 높은 관심을 보이고 주로 앞으로 자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지만, 한국 대학생들은 입학하자마자 학과와 학교 안의 여러 단체 활동에 참가함으로써 새로운 집단에 빨리 적응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학교 당국 역시 학생들을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비롯하여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점을 볼 때, 중국 학생들보다 한국 학생들에게 집단 소속감이 더 중요하고 집단주의 경향이 더 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중국인보다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집단에 소속되어 있는 것 같다. ‘동향’, ‘동문’, ‘동창’, ‘동기’, ‘동아리’ 등은 가정의 범위를 넘어서서 개인이 사회와 연결점을 갖는 중요한 집단들이고 어느 정도 개인을 규정해 주는 좌표가 되기도 한다. 같은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끼리는 서로 쉽게 친해질 수 있고 도와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속 집단 속에서 내가 지켜야 하는 ‘의리’가 있고 필요할 때 내가 도움을 청할 수 있는 말없는 신뢰가 존재한다. 바로 이 때문에 이번 대통령 선거 기간 중에 동향 모임이나 동문 모임을 금지하는 이해하기 힘든 현상이 나타났으며, 더 좋은 대학에 자녀를 입학시키기 위해 부모가 엄청난 고액 과외를 시키는 비정상적인 현상이 출현하였다.

소속 집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한국인 기업 관리자들은 중국인의 높은 이직율에 놀라곤 한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거의 모든 한국인 관리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불만 가운데 하나가 회사에 대한 중국 직원의 충성심이 약하다는 점이다. 중국인 직원들에게 회사는 보통 ‘내게 월급을 주는 곳’, ‘내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곳’으로 인식된다. 

한국인 관리자들은 퇴근 시간이 되더라도 일을 마치지 못한 다른 동료를 도와주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데 비해, 중국 직원들은 자기 일만 마치면 바로 퇴근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한국인 가운데는 중국인의 이기심에 대해 불만을 터뜨리는 사람이 많은 데 반해, 중국 직원들은 한국 기업의 잦은 연장 근무 때문에 가족과 함께 보낼 시간을 많이 빼앗긴다는 불만을 털어놓는다. 또 한국인 관리자들 사이에는 중국인 직원들간의 협동 의식이 약하다는 불만이 높은 데 비해, 중국인들은 팀 단위로 평가를 받는 것에 대해 불평을 늘어놓는다.

한국인과 비교할 때 중국인은 집단보다 개인의 능력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필자의 설문조사에 “장학금의 금액이 일정하다면 어떻게 나누는 것이 좋겠습니까?”라는 질문이 있었다. 중국 학생들 가운데는 우수한 소수에게 집중적으로 장학금을 주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약 65%로 대다수를 차지한 반면, 한국 학생들은 “적게 주더라도 많은 사람에게 주는 것이 좋다”는 대답이 과반수인 56%였다. 

● 대인관계의 방식

한국인들이 소속 집단 성원간의 호혜 행위를 강조하는 데 비해, 중국인들은 일대일의 호혜 관계를 더 중요시한다. 이 차이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중국인과 한국인 사이에서 오해가 빚어지는 일이 종종 있다. 내가 아는 한국인 선생님 한 분이 중국 학생들에게 느꼈던 실망감도 바로 여기서 비롯되었다. 선생님은 자기가 가르치던 중국 학생들을 데리고 어떤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인원수 제한이 있어서 모든 학생들을 다 데리고 갈 수는 없었기 때문에 몇 사람이 자발적으로 포기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아무도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 선생님은 같은 어학 연수 프로그램에서 몇 개월 간 서로 친해진 사이므로 그 중에 당연히 집단 전체를 위해 자기 이익을 포기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라 믿었지만 결과는 실망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중국 학생들은 항상 성격이 맞는 사람들끼리 같이 다녔고 전체가 하나의 집단으로서의 응집력을 가지지는 못했다. 게다가 자신의 배려가 누구를 위한 것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친한 친구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좋은 기회를 양보하는 것은 중국적 사고방식으로 볼 때는 쉬운 일이 아니다. 
이와 비슷한 경우를 중국의 ‘희망 프로젝트(希望工程)’에서도 볼 수 있다. ‘희망 프로젝트’는 가난한 지역 아이들에게 학비를 지원하는 모금 운동이다. 그런데 한국의 수재민 돕기 등과는 달리 이 운동은 중앙 기구가 돈을 직접 받아서 배분하는 방식이 아니라 돈을 지원할 사람과 학교에 갈 아이를 일대일로 연결시켜서 지원자가 아이에게 직접 돈을 보낸다. 한국인과 비교할 때 중국인의 호혜 방식은 많은 경우 이러한 일대일 관계를 선호한다. 

중국과 한국 모두 ‘연줄’을 중요시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인의 인맥―혈연, 지연, 학연을 포함하는―이 거의 ‘선천적인’ 것에 가깝다면 중국인은 ‘?시(關係,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만들 때 ‘후천적인’ 사귐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한다. 물론 중국에서도 ‘친척 ?시’, ‘동향 ?시’, ‘동창 ?시’를 얘기하지만 동향이나 동창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한국처럼 자주 모이는 것도 아니고 또 견고한 집단을 형성하지도 못한다. 한국 사회는 집단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뭉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데 비해, 중국은 각 개인이 하나 하나의 독립된 원자에 가까우며 보통 일대일의 관계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 사적 공간에 대한 인식 차이

한국인에게 소속 집단이 많은 현상은 중국인에 비해 한국인이 자신의 사적 공간을 다른 사람에게 더 쉽게 열어주는 습관과도 상관이 있는 것 같다. 

중국 사람은 쉽게 다른 사람에게 마음을 열지 않는다. 중국 사람들은 “길이 멀어야 말이 힘이 있는지를 알 수 있고, 시간이 오래 지나야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다(路遙知馬力, 日久見人心)”라든가, “바람이 세야 어떤 풀이 센 풀인지를 알 수 있고, 곤경에 빠져봐야 사람의 진심을 알 수 있다(疾風知勁草, 患難見眞心)”라는 말을 자주 한다. 이런 표현들은 중국 사람들의 사람 사귀는 방식을 잘 나타내준다. 즉 오랜 세월에 걸쳐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 조심스럽게 관찰하며, 특히 어려움에 빠졌을 때 도와주는 사람이라야 친구로 받아들이고 신뢰한다. 이에 비해 한국 사람들은 마음을 빨리 여는 편이다. 동갑이라고 하면 친구로 여기며 술자리 몇 번 같이 하고 나면 스스럼없이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는 것이 바로 한국 사람이다. 

다음은 중국인 필자가 한국 생활을 처음 시작했을 때의 경험담이다. 친구의 친구를 우연히 알게 되었다. 나는 그냥 약간 아는 사람이라 생각하고 그 사람에 대해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다. 며칠 후 두 번째로 만났을 때 나는 그 사람 이름조차 거의 잊고 있었다. 하지만 그 사람은 이미 나를 자신의 친구로 간주하여 두 번째 만날 때부터 자기 성격이 어떻고 집안이 어떻다는 얘기를 하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거북했지만 장단을 맞추기 위해 내 얘기도 대충 꺼냈다. 잠시 후에는 자기 남자 친구 이야기까지 했는데, 겨우 두 번째 만난 나로서는 그런 얘기를 듣는 게 너무 큰 부담이었다. 화제를 바꾸려고 노력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그 친구의 얘기가 끝난 다음에 드디어 내가 가장 두려워했던 일이 일어났다. 내게 남자 친구가 있느냐고 물어온 것이다. 나는 그렇게 빨리 친해지는 게 너무 부담스러웠고 그 자리를 떠나고 싶은 마음뿐이었다. 

자기 애인을 친구들과 함께 만나는 것을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 한국 학생들과는 달리, 중국 학생들은 자기 프라이버시를 지키려는 욕구가 강한 편이다. 중국의 대학교 기숙사에 가면 여대생들이 항상 천으로 자기의 침대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자기가 무얼 하러 가는지 친구에게 항상 말을 하고 다니는 한국 학생들과는 너무 뚜렷한 대조를 보인다. 타인이 자신의 사적 공간에 들어오는 것을 쉽게 허용해 주는 한국 사람과 비교할 때 중국 사람은 개인주의 성향이 훨씬 더 강한 편이다. 

● 집단 구성원 사이의 관계

한국인의 집단은 위아래가 분명한 수직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는 후배가 선배에게 고개를 숙이고, 학생이 교수에게, 교수가 총장에게 고개를 숙인다. 직장에서는 대리가 과장에게, 과장이 부장에게, 부장이 임원에게 고개를 숙인다. 나이와 경험이 비슷한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입학 연도와 나이에 따라 선후배 관계가 정해진다. 

더욱이 이런 수직적 관계가 준 가족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한두 살 차이만 나도 ‘형’이 되고 ‘언니’가 되고 ‘동생’이 된다. 이것은 단순히 호칭의 문제가 아니다. 실제로 형이나 언니라 불리는 사람은 동생들에 대해 어느 정도 권력을 행사하며 그와 동시에 아랫사람을 보살피는 책임도 안게 된다. 회사에서는 사장이 부모와 비슷한 존재가 된다. 이런 상하 관계는 단지 일과 관련해서만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영역까지 확장된다. 평등한 동료로서가 아니라 형과 아우의 관계로 일을 함께 하기 때문에 내 일과 네 일의 구별이 약하며 일을 먼저 끝낸 사람이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것이 인정이라고 여긴다. 먼저 입사한 사람은 선배이고 형이기 때문에 먼저 승진하는 것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진다. 중국의 집단에서는 분명한 상하 관계의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두 나라 사람들이 하나의 집단을 형성할 때 문화 충돌이 생길 수밖에 없다. 

중국 회사에는 수직적 관계 구조와 준 가족적 온정주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인에게는 회사가 경쟁의 장소로 인식되는 경향이 더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내 한국 대기업에서 일하는 중국 직원들은 2, 3년에 한 번씩 있는 인사 이동, 시간이 흐르면 거의 다 승진할 수 있는 인사 제도에 대해서 큰 불만을 갖는다. 한국 대기업은 “경쟁이 약하고 안전한 국영기업과 같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줄서기식 승진제도에 불만을 품은 중국 직원들의 이직이 많이 나타난다.

물론 중국 사회에서도 나이 많은 사람에 대한 존경은 강조되며 회사에서 부하 직원이 어느 정도 상사를 어려워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의 집단처럼 엄격한 수직 구조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필자가 두 나라 대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면서 서로 친구로서 사귈 수 있는 연령의 범위를 질문한 바 있다. “귀하의 친구들 중에서 나이 차이가 제일 많이 나는 사람은 귀하와 몇 살 차이가 납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한두 살이라고 대답한 중국 학생의 비율은 14%를 조금 넘은 반면, 한국 학생의 경우는 53%나 되었다. 중국 학생들의 경우, 세 살에서 다섯 살이라고 대답한 사람의 비율이 약 33%, 여섯 살에서 열 살이 21%, 열한 살에서 스무 살이 10%, 그리고 스무 살 이상이라는 대답도 거의 20%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한국 학생들의 경우에는 그 비율이 각각 23%, 14%, 5%, 0%였다. 여기서 친구 사이를 평등하게 교류할 수 있는 사이라고 해석한다면, 한국보다는 중국에서 평등한 교류를 할 수 있는 연령의 범위가 더 넓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국은 중국보다 수직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비율이 훨씬 더 높은 것이다.
동일한 설문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도 던졌다.

상황 1 : 길에서 교수님이 지나갈 때 어떤 학생이 고개 숙여 인사했습니다. 학생의 행동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상황 2 : 길에서 부하 직원이 상사에게 고개 숙여 인사했습니다. 직원의 행동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상황 3 : 부하 직원이 자기보다 나이 어린 상사에게 고개 숙여 인사했습니다. 직원의 행동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조사 결과를 보면 교수님에게 고개 숙여 인사하는 것에 대해 중국 학생들은 60% 정도가 “좋은 예의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다”는 대답을 했다. 이에 비해 한국 학생의 경우에는 “당연한 일이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거의 83%를 차지했다. 상사에게 고개 숙이는 것에 대해서 중국 학생들 가운데 약 54%는 “좋은 예의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다”, 26% 정도는 “아부하는 행동”이라고 응답했다. 그렇지만 한국 학생들은 거의 70% 정도가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나이 어린 상사에게 고개 숙이는 것에 대해서 중국 학생들은 47% 정도가 “좋은 예의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다”고 대답했고, “아부하는 행동”과 “자존심 없는 행동”이라는 부정적 평가를 한 사람이 모두 43%에 달했다. 그러나 한국 학생들의 경우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한 것이 13% 정도에 불과했다. 이런 조사 결과를 볼 때 우리는 중국보다 한국의 상하 서열 구조가 더 엄격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엄격한 상하 관계의 구조는 유교의 가부장제 문화에서 비롯된다. 유교 사상에서 윗사람에 대한 아랫사람의 예의를 중요시하는 것은 ‘정명(正名)’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윗사람이 윗사람답게, 아랫사람이 아랫사람답게 행동하는 것은 집단 안의 권위―복종 관계를 확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가부장적인 상하 서열 구조가 유교 문화의 일부인 것은 사실이지만 오늘날 중국과 한국에서 유교 문화가 차지하는 위상은 크게 다르다. 결과적으로 ‘동질적인 문화 전통’에도 불구하고 중국인들은 한국 기업의 문화에 대해 친근감보다는 오히려 장벽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한국 회사에서 일하는 중국 직원 대다수는 한국인의 등급 문화 때문에 회사 분위기가 답답하다고 여기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중국과 한국 두 나라 모두 개인주의보다는 집단주의적 성향이 강하며 인간관계를 매우 중요시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두 나라 사람들의 집단주의적 성향과 집단 내 인간관계의 방식을 좀더 치밀하게 들여다보면 양국의 문화적 차이가 적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양국의 교류가 점차 넓어지고 깊어지는 오늘날, 우리는 서로 비슷하면서도 적지 않은 문화 차이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되는 충돌을 좀더 세심하고 진지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서로 간에 공존하는 다양성과 차이에 대한 이해 없이는 더욱 진전된 교류와 소통을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아고다 호텔 8% 할인쿠폰 받기 !! 운영자 24/06/19 - -
66076 좆된 예비12학년 어디쯤 갈수 있겠음? [2] 아다영욱(68.196) 14.08.01 319 0
66075 윤호는 참 대단한 사람이다 [5] ㅅㅂ2(98.237) 14.08.01 292 1
66074 자칭 역덕후 ㅅㅂ2 댓글 읽어보니 개병신.. [3] eee(27.101) 14.08.01 291 4
66073 세계선진국등급순위 [2] 귀염둥이(14.35) 14.08.01 416 0
66072 그나저나 나도 역사 좋아하는데 그럼피(67.246) 14.08.01 143 0
66071 몽골이고 이슬람이고 뭐고 황금기고 뭐고 그럼피(67.246) 14.08.01 146 0
66070 아 전공 바꾸고 싶다. [5] 목각성기(123.213) 14.08.01 385 0
66069 토플 고수 아이엘츠 고수 형님들 [4] 토플(219.255) 14.08.01 348 0
66068 좀 도와주면 안되냐 토플(219.255) 14.08.01 126 0
66067 지금 나 글쓰자마자 글 읽는 놈들아 토플(219.255) 14.08.01 121 0
66066 아 왜케 나는 의사결정능력이 떨어지지 토플(219.255) 14.08.01 112 0
66065 토플이나 아이엘츠 공부하던 자료 있는사람없냐? 토플(219.255) 14.08.01 119 0
66064 아ㅏㅏㅏㅏㅏㅏㅏㅏㅏ정말 공부하기싫다 토플(219.255) 14.08.01 106 0
66063 토플이쉽냐? 아이엘츠가쉽냐? [1] 토플(219.255) 14.08.01 252 0
66062 밑에 ㅅㅂ2는 역덕후라면서 역사에 대해서 좆도 모르네 [189] (88.150) 14.08.01 1109 11
66058 이번여름휴가 팔라우 어떰? [3] 여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31 545 0
66057 결혼하니까 좋은점 프레세페(76.167) 14.07.31 335 0
66055 공포의 디스 jpg [2] 병든소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31 351 0
66054 회사 분위기 뒤숭숭하니까 디씨질만 하게 되네 [2] ㅅㅂ2(50.245) 14.07.31 218 0
66053 후 역사덕후로서 이 해유갤 개념글은 용납할 수가 없군요! [17] ㅅㅂ2(50.245) 14.07.31 303 0
66052 어학연수 가는 게인데 정중하게 질문좀할게 [1] 이강(223.62) 14.07.31 269 0
66050 일본or스페인 교환학생 생각중인데 헬프좀...(졸업도 머지않음) [7] 공대생(112.171) 14.07.30 443 0
66049 형들 영국 film으로 유명한 학교 파운데이션 과정 질문좀드릴게요 [2] ㅂㅈㅂㅈ22(58.127) 14.07.30 341 0
66048 형들 공부하다가 지겨울때 어떻게 하세요? ㅠㅠ [6] ㅇㅇ(106.188) 14.07.30 264 0
66047 수시,농어촌전형 봉사활동 다 무의미한 이유 [1] 새출발할께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30 279 0
66045 끝토플책와서 모의고사 풀어봤는데 엄청 틀린다 ㅠㅠ [2] 토플초보(211.233) 14.07.30 176 0
66044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아일랜드 발음은 어떰?? ㅇㅇ(121.179) 14.07.30 266 0
66039 추억의 노래 김밥 프로도(70.210) 14.07.30 126 0
66038 끝토플이냐 교수님이냐 골라라 [4] 내꿈은대학총장(115.144) 14.07.30 220 0
66037 그럼피 또 깝치네? [1] ㅇㅅ(117.111) 14.07.30 532 8
66036 세계국가순위(선진화.복지등) [1] 귀염둥이(14.35) 14.07.30 659 1
66035 ㄹㅇ 내 인생꿈 [2] 프로도(70.210) 14.07.30 259 0
66034 진짜 못생긴새끼들은 외국못나가게해야한다 [5] 프로도(70.210) 14.07.30 478 3
66033 학교 기숙사에서디시가차단됨 디모(139.135) 14.07.30 136 0
66032 중국에서 유학하는 님들 예언 진짜임? [2] ㅇㅇ(112.158) 14.07.30 436 0
66031 옥스포드 대학 좋더라 [5] Man.J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30 972 0
66030 예비군인 사람 이씀? [2] ㅇㅇ(180.224) 14.07.30 159 0
66029 미국서 1년정도 머무를 예정인데 지식이 없다 좀 도와줘라. [6] 00(59.25) 14.07.29 378 0
66028 미 국민 셋중 한명 오바마 탄핵 찬성.NEWS ㅇㅇ(210.101) 14.07.29 176 0
66027 미국 대학 입시 전형이 어떻게되?? [2] ㅇㅇ(210.101) 14.07.29 246 0
66025 투박한 영국 발음이라서 [11] 피쉬앤칩스(165.132) 14.07.29 708 0
66024 끝토플 인강 FREEPASS권 공유하자 얘들아 [5] ㅂㄱㅂㄱ(211.188) 14.07.29 271 0
66023 Koica 구술면접에 뭐보는지 아는분..? ㅇㅇ(110.70) 14.07.29 128 0
66022 너님들 발표 수업할때 프리라이더들 처리하는 법좀 알려줘여 [4] 목각성기(123.213) 14.07.29 294 0
66021 난 미국발음이 영국발음 보다 낫더라 [2] ㅇㅇ(121.174) 14.07.29 400 0
66020 결혼하니까 좋은점 [1] 프레세페(76.167) 14.07.29 362 0
66019 23살 군필, 한국에 남아 일을 할 것인가 학위를 위해 유학을 갈것인가 [2] ㅁㅇㄹ(115.88) 14.07.29 294 0
66016 미국이 영국인 좋아한단는 소문 진짜임?? [5] ㅇㅇ(121.174) 14.07.29 595 0
66015 비정상회담 보는 사람 있음? [2] ㅇㅇ(112.158) 14.07.29 252 0
66014 끝토플 교재옴 이제서야 토플시작 ㅠㅠ [2] ㅂㅂㅂㅂ(49.238) 14.07.29 18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