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고조선(古朝鮮)의 종족구성 - 동이족(東夷族)과 예맥족(濊貊族)

루후나하 2006.12.05 17:42:22
조회 241 추천 0 댓글 0


고조선(古朝鮮)의 종족구성 - 동이족(東夷族)과 예맥족(濊貊族) 고조선을 구성하는 최대의 종족은 예맥족(濊貊族)이라는 게 통설이다. 전통적인 중국의 중화사상이 성립된 춘추시대까지만 해도 동이족(東夷族)이 보편적인 종족명칭이었어나, 진나라 통일이후는 예맥족으로 바뀐다. 요동지역과 한반도서북지역을 중심으로 예맥족이 분포하고 있다는 데는 중국이나 한국학계가 모두 인정하고 있다. 문제는 요서지역을 점거한 것으로 보여지는 고조선과 관련한 흔적들인데, 요동과 요서간의 선후관계에서부터 담당주체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고고학적(考古學的)으로 한민족(韓民族)의 기원(起源)과 구성(構成)에 대해 비교적 상세히 연구한 학자는 김정학(金廷鶴)선생이다. 선생은 우리 민족의 기원에 대해 인류학적 연구를 도입하여 문화의 전파과정을 포함하여 민족의 이동경로까지 괄목할 만한 연구업적을 남겼다. 그에 따르면, 몽골종의 일파인 최초의 한반도 정착인들은 시베리아 바이칼호 북쪽 이른바 Cis-Baikal의 삼림지대에 살았던 구석기인들이라고 한다. 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시대에 이르기까지 수렵이나 어로와 같은 채집경제에 있었던 '古아시아족(paleoasiatics)' 또는 '古시베리아족(paleosiberians)' 이라 부르는 종족들인데 이들이 한반도로 이동해왔다고 추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지방의 농경을 기반으로 한 생산경제에서 보이는 채문토기(彩文土器)와는 다른 특징의 기하문토기(幾何文土器:櫛文土器로 빗살무늬토기라 한다)의 전통과 타제석기(打製石器)나 세석기(細石器)의 전통을 실례로 들고 있다. 이 때가 기원전 2만5천년경으로 추정되며 그 후 新시베리아족으로서 우랄알타이족에 속하는 청동기문화를 지닌 종족들이 선주하였던 古아시아족을 정복 동화시켰다고 본다. 여기에는 한가지 중요한 사실이 빠져 있는데,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를 담당한 주체간에 요녕지역이라는 중간지대의 설정이 생략된 것이다. 즉, 고아시아족이라 하는 몽골리안이 한반도로 이주해 온 것은 구석기시대가 맞지만, 구석기말기 신석기초에 또 한차례의 신시베리아족이 요녕지역으로 남하하는데 이들은 청동기문화를 지닌 종족이 아니었고 그 시기도 기원전 2만5천년경이 아닌 신석기초 기원전 4천~3천5백년전이다. 설사 금속기를 연장으로 일부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청동기문화단계의 수준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이들은 단지 기후변동에 따른 남하세력으로 요녕지역에 자리잡아 그 후에 청동기문화를 발전시켰다고 봐야 한다. 이들 요녕청동기문화인들이 한반도로 이주하거나 문화를 전파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아시아족을 정복동화시킨 세력들은 다름아닌 시베리아전통의 세석기를 사용한 바이칼지역의 신시베리아족으로서 이들이 또한 고아시아족과 융합한 한민족을 구성한 종족인 셈이다. 현재 발굴된 청동기유물들은 중국측의 보고에 의하면 기원전 2천년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요녕지역이 그 중심이다. 이 요녕청동기문화의 특징은 비파형동검이나 다뉴세문경의 전통 등으로 연결되어 진다. 즉, 중국의 요녕지역과 한반도, 만주일대는 중국과 확연히 구분되는 동일 청동기문화권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요녕지역 청동기문화를 일괄적으로 묶어 '비파형동검문화(琵琶形銅劍文化)'라고 규정지을 수 없다는 점은 고고학적 발굴자료의 분석에서 살펴보았다. 다만 정치적 연맹체로서 연대의식의 상징이 되었던 비파형청동검을 매개로 하여 고조선(古朝鮮)이라는 연맹국가로 연계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이와 같은 양상은 고대의 문헌자료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선사시대에 있어서의 종족문제는 시간이 흐를수록 동화와 융합이라는 문화적 복합현상이 나타나므로 사실상 종족문제는 크게 중요하다고 보기 어려우며, 오히려 지역과 문화적 친연관계에 따라 세력범위가 정해진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는 특히 북방계통의 종족간 가름에 있어서 더욱 그렇다. 이렇게 보면 크게 분류하여 (1)중원지역의 농경문화적 전통의 지역문화 (2)중국북방의 유족문화적 전통의 지역문화 (3)중국동북지역의 반농반목적 전통의 지역문화 등으로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중국 북부와 동북지역에는 알타이어족군에 속하는 몽골인종이 분포하고 있고 중원지역에는 비알타이어계의 몽골인종이 분포하고 있어 구별된다 하겠다. 중국동북지역의 청동기문화를 담당한 종족구성에 대한 어느정도의 결론은 이미 지어지고 있다. 요동지역의 청동기문화는 문헌상의 예맥족(濊貊族)이, 요서지역의 청동기문화는 동호족(東胡族)이 각각 담당한 청동문화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과거 북한학자들의 주장처럼 요동지역 초기비파형동검문화 세력들의 확산으로 요서지역 비파형동검문화와 연관된 하가점상층문화가 전개되었다고 하는 '요동요서(遼東遼西) 예맥족설(濊貊族說)'의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다. 종족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종족명(種族名)과 지역명(地域名)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는 중국동북지역에 분포한 고대문화를 언급할 때 두가지 계통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였었다. 이는 철저하게 중국인의 시각에서 붙인 명칭이기 때문에 시대상황 변화에 대한 정확한 추이변동 추적을 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중국내륙에도 다양한 종족의 융합이 전개되어왔는데 유독 주변지역만을 종족명칭을 시대별로 따로 붙여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여기는 태도는 다분히 중화사관적 태도라 아니할 수 없다. 이것은 중화민족단일체가 주변의 다양한 종족들과 끊임없는 투쟁과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장구한 역사를 유지 발전시켜왔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생각된다. 중국동북지역만 하더라도 '東夷族', '濊族', '貊族', '肅愼族', '邑婁族', '山戎族', '東胡族', '朝鮮族', '發族', '夫餘族', '高句麗族', '靺鞨族', '女眞族', '契丹族', '鮮卑族', '烏丸族' 등 같은 지역이라도 각 시대별로 다른 종족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종족명칭은 마치 서로 역사적이거나 지리적인 승계관계가 전혀 없는 듯이 비춰지기도 하고 오히려 문화의 단절 느낌마저 주고 있는 것이다. 청동기시대 중국동북지역에 등장하는 종족명은 '숙신족', '예맥족', '동호족', '산융족', '조선족', '발족(發族)' 등이다. '예맥족(濊貊族)'에 관해서는 고조선을 이룬 중심세력이라는 것과 그 위치가 부여·고구려지역에서 원래부터 분포하고 있었던 종족이 예족이고 서쪽에서 이동해 들어가 예족과 융합하여 부여와 고구려를 건국한 종족이 맥족이라는 견해에 일반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문헌상에서 보면 고대 중국동북지역에 관한 종족명칭으로 예(濊)와 맥(貊)이 많이 등장한다. 중국측의 문헌에서는 주로 춘추시대이후 형성된 것으로 보는 중화사상(華夷觀)에 의해 주말(周末)에서 진통일(秦統一)까지 동이(東夷)에 대한 기록이 등장하고 진한(秦漢) 이후는 예맥(濊貊)이 등장한다. 이러한 현상은 진나라가 서이(西夷)출신이었기에 중국지역에 분포하는 이에 대한 관념을 비하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이(夷)나 예맥(濊貊)은 아마도 종족칭이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최근의 북경에서 펴낸 『중국대백과전서(中國大百科全書)』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夷는 (중국)동북지방 특히 발해연안(還渤海地方)에 거주하였고 그 분포가 강회지방(江淮地方:양자강유역)에 이른다. 이들은 夏, 商(殷), 周 三代때는 夷 혹은 九夷라 하고 西周初 成王때는 한동안 夷가 서로 연합하였으며 그들 종족의 본원지는 東北지방에 있었다.’ ‘貊이란 『詩經』,『書經』에서 出據하였으며 秦漢代는 胡貊칭이 있었는데 胡는 北方거주족이며 貊은 東北거주족이다. 「注」貊은 즉 濊다.’ 濊와 貊은 고고학상으로 볼 때, 신석기시대인이 아니고 청동기시대인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당시 중국고대에는 濊와 貊에 대해서 별로 구분없이 비하적 표현으로 사용한 것처럼 보인다. 고구려를 貊이라 하고 부여에 대해서는 濊라 하는 관점을 일부학자들은 각기 다른 지역경제를 반영한 명칭이라고도 보기도 하는데, 한자(漢字)의 의미구성을 고려하여 貊을 산악지역의 거주족으로 보고 濊를 하천지역의 거주족으로 보는 견해로 아직 명확한 근거는 없다. 한가지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夷, 濊, 黎, 麗, 餘 등의 연관성과 貊,駱,白,毫,發,ㅂ·ㄺ 이라는 연관성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종족별로 구별한다면 이미 중원지역에 중국계 종족이 형성되기 전에 중국동부연안의 평야지대에는 발해연안에서 진출한 '이족(夷族)'이 분포하고 있었고 이들 중 일부가 황하문명을 발전 시킨 은(段)나라 문화를 창조하였을 정도로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였었는데 또하나의 이족(西夷族) 출신인 진시황의 통일이후 독자적 세력이 와해되고 중국내륙에서 다른 종족과 동화되어 버렸던 역사적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중국사서에는 '발조선(發朝鮮)'이란 명칭이 자주 등장한다. 일부학자들은 '발조선(發朝鮮)'을 '발(發)'과 '조선(朝鮮)'으로 분리시켜서 보려고 하는데,‘발(發)’을 ‘맥(貊)’과 연관지어려는 태도에서 비롯되고 있으나, ‘發’과 ‘貊’은 어원의 형성과정이 다르다. 후술하겠지만,‘發’은 ‘밝’의 알타이어계 한자표기음으로써 ‘백(白, 百)’과 같고 후에 ‘번(番)’과 연결되는 음차(音借)일 뿐 '맥(貊)'과는 상관관계가 없다. ‘貊’은 ‘락(手+各)’자로부터 비롯되는데 ‘各’은 갑골문에서 혈거(穴居:지하식 주거지)를 뜻하고, 부수‘豕’는 ‘돼지, 벌레’를 뜻하므로 ‘貊’은 혈거(지하식 주거지)에서 돼지를 기르며 생활하는 모습을 표현한 상형문자의 합성이다. ‘락(手+各)’은 ‘胡(手+各)’으로 연칭되다가 ‘胡貊’으로 바뀌는데 ‘貊’의 등장은 ‘發, 白, 百’과 연계성이 확인된 이후의 호칭으로 변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사기(史記)』에는‘예락(濊(豕+各))’의 기록이 보편적인데 진(秦)나라 이전의 선진시대부터 ‘맥(貊)’보다 ‘낙(豕+各)’이 먼저 등장한다. 『순자(荀子)』에는 “秦北界에 호락(胡(手+各))이 있다”하였고, 『전국책(戰國策)』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한편, 춘추시대의 유가경전류에는 모두 ‘貊’으로만 표기되어있는데 이것은 후대의 유가사상가들이 편찬한 개작이기 때문이다. (한자표기상의 ?+?는 컴퓨터로 표현할 수 없는 한자를 파자하여 표기한 것임.) 좌전(左傳)』의‘召公九年條’에 있는 ‘肅愼, 燕, 毫이 北土’라는 기사는 『좌전』이 춘추시대 당시 그대로의 기록을 담고 있다고 보면 이들 세 지역은 중원문화권을 벗어난 북방문화권적 성격을 암시하는 말로 풀이된다. 춘추시대까지만 해도 임호(林胡), 누번(樓煩) 등 북방민족이 장성 이남까지 내려와 점거하고 있었는데 소위 몽골남부지역의 수원(綏遠:Ordos)청동문화의 분포권이다. 따라서 락(手+各)은 호(胡)와 이웃하고 있었고 호(胡)는 전형적인 중국북방의 유목민족을 일컫는 호칭이므로, 호락(胡(豕+各))이 연합하여 연(燕)과 제(齊)를 침범하였다가 제환공(제환공)에게 패하여 퇴각하였다는 『관자(管子)』「소광편(小匡篇)」 기사는 낙(手+各)의 위치가 요서지역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낙(豕+各)은 곧 맥(貊)으로 변하고 예(濊)와 함께 동이족(東夷族)이라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중국동북지역의 중원지방과 가까운 발해북안 요서지역에 일정한 시기동안 맥족이 있었음은 분명하다. 이 맥(貊)이 중국북방의 호(胡)와 함께 서주말부터 춘추시대에 걸쳐 중원지방으로 빈번하게 침범을 시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중원식 청동기물을 반입하게 되었을 것이고 이러한 양상이 하가점상층문화에 반영되어 부분적으로 중원식 청동기물들이 나타나고 있다. 맥은 부여와 고구려를 건국한 대수맥(大水貊)과 소수맥(小水貊)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문헌상의 기록으로 맥족이 부여와 고구려가 설립된 만주지역에 이동해 들어가기 시작한 것은 흉노(匈奴)가 강성하였던 모돈시대(冒頓時代)일 것으로 추정된다. 흉노의 강력한 대추장 모돈(冒頓)에 의해 동호(東胡)가 격파되고 그 여파로 맥(貊)도 동쪽으로 이동하여 예족(濊族) 지역에 들어가 부여와 고구려를 건국하게 된 것이다. 『사기』에 “匈奴가 東으로 濊貊朝鮮과 접하게 되었다”는 기사에서 ‘濊貊’연칭은 이러한 정황을 반영한 표기이다. 따라서 '예'는 요동지방을 중심으로 신석기시대부터 강이나 하천을 터전으로 농경생활을 영위해왔던 선주민들이었을 것이다. 물론 이들 예족도 맥족과는 자연환경이 달라 경제생활 방식이 달랐지만, 두말할 필요도 없이 중국지역으로 이주해 간 사람들과 같은 동이족(東夷族)이었다. 맥은 하가점상층문화에서 나타난 기마풍속을 그대로 지니고 있었고 또한 요서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를 구성한 중요집단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맥족은 비록 목축을 주로 하였지만 농경을 바탕으로 한 예족과 같은 동이족(東夷族)이었기 때문에 상호 융화에 큰 무리가 없었을 줄 안다. 이것은 요동지역과 길림장춘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의 주인공은 예족이고 요서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는 맥족이라는 결론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데, 맥족이 동천하기 전의 하가점상층문화와 요동지역 청동문화가 지역에 따른 문화적 성격은 다를지라도 종족적으로는 같은 동이족으로서 상호연계되어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비파형동검의 형식변화를 보아도 Ⅳ식 동검의 시기에 요서지역에는 Ⅳ식 동검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길림장춘지역과 압록강하류역의 단동지역에만 Ⅳ식과 Ⅴ식의 후기형 동검이 나타나는 것은 이러한 맥족의 이동과 관계깊은 현상으로 문헌정황과도 일치하고 있다. 동이족(東夷族) 우리 한민족의 조상은 고대 동이족(東夷族)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 동이족의 "夷"라는 글자를 우리는 "오랑캐 이"라고 배웠으며, 또 지금까지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그 오랑캐란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변방에 살던 미개한 부족들이라고 나와 있지요. 한국사람들이 한번씩 "오랑캐 이"하고 소리낼 때마다, "우리는 동쪽 오랑캐들이다!"하고 광고하는 셈이지요. 그런데 다음에 보이는 구절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요? ."夷는 동쪽에 사는 사람들이며, 활궁(弓)자와 큰 대(大)에서 따온 글자로, 그 사람들은 어질고 오래 살며, 죽지 않는 군자가 있는 나라이다." -설문(說文):자해(字解)- . "사람들에게는 기본적으로 순리(順理)를 따르는 성향이 있으나, 오직 동이(東夷)만이 큰 것을 따르니 대인이다. (惟東夷從大大人也) 이(夷)의 풍속은 어질고, 어진 사람은 오래 살기 마련이기 때문에, (그곳은) 죽지 않는 군자가 있는 나라이다. (夷俗仁仁者壽故有君子不死之國) 살펴보면 그곳은 하늘도 크고 땅도 크며 사람 역시 크다. (按天大地大人亦大) " - 설문(說文): 대부(大部) - "동방을 이(夷)라고 한다. 夷는 곧 뿌리이며 어질고 살리기를 좋아한다고들 한다. 모든 것은 땅에 뿌리박고 있으므로 천성이 유순하고 道로써 다스리기 쉬워서 군자의 나라이자 죽지 않는 나라(不死國)가 된 것이다. -후한서(後漢書) 동이전(東夷傳)- "은나라의 (건국)시조 설은 동이족이다." -사기(史記) 사마천 著 "중국 민족의 조상은 바로 동이족이다." -<고사변> ***자료출처-(맥이:박문기 著),(고구려 본기-박영규 著)*** 만약 한단고기를 비롯한 우리측 고문서에서 위와 같은 기록을 찾아냈다면, "단순한 애국심에서 나온 자화자찬"이라고 무시를 당해도 논박할 길이 별로 없겠지요. 그러나 위의 기록들은 모두, 동이족들이 남긴 기록이 아닌 바로 중국인들이 남긴 중국의 기록들입니다. 위의 설명 어디에도 "오랑캐"라는 말이 없습니다. 오히려 "뿌리이고 어질고 살리기를 좋아하며, 군자의 나라이고 불사국"이라 했지요. 동이족이 사는 모습이 그러했기 때문에, 그 유명한 공자님도 춘추시대 말기 중국의 혼란상을 한탄하며 "구이(九夷-우리나라를 말함)에 가서 살고싶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던 대로 "미개한 동쪽 오랑캐"들이 사는 땅이었다면 공자님이 살고 싶어했을까요? 나중에 기회가 있으면 살펴보겠지만, 사실 공자님 또한 동이족입니다. 결국 조상의 나라를 그리워한 것이지요. 한편 "이(夷)"라는 글자 자체는 앞에서 살펴본 대로 활 궁(弓)자와 큰 대(大)자를 합한 글자입니다.(弓+大=夷) 그것은 민족을 나타내는 이름에 활 궁(弓)자와 큰 대(大)자가 들어갈 정도로 활쏘기의 명수들이었고, 체격과 기상이 큰 사람들이었음을 말해주며, 앞에서 살펴본 중국의 기록들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 활을 잘 쏘려면 체력이 뒷받침되어야 하고(외공), 호흡을 가다듬고(단전호흡), 정신통일(명상)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즉 한단 시대 우리 조상들은 신선도(神仙道)로 몸과 마음을 닦았으며, 그러한 신선도 수행방법 중 하나가 바로 활쏘기였습니다. 그리하여 말을 타고 대륙을 질주하던 고대 동이족들에게 활쏘기는 체력뿐 아니라 정신과 자세를 바로잡는 아름다운 풍속과 전통이 되어버렸지요(고구려 무용총의 고분벽화를 연상해 보실 것). 세계 양궁계에서 한국은 그 경이적인 성적 때문에 "연구의 대상"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바로 그 옛날 동이족의 기질이 우리의 혈통 줄을 타고 내려온 것일 뿐, 한국인들에게는 별로 놀랄 일도 아니지요. 콩 심은 데 콩 나듯, 세상에 아무런 이유 없이 그저 우연히 일어나는 일은 없는 법입니다. 우리가 마음을 열고 찬찬히 앞서의 기록들을 살펴보면 수긍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한 중국의 기록들이 남겨질 당시만 해도, 우리의 할아버지들이 살던 나라는 정신적으로나 국력으로나 풍요로운 대국이었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그런데 "큰 활든 사람"이, 언제부터 "오랑캐"로 변하게 되었을까요? 그것은 바로 동이족의 터전인 단군조선이 문을 닫고 난 이후부터이지요. 우리에게는 우리 스스로의 가치를 인정하는 일에 너무나 인색한 성향이 있지요. 자기자랑 하는 것을 천박하게 여기는 고고한 성품이 우리 핏줄에 남아 있어서 일까요? 그러나 어느 도인께서도 "자기가 자기를 인정하는 만큼 하늘도 그 사람을 인정한다."고 하셨습니다. 내가 "나"를 인정하지 않고 업신여기는데, 남들이 나를(우리를) 인정해 줄 까닭이 없지요. 중국 사람이나 일본 사람들이 "오랑캐 이"하는 것은 별 것 아닙니다. 그러나 동이족의 정통후손들이, 아직도 그 뜻도 내력도 모른 채 "오랑캐 이"해서야 되겠습니까? 이(夷)"는 "활 잘 쏘는 큰 사람 이"입니다. 그리고 한국인들은 바로 그 東夷族의 정통 후예들입니다. 결론:너 환빠가 되라.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86359 벨테브레나 하멜로 사극 만들어보는건 어떨까요? [5] 당신의 해피메이커 06.12.10 437 0
86356 서양의 위대함은 그 정신에서 비롯. [24] Justitia 06.12.10 487 0
86352 사극의 소재가 없다고요??SBS의 새로운 사극... [8] 신기군사주무 06.12.10 688 0
86350 주몽보다 떠오른 의문점 [18] 스펀지송 06.12.10 604 0
86348 쿠데타로 집권한 세조, 史官을 두려워해 [7] 시파르타 06.12.09 488 0
86347 일본 토종 에스닉들 [1] ㅇㅇㅇ 06.12.09 398 0
86346 남의 첩을 가로채고, 개 훔치다 졸경 치른 양녕대군 [11] 시파르타 06.12.09 630 0
86345 신라유물로달린다 마지막 [6] ㅇㅇ 06.12.09 475 0
86344 신라유물로 달린다<10> [1] ㅇㅇ 06.12.09 338 0
86343 명>서양+식민지 전부 [13] 06.12.09 327 0
86342 신라유물로달린다<9> [1] ㅇㅇ 06.12.09 340 0
86341 신라유물로달린다<8> [2] ㅇㅇ 06.12.09 311 0
86340 신라유물로달린다<7> [1] ㅇㅇ 06.12.09 307 0
86339 이슬람 성전(지하드) 말이다.... [6] 양념통닭 06.12.09 324 0
86338 신라유물로달린다<6> [2] ㅇㅇ 06.12.09 314 0
86337 신라유물로달린다<5> [1] ㅇㅇ 06.12.09 282 0
86336 신라유물로달린다<4> ㅇㅇ 06.12.09 271 0
86335 신라유물로달린다<3> [1] ㅇㅇ 06.12.09 321 0
86334 신라유물로 달린다<2> [1] ㅇㅇ 06.12.09 327 0
86333 신라유물로 달린다<1> [2] ㅇㅇ 06.12.09 374 0
86332 환단고기의 5색인종 DNA분석 [9] 배달의 영광 06.12.09 570 0
86331 고대의 원형국가와 현재의 모습 [4] qwert 06.12.09 369 0
86330 김씨춘추 [1] 3333 06.12.09 173 0
86329 이제 곧 크리스마스네요 ^^ [12] 96 06.12.09 294 0
86327 중국이 사는 법 [2] dddd 06.12.09 234 0
86326 역대 최고의 사극은? [17] 일리단 06.12.09 575 0
86325 위대한 중화의 혁명은 다가 오고 [7] ㅎㅎ 06.12.09 490 0
86324 이런 비장미가 있어야 하는데. [3] ssg 06.12.09 377 0
86321 솔지 16C 유럽vs중국 이라고 하면 [27] ㅅㅇㄷㄹ 06.12.09 599 0
86315 세종의 훈훈한 우애. [3] ㅁㄴㅇㄻㄴㅇㄹ33 06.12.09 527 0
86314 중화 그 위대한 어제와 오늘 [3] 06.12.09 274 0
86312 시중에 출간된 안자춘추중에 뭐가 제일 볼만한가? aineas 06.12.09 156 0
86311 북한의 수도권 水攻가능성 - 금강산댐의 위험성 [13] ㅎㅎㅎ 06.12.09 510 0
86310 꼭 닮은 3대. [6] ㅁㄴㅇㄻㄴㅇㄹ33 06.12.09 441 0
86309 우리민족은 왜 압록두만강 너머론 가지않았나요? [30] 당신의 해피메이커 06.12.09 691 0
86308 신자유주의,세계화 이런거 당최 이해가 안간다.. [4] rrr 06.12.09 285 0
86307 중국은 북방민족한테 침략을 당한 적이 없어. [6] 중국 06.12.09 325 0
86303 조선시대로 만들 수 있는 사극 에피소드들 [7] ㅁㄴㅇㄹㄴㅁㅇㄹ33 06.12.09 500 0
86302 이런 소리가 있더라. [2] 흐물흐물 06.12.09 210 0
86301 요즘 갈수록 중국의 역사인식이 옳다는 것을 느낀다. [11] 중화 06.12.09 467 0
86300 솔직히 고려장 말이다. 고대 도덕기준으로 합당하다. [3] 양념통닭 06.12.09 330 0
86299 재미동포 아빠 얼어 죽었잖아. 역사에도 있는 일이야 [6] 제임스 김의 죽음 06.12.09 317 0
86298 지금 조폭들이 과거로 가면 장군감일까 [11] asd 06.12.09 534 0
86296 베토벤이 나폴레옹을 위해 곡을 썼다가 찢었다는 일화 말이야. [3] 프리드리히 06.12.09 334 0
86295 고려장 다시한번 생각하자.... [2] 양념통달 06.12.09 203 0
86294 한국의 역사는 너무 무미건조하고 재미가없다 [26] 케케묵은케로로 06.12.09 511 0
86293 무협지를 보면서 항상 의문을 느낀 점.. [10] ㅋㅋ 06.12.09 419 0
86292 역사에 길이 남을 노무현 대통령 [15] 한겨울 06.12.09 506 0
86291 역사를 봐라, 반칙집단과 순진하게 대항해서 이길 수 있나? 상식적으로 보자 06.12.09 199 0
86288 조선의 간지 연산군(3) [1] 지랄 06.12.09 43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