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당나라를 등주를 개박살 된 발해 대장군 장문휴

ㅂㅂ 2006.12.28 16:01:42
조회 387 추천 0 댓글 1

● 질풍노도(疾風怒濤), 전광석화(電光石火) 같은 전격 기습작전 장문휴(張文休)는 발해국(渤海國)의 대장군이다. 그의 이름과 행적은 국내 사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중국의 구당서(舊唐書)와 신당서(新唐書)에만 겨우 한두줄 정도가 나올 뿐이다. 따라서 그의 가계가 어떻게 되는지, 그가 언제 어디에서 태어나 어떻게 발해의 장수가 되었는지 하는 점은 역사의 수수께끼다. 다만 알려진 것은 장문휴가 인안(仁安) 13년인 서기 732년 9월에 발해의 두번째 황제인 무제(武帝) 대무예(大武藝)의 명령을 받고 군사들을 인솔하여 압록강구를 출발, 해로로 당나라의 등주, 오늘날의 산동성 봉래시 동남부를 기습 공격하여 초토화시켰다는 사실이다. 당시 등주는 당나라 동해안의 중요한 경제적, 군사적 요충지였으므로 수많은 수군과 육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하지만 당군은 장문휴가 이끄는 발해군의 공격이 너무나 신속하고 강력했으므로 제대로 대항하지도 못한 채 궤멸되고 말았다. 장문휴는 전격적인 기습작전으로 당나라의 방어군을 섬멸한 뒤 곧바로 등주성을 공격하여 등주자사(登州刺使) 위준(韋俊)을 잡아 죽이고 숱한 당나라 군사를 참살했다. 그리고 처음 공격할 때와 마찬가지로 신속하게 철군했다. 그야말로 질풍노도(疾風怒濤) 같고 전광석화(電光石火) 같은 기습작전(奇襲作戰)이었다. 당시 당나라의 황제 현종(玄宗)은 장문휴가 지휘하는 발해 군사들의 공격을 받아 등주가 쑥대밭으로 변하고 자사가지 죽었다는 패전(敗戰) 보고를 받자 노발대발(怒發大發)하여 우령군장군 갈복순(葛福順)에게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발해군을 토벌하라고 명령했지만 갈복순이 등주로 달려갔을 때 발해군은 이미 자취도 없이 사라져버린 뒤였다. 현종은 등주의 패전을 잊지 않고 보복할 날만 기다리다가 그 이듬해 1월에 발해의 반역자 대문예(大門藝)에게 군사를 거느리고 발해를 치게 하는 한편, 그때 당나라에 숙위(宿衛)로 가 있던 신라의 왕족 김사란(金思蘭)을 급히 귀국시켜 신라로 하여금 발해를 공격하도록 했다. 당시 신라의 국왕은 성덕왕(聖德王)이었다. 발해를 양면에서 협공하려는 현종의 이 기도는 결과적으로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당시 신라는 당나라의 힘을 빌려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이른바 삼국통일을 이룬 뒤 대동남 이남을 지배권으로 하고 있었기에 발해의 건국을 탐탁지 않게 여기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신라가 사대주의로 섬기던 당나라도 형식적이나마 고제(高帝) 대조영(大祚榮)에게 사신을 보내 발해군왕(渤海郡王)이라는 칭호를 내렸지만, 신라는 고제가 사신을 보내 건국을 통보하고 양국이 우호관계로써 협력하기를 청했을 때 고제에게 신라의 5품관에 불과한 대아찬(大阿贊) 벼슬을 주는 오만방자하고 주제넘은 짓을 자행했던 것이다. 이야말로 참으로 모욕적인 처사였다. 대문예(大門藝)를 앞세운 당군은 발해를 향해 유주를 출발하긴 했지만 처음부터 승산이 없는 싸움이라 군사들의 사기가 엉망이었다. 게다가 당시 당나라는 동쪽, 서쪽, 북쪽 삼면에서 해(垓) 거란(契丹), 돌궐(突厥), 토번(吐蕃) 등의 끊임없는 공격을 받고 있었으므로 강성한 발해를 침공할 형편도 못 되었다. 결국 발해 정벌은 군량과 마초 등 충분한 보급이 이루어지지도 않았을 뿐 아니라, 계절도 엄동설한(嚴冬雪寒)인지라 싸우다 죽기보다는 얼어서 죽고 굶어서 죽는 군사가 더 많았다. 그리하여 당나라 군사들은 발해군과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한 채 저절로 무너져 중도에 회군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김유신(金庾信)의 손자 김윤중(金允中)을 비롯한 4명의 장수가 이끌고 북상하던 신라군도 길이 험한데다가 눈까지 한 길이 넘게 내리는 바람에 절반이나 얼어 죽자 중도에 포기한 채 되돌아가고 말았다. ● 고구려의 판도와 성세(聖勢)를 회복한 '해동성국(海東聖國)' 발해. 그 이듬해인 인안(仁安) 15년(734년) 1월에 또다시 신라의 숙위 김충신(金忠信)이 현종(玄宗)에게 글을 올려 발해를 치겠다고 자청하여 현종이 이를 허락했으나 아무 성과도 없이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그 뒤부터 당나라와 신라는 발해를 치려는 생각을 다시는 먹지 못했다. 이렇게 서쪽으로 당(唐)의 침략 야욕을 철저히 깨뜨리고 남쪽으로 신라의 도발 의도를 확실히 꺾어놓은 발해는 이후 8세기 초까지 흑수말갈(黑水靺鞨)을 비롯한 동쪽과 북족의 여러 종족을 굴복시켜 광대한 영토를 개척하고, 일본까지 복속시킴으로써 동북아시아에서 당나라와 대등한 대제국의 위세를 널리 떨칠 수 있었다. 비록 발해사(渤海史)에 관한 기록이 빈약하여 정확한 역사적 사실을 복원할 수는 없지만 발해가 이처럼 '해동성국(海東聖國)'의 위세를 떨칠 수 있었던 것은 장문휴(張文休)와 같이 출중한 장수의 전공(戰功) 덕분이요, 또한 그와 같은 명장을 발탁한 발해의 위대한 제왕인 무제(武帝)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장문휴가 어느 정도의 병력을 거느리고 당나라를 공격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또한 발해군의 규모와 마찬가지로 등주를 지키던 당군의 병력이 얼마였는지도 알 수가 없다. 전혀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추측은 가능하다. 필자는 장문휴가 이끄는 원정군의 규모가 1만여명 안팎이라 보고 있다. 왜냐하면 당나라의 수비군이 최소한 수만명에 이르렀을 것으로 볼 때 1만명 이하는 너무나 위험부담이 컸으리라는 점이다. 아무리 전광석화(電光石火)와 같은 기습공격이라도 절대적인 병력의 열세는 위험부담이 반비례로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사대 성격의 원정군이라 하더라도 1만명을 밑돌지는 않았을 것이다. 반면 3만명 이상이라면 이러한 대군을 수송할 함대의 규모가 수백 척에 이르고, 또 군량과 마초 등 이들 병력을 뒷받침할 군수부대까지 고려할 때 신속 정확할 기습작전이 불가능했으리라는 추측이 나온다. 또한 작전기간에 관해서도 필자는 압록강구에서 등주까지 왕복 소요시간까지 포함하여 5~10일의 단기전이라고 추측한다. 현종(玄宗)이 낙양에서 보고를 받고, 현종의 황명을 받은 갈복순(葛福順)이 군사를 거느리고 등주로 달려갔을 때 발해군이 이미 자취도 없이 사라졌다는 사실은 작전기간이 결코 10일을 넘지 않은 단기전이었음을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또 한 가지 배놓을 수 없는 사실이 있다. 발해의 당나라 원정은 장문휴의 산동반도 기습 한 가지 작전만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장문휴의 수군을 이용한 기습작전 외에도 무제(武帝)가 직접 군사들을 거느리고 요하와 대능하를 건너 당나라 영주와 평주지방을 점령하고 오늘날의 북경과 가가운 만리장성까지 진격했다는 것이다. 이 설의 근거는 신당서(新唐書) 오승자열전(吳承資烈傳)에 "발해의 대무예(大武藝; 武帝)가 군사를 거느리고 마도산(馬道山)에 이르러 성읍을 점령했다."는 기록이다. 마도산은 요동과 요서의 경계를 이루는 요하 서쪽 요서지방에 있는 산이다. 이에 따라 당군은 발해군의 침공에 대비하여 4백리에 걸쳐 요소의 길목을 막고 큰 돌로 참호를 만들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자치통감(資治通鑑)에도 "대문예(大門藝)를 유주로 보내 군사들을 징발해 싸우게 하는 한편, 유주절도사로 하여금 하북체방처치사를 겸하게 하고 상주, 낙주, 패주, 기주, 위주 등 모두 16개에 이르는 주와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의 병력까지 통솔하게 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따라서 수륙 양면을 통한 당시 발해의 원정이 단순한 소규모 기습작전의 범위를 넘어 전면전의 성격을 띤 대대적인 대당정벌전(對唐征伐戰)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다. ● 발해는 고구려를 이은 당당한 대제국 필자가 기록이 매우 빈약함에도 불구하고 장문휴(張文休)에 관한 역사인물록(歷史人銘物錄)을 쓰는 것은 한국 역사에서 발해사(渤海史)를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얼빠진 자가 아니라면 한국인으로서 발해가 고구려를 이은 나라요, 따라서 발해사(渤海史)는 당연히 우리 민족의 역사 중 일부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중국은 정부차원에서 고구려사(高句麗史)와 발해사(渤海史)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음모를 공공연히 자행하고 있다. 이야말로 역사 왜곡을 넘어서 파렴치하고 몰염치한 역사 탈취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이 고구려사(高句麗史)와 발해사(渤海史)를 자기네 역사라고 우기며 배앗아가려는 저의는 어디에 있을까. 몇 가지 분석이 가능하지만, 필자의 추측으로는 남북통일 이후에 제기될지도 모를 만주에 대한 연고권 주장에 미리 쐐기를 박자는 심산인 듯하다. 이와 아울러 현재 우리 동포가 많이 살고 있는 만주, 곧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등 중국 동북삼성 지방에서 만에 하나라도 일어날지 모를 독립운동을 일찌감치 막아볼 저의를 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만주는 한국 땅'이란 소리를 꿈에도 하지 말라는 뜻이다. 중국은 이러한 역사 탈취 작업을 위해 2002년 2월부터 이른바 '동북공정(東北工程)'이라는 대형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은 이 동북공정을 위해 5년간 우리 돈으로 3조원이라는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아무리 돈을 많이 들여 역사를 왜곡하고 탈취한다고 해도 남의 나라 역사, 다른 민족의 역사를 쉽게 저희 것으로 만들 수는 없는 노릇이 아니겠는가. 그것은 제 조상을 바꾸는 것과 같이 어리석은 짓이다. 만주 대륙은 환웅(桓雄) 거발환(居發桓)과 단군(檀君) 왕검(王儉)이 개국한 배달국(倍達國)과 고조선의 성스러운 발상지요, 고조선이 망한 뒤에는 해모수(解慕漱)가 세운 부여, 주몽(朱蒙)이 세운 고구려, 대조영(大祚榮)이 세운 발해가 차례로 일어났던 우리 고대사의 중심지였다. 비류(沸流)와 온조(溫祚) 형제가 남하해 세운 백제는 고구려와 더불어 부여에서 갈라져 나왔고, 서라벌에 선주하던 여섯 씨족이 모두 고조선의 유민이었으며,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중심으로 한 신라 건국의 주체세력도 만주에서 남하했으니 결국 민주는 우리 민족사의 모태요, 요람인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어용학자들은 고구려와 발해가 현재 자기네 영토에 있었다는 사실로 고구려사(高句麗史)와 발해사(渤海史)는 중국 역사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는 참으로 단순하고 어리석고 유치하기 그지없는 억지 주장을 펴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주장이 이처럼 어처구니없는데도 그냥 두고 보고만 있을 작정인가. 앞으로 고구려사(高句麗史)도 빼앗기고 발해사(渤海史)도 빼앗긴 다음에는 부여와 고조선의 역사도 중국 역사의 일부라고 생떼를 쓰고 나올 것이 뻔하지 않은가. 그런데 정작 문제는 한국 정부와 제도권 역사학계의 태도가 너무나 안이하고 미온적이라는 점이다. 역사의 교훈, 역사 교육의 중요성을 광복 60년이 되도록 역대 위정자가 망각하고, 교육 당국이 홀대하고 천대해온 결과가 이렇게 나타나고 있는데도 중국에 대해 항의 한번 못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 이러니까 민족적 정체성이 희미해지고 민족적 자존심과 긍지도 사라져버리는 것이다. 그 다음에 올 것은 나라와 겨레가 또 다시 망하는 길밖에 없다는 역사의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 귀중한 혈세를 엉둥한 곳에 낭비하지 말고 3조원이 아니라 3백억원이라도 우리 역사를 지키는 사업에 투자했으면 좋겠다. ● 통일신라시대 아닌 남북극시대로 구분해야 중국과 일본이 한국 역사를 의도적으로 축소, 폄하하고 왜곡하고 있음에도 국내의 일부 서양사를 전공한 소위 학자라는 명함을 들고 다니는 얼빠진 작자들은 민족주의 사관을 비난하면서 국사를 해체해야 한다는 극언과 망언을 서슴지 않고 있다. 특히 한국 역사를 전공하고 있는 일부 매국사학자들도 발해의 주민 구성원이 속말말갈인(粟末靺鞨人)이며 건국자인 대조영(大祚榮)도 말갈족이라는 중국 측 문헌 기록이 있으므로 발해를 한국 역사에 포함시키는 것이 불가하다는 궤변을 늘어놓아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에 장단을 맞추고 있다. 만약 중국 측과 국내 매국사학자들의 견해대로 발해가 말갈족의 국가이고 고구려와의 연계성이 없으며 중원 왕조의 지방정권에 불과했다면 건국자인 대조영(大祚榮)도 이 글의 주인공인 장문휴(張文休)도 말갈 사람인 셈이다. 발해의 멸망과 더불어 우리 민족은 드넓은 만주 대륙을 잃어버렸다. 발해가 망한 뒤 우리 역사는 압록강 이남 한반도로 축소되어 버렸던 것이다. 고조선의 뒤를 이어 부여가 일어낫고, 부여의 뒤를 이어 고구려가 일어났으며, 고구려의 뒤를 이어 일어난 나라가 발해요, 그 역사의 무대가 만주 땅인데, 그 발해마저 망하자 우리 민족은 다시는 만주 대륙을 호령할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 사대주의 식민사관 매국사학자들의 농간 때문에 우리는 아직까지 고조선과 부여 이후의 열국시대를 삼국시대로 부르고 있고, 이른바 삼국시대 이후는 통일신라시대라고 부르고 있다. 이는 이른바 통일신라 북쪽 옛 고구려 당에 발해가 있었던 사실을 의도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무시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발해사(渤海史)를 빼앗기고 고구려사(高句麗史)도 빼앗길 위기를 맞은 것이다. 따라서 이제부터라도 국사교과서에 발해사에 관한 분량을 늘리고, 시대 구분도 통일신라시대가 아니라 남북극시대라고 고쳐야 마땅할 것이다. 특히 김부식(金富軾)이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면서 중국에 맞선 발해를 아예 우리 역사에서 제외시켜 버린 탓에 발해와 대조영에 관한 연구도 우리 역사서보다는 중국과 일본 측 기록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된 것이다. 다만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事)만은 실전된 신라고기(新羅古記)를 인용하여 "고구려의 구장(舊將) 조영(祚榮)의 성은 대씨인데 남은 군사를 모아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발해라고 했다."는 기록을 남겨놓았다. 무제(武帝)가 장문휴(張文休)로 하여금 당나라 원정을 명령한 까닭은 반역자 대문예(大門藝) 때문에 비롯된 것이다. 대문예는 어떤 인물인가. 그는 다른 사람도 아닌 무제와 피를 나눈 친동생이었다. 사정의 전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발해의 건국 과정으로 거슬러 올라가야만 한다. 발해는 고구려의 유민들이 건국한 뒤 약 230년 동안 오늘의 중국 만주와 러시아 연해주 일대를 지배했으며, 황제를 칭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당당한 주체적 대제국이었다. ● 대조영이 고구려 멸망 30년 뒤에 발해 건국 668년 신라와 당의 연합군에 의해 평양성이 함락되고 고구려가 멸망하자 만주를 포함한 옛 고구려 지역은 큰 혼란에 빠졌다. 당나라는 고구려의 부흥운동에 겁을 먹고 수많은 유민을 요서지방과 중국 내륙지방으로 강제이주시켰다. 대걸걸중상(大乞乞仲象)과 대조영(大祚榮) 부자도 이때 대능하 중류 요서지방의 요충인 영주의 치소인 조양에 이주당한 고구려의 유장이었다. 구당서(舊唐書)에 이르기를, "발해말갈(渤海靺鞨)의 대조영은 본래 고구려의 별종이었다. 고구려가 멸망하자 그는 가솔을 거느리고 영주로 옮겨가 살았다."고 했다. 측천무후(則天武后)가 당나라를 통치하던 696년, 거란족인 송막도동 이진충(李盡忠)과 귀성주자사 손만영(孫萬榮)이 반란을 일으켜 영주를 함락시키고 도족 조문홰를 잡아 죽였다. 이 반란으로 당나라가 혼란에 빠진 틈을 이용해 대걸걸중상은 고구려의 유민 수만명을 거느리고 말갈족의 지도자 걸사비우(乞四比羽)와 더불어 조양을 탈출하여 동쪽으로 요하를 건너 고구려 옛 당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측천무후는 대걸걸중상을 진국공(震國公)으로, 걸사비우를 허국공(許國公)으로 봉해 달래려 했으나 그다위 허울뿐인 명예직이 무슨 소용이랴. 당나라는 회유책이 실패로 돌아가자 이번에는 무력행사를 시도하여 좌옥검위대장군 이해고(李偕固)와 중랑장 색구(索仇)로 하여금 군사를 거느리고 이들을 추격하여 섬멸토록 명령했다. 당군과 쉴새없이 교전을 벌이면서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은 계속 요동으로 향했다. 그 동안 이해고와의 전면전에서 걸사비우(乞四比羽)와 대걸걸중상(大乞乞仲象)이 전사하고 최고 지도자가 된 대조영은 출중한 용맹과 지략까지 겸비한 당대의 영웅이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는 어려서부터 용맹이 뛰어났으며, 말을 잘 탔고 활을 잘 쏘아 고구려의 장수가 되었다고 한다. 그는 끈질기게 추격하는 당군을 유인하여 천문령전투(天門嶺戰鬪)에서 결정적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에서 참패한 이해고는 간신히 목숨만 구해 도망쳐 버렸다. 무려 5천 킬로미터의 대장정 끝에 옛 고구려 5부의 하나였던 계루부 지역을 수복한 대조영은 698년 오늘의 길림성 둔화시 서남쪽 22.5 킬로미터 지점, 송화강 건너편의 해발 6백미터 지점인 동모산에[ 오동성을 쌓고 새 나라 대진국(大震國)을 건국하여 제위(帝位)에 올라 연호를 천통(天統)이라고 정했으니, 이는 구국(舊國) 고구려가 멸망한 지 30년 만의 일이었다. 한편, 근래 일부 학자는 대조영의 성씨인 대씨가 고구려의 왕성(王姓)인 고씨와 같은 뜻으로서 대조영 일가가 고구려 왕족이라는 학설을 내놓기도 했다. 거란과 돌궐의 잇따른 침략으로 대진국을 제압할 여력이 없었던 당나라의 황제 현종(玄宗)은 할 수 없이 713년에 낭장 최흔(崔昕)을 보내 고제(高帝)에게는 발해군왕(渤海郡王)이란 칭호를, 그의 태자 대무예(大武藝)에게는 계루군왕(桂婁郡王)이란 칭호를 주었다. 어쨌든 당나라로서는 마지못해 대진국의 건국을 승인한 것이었다. 발해라는 명칭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참고서적 김형광 '인물로 보는 조선사' 시아출판사 2002년 송은명 '인물로 보는 고려사' 시아출판사 2003년 김용만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 창해 2001년 황원갑 '민족사를 바꾼 무인들' 인디북 2004년 이덕일 '고구려 700년의 수수께기' 대산출판사 2000년 이덕일 '살아있는 한국사' 휴머니스트 2003년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들녘 2000년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년 김기홍 '천년의 왕국 신라' 창작과비평사 2000년 박선식 '한민족 대외 정벌기' 청년정신 2000년 이도학 '백제 장군 흑치상지 평전' 주류성 1996년 송기호 '발해를 찾아서' 솔출판사 1993년 윤병식 '의병항쟁과 항일 독립전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년 한시준 '임시정부 활동과 의열투쟁의 전개'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8년 장세윤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 솔출판사 2001년 남북국 시대 즉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가 신라와 대치하기전 신라가 고구려를 무너뜨리면서 이룩한 영토가 대동강에서 원산만를 경계로 한다는 것이 우리가 배운 바지만 이런 근거가 어떤 사료에서 오늘날까지 왔는지는 의문이다. 만주원류고에서는 신라의 강역을 한반도를 포함한 오늘날 만주 길림 까지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후 발해가 다시 고구려의 영토를 찾고 강대한 대제국을 이루면서 신라의 강역은 반사적으로 좁아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오늘날 우리는 요하를 기준으로한 요동을 고조선이나 삼국의 요동으로 인식하는 현 국사로 보고 있지만 이 학설은 점점 사료나 계속적인 유물 발굴에서 그 힘이 떨어지고 있다. 사기를 통해서, 또한 평양 한사군 위치의 결정적  증거라는 평양 점제비 비석과 봉니의 허구성..-일제의 조작- 도리어 발해만 지역의  봉니 출토와 고조선의 초기 비파형의 집중적  발해만 분포,북방식 고인돌.. 그리고 연의 장성이 나타나지 않는 점등... 과 지형도는  그 당시 지나의 요동의 인식은 최소한 난하 서쪽으로의 인식이 더욱 높다. 이후 삼국지와 후한서 역시 초기 고구려를 그들 요의 동쪽 천리 밖에서의  2천리의 영역을 말함으로서 고구려가 현재의 요하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그 위치가 동해바다로 위치되는 등 더 서쪽을 경계로 했을 가능성이 높다. 고구려 멸망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일어난 발해 역시 일본과의 외교문서에서 고려(고구려)를 계승했음의 공식 기록이 보이면서 옛 고구려의 영역을 다시금 회복했다고 말하고 있다.. 발해의 영역 역시 다시금 검토되어져야 할 부분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91017 [투표글]역갤 최고의 찌질이는? [4] ㅁㄴㅇㄹ 07.01.02 266 0
91016 북위를 삼킨 고구려 [2] ㅁㅁ 07.01.02 243 0
91014 보림이 이제 역갤에서 낚시 일빠짓 그만할꺼지?? [2] ㅁㅇㄴㄻㄴㅇㄹ33 07.01.02 196 0
91013 고종은 왜이렇게 무력했을까?? [5] 후시 07.01.02 347 0
91010 기분 존나 좋은 이방원. ㄻㄴㅇㄹㄴㅇㅁㄹ33 07.01.02 257 0
91009 그런데 이찬이 그런게 죽을죄지은것도 아닌듯 [15] 2 07.01.02 474 0
91008 한고조 유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 [11] 무제 07.01.02 404 0
91007 중국의 하루 [2] ㅂㅂ 07.01.02 250 0
91006 일개 고구려 장수에게 뺨 맞은 당태종 이세민 [6] 토르 07.01.02 654 0
91004 18족속들에게 보내는 역사전쟁 선포문(2) [7] ㄴㅇㅎㄹ 07.01.02 276 0
91001 역사 드라마나 영화 [4] 마돈나 07.01.02 283 0
91000 유태인 학살 600만 캐구라라며 [14] ㅁㅇㅎㅁ 07.01.02 566 0
90997 2차세계대전의 진실 [2] 윤시 07.01.02 318 0
90992 좆광팔이 이 넘.. [3] 좆광팔 07.01.02 262 0
90989 좌파적 역사 이데올로기의 가장 성공적인 쿠데타 [2] ㅁㄴㅇㄹㄴㅁㅇㄹ33 07.01.02 311 0
90984 [58]사자의 후예들-<외전> Battle of Honnecourt<1> [14] 학생 07.01.02 780 0
90983 이성계는 어째서 이방원을 내치지 못했나요? [13] 123413241 07.01.02 692 0
90982 게티즈버그 셋째날. 피켓 대공세 [2] dhhill 07.01.02 321 0
90978 살인사건 좇다보니 조선이 보이네 . [3] 개념이 07.01.02 417 0
90976 신 미트라의 여정 [3] 덱스터 07.01.02 301 0
90975 조선의 일본에 대한인식 [2] ㅁㄴㄹㅇㅁㄴㅇㄻ33 07.01.02 449 0
90973 양만춘의 생애(펌) [4] ㄴㅇㅀ 07.01.02 1062 0
90972 시베리아 민족들도 고려장 비슷한게 있더군. [3] ㅇㅇ 07.01.02 297 0
90969 쇼군토탈워에 고려랑 조선나온다 [1] 소지섭 07.01.02 641 0
90968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 측의 총병력? [7] ㅇㅇ 07.01.02 703 0
90967 중국 사극보면 황상이라고 하던데... [5] 07.01.02 494 0
90966 백제의 요서경략설에 대한 조언 부탁드린다. [2] 종간나 07.01.02 247 0
90965 환두대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ㄴㄴㄴㄴ 07.01.02 249 0
90964 우리가 열등한 민족인건 사실이지.. [17] 막장 07.01.02 582 0
90963 지금 한민족참역사 들어가봐 ㅋㅋㅋ 기가찬 글 올라와있다 ㅋㅋ [46] ㅋㅋㅋㅋ 07.01.02 1191 0
90961 신년 특집 : 뽈후노와 자칭 민족사학(발음기호로는 민좆사학)의 공통점 [7] 흐음 07.01.02 446 0
90960 이거 누구 영정이야?? [22] asdfasdf 07.01.02 783 0
90958 그러고보면 한국의 시조는 소서노 네. [6] 소서노 07.01.02 575 0
90957 역갤 책상머리 키보드워리어 골룸거사 패거리보다 백배천배만배 낫네효 [5] ㅉㅉ 07.01.02 290 0
90955 골룸거사 패거리같은 찌질이들이 바로 인문학의 위기를 불러왔다 [4] 한심한역갤러들 07.01.02 319 0
90954 외고는 정말 역사에 남을 거 같아 [3] 07.01.02 373 0
90953 근대 이전에 홍이포 보다 더 강한 대포는 동양에 없었나?? [1] ㅁㄴㅇㄹ 07.01.02 401 0
90951 헤이안시대 극장의 복원 [5] ㅎㅎㅎ 07.01.02 563 0
90950 12.12 사태관련 판결로 한참 시끄러울 때 [1] ~_~ 07.01.02 279 0
90949 발해 정묘 공주 무덤의 비석에 "황상"이라는 표현이 나오는데도 [2] 마광팔 07.01.02 558 0
90947 역사의 진실[펌] [4] 하악 환빠 07.01.02 496 0
90946 발해가 당의 속국이라고 말하는 것에 대한 반론 [5] 개념은? 07.01.02 442 0
90945 Feliz A o Nuevo 질문하나 07.01.02 180 0
90942 핑크상의 정체 [5] 텐노 이사쿠 07.01.01 462 0
90938 역사를 공부하면할수록 [4] 니코틴소녀 07.01.01 333 0
90937 청 전성기와 프랑스 및 영국의 대결이라면 ? [7] 플라잉더치 07.01.01 564 0
90936 주몽 드라마보면 식민 사학의 폐해가 아직도 건재하다는 사실에 불쾌 [7] 마광팔 07.01.01 535 0
90934 외침으로 문화재가 수난을 당햇어도 이건 못이겨. [10] ㅁㄴㅇㄻㄴㅇㄹ33 07.01.01 587 0
90933 야 게리 베버스 해고됐단다 [21] fffff 07.01.01 707 0
90932 잉카는 알면서 카리마왕조는 무시하나요? [1] RFSS 07.01.01 28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