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도 다 기술 발전 덕분입니다. 석유 패권?모바일에서 작성

%%%%(211.36) 2024.01.28 12:33:03
조회 81 추천 0 댓글 0
														
3fb8c32fffd707f43eed82e547837c6c09a528caeb1a7bc4444d08fba5d745b811b742ff2567

3fb8c32fffd707f43eed82e547837c6c09a528cbee1a7bc4444d08fba5d745b8b067f9e976

3fb8c32fffd707f43eed82e547837c6c09a528cbeb1a7bc4444d08fba5d745b8a5a02786b6

3fb8c32fffd707f43eed82e547837c6c09a528cced1a7bc4444d08fba5d745b86609636867

3fb8c32fffd707f43eed82e547837c6c09a528cce51a7bc4444d08fba5d745b8c40c1ac237

3fb8c32fffd707f43eed82e547837c6c09a528cdee1a7bc4444d08fba5d745b87fd9d250be

3fb8c32fffd707f43eed82e547837c6c09a528cdea1a7bc4444d08fba5d745b858f0b7f5d5

미국 "이제 유가는 내가 정한다".. 바이든 변심과 석유 패권

미국과 사우디의 치킨 게임 2차전 전망 "10년 전과 다르다"

작성 2024.01.28 07:00

수정 2024.01.28 07:00

조회수 17535

by

손승욱


안녕하세요. SBS 손승욱 기자입니다. 오늘은 "중동 분쟁이 계속되는데도 왜 주유소 기름값이 치솟지 않을까?"에 대한 궁금증에서 이야기를 시작해 볼까 합니다.

SBS 경제자유살롱에 출연한 경제 전문가들에게 물었더니, (중국 경기 침체는 물론이고) 미국과 사우디가 "누가 누가 싸게 파나" 경쟁을 벌이면서 기름값이 안정적으로 흘러가고 있는 상황이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후티 반군의 테러 같은 중동 상황에도 불구하고 유가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런 상황이 조금 생뚱맞기도 합니다. 지난 2022년 7월 "유가를 내려달라"는 요청을 위해 사우디를 찾았던 바이든 대통령을 기억하실 겁니다. 그런데 빈살만 왕세자는 그를 냉대하며 '고유가'를 고수하겠다며 유가 인하 요구를 거절했습니다.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까지 갈 정도면 이미 '유가 인하' 약속을 받고 간 것 아니냐"는 언론 보도 속에 사우디 출장길에 나섰던 바이든 대통령으로서는 결코 잊을 수 없는 순간이었을 겁니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마음 급했던 바이든 대통령 앞에서도 버텼던 빈살만 왕세자. 그랬던 그가 왜 마음을 바꿔 갑자기 미국과 '기름값 내리기 경쟁'을 시작한 걸까요? 지난해 나온 미국 에너지관리청(EIA)의 보고서에 그 답이 있습니다.

미국, "유가? 내가 정한다"
미국 에너지관리청이 지난해 발간한 한 보고서에는 "미국 원유 생산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는 내용과 함께 눈에 띄는 그래프가 몇 개 있었습니다. 첫 번째 그래프는 최근 미국 땅에서 나오는 원유와 천연가스 생산량의 폭발적인 증가폭(붉은 동그라미)을 보여주고, 두 번째 그래프는 눈에 띄게 줄어든 원유와 천연가스 수입량을 보여줍니다.

1950년부터 집계한 EIA 통계인데, '원유 생산량 사상 최대'라는 현재 미국의 상황을 잘 보여줍니다. 이 보고서가 나오자 '굳이 앞마당에서 캐지 않고 숨겨왔던 화석연료 부자' 미국이 '셰일가스'를 본격적으로 퍼올리기 시작했고, 그래서 '원유 패권'까지 노리며 유가 결정에 비로소 그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나온 미 EIA의 '주간 보고서'는 한발 더 나아가 "1월 둘째 주 하루 생산량이 1330만 배럴로 주간 기준 역대 최대량을 기록했고, 향후 2년간 생산량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 뒤 일부 미국 언론들은, "드디어 화석연료 패권을 잡았다"는 쪽에 포커스를 맞추면서 "유가의 2가지 기준인 북해산 브렌트유와 서부텍사스중질유(WTI) 가운데, 미국의 WTI가 유가의 새 기준이 될 것"이라는 보도도 내놨습니다. "셰일가스 채굴 기술의 혁신이 바탕이 됐다" "70~80달러의 안정적인 유가가 미국 업체들을 독려하고 있다" 같은 다양한 분석기사들도 쏟아냈습니다.

미국은 왜 이렇게 '전례 없는 증산'을 결심했을까요?

첫 번째는 바이든 대통령의 변심입니다. 그는 재선 가도의 최대 걸림돌인 '인플레이션'을 잡기를 원했습니다. 생산량을 '폭발적'으로 늘려 유가를 떨어뜨리고, 그게 인플레이션을 낮추길 원했던 겁니다. 대표적인 예가 알래스카 윌로 유전을 포함한 17개 대형 유전에 대한 시추 허가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러시아 견제입니다. 고유가 덕에 전쟁 비용을 생각보다 수월하게 충당하던 러시아에게 유가 하락은 그렇게 좋은 소식이 아닙니다. 특히 경제 제재 속에 일부 나라에게만 팔던 상황이라 더더욱 그렇습니다.

세 번째 이유는 같은 비용에 훨씬 많이 석유와 천연가스를 뽑아낼 수 있는 '셰일가스 업체'들의 놀라운 기술 발전이 있었습니다. (이건 뒤에서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미국이 증산에 나선 이유에 대해 국내 최고의 에너지 전문가인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의 얘기를 전합니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인플레이션이 에너지 쪽에서 왔거든요. 유가만 떨어지면 미국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이 됩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생산량을 굉장히 많이 늘렸죠.

또 국제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유가를 떨어뜨리면 전쟁을 끝낼 수 있습니다. 러시아는 원유와 천연가스를 팔아서 전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유가를 떨어뜨려야 합니다. 결국 지금까지 주춤했던 미국의 증산은 계속될 수 있는 겁니다. ▶관련 영상

바이든 대통령으로서는 -친환경이냐 아니냐는 논란과는 별개로- 사우디와 러시아를 선두로 한 OPEC+의 '고유가 정책'을 흔들어야 미국이 살고, 자신도 재선에 성공할 수 있다고 보고 행동에 나선 겁니다.

그런데 2024년 새해가 밝자마자 사우디의 반격이 시작됐습니다.

사우디도 내렸다..치킨 게임의 귀환
2024년이 시작되자마자 사우디아라비아도 "유가를 인하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우디 국영 아람코가 중동 원유 공식판매가(OSP)를 배럴당 2달러 이상 낮춘 겁니다. 27개월 만의 최저 수준이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을 냉대하면서까지 고유가를 유지했던 사우디의 갑작스러운 변심,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SBS 경제자유살롱에 출연한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심해지고 있는 OPEC+ 내부의 균열로 사우디의 시장점유율이 '불안 불안'하던 차에 미국 증산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OPEC+는 사우디가 전 세계의 유가를 자기가 조정하고 싶어서 만들었습니다. 석유 담합 기구입니다. 그런데 이 담합은 굉장히 깨지기 쉬운 구조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이 카르텔이 깨지기 시작했죠. 앙골라는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브라질은 굉장히 많은 원유를 가지고 있는데, 역시 증산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심해 유전인데, 120달러가 넘어야 경제성이 있는데도 개발하겠다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최근에 베네수엘라 옆에 있는 가이아나도 증산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담합이 서서히 깨지고 있는 거죠. 사우디도 시장점유율이라도 늘려보기 위해서 가격 내렸습니다. 그리고 결정타를 때린 것이 미국의 증산입니다.

이렇게 사우디가 미국의 셰일업체들과 '기름값 내리기' 치킨 게임을 시작한 데에는 '값싼 생산단가'에 대한 자신감과 함께 10년 전 벌였던 치킨게임 완승을 거뒀던 경험도 깔려 있습니다.

2014년 6월에 시작해 2016년까지 2월까지 진행된 미국과 사우디의 1차 치킨 게임. 미국 셰일가스 업체가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하자 사우디는 '생산단가가 높다'는 미국 셰일가스 업체의 약점을 이용해 "버티려면 버텨봐라"라면 식으로 유가를 떨어뜨리기 시작합니다. 미국 셰일가스 업체들로서는 '뽑아낼수록 손해 보는 환경'이 되어버린 겁니다. 유가를 무려 배럴당 25달러까지 떨어뜨렸습니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셰일가스가 등장하면서 미국이 증산을 마구하다 보니 사우디의 지배력이 하락했습니다. 미국의 셰일가스 업체를 다 죽이려고 하는 시도가 사우디로부터 시작이 됐습니다. 당시 배럴당 25불까지 떨어진 적이 있습니다. 생산단가 손익분기점이 38달러 정도였는데, 25달러까지 떨어뜨렸으니까, 굉장히 어려움이 컸죠. ▶관련 영상

하지만, 이번에도 사우디가 이길까요?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미국 "예전의 내가 아니다"
셰일 가스 생산과정은, 유정을 파 내려간 뒤 물과 화학약품을 뿌려서 유정 주변 땅 속에 균열을 내고 거기서 흘러나오는 천연가스와 석유를 채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중동 산유국들의 경우 지하에 거대한 원유 웅덩이가 있어서 (빨대처럼) 유정을 뚫고 뽑아 올리면 되는 반면, 미국은 원유와 가스가 땅 속에 흩어져 스며들어 있어 다른 방식이 필요한 겁니다.

당연히 뽑아 올리기만 하면 되는 중동의 석유 생산단가가 낮습니다. 사우디 같은 일부 OPEC 산유국의 경우 이런 '기름 웅덩이'가 얕은 지하에 있어서 사실상 "퍼내면 된다"라고 할 정도로 생산 단가가 낮습니다. 밖으로 흘러나오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그런데 미국 셰일가스 업체들의 기술 혁신이 본격화하면서, 최근 미국의 생산 단가가 크게 떨어졌습니다. 미국의 셰일업체들은 땅 속에 판 유정 속에서 원유와 가스를 추출할 수 있는 틈을 더 많이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고, 그래서 한 유정에서 종전보다 기름을 더 많이 뽑아낼 수 있게 됐습니다.

특히 이 기술은 "기름 다 뽑았다"라며 문 닫았던 유정의 문을 다시 연 뒤 기름을 더 뽑아낼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탐사비용, 채굴비용이 확 떨어집니다. 셰일가스 유정 현황을 보여주는 첫 번째 그래프에서 보듯 미국의 셰일가스 유정 숫자가 폭발적으로 늘지 않았지만, 그다음 그래프처럼,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도 다 기술 발전 덕분입니다.

장재창 인모스트투자자문 대표
셰일가스를 채취하는 유정 수가 많았을 때는 4천 개에서 5천 개 정도였는데, 지금은 600개 밖에 안 됩니다. 역사상 낮은 수준의 유정 숫자인데, 생산량은 역사상 최대입니다. 유정을 1/10 정도 적게 팠는데 생산량은 어떻게 10배 이렇게 높아질 수 있냐는 거죠. 간단하게 말하면 하나를 파도 채굴하는 양이 달라졌다는 얘기죠. 이러다 보니 미국에서 필요로 하는 원유에 대한 수요를 이미 미국 생산으로 충분히 커버하는 시대가 됐습니다. ▶관련 영상

실제로 이런 기술 혁신과 바이든 정부의 원유 채굴 허가 등으로 인해 아래 그래프처럼 미국은 이미 스스로 소비를 모두 채울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왔습니다. 

사우디 "예전보다 약해졌다"..민주화 비용
"이번 치킨 게임은 예전과 다를 것"이라는 분석 속에는 "사우디가 예전 같지 않다"는 분석도 깔려 있습니다. '아랍의 봄' 이후 민주화 요구를 무마하기 위해 쓰는 사회 복지 비용을 크게 늘려왔는데, 이 비용이 계속 늘면서 재정 압박이 심해졌다는 게 그 이유입니다.

미국 셰일업체보다 물리적 생산 단가는 훨씬 낮을지 몰라도 '사회복지 비용과  네옴시티 개발, 새 유전 탐사 등에 사우디 정부가 써야 하는 기타 다른 예산'을 감안하면 실질적 생산 단가가 훨씬 높다는 분석이 나오는 겁니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중동 국가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게 뭔지 혹시 아십니까? 자유화입니다. 왕정이다 보니까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 혹은 불만들이 잠재되어 있습니다. 2010년 12월에 아랍의 봄이라는 사건이 중동을 다 휩쓸었습니다. 그때 잠재운 방법이 기름 판 돈으로 국민들 복지를 크게 늘리는 것이었습니다. 교육도 하고, 집도 주고. ( 그 비용을 감안하면) 유가가 어느 정도 돼야 되는지 나옵니다. 사실 사우디의 경우 그냥 생산 단가만 보자면 20달러 밑에서도 얼마든지 생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씀드렸던 복지 재정과 네옴 프로젝트나 새 유전 개발에 투자되는 자금까지 포함하면 80불 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관련 영상

사우디의 경우 80달러가 지켜지면 좋겠지만, 생산단가가 워낙 낮아 50~60달러까지는 거뜬하게 버틸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셰일가스의 경우 손익분기점이 38달러 정도까지 떨어져 있습니다. 전쟁 같은 복잡한 변수들이 늘 있기 마련이지만, 미국이 예전 치킨게임처럼 일방적으로 당할 상황은 아닌 겁니다.  

맺음말
이제 다시 주유소 기름값 전망으로 돌아오겠습니다. SBS 경제자유살롱에 출연한 조홍종 교수는 "올해 천연가스와 원유 가격은 안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공급 측면에서는 셰일가스 업체의 기술 발전뿐 아니라 미국의 정책적 배려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봤습니다. 인플레이션도 잡고 싶고, 경제도 살리고 싶고, 그래서 재선도 하고 싶은 바이든 대통령이 임기 초와 달리 ‘화석연료’에 대해 관대한 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요 측면에서는 더 심해질 미중갈등의 영향 등으로 끝을 알 수 없이 추락하는 중국 경제 상황이 가격 안정을 이끌어낼 것으로 봤습니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올해 유가는 생각보다 안정적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에서 생산량을 엄청 늘렸기 때문입니다. 사우디보다 거의 200만 톤 이상을 더 생산하고 있고요. 인플레이션의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드디어 미국이 석유 증산에 나섰다. 그래서 공급 사이드에서 굉장히 많은 물량 증가가 있을 것이고요. 수요 측면에서 보자면 중국의 경기 침체가 생각보다 길어지고 있습니다. 두 가지를 종합해 보면 올해 유가는 굉장히 안정적일 것이다 또는 조금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관련 영상

물론 우크라이나 전쟁처럼 예상하기 힘든 변수들은 언제나 있습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2023년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을 생각해 보면 "2024년이라고 다를까?"라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당분간은 연일 사상 최대 생산량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미국의 기름이 유가 폭등의 범퍼 역할은 해주지 않을까 기대할만한 상황인 건 틀림없어 보입니다. 최근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가 석유, 천연가스 전량을 수입하는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는 대목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조사 : 손예원 작가, 이루리 인턴 디자인 : 이상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49348 기존 주력제품인 D램 가격 대비 500% 수준으로 치솟으며 역대 최고가를 %%%%(117.111) 02.09 66 0
149347 2시간 동안 60개 질문에 대한 답변이 이뤄졌는데, %%%%(117.111) 02.09 51 0
149346 광운대학교 광운영상방송센터 KWBC, 궁금한점은 무엇???? %%%%(117.111) 02.09 74 0
149345 법원은 이날 조 전 장관을 법정구속하지는 않았지만, %%%%(117.111) 02.09 104 0
149344 ‘고의 기밀 유출’ 특검 결론? %%%%(117.111) 02.09 92 0
149343 우리나라 최초 사립공대 광갤러(118.235) 02.09 80 0
149342 광운대 애들은 자격지심이 심한듯 [8] ㅇㅇ(106.101) 02.09 1002 71
149341 인공지능(AI) 기반의 고장 진단 기술과 가동률, %%%%(117.111) 02.09 80 0
149340 제조업체 및 의료 정책과 R&D와 생산 등에 관심 있는 관계자와 수요자? %%%%(117.111) 02.09 53 0
149339 HTHT는 교사의 하이터치(High touch)와 첨단 기술의 하이테크, %%%%(117.111) 02.09 102 0
149337 1989년 말에 기록한 역대 최고치인 3만8915에 근접하고 있다. %%%%(117.111) 02.08 72 0
149336 일요일에 광운대 근처에서 시험보는데 광갤러(14.4) 02.08 82 0
149335 2023 중앙일보 취업및 진학률- 순수취업률 & 유지 취업률 광갤러(14.32) 02.08 295 0
149334 팡 띵 상 가 [2] 광갤러(223.38) 02.06 184 16
149332 "수출은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반도체도 그렇고, %%%%(117.111) 02.06 79 0
149331 최적의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장비 운용과 안전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무인 [2] %%%%(117.111) 02.06 147 0
149330 ■ 2024 주요 대학교 - 공식) 최신 서열 ■ [2] 광갤러(223.38) 02.05 162 9
149329 영토확장 나선 금융지주, 非은행 매물? %%%%(211.36) 02.04 62 0
149328 물가 확신이 필요한 한은… 금리 내린다면 7월 이후에나 [글로벌 금리인하 %%%%(211.36) 02.04 74 0
149327 영국과 프랑스가 보낸 무기는 스톰 섀도(프랑스명 스칼프)다. [1] %%%%(211.36) 02.04 154 0
149326 국제법, 또는???????? %%%%(211.36) 02.04 50 0
149325 최면 범죄자들의 임의적 행동들과 자의적 행위들? 부존재 또는 부작위? [8] %%%%(117.111) 02.04 57 0
149324 양호한 사업장까지 위험이 전이될 우려가 큽니다. [1] %%%%(117.111) 02.04 73 0
149323 이 사진이 의미하는바는?????????? [10] %%%%(117.111) 02.04 108 0
149322 잘 하거나 더 잘하거나, 못하거나 더 못하거나?와는 다르게.. [8] %%%%(117.111) 02.04 55 0
149321 "실명제 도입 후 악플 감소"...부작용은? [2] %%%%(117.111) 02.04 284 1
149320 금융거래의 투명성이 높아졌고, 이는 불법 자금 흐름을 차단하고, %%%%(117.111) 02.04 75 0
149319 경영기법에 편승하기보다는, 자사의 경영철학에 맞는? %%%%(117.111) 02.04 41 0
149318 차량정비시, "관리자? 차량정비, 점검 내용 확인하고 있으십니까?" [1] %%%%(117.111) 02.04 65 0
149317 "파운드리·IDM(종합반도체회사), 팹리스.. %%%%(117.111) 02.04 134 0
149316 성능을 고객별로 최적화한 커스텀.. %%%%(117.111) 02.04 60 0
149315 30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1월 11일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117.111) 02.04 69 0
149314 전환기? 정치적, 정책적 목표지향점? 통화정책? [1] %%%%(117.111) 02.04 44 0
149313 YS, 파월 의장은? [3] %%%%(117.111) 02.04 115 0
149312 통화 정책, "정치적 이벤트?"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지?" [1] %%%%(117.111) 02.04 57 0
149311 반도체의 사업 경쟁력은 △기술력 △양산 능력 △투자 규모 등으로 결정된다 %%%%(117.111) 02.03 75 0
149310 특히 6G 시대에 본격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도심항공교통(UAM)·위성 [1] %%%%(117.111) 02.03 63 0
149309 이를 유지하려면 고도의 신뢰관계 유지가 필수다. [4] %%%%(117.111) 02.03 106 0
149308 2024 ' THE world University ranking 광갤러(223.38) 02.01 59 1
149307 동일 장소에서 2개 이상의 건설공사가 진행될 경우 작업의 혼재로 인한.. [4] %%%%(211.36) 02.01 134 0
149306 AI 가속기? %%%%(211.36) 02.01 140 0
149305 학문 후속세대 양성은 학부생 정원을 붙잡는 게 아닌 다른 방식을 고민,2 [2] %%%%(211.36) 02.01 121 0
149304 "법 시행에 따른 부작용, 산업 현장에서의 혼란.. %%%%(211.36) 02.01 42 0
149303 특히 평택캠퍼스는 샘 올트먼 오픈 AI CEO가 방문한 곳으로, %%%%(211.36) 02.01 65 0
149302 “신규 프로젝트를 통해 수익성 위주의 수주를 입증한다면 ROE 개선을 %%%%(211.36) 02.01 73 0
149301 보안이 뚫렸을 때 감당해야 할 피해와 사회적 비용은..선량한 의도였다? %%%%(211.36) 02.01 92 0
149300 ☆ 2024 주요 대학교 - 공식) 최신 서열 [1] 광갤러(223.38) 02.01 89 0
149299 ☆ 2024 주요 대학교 - 공식) 최신 서열 [1] 광갤러(223.38) 02.01 124 3
149298 광운대 후문 하늘푸름 왕돈까스 아직 있냐..?? [1] 광갤러(118.235) 02.01 107 0
149297 최근 3년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 광갤러(14.32) 01.31 53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